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letter-spacing:-0.25px" {{{#!wiki style="margin-bottom:-20px;border-top:black solid 2px;padding-top:4px;padding-bottom:4px;" {{{#!folding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 고속자동차국도 노선 [ 펼치기 · 접기 ] | 번호 부여 고속도로 A노선 | ||||
E1 도메이·메이신 · E1A 신토메이·이세완간도·신메이신 | E2 산요도 · E2A 주고쿠도·칸몬도 | ||||
E3 규슈도 | E4 도호쿠도 · E4A 하치노헤도·아오모리도 | E5 도오도 · E5A 삿손도·시리베시도 | |||
E6 조반도 | E7 니혼카이도호쿠도·아키타도 | E8 호쿠리쿠도 | E9 산인도 | ||
E10 미야자키도·히가시큐슈도 | E11 도쿠시마도·타카마츠도·마츠야마도 | E13 도호쿠추오도 | |||
E14 타테야마도 | E17 칸에츠도 | E18 조신에츠도 | E19 나가노도·주오도 | E20 주오도 | |
E23 히가시메이한도·이세도 | E25 니시메이한도 | E26 킨키도·한와도 | E27 마이즈루와카사도 | ||
E29 하리마도·돗토리도 | E32 도쿠시마도·고치도 | E34 나가사키도·오이타도 | E38 도토도 | ||
E41 도카이호쿠리쿠도 | E42 한와도·키세이도 | E46 아키타도·카마이시도 | E48 야마가타도 | ||
E49 반에츠도 | E50 키타칸토도 | E51 히가시칸토도 | E52 주부횡단도 | ||
E54 오노미치도·마츠에도 | E55 도쿠시마남부도 | E56 고치도·마츠야마도 | E58 오키나와도 | ||
E61 도토도·토카치오호츠크도 | E65 신공항도 | E68 주오도 | E71 간사이공항도 | ||
E73 오카야마도·요나고도 | E74 히로시마도·하마다도 | E77 규슈추오도 | |||
E78 히가시큐슈도 | C3 도쿄가이칸 | C2 메이니칸 | |||
번호 부여 고속도로 A'노선 (별도 안내 구간만) | |||||
E2 오고리도로·야마구치우베 · E4A 모모이시도로·제2미치노쿠유료·카미키타도 · E5 하코다테신도·나요로비후카·호로토미BP·토요토미BP · E5A 쿠로마츠나이신도 · E6 센다이동부·센다이북부 · E14 케이요도로·훗츠타테야마 · E25 메이한국도 · E44 네무로도로 · E50 히가시미토도로 · E56 우와지마도로 · E61 비호로BP |
- 국토교통성 장관 지정 일반국도 자동차전용도로 노선 [ 펼치기 · 접기 ]
- ||<-5><tablewidth=100%><bgcolor=#00702c><color=white> 번호 부여 고속도로 일반 B노선 ||E3A미나미큐슈도E9교토종관도E24케이나와도E35니시큐슈도E39아사히카와몬베츠도E41노에츠도E45산리쿠도E55고치동부도E58나하공항도E59하코다테에사시도E60오비히로히로오도E62후카가와루모이도E63히다카도E64츠가루도E66C4켄오도E67주부종관도E69산엔난신도E70이즈종관도E72키타킨키토요오카도E75히가시히로시마쿠레도E76오노미치후쿠시마도·이마바리코마츠도C3도카이환상
혼슈-시코쿠간 연락 고속도로 B노선 E28고베아와지나루토도 ·E30세토추오도 ·E76니시세토도(시마나미카이도)
- 기타 번호 부여 지역고규격도로 · 일반유료도로 노선 [ 펼치기 · 접기 ]
