解 풀 해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角,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イ, ゲ | ||||||
일본어 훈독 | と-く, と-かす, と-ける, さと-る, ほぐ-れる, ほつ-れる, ほど-く, ほど-ける, わか-る | ||||||
- | |||||||
표준 중국어 | jiě, jiè, xiè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解는 '풀 해'라는 한자로, '풀다', '풀이하다', '이해(理解)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89E3에 배정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NBSHQ(弓月尸竹手)로 입력한다.角(뿔 각) + 刀(칼 도) + 牛(소 우)가 합쳐져 만들어진 회의자로 소(牛)의 살, 뼈, 뿔(角) 등을 칼(刀)로 따로 바른다는 뜻으로 '풀다'가 되었다. 갑골문에서는 소의 뿔을 양손으로 해체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으며, 소전에 와서야 양손을 나타내는 부분이 刀로 대체되었다.
'풀다'라는 단어가 워낙 여러 방면에서 쓰이다 보니 일상생활에서 解가 들어가는 단어도 엄청나게 많다.
3. 용례
3.1. 단어
- 견해(見解)
- 곡해(曲解)
- 난해(難解)
- 독해(讀解)
- 분해(分解)
- 양해(諒解)
- 오해(誤解)
- 와해(瓦解)
- 용해(溶解)
- 융해(融解)
- 이해(理解)
- 전해질(電解質)
- 해결(解決)
- 해고(解雇)
- 해금(解禁)
- 해답(解答)
- 해독(解毒/解讀)
- 해동(解凍)
- 해동기(解凍期)
- 해명(解明)
- 해방(解放)
- 해법(解法)
- 해부(解剖)
- 해빙(解氷)
- 해산(解散)
- 해상도(解像度)
- 해석(解釋/解析)
- 해설(解說)
- 해소(解消)
- 해이(解弛)
- 해임(解任)
- 해정술(解錠術)
- 해제(解除)
- 해제(解除)
- 해지(解止)
- 해체(解體)
- 해탈(解脫)
- 현해(懸解)
- 화해(和解)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 고이해(古爾解)
- 막고해(莫古解)
- 모모타 카이토(百田 解斗)
- 박노해(朴勞解)
- 선도해(先道解)
- 야율해리(耶律解里): 10세기 중반에 활동함
- 온군해(溫君解)
- 와카라즈노미야 밀리온(不解宮 ミリオン)
- 적막이해(適莫爾解)
- 카데노코지 유카리(勘解由小路 ユカリ)
- 카데노코지 이치지쿠(勘解由小路 無花果)
- 쿠사나기 리카이(草薙 理解)
- 해모수(解慕漱)
- 해부루(解扶婁)
- 해이(解離): 1978년생
- 백제 대성팔족의 해(解)씨
- 황해준(黃解晙)
3.4. 지명
3.5. 창작물
- 경국대전주해(經國大典註解)
- 만해(卍解)
- 몽어유해(蒙語類解)
- 무경칠서휘해(武經七書彙解)
- 시해(始解)
- 직재서록해제(直齋書錄解題)
- 해체신서(解體新書)
- 훈민정음 해례본(訓民正音 解例本)
- 炉心融解(노심융해)
- 正解
- この恋の解を答えなさい(이 사랑의 해를 구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