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2:55:29

기갑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대한민국 육군병과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반병과
파일:병과휘장_보병.png 파일:병과휘장_기갑.png 파일:병과휘장_포병.png 파일:병과휘장_방공.png 파일:병과휘장_정보.png
보병 기갑 포병 방공 정보
파일:병과휘장_공병.png 파일:병과휘장_정보통신.png 파일:병과휘장_항공.png 파일:병과휘장_화생방.png 파일:병과휘장_군수.png
공병 정보통신 항공 화생방 군수
파일:병과휘장_병기.png 파일:병과휘장_병참.png 파일:병과휘장_수송.png 파일:병과휘장_인사.png 파일:병과휘장_군사경찰.png
병기 병참 수송 인사 군사경찰
파일:병과휘장_재정.png 파일:병과휘장_공보정훈.png 파일:병과휘장_군악.png
재정 정훈 군악*
특수병과
파일:병과휘장_의무.png 파일:병과휘장_간호.png 파일:병과휘장_법무.png 파일:병과휘장_군종.png
의무 간호* 법무 군종
첨자 *: 군악은 정훈 하위병과, 간호는 의무 하위병과 }}}}}}}}}}}}}}}
※ 둘러보기 : 육군의 병과 | 해군・해병대의 병과 | 공군의 병과
파일:INT_us_usarmy_1.png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미 육군M1 에이브람스
1. 개요2. 구성 및 역사3. 기타4. 기갑전투차량(AFV)5. 관련 문서

1. 개요

/ Armored[1]

기갑은 군대에서 전차, 장갑차와 같은 기갑차량(AFV, Armored Fighting Vehicle)들을 주력으로 운용하는 전투 병과이다.

2. 구성 및 역사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rk_IV.jpg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최초의 전차, Mk. IV[2]
파일:pz.iv.ausf.f2.g.jpg
2차 대전 시기의 독일 국방군4호 전차 F2형
기갑부대 및 기계화보병부대는 모두 전차장갑차, 기계화보병으로 이루어진 부대를 뜻하며, 두 명칭 중 어느 것을 쓸지는 전차와 기계화보병의 비율에 따라 달라진다. 전차의 비중이 높으면 기갑부대, 기계화보병의 비율이 높으면 기계화보병부대가 된다. 일반적으로 여단급 이상의 부대를 전차만으로 편성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어려운데,[3] 전차로만 구성된 부대가 단독으로 움직이는 경우 시가전 등에서 쉽게 당하기에 기갑부대는 반드시 자기 부대에 편제되어 있는 기계화보병을 대동해야 한다. 편제나 작전에 따라서는 일반 보병부대와 제병협동을 하기도 하지만, 웬만하면 기동성 문제로 최소한 차량화보병을 붙여주려고 하므로 순수 알보병과 같이 움직이는 경우는 거의 없다.

기갑은 배치된 전차 숫자로 편제가 결정된다. 예컨대 전차 1대가 1개 분대가 되며, 이 전차가 3인승이면 분대원이 3명, 5인승이면 분대원이 5명이 된다. 따라서 전차장은 분대장과 동일하다. 자세한 내용은 전차 승무원 문서를 참조할 것.[4]

또한, 대대 이하 기갑부대 지휘관은 본인이 지휘하는 단차의 전차장 임무를 겸임한다. 즉, 소대장은 소대선임전차의 전차장이기도 하며, 중대장은 중대지휘전차의 전차장이기도 하다. 부중대장도 보통은 별개 단차를 지휘한다. 대대장에게도 대대지휘전차가 보급되기는 하나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곤 전차보다는 참모들과 함께 지휘장갑차에 탑승하는 것을 선호한다. 연대장 이상으로는 지휘본부에서 지휘하며 단차는 지급되지 않는다.