- ||<-5><tablewidth=100%><bgcolor=#036ab7><color=white> 번호 부여 지역고규격도로 (별도 안내 구간만) ||E9산인킨키도E31히로시마쿠레E34나가사키데지마E48센다이남부E50히타치나카유료E55아난아키도E80아부쿠마고원E81닛코우츠노미야E82치바토가네E83제3케이힌·요코하마신도E84신쇼난BPE86노토사토야마E87치타반도 · 센트레아라인E88케이지BPE89제2케이한E90사카이센보쿠E91미나미한나·야마토타카다BPE92제2한나E93제2신메이E94제2신메이(키타센)E95반탄연락E97히지BP·오이타공항E98히토츠바CA아쿠아라인·아쿠아연락로
번호 부여 일반유료도로 E14케이요도로 ·E16요코하마신도·요코하마요코스카 ·E68히가시후지고코 ·E84세이쇼BP ·E85오다와라아츠기 ·E96나가사키BP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 | 도오자동차도 道央自動車道 Do-O (Hokkaido[1]) Expressway | }}} | |
노선 번호 | ||||
E5 | ||||
기점 | ||||
홋카이도 카야베군 모리마치 (오누마코엔IC) | ||||
종점 | ||||
홋카이도 시베츠시 (시베츠켄부치IC) | ||||
연장 | ||||
443.5 km | ||||
최초 개통일 | ||||
1971. 12. 4. | 치토세IC - 키타히로시마IC | |||
관리 | ||||
NEXCO 동일본 | ||||
왕복 차로 수 | ||||
2차로 | 오누마코엔TB - 노보리베츠무로란IC 아사히카와타카스IC - 시베츠켄부치IC | |||
4차로 | 오누마코엔IC - 오누마코엔TB 노보리베츠무로란IC - 아사히카와타카스IC | |||
주요 경유지 | ||||
모리마치 ↔ 무로란 ↔ 치토세 ↔ 삿포로 ↔ 아사히카와 ↔ 켄부치 |
1. 개요
NEXCO 동일본이 관할하는 홋카이도의 핵심 고속도로로, 안내 번호는 E5이다.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의 근거노선명은 홋카이도종관자동차도(北海道縦貫自動車道)로, 홋카이도의 종관축을 구성하는 고속도로다. 고속자동차국도의 노선명은 하코다테-나요로선(函館名寄線)[2]이다. 도토자동차도가 접속하는 치토세(치토세에니와JCT)부터 삿포로(삿포로JCT)까지의 구간은 도토자동차도가 병행하지는 않지만, 법적으로는 홋카이도횡단자동차도 네무로선(정식명칭 쿠로마츠나이-쿠시로선) 및 아바시리선(쿠로마츠나이-키타미선)의 일부와 중복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기점은 하코다테가 아니라, 하코다테보다 북쪽에 있는 오누마 인근의 오누마코엔IC이며, 사업상의 기점은 카메다군 나나에초의 나나에IC로 10.0 km의 연장 공사가 진행 중에 있다. 이 구간은 국토교통성이 사업비 85%(홋카이도)를 분담하는 신직할방식으로 고속자동차국도로써 정비되고 있다. 하코다테까지 직접 이어지지는 않는데, 이는 하코다테시의 요청으로 하코다테 근교 구간에 대해 국도 5호 대체우회도로(바이패스) 자동차전용도로 정비사업인 하코다테신도 사업을 본 고속도로 정비보다 선행[3]하였고, 이를 고속자동차국도에 병행하는 일반국도자동차전용도로로써 개통됨에 따라 홋카이도종관자동차도의 고속자동차국도 정비를 대체하였기 때문이다. 문제는 하코다테신도의 개통 구간이 하코다테IC/JCT~나나에후지시로IC 구간(11.0 km)이 끝으로, 나나에후지시로IC~나나에IC 구간은 홋카이도종관자동차도 기본계획구간으로만 지정되어 정비계획이 잡혀있지 않다. 어차피 왕복 4차로 국도로 연결되어 있고, 신호 한 번만 받으면 바로 통과가 가능하기 때문에 채산성 문제로 사업이 진행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두 구간이 연결되지 않아, 하코다테신도가 도오자동차도의 일부로 안내되지 않는 것이다.
