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제트전투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292> 1940년대 | <colbgcolor=#EEE,#333> 일본 제국 | <colbgcolor=#fefefe,#191919> |
1950년대 | 중국 | J-2 파곳 | J-5 프레스코 | |
인도 | HF-24 마루트 | ||
1960년대 | 중국 | J-6 파머 | J-7 피쉬캔 | |
1970년대 | 일본 | 미쓰비시 F-1 | |
중국 | |||
이스라엘 | 내셔 | 크피르 | ||
1980년대 | 중국 | J-8 핀백 | | |
이스라엘 | |||
1990년대 | 대만 | F-CK-1 징궈 | |
중국 | JH-7 플라운더 | J-11 플랭커-L | ||
이란 | 아자라크쉬 | ||
이스라엘 | |||
2000년대 | 일본 | F-2 "바이퍼 제로" | |
중국 | J-10 파이어버드 | JL-9 샨잉 | ||
이란 | 사에케 | | ||
중국-파키스탄 | JF-17 썬더 / FC-1 샤오룽 | ||
2010년대 | 대한민국 | FA-50 파이팅이글 | |
중국 | J-15 플랭커-X2 | J-16 플랭커-G | J-20 페이긴 | FC-31 궈잉 | ||
인도 | LCA 테자스 Mk.1(A) | ||
이란 | |||
2020년대 | 대한민국 | KF-21 보라매 | |
중국 | J-35 | ||
인도 | MWF 테자스 Mk.2 | TEDBF | | ||
2030년대 | 일본 | F-3 | |
GCAP | |||
중국 | J-36 | J-50 | ||
대만 | |||
인도 | AMCA | ||
※ | |||
}}}}}}}}} |
[1]
Nanchang Q-5 'Fantan'
1. 개요
난창 Q-5는 MiG-19를 기반으로 제작된 중국의 대지공격기이다. Q는 qiangji(强擊)의 약자로서 공격기를 표시하는 미국 기호인 A(attack)에 해당한다. NATO 코드명은 지황탕에서 유래한 판탄(Fantan)이다.2. 제원
전장: 15.65m 전폭: 9.68m 전고: 4.33m 주익 면적: 27.95m² 공허중량: 6,375 kg 전비중량: 9,486 kg (최대이륙중량 11,830 kg) 엔진: 리밍 우펜-6A 터보제트[2] 2기, 정지추력 29.42kN/36.78kN[3] 최대속도: 마하 1.12 (752 mph) 항속거리: 2,000km 전투행동반경:lo-lo-lo 임무 수행시: 최대 탑재량으로 400km,hi-lo-hi 임무 수행시: 600 km 실용상승고도: 16,500m 상승률: 103m/s (20,300 ft/분) 익면하중: 423.3 kg/m² 추력 대 중량비: 0.63 무장: 노린코 23-2K식 23mm 기관포 2문, 1문당 탄약 100발 10개소의 하드포인트(동체 하면에 4개, 주익 하면에 6개)에 2톤까지의 탑재량 57mm, 90mm, 130mm 무유도 로켓탄, PL-2/5/7 공대공 미사일 운용 가능 50/150/250/500kg의 무유도 폭탄, 집속탄, 마트라 듀란달 대 활주로 폭탄 운용 가능 LT-2 레이저 유도폭탄 운용 가능(Q-5L) K/PZS-01 타겟팅포드 운용 가능(Q-5L) 그 외 105/200/300갤런의 외부 증조 장착가능 |
3. 역사
녹색 도장의 Q-5.
중국은 6.25 전쟁에 MiG-15로 참전한 이후, 소련으로부터 최신형 공군기를 계속 수입-라이센스 생산해왔다. 그러나 1960년대 후반부터 중소 분쟁으로 소련과의 군사교류가 단절되었다. 자체 개발은 기술력이 떨어지는 관계로, 중국은 이미 도입한 소련제 공군기들을 복제, 개량하기로 결정했다.
