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4:20:07

충청권 광역철도/차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충청권 광역철도
대전권 광역전철 전동차
(열차번호 · 차량번호)
파일:대전 1호선 아이콘.svg 1000호대
(현황)
파일:대전 2호선 아이콘.svg 2000호대
(현황)
파일:충청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3xx000호대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한국철도공사의 전동차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열차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속열차 일반열차 광역전철 화물열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편성번호 · 차량번호 체계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편성번호 차량번호 차량번호여섯 자리 SR 임대·소유 차량번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전동차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200000호대(8호기 한정)
광역전철
도입 예정
[[KTX-I#s-5|{{{#ffffff EMU-370}}}]]
 연구중
개번 전  2030호대(1993~2011)
 5000호대(1996~2011) · 6000호대(2006~2008)
전량 퇴역
 1000호대(상세)(1974~2020) · 초저항(1974~2014)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 디젤동차
다른 지역 전동차 보기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현황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고속열차 <colbgcolor=#fff,#1c1d1f>
간선열차
관광열차
광역전철
도입 예정
개번 전  2030호대/현황
전량 퇴역  1000호대/현황
한국철도공사 소속 기관차 현황 보기 · 디젤동차 현황 보기
다른 지역 전동차 현황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11><tablebgcolor=#fff,#111> 한국철도공사 3xx000호대 전동차
KORAIL 3xx000 Series EMU
}}}
파일:충청권광역.jpg
차량 정보[1]
<colcolor=#0054a6> 열차 형식 광역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편성량수 2량 1개 편성
생산량수 16량 (총 8편성)
운행노선 파일:충청권 광역철도 아이콘.svg 충청권 광역철도
도입년도 미정
제작사 현대로템
소유기관[2] 대전광역시
충청남도
운영기관 한국철도공사
차량배속 미정
차량정비 중정비 대전철도차량정비단 예정
경정비 미정
편성번호 3??I01 ~ 3??I08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54a6> 궤간 1,435㎜
전장 20,470㎜
연결면간 거리 21,085㎜
전폭 3,120㎜
전고 지붕 높이 3,750㎜
팬터 접은 높이 4,500㎜
재질 스테인리스 스틸
급전방식 교류 25,000V 60㎐
최고속도 영업 100㎞/h
설계 110㎞/h
가속도 3.0㎞/h/s (35㎞/h까지)
감속도 상용 3.0㎞/h/s 이상
비상 4.0㎞/h/s 이상
차상신호장치 ATS, ATP(안살도)
제어방식 현대로템 VVVF-IGBT(IPM)[M]
동력장치 3상 농형 유도전동기
제동방식 공기제동, 회생제동
대차 공기스프링방식 볼스터리스 대차
MT 비 1M 1T[4] }}}}}}}}}

1. 개요2. 상세3. 편성4. 분류
4.1. 1차분 (도입연도 미정)
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충청권광역철도차량.png
충청권 광역철도에서 한국철도공사가 운행할 전동차이다. 앞서 도입된 대구권 대경선한국철도공사 392000호대 전동차와 동일한 사양이다.

2. 상세

차량번호는 미정. 단, 동종의 대경선 전동차는 392000호대를 부여받았다.

2량 1편성 구성이며 동력대차 + 부수대차 혼합으로 구성되므로 차륜답면제동, 디스크제동 및 회생제동을 사용한다. 설계최고속도 및 영업최고속도가 각기 110km/h, 100km/h로 되어 있어 개통 이후 다른 열차의 통행에 지장을 줄 가능성이 있다.

이 차량의 구매 가격은 총 16량(8편성) 567억 원, 1편성 2량(70억 원), 1량당 평균 35억 원으로 전동차 가격이 1량당 평균 13~15억 원인 것과 비교하면 약 20~22억 원 비싼 편이다.


2023년 11월, 구조, 색상, 문양 등에 대한 의견수렴 절차에 들어갔다. 다섯개의 시안이 있는데, 언론에는 상단 틀과 같은 연두색-코레일블루의 concept2만 알려졌다. CDC 디젤동차와 유사한 연두색 배열인 것이 특징이다. 컨셉아트이므로 312004라고 적힌 것도 가번호일 것이다.

3. 편성

조성내역은 다음과 같다.
한국철도공사 3xx000호대 전동차 조성
<colcolor=#0054a6> ↑ 상행 (신탄진 방면)
3XX00# (1) M'C
3XX90# (2) M'C
하행 (계룡 방면)

4. 분류

도입 연식에 따라 1차로 분류된다.
  • IPM이 적용된 IGBT는 초록색 배경이다.
<rowcolor=#ffffff> 분류 제어방식 도입
<colbgcolor=#0054a6><colcolor=white> 1차분 VVVF
IGBT
현대로템
미정 (8편성)
도입 예정

4.1. 1차분 (도입연도 미정)

<rowcolor=#fff> 편성 갑종회송일자 운행개시일 출발지 도착지
<colbgcolor=#0054a6><colcolor=#fff> 3xxI01 미정 미정 진해선 신창원역 미정
3xxI02
3xxI03
3xxI04
3xxI05
3xxI06
3xxI07
3xxI08

2025년 2월 15일 기준으로, 전동차 출고 전 회의에 돌입했다. #[6]

5. 관련 문서


[1] 다섯 색상 중 하나로 저 디자인이 확정은 아니다.[2] 차량 구매 비용을 지자체에서 부담하기로 결정됐다. #[M] 미쓰비시 소자 기반이지만 국산화하여 사용한다.[4] 편성 구조는 M'c-M'c로 2M 0T이나, 실제로는 0.5M 차량이므로 비율은 1:1이다.[M] [6] 실제 갑종회송 일자는 미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