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대전기 1914~1945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colbgcolor=#3D3137>1차 세계대전 | 협상군 | 동맹군 | |||||||
전간기 | 프랑스 | |||||||||
2차 세계대전 | 미국 | 영국 | 나치 독일 | 일본 제국 |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항공기| 이탈리아 왕국 ]] | 소련 | 노르웨이 | 스웨덴 | |||||||
핀란드 | 덴마크 | 스위스 | 태국 | |||||||
프랑스 | 중화민국 | [[틀:2차 세계대전/체코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체코슬로바키아 ]] | [[틀:2차 세계대전/불가리아군 항공기| 불가리아 왕국 ]] | |||||||
헝가리 왕국 | 스페인 | 만주국 | [[틀:2차 세계대전/몽골 항공병기| 몽골 인민 공화국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냉전기 1945~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제1세계 | 미 공군 | 미 해군 | 서독 | |||
제2세계 | 소련 | 동독 | 폴란드 | |||||||
제3세계 | [[틀:냉전/유고슬라비아 항공기| 유고슬라비아 ]]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북미 | 미 공군 | 미 해군 | 캐나다 | 멕시코 | ||||
''' 중미/카리브 ''' | [[틀:현대전/도미니카 공화국 항공병기| 도미니카 공화국 ]] | 쿠바 | [[틀:현대전/엘살바도르 항공병기| 엘살바도르 ]] | 온두라스 | ||||||
<colbgcolor=#3d3137>남미 | 브라질 | 우루과이 | [[틀:현대전/아르헨티나 항공병기| 아르헨티나 ]] | 칠레 | ||||||
볼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 에콰도르 | |||||||
콜롬비아 | 베네수엘라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아일랜드 | 룩셈부르크 | |||||||||
중부유럽 | 독일 | 폴란드 | 체코 | [[틀:현대전/슬로바키아 항공병기| 슬로바키아 ]] | ||||||
스위스 | [[틀:현대전/오스트리아 항공병기| 오스트리아 ]] | 헝가리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
루마니아 | 불가리아 | [[틀:현대전/슬로베니아 항공병기| 슬로베니아 ]] | [[틀:현대전/크로아티아 항공병기| 크로아티아 ]] | |||||||
세르비아 |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항공병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몬테네그로 항공병기| 몬테네그로 ]]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항공병기| 북마케도니아 ]] | |||||||
알바니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북유럽 | 스웨덴 | 노르웨이 | 덴마크 | 핀란드 | ||||||
동유럽 | 러시아 | [[틀:현대전/우크라이나 항공병기| 우크라이나 ]] | 벨라루스 | 몰도바 | ||||||
조지아 | [[틀:현대전/아르메니아 항공병기| 아르메니아 ]] |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항공병기| 아제르바이잔 ]] |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대만 | ||||||
북한 | 몽골 | |||||||||
''' 동남아시아 ''' | 태국 | 베트남 | [[틀:현대전/말레이시아 항공병기| 말레이시아 ]] | 싱가포르 | ||||||
[[틀:현대전/인도네시아 항공병기| 인도네시아 ]] | 필리핀 | 브루나이 | 미얀마 | |||||||
캄보디아 | 라오스 | |||||||||
''' 중앙아시아 ''' | [[틀:현대전/카자흐스탄 항공병기| 카자흐스탄 ]] | [[틀:현대전/우즈베키스탄 항공병기| 우즈베키스탄 ]] | [[틀:현대전/타지키스탄 항공병기| 타지키스탄 ]] | [[틀:현대전/키르기스스탄 항공병기| 키르기스스탄 ]] | ||||||
[[틀:현대전/투르크메니스탄 항공병기| 투르크메니스탄 ]] | ||||||||||
남아시아 | 인도 | 파키스탄 | [[틀:현대전/방글라데시 항공병기| 방글라데시 ]] | 스리랑카 | ||||||
네팔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항공병기| 아프가니스탄 ]] | [[틀:현대전/아프가니스탄 항공병기| | ||||||||
서아시아 | 이스라엘 | [[틀:현대전/사우디아라비아 항공병기| 사우디아라비아 ]] | 이란 | 이라크 | ||||||
쿠웨이트 |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
[[틀:현대전/아랍에미리트 항공병기| 아랍에미리트 ]] | 카타르 | 바레인 | 오만 | |||||||
예멘 |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틀:현대전/파푸아뉴기니 항공병기| 파푸아뉴기니 ]] | |||||||
''' 북아프리카 '''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알제리 | ||||||
모로코 | 수단 | 자유 리비아 (~'11) | ||||||||
