#!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토이 스토리 시리즈}}}에 대한 내용은 [[토이 스토리 시리즈]]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토이 스토리 시리즈: }}}[[토이 스토리 시리즈]]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fff><tablebgcolor=#fff,#1c1d1f> ![파일:픽사 애니메이션 스튜디오 로고.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font-size: .9em; letter-spacing: -.2px" | | 토이 스토리 · 토이 스토리 2 · 토이 스토리 3 · 토이 스토리 4 · 버즈 라이트이어 · 토이 스토리 5 | |
| | 몬스터 주식회사 · 몬스터 대학교 | ||
| | 니모를 찾아서 · 도리를 찾아서 | ||
| | 인크레더블 · 인크레더블 2 · 인크레더블 3 | ||
| | 카 · 카 2 · 카 3: 새로운 도전 | ||
| | 인사이드 아웃 · 인사이드 아웃 2 | ||
| | 코코 · 코코 2 | ||
| 단독 영화 | <colbgcolor=#808080><colcolor=#fff,#000> 1990년대 | 벅스 라이프 | |
| 2000년대 | 라따뚜이 · 월-E · 업 | ||
| 2010년대 | 메리다와 마법의 숲 · 굿 다이노 | ||
| 2020년대 | 온워드: 단 하루의 기적 · 소울 · 루카 · 메이의 새빨간 비밀 · 엘리멘탈 · 엘리오 · 호퍼스 · 가토 | }}}}}}}}} | |
| 토이 스토리 시리즈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등장인물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nopad> 정규 | |||||||||||||||
| 토이 스토리 | 토이 스토리 2 | 토이 스토리 3 | 토이 스토리 4 | 토이 스토리 5 | }}}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nopad> 토이 스토리 툰 | |||||||||||||||
| 하와이 휴가 | 작은 버즈 라이트이어 | 파티공룡 렉스 | }}} | |||||||||||||
| <nopad> TV 스페셜 | ||||||||||||||||
| 공포의 대탈출 | 공룡 전사들의 도시 | |||||||||||||||
| <nopad> 디즈니+ | ||||||||||||||||
| 포키는 궁금한 게 많아요 | 램프 라이프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nopad> 스핀오프 | <nopad> 기타 | ||||||||||||||
| 우주전사 버즈 | 버즈 라이트이어 | 토이 스토리 트리츠 | }}} | |||||||||||||
| 토이 스토리 (1995) Toy Story | ||
| | ||
| 픽사 장편 애니메이션 | ||
| 토이 스토리 | → | 벅스 라이프 |
| 장르 | 애니메이션, 코미디, 판타지 | |
| 감독 | 존 라세터 | |
| 각본 | 조스 웨던, 앤드루 스탠튼 외 | |
| 제작 | 보니 아놀드, 랄프 구겐하임 | |
| 출연 | ||
| 음악 | 랜디 뉴먼 | |
| 제작사 | ||
| 수입사 | ||
| 배급사 | ||
| 개봉일 | ||
| 상영 시간 | 81분 (1시간 20분 59초) | |
| 제작비 | $3천만 달러 | |
| 월드 박스오피스 | $394,436,586 | |
| 북미 박스오피스 | $223,225,679 | |
| 대한민국 총 관객수 | 785,404명 | |
| 스트리밍 | [[디즈니+| Disney+ ]] ▶ | |
| 상영 등급 | ||
| 링크 | ||
1. 개요
1995년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배급하고 픽사가 제작한 장난감을 다룬 3D 애니메이션이다. 픽사 최초의 기념비적인 장편 애니메이션이며 세계 최초의 풀 CG 3D 애니메이션 영화이다.스티브 잡스의 지원과 노력에도 불구하고 파산 위기에 직면했던 픽사의 임원진이 당시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의 회장이었던 제프리 카첸버그의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제작이 시작되었다. 다행히 개봉 후 큰 성공을 거두어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처럼 애니메이션 역사에 발자취를 남긴 상징적인 작품이 되었다. 또한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쥬라기 공원》과 함께 본격적으로 할리우드의 컴퓨터 그래픽 시대를 연 작품이기도 하다.