기갑 승무원들은 보통 각 개인은 권총을 소지하고 가급적 단차당 기관단총도 지급한다. 예컨대, 대한민국 국군의 경우 조종수전차장, 포수에게는 권총을 주고 탄약수에게는 K1A를 지급한다. 이는 일단 군인이고 유사시를 대비해 자신을 스스로 지킬 개인 화기는 줘야 할 텐데, 좁디좁은 전차 내부에서 긴 일반 보병용 소총은 조준도 힘들고 공간도 꽤 차지하기에 비효율적이지만, 그렇다고 공간만 고려하여 권총만 주자니 보통 마주칠 적들은 최소 소총으로 무장하기 마련이라서 그들 상대로 화력이 심각하게 떨어지니, 어떻게든 공간도 덜 차지하면서도 어느 정도 고화력을 제공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인화기 문제를 개선하려는 시도는 계속 있어왔고, 냉전 시기 유럽국가에서 PDW를 만들어 기갑 부대에게도 제공하려고 했으나 냉전이 끝나고 수요가 줄어서 일반 기관단총이나 카빈으로 대체했다.

과거부터 쓰여온 망치와 모루 전술에서 망치 역할을 하던 기병을 대체한 병과이다. 기갑부대 중에는 원래 기병부대였다가 자연스럽게 기갑으로 바뀐 부대도 있고, 이런 부대에서는 기병대 시절의 부대깃발 이나 부대명칭 등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다.

2.1. 대한민국 육군/대한민국 해병대

파일:병과휘장_기갑.png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대한민국 육군 기갑 병과휘장[5]
파일:external/the.shadock.free.fr/e9suspension27.jpg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한국전쟁 시기의 대한민국 국군의 제51전차중대 소속 미국제 M36B2E9 잭슨 대전차 자주포
대한민국 국군의 기갑부대 창설 역사는 한국군 전차부대(한국전쟁) 문서를 참조.

대한민국 육군 기갑 병과는 한국 전쟁 이전에 미 육군으로부터 공여받은 M8 그레이하운드로 기갑연대를 창설하여 전쟁 도중 M36 잭슨 대전차 자주포M4 셔먼 전차를 미군에게 공여받아 본격적인 기갑부대를 운용한 것이 시초이다. 육군 기갑병과의 마크는 보병 병과 위에 말발굽이 겹쳐진 것으로서 기병과 같은 기동성을 중시하는 병과 특성을 상징화하고 있다. 기갑 병과 내부에서는 보병은 밟아서 없애라는 의미 때문이라고 반농담 삼아 설명하고 있다. 기갑부대에 배속되는 인원은 전라남도에 위치한 상무대육군기계화학교에서 육군과 해병대의 각급 부대의 지휘관/지휘자/승무원 수요를 채우기 위해서 각 과정을 운영하고 있고 과정별로 수주에서 수십 주의 교육 후에 전방 기계화부대로 인원을 배출하게 된다. AVLB 같은 특수차량은 공병교와 기계교를 전전하며 후반기교육을 많이 받기 때문에 자대가면 이등병이 없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그 정도까지 아니고, 한두 달 정도로 꽤 짧긴 하다. 자대에 갔을 때 이미 후임이 있는 경우도 많다.

현재는 아니지만 과거에는 경우에 따라 사실이었다...2000년 까지 훈련소 6주였던 시절 기갑학교 장갑병 과정은 5주. 전차병 과정 8주 이던 때 가뭄에 콩나듯 해병대 위탁인원보다 희귀했던 AVLB 조종수들은 기갑학교 전차조종 8주에 공병학교 교량교육 5주 총 13주 교육과 훈련소 6주까지 19주 거기에 대기병 기간 포함 20~21주에 중간에 명절이 끼면 22주가 넘어서 자대로 넘어갔고 102 혹은 306 보충대에서 대기기간 2~3일 자대로 넘어가도 사단 신교대에서 따로 보충교육을 2~3주간 특기병 대상으로 교육을 시키는 부대도 있었기에 여기에 전부 걸리면 24~25주가 넘어서 해당 자대로 배치받으면 이미 입대 후 6개월그리고 자대 인 공병부대에 아예 일병 달고 가는 경우도 있다.