종점 역시 나요로가 아닌 시베츠 코앞의 시베츠켄부치IC인데, 신직할방식으로 시베츠켄부치IC ~ 나요로IC 구간(24.0 km) 구간의 연장 공사가 진행 중이다. 나요로 이북 구간은 고속자동차국도 지정은 없는 상태[4]이며, 국토개발간선자동차도 상으로만 홋카이도종관자동차도 지정이 되어 있는 상태다. 이 구간은 따라서 고속자동차국도로의 정비계획은 아예 없는 상태고, 국도 40호 대체우회도로(바이패스) 자동차전용도로 정비 사업을 중심으로 구간구간 정비가 이루어지고 있을 뿐이다. 내역은 다음과 같다.
- 나요로-비후카 도로(22.8km): 나요로바이패스(나요로IC~비후카IC), 비후카도로(비후카IC~비후카키타IC). 위 신직할방식의 정비가 끝나면 나요로IC에서 그대로 연결되므로 나나에IC~비후카키타IC가 하나의 고속도로처럼 엮이게 된다.
- 구상 중
- 오토이넷푸바이패스(19.0km): 오토이넷푸IC~나카가와IC. 수요는 매우 적지만, 강가를 따라 가므로 재해 대비 대책으로써 정비 중인 구간이다.
- 구상 중: 나카가와IC~테시오 인근은 현재 사업화 착수 중에 있다. 테시오강을 건너는 구간은 테시오방재(天塩防災) 사업으로 개량이 진행되었지만, 교량 신설로 고속도로로 볼 수 없이 짧고 양단이 평면교차로 정비되어 고속도로로 취급하지 않는다.
- 호로토미바이패스 · 토요토미바이패스(26.2km): 호로노베IC~토요토미사로베츠IC~토요토미키타IC
- 구상 중
하나의 고속도로로 안내되지만, 삿포로JCT에서 한 번 갈라지도록 되어 있다. 무로란 방면에서 오는 노선이 삿손자동차도와 연결된 탓에, 아사히카와 방면은 T자로 접속하기 때문이다. 교통량은 주로 삿포로 인근에만 집중되어 있고, 4차로 구간은 무로란~삿포로~아사히카와간에 정비되어 있다. 이 외의 구간은 2차로로 정비되어 있다. 휴게소도 적을 뿐 아니라 주유소가 설치된 휴게소는 아예 3곳이고, 그 중에서도 24시간 영업하는 곳은 한 곳(왓츠PA) 밖에 없다보니 이용에 주의가 필요하다. 심지어 ETC 2.0으로 잠시 나갔다 올 수 있는 특례가 있는 미치노에키도 없기 때문에 긴급한 경우엔 그냥 고속도로를 나가서 밖의 편의시설 및 주유소를 이용하고 돌아와 요금을 다시 내는 수 밖에 없다.
2. 요금
전 구간이 유료 고속도로다. 오누마코엔TB부터 삿포로미나미TB, 삿포로TB부터 시베츠켄부치TB까지는 폐쇄식 구간이며, 거리비례 요금제를 채용하고 있다. 나머지 개방식 구간에 대해서는 균일 요금제를 채용하고 있다.단, 현재 정비 중인 구간인 나나에IC ~ 오누마코엔IC, 시베츠켄부치IC ~ 나요로IC간은 모두 신직할방식으로 정비되고 있으므로 무료 개방될 예정이다.
3. 차로 및 제한속도
노보리베츠무로란IC부터 아사히카와타카스IC까지는 왕복 4차로이며, 나머지 구간은 왕복 2차로(잠정 2차로 방식)이다. 다만 왕복 2차로 구간에서도 IC 등을 중심으로 추월차로가 설치되어 짧지만 4차로 구간이 등장하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저속차량을 앞지를 수 있다.최고 제한속도는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 있다. 가변 제한속도 체계를 갖추고 있어 기상 상황으로 노면이 여의치 않을 때에는 감속 지정으로 표시되므로, 이 때에는 주의하여야 한다.
