禮 예도 례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示,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8획 | ||||
중학교 | |||||||
礼 | |||||||
일본어 음독 | レイ, ライ | ||||||
일본어 훈독 | うやま-う, のり | ||||||
礼 | |||||||
표준 중국어 | lǐ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禮는 '예도 례' 또는 '예절 례'라는 한자로, '예도(禮道)', '예절(禮節)'을 뜻한다.2. 상세
이 글자의 본자는 豊이다. 豐(풍성할 풍)과는 원래 다른 글자이며 설문해자에서도 豊(예도 례)와 豐(풍성할 풍)은 서로 구별된다. 단지 豐의 약자가 豊일 뿐이다.갑골문 상으로는 그릇(豆)[1] 위에 옥(玉) 두 개가 올려져 있는 모습으로 본래 뜻은 제사에 쓰이는 기물이다. 후에 제단를 뜻하는 示가 붙어 禮가 되었다.
유니코드는 79AE에 배당되었다.
가나문자 re(히라가나れ, 가타카나レ)의 유래가 되는 한자이다.
'례'로 끝나는 이름이 '자'로 끝나는 이름보다도 촌스러워서 이 한자를 쓰는 사람이 다 노년층일 것 같지만 두음 법칙을 적용한 '예'로서는 이후 세대에서도 많이 쓰인다.
간체이자 신자체인 礼의 ⺭만 ⺬의 형태로 바뀐 礼(U+FA18)[2]도 존재한다.
3. 용례
3.1. 단어
- 결례(缺禮)
- 경례(敬禮)
- 관례(冠禮)
- 길례(吉禮)
- 다례(茶禮)
- 답례(答禮)
- 동상례(東廂禮)
- 무례(無禮)
- 묵례(默禮)
- 배례(拜禮)
- 사례(謝禮)
- 상례(喪禮)
- 세례(洗禮)
- 순례(巡禮)
- 실례(失禮)
- 예가(禮家)
- 예기(禮記)
- 예물(禮物)
- 예배(禮拜)
- 예법(禮法)
- 예복(禮服)
- 예부(禮部)
- 예식(禮式)
- 예악(禮樂)
- 예우(禮遇)
- 예의(禮儀)
- 예절(禮節)
- 예찬(禮讚)
- 예포(禮砲)
- 의례(儀禮)
- 장례(葬禮)
- 제례(祭禮)
- 조례(朝禮)
- 종례(終禮)
- 주례(主禮)
- 차례(茶禮)
- 할례(割禮)
- 혼례(婚禮)
3.2. 고사성어/숙어
- 과공비례(過恭非禮)
- 백배사례(百拜謝禮)
- 번문욕례(繁文縟禮)
- 빈주지례(賓主之禮)
- 삼지지례(三枝之禮)
- 여불비례(餘不備禮)
- 예의범절(禮儀凡節)
- 인의예지(仁義禮智)
- 창가책례(娼家責禮)
- 허례허식(虛禮虛飾)
3.3. 인명
- 강예봉(姜禮鳳)
- 고봉례(高鳳禮)
- 고예진(高禮鎭)
- 고판례(高判禮)
- 김예징(金禮徵)
- 니레 히카리(仁礼 光)
- 레이 마코토(礼 真琴)
- 마메즈쿠 라이(豆銑 礼)
- 박우말례(朴又末禮)
- 부라이(符礼)
- 산카 레아(散華 礼弥)
- 억례복류(憶禮福留)
- 오례사벌(汚禮斯伐)
- 오예주(吳禮珠)
- 와카쓰키 레이지로(若槻 禮次郞)
- 왕사례(王思禮)
- 이레이 에리(伊礼 えり)
- 이예림(李禮琳)
- 이예지(李禮智)
- 조지례(趙知禮)
- 천마 모레이(天魔 母禮)
- 코토미네 키레이(言峰 綺礼)
- 타카하시 레이(高橋 礼)
- 테이레이다 마이(丁礼田 舞)
- 황예지(黃禮志)
- 히에다노 아레(稗田 阿礼)
- 예(禮)
3.4. 지명
- 경상남도 김해시 진례면(進禮面)
- 경상남도 의령군 가례면(嘉禮面)
- 경상북도 김천시 지례면(知禮面)
-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禮安面)
- 난리스루역(南礼士路站)
- 라이하이역(礼拝駅)
- 사누키무레역(讃岐牟礼駅)
- 예성강(禮成江)
- 위례(慰禮)
- 전라남도 구례군(求禮郡)
- 충청남도 예산군(禮山郡)
- 충청남도 서산시 예천동(禮川洞)
3.5. 창작물
3.6. 기타
3.7. 중국어
- 礼 [lǐ]
- 의식
- 예) 婚礼 [hūnlĭ]: 혼례
- 예2) 丧礼 [sānglĭ]: 상례
- 예의
- 예) 敬礼 [jìnglĭ]: 경례
- 선물
- 예) 寿礼 [shòulĭ]: 생일선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