장난감을 소재로 한다는 아이디어는 픽사의 단편 애니메이션 틴 토이에 먼저 사용되었다. 틴 토이의 후속작 '틴 토이의 크리스마스 소동'을 기획하던 중 극장 상영용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하는 방향으로 가닥이 잡히면서 제작이 시작되었다.
제작 당시, 디즈니는 디즈니 르네상스 작품들의 성공에 고무되어 영화에 뮤지컬 장면을 넣기를 제안했지만 픽사의 제작진은 이를 완강히 거부하였다. 대신 주제가 You've Got a Friend in Me를 삽입하는 것으로 절충되었다.[2] 초기 기획에서는 버즈 대신 슈퍼맨을 넣고, 보 핍 대신 바비 인형을 출연시킬 예정이었지만 각각 슈퍼맨과 바비의 판권을 가진 DC 코믹스와 마텔이 모두 거절하여 무산되었다. 단 토이 스토리의 대성공 이후 마텔과의 협상이 잘 되어 후속편부터 바비가 등장하였다.
2. 포스터
| | | |
| <rowcolor=#feea00,#feea00> 북미 포스터 | 1995년 한국 포스터 | 30주년 한국 포스터 |
3. 예고편
4. 시놉시스
카우보이 인형 우디는 앤디가 가장 아끼고 사랑하는 장난감이다. 그는 앤디의 수많은 장난감들의 리더 역할을 맡으며 그들을 날마다 이끌고 진두지휘한다. 모든 장난감들 역시 앤디의 애착 장난감인 그를 따른다. 그러던 어느 날, 앤디의 생일파티가 열리고 앤디는 버즈 라이트이어라는 신제품 장난감을 선물로 받는다. 버즈는 우주를 수호하며 평화를 지키는 우주 전사 장난감으로 수납식 날개, 개폐식 헬멧, 디지털 녹음된 음성, 레이저 발사 등 최첨단 기능을 탑재하고 있다. 앤디의 애착 장난감은 순식간에 우디에서 버즈로 바뀌게 되고, 다른 장난감들도 우디보다 버즈를 더 따르게 되며 우디는 하루 아침에 2인자로 전락한다. 우디는 자신의 자리였던 앤디의 애착 장난감과 모든 장난감들의 대장 자리를 모두 빼앗은 버즈를 시기, 질투하고, 자신이 우주 전사라고 믿는 버즈에게 넌 그냥 장난감일 뿐이라며 면박을 준다.앤디네 가족이 이사를 가기 이틀 전, 우디는 앤디가 피자 플래닛에 자신이 아닌 버즈를 데려가려 하자 질투심에 버즈를 벽과 선반 사이로 밀쳐내 버리려 한다. 그러다 실수로 버즈를 창 밖으로 떨어뜨리게 되고, 이로 인해 우디는 장난감들에게 질타를 받는다. 우디는 버즈를 구해 자신의 행동을 해명하고자 했지만 모종의 사고로 장난감들을 마구 고문하고 괴롭히는 옆집 아이 시드에게 붙잡혀 장난감들에게 있어서 지옥과도 같은 그의 집에 갇혀버리고 마는데...
5.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등장인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사운드트랙
오프닝곡이자 엔딩곡으로 사용된 주제가 You've Got a Friend in Me(난 너의 친구야)이다. 1편에서 4편까지 모든 영화에서 같은 곡을 사용하였다. 2편에서는 우디가 우디와 친구들 TV에서 부른 뒤 엔딩에서 위지가 부르고, 3편에서는 엔딩 크레딧에서 버즈와 제시가 춤출 때 스페인어로 삽입되었다. 더빙판의 경우 3편까지는 같은 가사를 사용했으나 4편에선 가사가 조금 바뀌었다.