부대 편제의 단위가 병력의 머릿수가 아니라 전차의 대수이다. 전차 1대가 1개 분대인데 전차장은 부사관 보직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부사관의 비율이 매우 높은 병과이다. 1개 소대에[6] 이미 부사관이 최소 5명 이상이다. 장기적으로 기갑부대 내 부사관 비중을 높여 전차 승무원들을 모두 부사관과 장교로만 편성하고, 병은 보조 업무에만 투입하는 것이 육군의 최종 목표이나 예산 문제와 인구 감소로 인한 인력부족 문제로 지연되고 있다. 대신 전차 승무원 중 부사관 비중은 올라가고 있다.[7] 상황 발생시 일정 시간 동안 전차를 기동하여 탄약고로 이동해야하며 탄약을 적재해야 하므로. 전원 부사관 조종수 및 전차 승무원을 이룬다면 부사관을 일정 수 이상 영내대기를 시켜야하므로 당장은 불가능한 계획이다. 아니면 상황시 30분만에 준비하는 것을 포기하거나 부대 근처에 군인 아파트를 넉넉히 공급해야 하나 예산이 부족하다. 과거 M48 전차에는 4인 승무원 체제이기에 예비 조종수 예비 포수들을 탄약수로 편제하여 간부 부재시에도 즉각 전투준비태세를 갖추었다.

기갑부대 대대장에게는 전차와 장갑차가 주어지지만 주로 지휘장갑차나 일반 차량을 타고 전차는 거의 타지 않는다. 대대장쯤 되면 자기 전차 한 대를 잘 다루는 것보다 부대 전체를 잘 지휘하는 게 훨씬 중요한데, 전차 내에서는 기껏해야 네 명밖에 타지 못하고, 그나마 전차 자체의 운용에 정신이 팔리기 때문에 지휘부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대지휘전차에 대대장이 직접 탄다면 대대장이 굉장히 적극적인 성격이라 현장을 직접 보면서 지휘를 하는 타입이거나 가끔 진급 등에 필요한 기량평가 차원에서 타는 것이다.[8] 뉴스 동영상 55초를 보면 대위가 직접 전차를 몰고 가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게 그냥 훈련이 아니라 간부자격인증평가다.[9] 장애물을 정해놓고 일정 개수 이상 건드리면 간부 자격이 부정된다. 장교 뿐만 아니라 부사관들 또한 해당 평가를 보아야 기본적인 자격을 확보했다고 평가받으며, 해당 평가에서 불합격하면 진급은 물론이고 기갑병과 간부로써의 자격 자체를 부정당한다. 물론 대한민국 국군의 특성상 진짜로 간부 자격을 부정당하는 일은 없다. 합격할 때까지 시키기 때문.[10]

지휘전차와 지휘장갑차는 따로 대대 지휘반을 편성하며, 선임 부사관이 대대지휘반장이라는 지휘 전차의 전차장을 대리한다. 그 이외의 참모부(작전과, 인사과, 정보과, 군수과) 등은 따로 장갑차를 편제해준다. 장갑차가 없으면 두돈반이나 레토나라도 떼서 준다. 이는 중대급에서도 마찬가지로, 중대급에서 운용하는 중대 지휘 단차에도 지휘반 승무원이 따로 편성되어 있다. 본부 중대에는 정비반, 수송부, 행정보급탄약병들이 있어 전차병과에 대한 관리가 어려워, 선임소대장이 있는 소대로 임시 편제한다. 만약 대대장이나 중대장이 장갑차, 혹은 일반차량에 탑승할 경우 그 지휘 단차를 전투력으로 전용할 목적으로 지휘반 전차장도 보직되어 있다. 지휘반 전차장은 평시에 지휘관이 지휘로 바쁘다는 점을 감안하여 지휘 단차와 장갑차의 정비, 병력 관리에 나선다.