''' 동아프리카 ''' | [[틀:현대전/에티오피아 항공병기| 에티오피아 ]] | 지부티 | 소말리아 | 케냐 | ||||||
탄자니아 | 모잠비크 | 우간다 | 르완다 | |||||||
[[틀:현대전/마다가스카르 항공병기| 마다가스카르 ]] | 코모로 | |||||||||
''' 서아프리카 ''' | [[틀:현대전/나이지리아 항공병기| 나이지리아 ]] | 세네갈 | 니제르 | 말리 | ||||||
기니 | 모리타니 | 가나 | 토고 | |||||||
''' 중아프리카 ''' | 차드 | 카메룬 | 가봉 | [[틀:현대전/콩고 공화국 항공병기| 콩고 공화국 ]] | ||||||
콩고민주공화국 | 앙골라 | |||||||||
''' 남아프리카 ''' | 남아공 | 보츠와나 | 나미비아 | 레소토 | ||||||
잠비아 | 짐바브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트전투기의 계보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미국 | 러시아 | 프랑스 | 유럽 | 아시아 | }}}}}}}}}}}} |
샨시 Y-9(运-9)
1. 제원
초도비행 : 2010년 11월탑승 인원 : 4명+132명
전장 : 36.06 m / 전폭 : 38 m / 전고 : 11.21 m
화물실 크기 : 길이 16.2m × 폭 3.2m × 높이 2.35m
중량 : 39,000 kg~77,000 kg
화물탑재량 : 25톤
최대속도 : 660 km/h
순항속도 : 550 km
항속거리 : 5,700 km~7,800 km
상승한도 : 10,100 m
동력 : Zhuzhou WoJiang-6C(FWJ-6C) 터보프롭 엔진(5,100 shp) 4기
2. 소개
중국이 2010년에 공개한 Y-9은 수송기이긴 하지만 중형이라는 적당한 크기의 플랫폼이라서 서방의 C-130처럼 수송 외에도 많이 쓰이고 있는데 전술 수송 임무 외에도 전자전기, 조기경보기 같은 다용도로 운용을 개시한 현역 최일선 기체로 자리잡았다. Y-9의 개발과 제작은 중국 섬서성에 위치한 국영 항공기업체인 샨시 비기공업집단(陕西飞机工业集团 : Shaanxi Aircraft Company)이 담당했으며, 샨시 기술진들은 중국군에서 예전부터 쓰이던 Y-8의 후기형을 밑바탕 삼아 발전시켜 신규 생산한 기체로, 기본적으로는 중형 전술 수송기로 분류되었다.동체와 날개의 구조재 상당 부분에 복합재료가 이용되었으며, 최신의 글래스 콕핏과 비행통제 시스템 같은 첨단 기술이 충분히 도입되었다. 중국 공군이 새로운 기체를 인수한 후부터 샨시의 1만 여명에 달하는 직원들은 1975년부터 생산해온 Y-8의 생산을 중지하고 Y-9의 생산에 힘을 모았다. 원래 쓰이던 Y-8은 잘 알려진 대로 구소련 시절 우크라이나에 위치한 안토노프 설계국에서 1957년에 공개한 An-12를 면허 생산한 것이었으나, Y-9는 Y-8F-600을 기반으로 중국 독자 개발로 알려지고 있다. 조종석에는 7개의 멀티 펑션 디스플레이가 딸린 글래스 콕핏이 설치되었으며 동력으로는 우크라이나에서 구입한 이브첸코(Івченко) AI-20 터보프롭 엔진을 추저우 연구소에서 국산화한 워장-6C(渦槳-6C : 수출 명칭 FW6JC)를 4기 장착하고 있다.
프로펠러는 전부 복합재료를 이용해 만들어졌으며 JL-4 형식 6엽 블레이드로 이루어져 있고 피치를 바꿔 역추진도 가능하다. 수직 미익의 도설 핀을 더욱 키우고 수평 미익 끝단에는 기류를 안정시키고 가로 안정성을 높여주는 정류익을 추가시켰는데, 이런 외형상의 변화를 보면 동체의 확대와 거기에 따른 출력이 향상된 엔진을 결합시키자 안정성에 문제가 생겼던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2012년 11월 19일, 중국망은 Y-9이 이미 중국 공군에 인도를 시작했다고 보도했다. 2016년 12월 23일자 보도에는 중국 육군도 2기를 도입한다고 발표되었다.
3. 한국 방공권 침범
합동참모본부는 2018년 8월 29일 오전 7시 37분에 중국 국적 군용기 1대가 이어도 서남방에서 방공식별구역(KADIZ)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전자전기인 Y-9G로 추정되는 이 군용기는 4시간 만에 KADIZ를 이탈했다. 우리 대한민국 공군은 Y-9G의 침입을 곧바로 포착하고 즉각 F-15K 등 전투기 10여 대를 긴급 출격시킨 것으로 전해졌다. 합참은 "공군 전투기를 긴급 투입해 추적·감시비행과 함께 경고방송 등 정상적인 전술조치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중국 공군기의 한국 KADIZ 침입은 2018년 들어 이미 5번째였다.4. 파생형
Y-9E : 수출형Y-9JB : ELINT 형식으로 기수와 전방 동체 측면, 후방 동체 측면에 안테나가 설치되었다.
Y-9XZ : 심리전 형식
Y-9G : Y-8G의 후속 기체로 전파방해 및 전자전기 형식. 기수 아래와 동체, 미익에 안테나가 설치되었다.
Y-9X : 전자전기 형식
KJ-500(空警-500) : 조기경보기 형식으로 Y-8AEW에 달린 ZDK-03과 같은 형상의 레이돔이 설치되었다. 레이돔 내부에는 KJ-2000에 장비된 K/LLQF01 레이다의 소형 경량화판 AESA 레이다가 삼각꼴로 설치되어 있다. 2013년 1월에 중국에서 보도된 자료에 따르면 470 km 떨어진 60개에서 100개의 목표를 동시에 탐지, 추적할 수 있다고 한다. KJ-200의 후속기형이며 2015년부터 운용 개시. 또한 중국측 보도에 따르면 중국 해군의 항공모함에도 탑재될 가능성이 높다고 발표되었다. 2018년에는 공중급유 프로브를 추가한 기체가 발견되었다.
5. 운용
중국인민해방군 공군 : KJ-500 / Y-9G / Y-9JB중국인민해방군 해군 : Y-9G
중국인민해방군 육군 : Y-9
미얀마 공군 : 도입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