- 오누마코엔IC - 노보리베츠무로란IC: 70 km/h
- 노보리베츠무로란IC - 삿포로미나미TB: 100 km/h
- 삿포로미나미TB - 삿포로TB: 80 km/h
- 삿포로TB - 후카가와IC: 100 km/h
- 후카가와 - 아사히카와타카스IC: 80 km/h
- 아사히카와타카스IC - 시베츠켄부치IC: 70 km/h
과속단속카메라(오비스)가 많지는 않으나, 경찰이 잠복해있는 구간들이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지역 주민들은 경찰이 주로 나타나는 스팟들을 알기 때문에 페이스메이커처럼 달고 주행하는 것도 방법이다.
4. 구간
- 약어
번호의 경우 본래는 삿포로JCT를 1로 시작하여 양 방향으로 뻗는 구조였지만, 고속도로 번호 부여 이후에 표지판 등의 정비가 이어지며 후속조치로 2018년 12월 개정을 통해 하코다테신도로부터 일체화되어 이어지도록 변경되었다. 단, 도로 이정 거리는 여전히 삿포로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실질적으로 삿포로에서 노선이 분단된 형태이므로, 삿포로를 중심으로 남부 구간과 북부 구간으로 나누어 표기하기로 한다.
4.1. 오누마코엔 - 삿포로
<rowcolor=#ffffff> 소재지 | <colbgcolor=#ffffff,#191919> 번호 | <colbgcolor=#ffffff,#191919> 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이정 (km) | |
나나에IC ~ 오누마코엔IC 연장 사업 중 | ||||||
모리마치 | 6 | 오누마코엔IC | <colbgcolor=#ffffff,#191919> 大沼公園IC | 149번 홋카이도도 843번 홋카이도도 | 272.4 | |
TB | 오누마코엔TB | 大沼公園TB | 본선요금소 | |||
7 | 모리IC | 森IC | 1156번 홋카이도도 | 262.7 | ||
야쿠모초 | 8 | 오토시베IC | 落部IC | 1155번 홋카이도 | 242.5 | |
PA | 야쿠모PA | 八雲PA | 양방향 (상하행 통합형) | 234.9 | ||
9 | 야쿠모IC | 八雲IC | 277번 국도 | 226.5 | ||
오샤만베초 | 10 | 쿤누이IC | 国縫IC | 230번 국도 | 204.8 | |
11 | 오샤만베IC | 長万部IC | 5번 국도 | 193.7 | ||
PA | 시즈카리PA | 静狩PA | 양방향 | 188.4 | ||
쿠로마츠나이초 | 12 | 쿠로마츠나이JCT | 黒松内JCT | [[일본 5번 국도#쿠로마츠나이신도| E5A ]] (5번 국도) | 178.1 | |
토요우라초 | 13 | 토요우라IC | 豊浦IC | 37번 국도 | 159.9 | |
PA | 토요우라훈카완PA | 豊浦噴火湾PA | 양방향 | 154.8 | ||
토야코초 | 14 | 아부타토와코IC | 虻田洞爺湖IC | 230번 국도 578번 홋카이도도 | 146.7 | |
다테시 | 15 | 다테IC | 伊達IC | 145번 홋카이도도 519번 홋카이도도 | 133.1 | |
SA | 우스잔SA | 有珠山SA | 양방향 | 130.7 | ||
무로란시 | 16 | 무로란IC | 室蘭IC | 107번 홋카이도도 127번 홋카이도도 | 120.2 | |
- | 모토와니시전망소 | 本輪西展望所 | 간이휴게시설 설치[8] | 118.7 | ||
노보리베츠시 | 17 | 노보리베츠무로란IC | 登別室蘭IC | 36번 국도 144번 홋카이도도 | 110.6 | |
PA | 토미우라PA | 富浦PA | 양방향 | 102.2 | ||