다만 반드시는 아니지만 진급심사 시즌이 되면 대대장이 전차에 탑승하기도 하는데, 이건 자기가 진급하려는 게 아니라 휘하 대위를 소령으로 진급시켜 주기 위해 훈련시키는 차원에서만 탑승하는 것이며, 주로 전차조종시험 연습을 시키기 위해서이다. 떨어져서 자격인증을 못 하면 진급이 안 되기 때문이다. 해당 장교와 대대장이 같은 출신이라면[11] 높은 확률로 탑승해주지만 그 외의 경우는 해주지 않는 경우가 더 많다.
파일:20160508_102339_edit.jpg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대한민국 육군 구형 전차승무원 전투복
1990년대 이전에는 육군 기갑병과는 육군은 민무늬 전투복을 착용하던시절 육군들과 달리 정예병력으로 취급되어 민무늬 전투복이 아닌 충정복 위장무늬가 들어간 기갑 잠바, 커버올을 착용하였다. 특전사에서는 81년도까지만 충정복을 착용하고 독사복으로 변경한것과 달리 육군 기갑병과는 대한민국 국군 통합4색(우드랜드)이 보급되는 초기까지 충정복 기갑잠바, 커버올을 보급하여 대한민국 국군 통합4색 위장복 바지에다가 충정복 기갑잠바를 입는 경우도 있었다. 독사복이 보급이 되지 않자 그 당시 육군 기갑병과에서는 휴가 때는 사제 독사복을 구매하여 휴가 때 착용하는 문화가 있었다. 더 자세한 이야기는 군복/한국군/육군 문서를 참조.

육군과 해병대의 기갑 병과는 한동안 별도로 베레모를 쓰는 특기 중 하나였다. 그것도 독특하게 위장무늬가 들어간 것을 사용했는데, 이는 독일 육군 기갑학교 위탁생들이 독일 기갑부대원들의 베레를 보고 귀국하면서 정착시킨 것이 직접적 기원으로 보인다.[12] 해병대는 그러한 육군에게 위탁 교육받으며 배워 전래시켰다. 육군용은 검정 바탕에 노란 실로 자수놓은 기갑 병과장이 있는 모장을, 해병대는 빨간 바탕에 해병대 정모용 배지를 박은 모장을 썼다. 그중 장교와 부사관은 무궁화 받침 들어간 형태로 개정 이후 기준으로 육군은 모장 위에, 해병대는 정모 배지 대신 철제 모장을 넣었다. 이 베레모는 훈련시 외엔 영내에서만 착용케 되어 있었으나 몰래 들고나가 쓰는 인원들도 많았다. 현재 이 위장무늬 베레모는 육군은 흑록색 공용 베레로, 해병대는 수색대용 녹색 베레로 통합, 폐지됐다. 기갑부대에서 베레모를 쓰는 것은 좁은 차내에서 모자 챙이 걸리지 않는 장점이 있어서인데, 사실 베레모는 오늘날 특수부대가 쓰는 것으로 많이들 알려져 있으나 원래는 기갑병과용 전투모로 만들어진 것이 시초였다.[13] 아무래도 비좁은 전차 내부에서 헬멧이나 큼지막한 챙이 달린 군모까지 지참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육군은 현재 다른 병과의 전투모도 베레모로 바뀐 반면 대한민국 해군과 해병대는 전투모가 여전히 야구모자 및 팔각모이다. 기갑 베레모는 공식적으로 영내에서 단독무장 시에만 착용하게 되어 있다.
파일:dYLWNmL.jpg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대한민국 해병대 소속 M48A3K 전차
해병대에선 2014년에 보병의 하위특기로 흡수되었으나 2018년부로 기갑이 독립병과가 되었다. 해군 병과 번호로 단기장교는 1331, 장기복무 장교(주로 해군사관학교 출신)는 1330이다.
파일:29509800465_25298509ef_o.jpg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K-200 병력수송장갑차
기계화보병의 경우, 대한민국 육군에서는 타국과 달리 아직 보병으로 분류하고 있으나, 장갑차의 화력이 주 전투력이고 부대에 배치되는 장교들이 육군기계화학교에서 교육받는 등 순수 보병과는 운용 및 전술상의 차이가 크고 전차와의 연계성이 중시되어, 타국처럼 기계화보병들도 기갑으로 전과시키려는 계획을 추진 중이다. 이 계획은 K-21이 실전배치되고 나서부터 더욱 물살을 타고 있다. 물론 장갑차에 탑승하는 기계화보병들이 보병 병과라는 거지, 기계화보병 부대에 속한 장갑차의 운용 인원들(조종수, 부조종수 등)은 전부 기갑이다. 정확히는 병과 코드 123인 장갑차 승무 주특기로, 전차 승무(121)와는 별개의 주특기가 따로 존재한다. 부사관 기갑병과 장갑 주특기의 경우, 신이내린 주특기라는 말이 기갑학교에서 돌아다닌다. 단, 장갑차 단차장은 분대장 겸임이므로 일반적으로 보병 병과이다.[14]