7. 평가
| | ||
| 메타스코어 96 / 100 | 점수 8.8 / 10 | 상세 내용 |
| | |
| 신선도 100% | 관객 점수 92% |
| <nopad> |
| (IMDb Top 250 82위{{{#!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
| |
| |
| 별점 7.9 / 10 |
| |
| 별점 4.34 / 5.0 |
| |
| 평점 8.1 / 10 |
| |
| 별점 8.6 / 10 |
| |
| 별점 4.1 / 5.0 |
| | |
| 지수 98.85% | 별점 4.1 / 5.0 |
| |
| 평점 9.0 / 10 |
| 지수 99% |
| |
| 별점 3.9 / 5.0 |
개봉 이후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받으며 3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사랑받고 있는 명작이다. 특히, 세계 최초의 풀 CG 애니메이션 영화로서 애니메이션 기술의 혁신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평론가들은 이 작품이 단순한 기술적 성과를 넘어, 정교한 스토리텔링과 개성 있는 캐릭터를 통해 감동적인 이야기를 전달했다고 평가하였다.
영화는 개봉 당시 비평가와 관객 모두에게 호평을 받았으며, 로튼 토마토에서는 높은 신선도를 기록하였다. 비평가들은 유머와 감동을 조화롭게 결합한 스토리, 톰 행크스와 팀 앨런이 맡은 주인공들의 목소리 연기, 그리고 창의적인 캐릭터 설정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당시의 다른 애니메이션들과 차별화되는 디지털 애니메이션 기술의 발전을 선보였다는 점에서도 큰 주목을 받았다.
그러나 일부 평론가들은 1990년대 중반의 CGI 기술적 한계로 인해 캐릭터의 질감과 배경이 다소 부자연스러워 보인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토이 스토리는 애니메이션 영화의 새로운 시대를 연 작품으로 평가되며, 이후 픽사의 성공적인 행보에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8. 흥행
| 1995년 북미 박스오피스 1위 영화 | |||||
| 1994년 포레스트 검프 | → | 1995년 토이 스토리 | → | 1996년 인디펜던스 데이 | |
북미 최종 수익은 1억 9,200만 달러로 미국에서는 흥행 기근, 저하 현상[3]에서도 1995년 추수감사절에 개봉해 롱런에 성공하며 흥행 1위를 기록했다.[4] 한국에선 45만 관객이 관람하여 꽤 성공했다. 당시만 해도 멀티플렉스 극장 체제가 아니었기 때문에 이 정도면 상당히 흥행한 편이다.
9. 수상
애니메이션 최초로 아카데미 각본상에 노미네이트된 작품이다.10. 파생작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토이 스토리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게임
슈퍼 패미컴판
12. 여담
- 전설적인 걸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이지만 제작 과정은 매우 험난했다. 완성된 토이 스토리는 원래 계획되었던 작품과는 캐릭터와 스토리 모두 딴판이며 사실상 기본 설정(장난감들이 살아 움직이며 카우보이 인형이 주인공이다)만 유지되었다. 특히 주인공인 우디는 원래 악역에 가까울 정도로 비호감인 캐릭터였기에, 존 라세터 등이 “이래서는 누가 영화를 보겠나?“라며 디즈니(특히 제프리 카첸버그)를 설득해 스토리를 완전히 뜯어고쳤다.
- 이 영화 중간에 나온 시드의 장난감이 전체관람가라고 하기엔 너무 무서워서 어린 시절에 트라우마 남은 사람들이 많았다고 한다.
- 제작 당시 장난감의 움직임을 표현할 만한 참고자료가 없어서 신발 바닥에 판넬을 붙이고 직접 움직여 보는 아이디어를 냈고 이를 영화에 적용했다.
- 시드의 개가 추격하는 장면에서 카체이싱은 책 '픽사이야기'에 따르면 블리트, 프렌츠 커넥션을 연출할 때 참고했다고 한다.
- 시드의 방에서 아기 인형 공포신은 1932년작 <프릭스>의 클라이막스 부분을 따왔으며, 시드의 방 카펫은 <샤이닝>의 오버룩 호텔 바닥 무늬에서 가져왔다.
- 중간에 나오는 주유소의 이름 다이노코는 이후 11년 뒤인 2006년 존 라세터가 연출한 카에서 자동차 경주의 스폰서 대기업의 이름으로 사용되며 4편에서 다시 등장했다.