18 | 노보리베츠히가시IC | 登別東IC | 2번 홋카이도도 | 99.2 | ||
시라오이초 | BS | 타케우라BS | 竹浦BS | 양방향 | 90.2 | |
PA | 하기노PA | 萩野PA | 양방향 | 85.4 | ||
19 | 시라오이IC | 白老IC | 86번 홋카이도도 | 80.6 | ||
토마코마이시 | SA | 타루마에SA | 樽前SA | 양방향 | 67.9 | |
20 | 토마코마이니시IC | 苫小牧西IC | 141번 홋카이도도 | 64.8 | ||
21 | 토마코마이추오IC | 苫小牧中央IC | 1179번 홋카이도도 | 56.2 | ||
22 | 토마코마이히가시IC/JCT | 苫小牧東IC/JCT | [[히다카자동차도| E63 ]] (235번 국도)91번 홋카이도도 | 히다카도는 JCT 전용[9] | 47.2 | |
PA | 미사와PA | 美沢PA | 양방향 | 41.9 | ||
치토세시 | 23 | 신치토세공항IC | 新千歳空港IC | 1175번 홋카이도도 | 39.3 | |
24 | 치토세IC | 千歳IC | 77번 홋카이도도 | 35.3 | ||
25 | 치토세에니와JCT | 千歳恵庭JCT | [[도토자동차도| E38 ]] | 30.3 | ||
에니와시 | 26 | 에니와IC/BS | 恵庭IC/BS | 117번 홋카이도도 | 버스정류장 설치 | 26.3 |
키타히로시마시 | 27 | 왓츠PA/SIC/BS ETC | 輪厚PA/SIC/BS | 시도 왓츠선 | 버스정류장 설치 SIC 24시간 개방 | 16.3 |
28 | 키타히로시마IC | 北広島IC | 36번 국도 | 12.4 | ||
삿포로시 | 29 | 삿포로미나미IC | 札幌南IC | 시도 삿포로신도 | 7.9 | |
TB | 삿포로미나미TB | 札幌南TB | 본선요금소 | |||
30 | 오야치IC | 大谷地IC | 274번 국도 | [10] | 4.1 | |
31 | 키타고IC | 北郷IC | 274번 국도 | [11] | 2.1 | |
32 | 삿포로JCT | 札幌JCT | [[삿손자동차도| E5A ]]E5 | 삿손자동차도와 연결됨 | 0.0 | |
E5A 삿손자동차도와 연결됨 |
4.2. 삿포로 - 시베츠켄부치
<rowcolor=#ffffff> 소재지 | <colbgcolor=#ffffff,#191919> 번호 | <colbgcolor=#ffffff,#191919> 이름 | 접속 노선 | 비고 | 이정 (km) | |
삿포로시 | 32 | 삿포로JCT | <colbgcolor=#ffffff,#191919> 札幌JCT | E5 [[삿손자동차도| E5A ]] | 0.0 | |
33 | 삿포로IC | 札幌IC | 274번 국도 | [12] | ||
TB | 삿포로TB | 札幌TB | 본선요금소 | |||
에베츠시 | 34 | 에베츠니시IC | 江別西IC | 110번 홋카이도도 | 6.6 | |
PA | 놋포로PA/BS | 野幌PA/BS | 양방향 버스정류장 설치 | 9.8 | ||
35 | 에베츠히가시IC | 江別東IC | 337번 국도 | 16.2 | ||
이와미자와시 | BS | 쿠리사와BS | 栗沢BS | 23.8 | ||
36 | 이와미자와IC | 岩見沢IC | 234번 국도 | 31.9 | ||
SA | 이와미자와SA 히가시야마BS | 岩見沢SA 東山BS | 양방향 버스정류장 설치 | 35.6 | ||
미카사시 | 37 | 미카사IC | 三笠IC | 116번 홋카이도도 | 41.8 | |
비바이시 | 38 | 비바이IC | 美唄IC | 135번 홋카이도도 | 53.1 | |
PA | 차시나이PA/BS | 茶志内PA/BS | 양방향 버스정류장 설치 | 58.5 | ||