이미 중국은 1958년 MiG-19를 J-6이라는 이름으로 카피한바 있었는데, MiG-19의 비행 안정성이 뛰어났으므로 이를 개량하여 대지공격기를 개발하기로 했다. 그리하여 공기흡입구를 양 옆으로 옮기고 날개 면적을 넓히고 동체길이도 늘렸다. 덕분에 항속거리도 늘어난 설계가 나왔다. 공기흡입구를 동체 옆으로 옮기면서 폭탄 창이 동체 안으로 들어갔는데 비행 안정성 때문이다. 보기 드문 폭탄 내장형 기종. 그러나 현재는 폭탄창의 공간을 연료탱크로 사용한다.
프로젝트가 시작된 것은 1960년이지만, 1960년대 문화대혁명을 위시한 여러 중국의 혼란때문에 개발은 계속 연기되어 실제 실전배치는 1970년에 시작되었다. 1000대나 되는 상당히 많은 수가 생산되었는데, 핵무기 투하용, 해군 어뢰발사용 등의 여러가지 파생형이 있다. 최근에는 레이저 유도 폭탄을 투하할 수 있도록 개량되었다고 한다.
Q-5는 2000년대 들어서도 계속 개량되었으며, L형에 와서는 K/PZS-01 타켓팅포드와 LT-2 레이저 유도폭탄을 운용하게 되었다. 2010년대까지 중국의 주력 대지공격기 노릇을 했다. 대외수출도 이루어져 파키스탄, 미얀마, 방글라데시, 수단에서 운용하였다. 북한에도 수출됐다고 알려졌었으나 실제 운용하는 모습은 보이지 않았다. 수출형의 경우 A-5라는 명칭이 붙었는데, 당연하지만 미 해군 공격기였던 노스 아메리칸 A-5 비질런트와는 전혀 상관없는 다른 기종이다.
어찌보면 당연한 말이지만, 개발 원형이 된 기종이 MIG-19라는 구세대 전투기라서 항속거리와 작전반경이 상당히 좁고 전자장비도 노후화되어서, 실제로 주변국의 침투공격을 하는게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이 점은 다른 노후기종인 J-7 계열도 마찬가지다.
2012년 10월 25일 마지막 기체 인도 기념식을 끝으로 1968년부터 44년간 생산하던 Q-5의 생산을 종료하였다. 후속 기종은 J-11을 베이스로 한 J-16이다.
2020년대 들어 Q-5가 일선에서는 퇴역하고 그 자리는 J-16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육군항공대에서 300여대, 해군항공대에서 30여대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 실전 사례
파키스탄은 Q-5를 인도와의 분쟁에서 오랫동안 써먹었다. 또한 1997년 자신들이 후원하는 탈레반의 집권을 지원하기 위해 북부동맹군을 Q-5로 폭격해주기도 했다. 그런데 탈레반은 집권후 큰 사고를 쳤다가 그만..2015년 미얀마 공군은 중국에서 수입한 Q-5로 "미얀마민족민주연합" 반군을 공격하면서 실수로 중국 윈난 성의 한 마을을 폭격해서 4명의 민간인이 사망했다고 한다. 중국은 즉각 HQ-12 지대공 미사일로 응수했는데, 미얀마와 각별한 관계를 가지고 있으면서 자국산 폭격기의 폭격을 맞은 중국측으로서는 황당했을듯.
2017년 5월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자 보하이만(발해만)에서 Q-5 부대가 대거 출동하여 지상공격훈련을 실시했다.
5. 매체에서의 등장
배틀필드 4에서 인민해방군 측 공격기로 등장한다.워게임: 레드 드래곤에서 중국 유닛으로 등장한다. 공대지 고폭탄 미사일을 2발 달고 나온다.
소설 데프콘 한미전쟁편 후반부에 인민군 출신 파일럿이 Q-5를 몰고 나온다. 2대가 미군 기갑부대에 폭격임무를 수행해 상당한 전과를 올리나 결국 격추된다.
전함소녀에서 함재기로 등장한다.