- 후반에 버즈가 매달고 있던 폭죽의 이름은 Big one인데, 버즈를 폭죽에 고정시키기 위해 붙인 테이프가 글자를 묘하게 가려 Bone이 되어버렸다.
- 1992년에 제작된 테스트 모델링 영상이 공개되어있다. 당시 기술력 때문에 원본 해상도는 1536x922였다고 한다. 결국 블루레이 및 재개봉을 위한 3D DCP를 작업할때 원본 모델링을 재렌더링 하였다고 한다.
- 스티브 잡스가 꾸준히 픽사에 자금을 지원했다. 1985년부터 시작해 첫 번째 컴퓨터그래픽 장편 애니메이션 ‘토이 스토리’로 수익을 내기까지 스티브 잡스가 거의 10년 동안 꿈꾸느라 돈만 잡아먹는 기업을 이끌며 투잡을 뛰었다.
- 우디와 버즈 장난감 제작을 맡은 장난감 회사에서는 본작이 흥행이 안 될거라 생각하며 조금만 생산했는데[5] 막상 영화가 대박이 나자 발매된 장난감들이 완판되고 재고도 싹 다 사라졌다. 이 일화는 토이스토리 2편에서 운전기사인 바비가 버즈 라이트가 진열된 코너에서 "1995년(개봉일)에 장난감 회사가 생각을 잘못해서 판매할 재고가 부족했었죠"라며 언급된다.
- 2005년부터 미국 의회도서관의 미 국립영화등기부에서 영구히 보존하는 영화이다.
- 우디 역의 톰 행크스는 픽사에서 보여준 영상[6]을 보고 우디역에 바로 콜을 했다고 한다. 영화판에선 목소리만 맡았고 게임을 비롯한 2차 창작물에는 참여하지 않아서 목소리가 거의 비슷한 톰 행크스의 친동생 짐 행크스가 녹음했다.[7]
- 상영 전에 틀어주는 단편 애니메이션이 없다. 이후 벅스 라이프부터 단편 애니메이션이 함께 상영되기 시작했고, 픽사 애니메이션 중 상영 전에 단편 애니메이션이 상영되지 않은 첫번째 경우로 남았다.
- 스즈메의 문단속 소설판에서 이와토 스즈메가 본 영화로 나온다.
13. 둘러보기
|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보존 영화 2005년 등재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No. 1-20 ]⠀ | 천박사 퇴마 연구소: 설경의 비밀 | 거미집 | 1947 보스톤 | 화란 | 블루 자이언트 |
No. 1 2023. 9. 27. | No. 2 2023. 9. 28. | No. 3 2023. 9. 29. | No. 4 2023. 10. 11. | No. 5 2023. 10. 18. | |
| 그대들은 어떻게 살 것인가 | 괴물 | 나폴레옹 | 노량: 죽음의 바다 | 아쿠아맨과 로스트 킹덤 | |
No. 6 2023. 10. 25. | No. 7 2023. 11. 29. | No. 8 2023. 12. 6. | No. 9 2023. 12. 20. | No. 10 2023. 12. 20. | |
| 위시 | 스즈메의 문단속 | 상견니 | 웡카 | 귀멸의 칼날: 인연의 기적, 그리고 합동 강화 훈련으로 | |
No. 11 2024. 1. 3. | No. 12 2024. 1. 10. | No. 13 2024. 1. 25. | No. 14 2024. 1. 31. | No. 15 2024. 2. 14. | |
| 파묘 | 듄: 파트 2 | 패스트 라이브즈 | 메이 디셈버 | 극장판 스파이 패밀리 코드: 화이트 | |
No. 16 2024. 2. 22. | No. 17 2024. 2. 28. | No. 18 2024. 3. 6. | No. 19 2024. 3. 13. | No. 20 2024. 3. 20. |
- ⠀[ No. 21-4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0d3ea3>고질라 X 콩: 뉴 엠파이어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 유미의 세포들 더 무비 쿵푸팬더 4 챌린저스 No. 21
2024. 3. 27.No. 22
2024. 4. 3.No. 23
2024. 4. 3.No. 24
2024. 4. 10.No. 25
2024. 4. 24.혹성탈출: 새로운 시대 가필드 더 무비 극장판 하이큐!! 쓰레기장의 결전 청춘 18X2 너에게로 이어지는 길 퓨리오사: 매드맥스 사가 No. 26
2024. 5. 8.No. 27
2024. 5. 15.No. 28
2024. 5. 15.No. 29
2024. 5. 22.No. 30
2024. 5. 22.설계자 원더랜드 인사이드 아웃 2 하이재킹 콰이어트 플레이스: 첫째 날 No. 31
2024. 5. 29.No. 32
2024. 6. 5.No. 33
2024. 6. 12.No. 34
2024. 6. 21.No. 35
2024. 6. 26.데드풀과 울버린 슈퍼배드 4 파일럿 에이리언: 로물루스 행복의 나라 No. 36
2024. 7. 24.No. 37
2024. 7. 24.No. 38
2024. 7. 31.No. 39
2024. 8. 14.No. 40
2024. 8. 14.