2023년 기준 대한민국 육군의 주력 전차는 K-1A1/K-1A2이고 K-2로 대체 중이다. 주력 장갑차는 K200A1/K200A2이고 K806/K808(APC) 및 K21(IFV)로 대체 중이다.

2.1.1. 기갑수색대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수도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8기동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1기동사단 부대마크.svg
수도기계화보병사단 제8기동사단 제11기동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사단 | 해체된 사단
}}}}}}}}}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제1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5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1기갑여단 제2기갑여단 제3기갑여단 제5기갑여단
파일:제20기갑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30기계화보병사단 부대마크.svg 파일:제102기갑여단 부대마크.svg
제30기갑여단 제102기갑여단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
파일:external/kookbang.dema.mil.kr/BBS_201507090510288830.jpg
<colbgcolor=#fff,#000><colcolor=#000,#ddd> 제11기동사단 기갑수색대[15]

기갑수색대는 기계화보병/기동사단 예하에 기갑수색대대와 기갑여단 예하에 기갑수색중대로 편성되어 있다.(편제에 차이가 있다.) 영문명칭은 Armored Cavalry이다. 이하 기갑수색대 기준으로 서술한다.

기갑수색대의 경우 111 일반보병 부사관이 배치된다.

기계화보병/기동부대 및 기갑부대 예하에 전투 지역에서 위력정찰을 수행하는 부대로,[16] 한 개 전투중대에 전차, 장갑차, 박격포가 한번에 편제되어 있다. 기갑여단[17]의 편제를 대대단위로 축소해놨다고 보면 편하다. 이러한 전투중대가 3개, 본부중대 1개로 대대가 구성된다. 전차와 장갑차가 한번에 편제된 특성상 다양한 기갑 및 보병 전술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직사(전차포, 공용화기 및 근접항공지원) 및 곡사(지원소대 박격포 및 사단 포병여단의 자주포) 화력지원을 모두 받을 수 있다.

기계화사단이나 기갑여단의 수색대원들은 장갑차를 타고 다닌다. 기갑병과인 장갑차 승무원을 제외한 장갑차 탑승인원은 흔히 경(輕)수색이라고 부르며 전차 승무원은 중(重)수색이라고 부른다. 전차 조종수는 현재 모두 간부화 된 상황이라서[18] 병 계급일 경우 높은 확률로 탄약수로 배정된다. 그 후 포수로 배정된다. 전차 승무원 특기임에도 정말 드물게 뜬금없는 보직으로 본부중대에 배속되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해당 항목을 보면 알 수 있듯 전역 때까지 전차 조종할 일은 없다고 보면 된다. 다만 장갑차 승무원도 본부중대 편제로 될 수 있는데, 본부중대 지휘반으로서 지휘장갑차를 몰 수 있다. 혹은 대대 정비과로 가는 경우도 있다. 전차승무원의 경우 개인화기 사격[19] 등 일부 훈련에서 열외된다. 개인화기 사격 집중훈련 같은 경우에는 전차승무원은 따로 주특기 훈련을 받는 정도. 장갑차 승무원은 얄짤없이 K-1 소총을 들어야 한다.