나이에초 | 39 | 나이에스나가와IC | 奈井江砂川IC | 114번 홋카이도도 | 66.7 | |
스나가와시 | BS | 스나가와요시노BS | 砂川吉野BS | 70.6 | ||
40 | 스나가와SA/SIC ETC 스나가와이시야마BS | 砂川SA/SIC 砂川石山BS | 시도 스나가와SA/SIC선 | SIC 6-22시 개방 버스정류장 설치 | 75.6 | |
타키카와시 | 41 | 타키카와IC | 滝川IC | 38번 국도 | 80.7 | |
BS | 에베오츠BS | 江部乙BS | 86.1 | |||
후카가와시 | 42 | 후카가와JCT | 深川JCT | [[후카가와-루모이 자동차도| E62 ]] (233번 국도) | 93.5 | |
43 | 후카가와IC | 深川IC | 79번 홋카이도도 | 98.6 | ||
PA | 오토에PA | 音江PA | 양방향 | 104.4 | ||
BS | 오사무나이BS | 納内BS | 108.6 | |||
타카스초 | 44 | 아사히카와타카스IC | 旭川鷹栖IC | 146번 홋카이도도 1125번 홋카이도도 | 125.3 | |
아사히카와시 | 45 | 아사히카와키타IC | 旭川北IC | 1150번 홋카이도도 | 133.8 | |
핏푸초 | PA | 핏푸타이세츠PA | 比布大雪PA | 양방향 | 141.1 | |
46 | 핏푸JCT | 比布JCT | [[아사히카와-몬베츠 자동차도| E39 ]] (450번 국도) | 144.5 | ||
왓사무초 | 47 | 왓사무IC | 和寒IC | 40번 국도 | 155.1 | |
켄부치초 | TB | 시베츠켄부치TB | 士別剣淵TB | 본선요금소 | ||
48 | 시베츠켄부치IC | 士別剣淵IC | 1161번 홋카이도도 | 171.1 | ||
시베츠켄부치IC ~ 타요로IC ~ 나요로IC 연장 사업 중 |
[1] Hokkaido Expressway, Do-O Expressway 두 명칭 다 공식 표기에 사용된다. 홋카이도(Hokkaido) 표기는 도오자동차도의 도오가 본래 도앙(道央)에서 온 것으로, 홋카이도 중앙 지역을 지난다 하여 명명된 것이다보니, 노선이 홋카이도 핵심 지역을 지나기 때문에 사실상 홋카이도의 제1 주간선고속도로를 나타내는 표기로 적합하기 때문이었다. 고속도로 번호 체계 도입(E5) 이전 표지판들은 상당수가 Hokkaido였으나, 이후 새로이 정비된 표지판들은 Do-O 표기를 채용하고 있다.[2] 하코다테 인근은 고속자동차국도에 병행하는 일반국도 자동차전용도로(A'노선)인 하코다테신도가 대체하고 있으며, 나요로까지는 아직 개통되지 않았다. 나요로 이북은 고속자동차국도로의 정비예정이 없는 구간으로, 별도의 고속자동차국도관련 정비추진심의에 의해 연장되지 않는다면, 일반국도 자동차전용도로로의 정비 예정 구간으로 남아있게 된다.[3] 고속도로는 2010년대에나 정비가 되었고, 하코다테신도 구간은 2000~2001년에 정비가 완료되었다.[4] 하코다테-나요로선의 종점[5] 일본에서는 한국의 요금소/톨게이트(Toll Gate)가 아닌 이 표기를 사용한다.[6] 한국의 하이패스나들목 상당[7] 한국에서는 IC와 비슷하게 JC로 줄이지만, 일본에서는 보다 명확한 구분을 위해 JCT로 표기한다.[8] 한국의 졸음쉼터급으로 소규모의 주차대와 화장실이 설치되어 있다.[9] IC 출입구는 히다카도와 연결되지 않음[10] 삿포로JCT 방면 진입, 오누마코엔IC 방면 진출만 가능[11] 삿포로JCT 방면 진출, 오누마코엔IC 방면 진입만 가능[12] 시베츠켄부치IC 방면 진입, 삿포로JCT 방면 진출만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