- ⠀[ No. 41-6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DAD3CB>안녕, 할부지
러빙 빈센트 베테랑2 극장총집편 봇치 더 록! 후편 트랜스포머 ONE No. 41
2024. 9. 4.No. 42
2024. 9. 5.No. 43
2024. 9. 13.No. 44
2024. 9. 25.No. 45
2024. 9. 25.조커: 폴리 아 되 너의 색 베놈: 라스트 댄스 날씨의 아이 글래디에이터 II No. 46
2024. 10. 1.No. 47
2024. 10. 12.No. 48
2024. 10. 23.No. 49
2024. 10. 30.No. 50
2024. 11. 13.사흘 위키드 모아나 2 나 혼자만 레벨업 -리어웨이크닝- 서브스턴스 No. 51
2024. 11. 14.No. 52
2024. 11. 20.No. 53
2024. 11. 27.No. 54
2024. 11. 28.No. 55
2024. 12. 11.극장판 주술회전 0 무파사: 라이온 킹 하얼빈 시빌 워: 분열의 시대 수퍼 소닉3 No. 56
2024. 12. 11.No. 57
2024. 12. 18.No. 58
2024. 12. 24.No. 59
2024. 12. 31.No. 60
2025. 1. 1.
- ⠀[ No. 61-8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110907>페라리
히트맨2 검은 수녀들 극장판 쿠로코의 농구 라스트 게임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No. 61
2025. 1. 8.No. 62
2025. 1. 24.No. 63
2025. 1. 24.No. 64
2025. 2. 5.No. 65
2025. 2. 12.컴플리트 언노운 미키 17 위플래쉬 백설공주 승부 No. 66
2025. 2. 26.No. 67
2025. 2. 28.No. 68
2025. 3. 12.No. 69
2025. 3. 19.No. 70
2025. 3. 26.베러맨 아마추어 썬더볼츠* 파과 괴수 8호: 미션 리컨 No. 71
2025. 4. 9.No. 72
2025. 4. 9.No. 73
2025. 4. 30.No. 74
2025. 4. 30.No. 75
2025. 5. 7.바이러스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열차편 미션 임파서블: 파이널 레코닝 릴로 & 스티치 소주전쟁 No. 76
2025. 5. 7.No. 77
2025. 5. 10.No. 78
2025. 5. 17.No. 79
2025. 5. 21.No. 80
2025. 5. 30.
- ⠀[ No. 81-10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28627A>드래곤 길들이기
인생은 아름다워 엘리오 퀴어 바람계곡의 나우시카 No. 81
2025. 6. 6.No. 82
2025. 6. 11.No. 83
2025. 6. 18.No. 84
2025. 6. 20.No. 85
2025. 6. 25.F1 더 무비 쥬라기 월드: 새로운 시작 슈퍼맨 전지적 독자 시점 판타스틱 4: 새로운 출발 No. 86
2025. 6. 25.No. 87
2025. 7. 2.No. 88
2025. 7. 9.No. 89
2025. 7. 23.No. 90
2025. 7. 24.좀비딸 발레리나 스머프 극장판 귀멸의 칼날: 무한성편 첫사랑 엔딩 No. 91
2025. 7. 30.No. 92
2025. 8. 6.No. 93
2025. 8. 6.No. 94
2025. 8. 25.No. 95
2025. 8. 27.토이 스토리 모노노케 히메 극장판 체인소 맨: 레제편 어쩔수가없다 원 배틀 애프터 어나더 No. 96
2025. 9. 10.No. 97
2025. 9. 17.No. 98
2025. 9. 24.No. 99
2025. 9. 24.No. 100
2025. 10. 1.