Strike Fighters에 등장한다. 중국 인민해방군 공군과 북한 공군 소속으로 등장한다. 타국의 공격기에 비해서 무장탑재량이 떨어지고 장착할수 있는 공대지 유도무기는 250파운드 GPS폭탄뿐이다. 기관포 장탄수도 적고 기동성이 별로라서 사지 않는것이 좋다.
워 썬더에서 초기 양산형인 Q-5 초기형이 나온다. 아직까지는 인게임에서 스펙은 그냥 폭장 많은 MiG-19이다. 추가로 "Direct Hit" 업데이트를 통해 파키스탄 수출형인 A-5C가 추가되었으며, 이후 최종 개량형인 Q-5L도 추가됐다.
MWT: 탱크 전투에서 Q-5가 10레벨 보상으로 추가되었다. 하지만 성능은 좋지 않다.
Q-5 초기형 | Q-5A | A-5C |
6. 둘러보기
현대 파키스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1411c> 파키스탄군 (1847~현재) پاکستان مسلح افواج | |||
회전익기 | <colbgcolor=#01411c> 다목적 헬기 | SA316R, HH-43BR, H-19DR, H-13R, Mi-17, AW139, Z-9 | ||
전투기 | 프롭 | FB 60R, 템페스트 IIR, 스핏파이어 Mk.VIIIR | ||
1세대 | U-MiG-15R, F-86FR | |||
2세대 | F-6R, F-7PR, MiG-19SR, F-104A/BR | |||
3세대 | 미라주 III, 미라주 V, F-7PG | |||
4세대 / 4.5세대 | JF-17, F-16(A/B, C/D), J-10C | |||
5세대 | {FC-31} | |||
공격기 | A-5III/CR | |||
폭격기 | RB-57B/FR, H-5R, 핼리팩스R | |||
수송기 | 보잉 707, 에어버스 A310, 걸프스트림 IV, C-130B/E/H, 사브 2000, CN-235, Y-12 | |||
지원기 | 조기경보기 | 사브 2000 에리아이, ZDK-03 | ||
대잠초계기 | 아틀란틱R, P-3C, RAS 72, {시 술탄} | |||
공중급유기 | Il-78MP, {A310 MRTT} | |||
전자전기 | DA-20 | |||
무인기 | UAV | 샤파르, 팔코, CH-4A | ||
UCAV | 바이락타르 TB2, 샤파르 2, CH-4B, CAIG 윙룽 II, {바이락타르 아큰즈} | |||
훈련기 | K-8(P), T-37B/C, MFI-17 무샤크, MFI-395 슈퍼 무샤크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키스탄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방글라데시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방글라데시군 (1971~현재) বাংলাদেশ সেনাবাহিনী | Bangladesh Armed Forces | |||
<colbgcolor=#006A4E> 회전익기 | <colbgcolor=#006A4E> '''[[무장헬기| 경헬기 ]]''' | AW109E■ | SA.316B 알루에트 IIID/R | ||
''' 다목적 헬기 ''' | Mi-171Sh■■ | AS365 N3+ 도팽 II■ | AW139M | UH-1N 트윈 휴이 | Mi-8TR | AB 205A■■/D/R | WS-58 웨식스R | Mi-4R | |||
대잠헬기 | {대잠헬기 도입사업}■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40 세이버C/R | CL-13B Mk.6 세이버R | 선양 F-5R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선양 F-6R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청두 F-7(BG → BGI) 에어가드 | 청두 F-7MBR | MiG-21MFR | |||
'''[[4세대 / 4.5세대 전투기| 4(.5)세대 ]]''' | MiG-29(SE → BM/UB) | |||
공격기 | 난창 A-5CR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An-32A | L-410UVP-E20 터보레트 | C-295W■ | An-26R | ||
전술 | C-130J 슈퍼 허큘리스 | C-130B 허큘리스 | An-12R | C-47D/R | |||
다목적기 | 세스나 208B■ · A152 II■ | PA-31T 샤이엔■/R | DHC-3 오터D/R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초소형 {RQ-12 와스프 AE}■ | 브라모르 C4EYE■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셀렉스 ES 팔코 | |||
'''[[UCAV| UCAV ]]''' | 클래스 2 - 전술형 바이락타르 TB2■클래스 3 - MALE급 윙룽 II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Do 228NG■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G 120TP | G 115 | 난창 PT-6A | DA40■ | ||