- ⠀[ No. 101-120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ECEDC3>연의 편지
나쁜계집애: 달려라 하니 극장판 주술회전: 회옥·옥절 코렐라인 No. 101
2025. 10. 1.No. 102
2025. 10. 7.No. 103
2025. 10. 16.No. 104
2025. 10. 22.
- ⠀[ ICECON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20%><bgcolor=#0D0605>크레센도
지오디 마스터피스 더 무비 월레스와 그로밋 더 클래식 컬렉션 에픽하이 20 더 무비 슈가 | 어거스트 디 투어 '디-데이' 더 무비 No. 1
2023. 12. 20.No. 2
2024. 1. 10.No. 3
2024. 2. 21.No. 4
2024. 3. 20.No. 5
2024. 4. 10.에스파: 월드 투어 인 시네마 이준호 콘서트: 다시 만나는 날 블랙핑크 월드투어 [본 핑크] 인 시네마 임영웅│아임 히어로 더 스타디움 레드불 T1 다큐멘터리: 함께 날아오르다 No. 6
2024. 4. 10.No. 7
2024. 7. 24.No. 8
2024. 7. 31.No. 9
2024. 8. 28.No. 10
2024. 9. 4.정국: 아이 엠 스틸 하이라이트: 라이츠 고 온 어게인 인 시네마 백현: 론스달라이트 닷 인 시네마 엔시티 드림 미스터리 랩: 드림 이스케이프 인 시네마 아이유 콘서트 : 더 위닝 No. 11
2024. 9. 18.No. 12
2024. 10. 16.No. 13
2024. 11. 27.No. 14
2024. 12. 11.No. 15
2025. 1. 24.에이티즈 월드 투어 [투워즈 더 라이트 : 윌 투 파워] 인 시네마 이세계 페스티벌 2025 - 이세계아이돌 Part 6DAYS 원 인 어 밀리언 No. 16
2025. 5. 7.No. 17
2025. 5. 17.No. 18
2025. 8. 13.No. 19
2025. 10. 21.
- ⠀[ Special ]⠀
- ||<tablebgcolor=#FFFFFF,#191919><tablewidth=100%><width=20%><bgcolor=#03152D>밤낚시
깊이 빠져 보다: 알버트 미생: 더할 나위 없었다 뜻밖의 순간 : 언익스펙티드 저니 플로우 Sp. 1
2024. 6. 14.Sp. 2
2024. 8. 1.Sp. 3
2024. 12. 20.Sp. 4
2025. 1. 24.Sp. 5
2025. 2. 26.어쩔수가없다 아티스트 배지 수집용 스페셜 TTT Sp. 6
2025. 9. 1.Sp. 7
2025. 9. 1.
[1] 픽사 홈페이지[2] 코코를 제외한 픽사 작품들과 비교하면 토이스토리 2와 함께 어느 정도 뮤지컬의 색채를 띤 곡이 보인다.[3] 그 해 《다이 하드 3》와 《아폴로 13》 등이 개봉했으나 2억 달러를 넘어선 영화가 단 한 편도 없었다.[4] 다만 당해 월드와이드 흥행 1위는 83만 달러 차로 다이 하드 3가 1위를 차지했다.[5] 개봉 당시 시장에 나왔던 우디&버즈 완구 수량이 대략 6만개인데 미국 규모를 생각하면 부족한 수량이다.[6] 톰 행크스가 출연했던 영화 터너와 후치의 톰 행크스의 연기를 우디의 모션으로 보여주었다[7] 사유는 물론 비용과 시간이다. 톰 행크스가 너무 바쁜 인물이기도 했지만 무엇보다 몸값(목소리값)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