제트 | Yak-130 | K-8W 카라코룸 | 청두 FT-7(BGI/BG/BB) | L-39ZA 알바트로스 | MiG-21UMR | T-37B 트윗R | CM.170R 마지스테르R | 선양 FT-6R | 선양 FT-5R | |||
헬기 | AW119Kx | 벨407GXi | 벨 206(L-1/L-4) 롱레인저■■ | |||
VIP 탑승기 | Mi-17-1V | 벨 212HP | An-24VR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D: 공여받은 기종 ※ 윗첨자C: 노획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둘러보기 : 방글라데시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미얀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미얀마군| 미얀마군 (1945~현재) ]]''' တပ်မတော် | Tatmadaw | Myanmar Armed Forces | ||
<colbgcolor=#FECB00> 회전익기 | <colbgcolor=#FECB00> '''[[무장헬기| 경헬기 ]]''' | 벨 206 | Mi-2 | SA.316 알루에트 III | 벨 47G | |
''' 다목적 헬기 ''' | Mi-17 | Ka-28 | AS365 도팽 | W-3 소쿠우 | UH-1 | HH-34 허스키 | ||
공격헬기 | Mi-35P | ||
'''[[전투기| 전투기 ]]''' | 프롭 | 스핏파이어 | 시파이어 | 시퓨리 FB.11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청두 F-7M | 선양 F-6 | ||
4(.5)세대 | {Su-30SME} | MiG-29(SE/SM/UB) | JF-17E 썬더 | ||
공격기 | 난창 A-5C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비치 B1900 | Y-12 | PC-6 포터 | C-47 스카이트레인 | |
전술 | Y-8 | ||
다목적기 | 세스나 180 | DHC-3 오터 | AS.10 옥스포드 | 오스터 | ||
''' 지원기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BN-2 아일랜더 | |
'''[[UAV|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소형 스카이 02 | |
''' UAV ''' | 클래스 2 - 전술형 캠콥터 S-100 | ||
''' UCAV ''' | 클래스 2 - 전술형 CH-3A클래스 3 - MALE급 CH-4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G 120TP | PC-9 | PC-7 | SF.260 | 프로보스트 Mk.53 | DHC-1 칩멍크 | 시퓨리 T.20 | DH.82 타이거 모스 | |
제트 | Yak-130 | K-8 | G-4 갈렙 | T-33A 슈팅스타 | 뱀파이어 T.55 | ||
헬기 | EC120 콜리브리 | ||
VIP 탑승기 | 포커 70 | ATR 72 | ATR 42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
※둘러보기 : 미얀마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현대 수단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수단 공군 (1956~) القوّات الجوّيّة السودانيّة | ||||
회전익기 | <colbgcolor=#fff> 다목적 헬기 | Mi-17, 벨 205, 벨 212 | |||
공격헬기 | Mi-24 | ||||
전투기 | 3세대 | MiG-21M, MiG-23MS | |||
4세대 | MiG-29SE | ||||
공격기 | Su-24, Su-25, A-5 | ||||
수송기 | An-12, An-26, An-32, Il-76, C-130H, DHC-5 | ||||
훈련기 | GomhouriaR, MiG-23UB, MiG-29UB, K-8, FTC-2000 | ||||
※ 윗첨자R: 퇴역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수단군의 운용장비 | 항공병기 | }}}}}}}}} |
✈️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1] 중국 공군 Q-5. 하얀 기체에 붉은 글자가 인상적이다.저 당시 중국 공군 도색이 전투기도 포함해서 죄다 흰색이었다. 물론 다른 국가들도 1980년대까지는 하이비지(고인시성) 도색이 유행했다.[2] 투만스키 RD-9BF-811(MiG-19의 엔진)의 카피[3] 애프터버너 가동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