궤도장비뿐만 아니라 일반 차량도 상당히 많다.[20] 기갑여단 예하의 기갑수색중대의 경우 소대당 3대, 중대장 전용 1대를 포함해 총 10대의 K-131 혹은 K-151이 편제되며, 소대장도 레토나를 타고 이동한다.

3대의 레토나 또는 소형전술차량으로 구성된 경수색분대가 운용되며 이들 중 1호차가 소대 본부로써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2,3호차는 M60 기관총을 거치할 수 있도록 개조되며 각각 수색조와 척후조가 탑승하여 이동한다. 기관총 사수는 기관총을 잡은 채 입석으로 이동을 해야 하며 혹한기 출동의 경우 영하 30도에 오픈카를 타는 그로테스크한 드라이브를 하게 된다. 병력을 제외한 나머지 장비들은 모두 차량으로 운반한다. 특수차량을 제외하고 훈련 시에 2 1/2t 트럭 등의 일반차량을 수송대로부터 지원받는 경우는 거의 없다.

직할부대라는 점 덕분에 온갖 신상 장비[21]들은 거의 다 제일 먼저 받아볼 수 있으며, 새로 전력화된 기갑장비는 당연하게도 기갑수색대대부터 우선하여 받는다. 예를 들어 K-21이나 흑표를 전력화 초기에 인도받은 20사단 기갑수색대대, 더불어 사용성 평가도 거치므로 일정시간 사용 후 제작업체와 높으신 분들이 함께와서 야전에서 사용 문제점이나 개선점 등을 문의한다. 문제가 있어도 있다고 말을 못하는 게 현실이다.

상무대나 신교대 보충병 대기 시 수색대에 걸린 기갑계열 특기생들이 해탈한 표정을 짓는 경우도 있다. 덜 빡셀 거라고 생각을 하지만 부대의 분위기상 이들을 널널하게 대할 리가 없다. 병과 불문 수색 관련해서 쉽게쉽게 넘어가는 경우는 없다.

훈련은 달마다 한두 번 이상 무조건 있고 일반적으로 1주차 훈련준비 2주차 모의훈련 3주차 훈련 4주차 부대정비의 무한반복이다. 간혹 4주차도 훈련 5주차에 부대정비를 한다. 중간에 배정된 거리만큼 행군도 꼬박꼬박한다. 기갑병들은 군장 형태가 다르고, 특히 전차승무원은 K-5를 차므로 단독군장으로 행군한다. 보병부대와의 차이라면 유격훈련 입소 및 복귀행군과 개별 행군을 제외하고는 걸어다니는 일은 없다. 훈련지로 부대이동 할 때도 역시 차량에 병력이. 탑승하고 및 궤도장비를 HET 장비에 실어서 이동한다. 훈련지가 너무 먼 거리일 경우 열차를 이용한다.

직할대 중 전투 부대가 기갑수색대대 하나인 만큼[22] 온갖 종류의 검열과 훈련 땜빵, 교훈관련 실험, 각종 시범케이스, 간혹 병 계급의 유격을 2주 동안 하거나 각종 사단 및 군단급 전투력 측정, 특수한 경우 중대급으로 담당 ASP 투입[23], 사령부 방어 같은 상황이 많아서 바쁘다. 침투 및 국지도발 같은 작은 훈련일수록 예고없이 다가오니 방심은 금물이다. 그나마 궤도장비가 많아서 사령부 밖에 따로 위치하는 경우가 많은 것이 위로라면 위로다. 사단뿐만 아니라 유사시 예하 기계화 여단과 대대 및 포병 여단, 군단 특공대, 육군 항공과도 연계해야 하므로 관련 훈련이 많아 눈코뜰 새 없이 바쁜 부대이다. 미군과 연계하여 훈련하는 경우도 있다. 태풍이나 혹서기, 혹한기가 아니라면 주요 훈련일정이 잡히지 않는 달은 없다. 이러한 것도 주 단위로 피해서 훈련을 잡기에 아예 훈련이 취소되지는 않는다.

대대기준으로 예하 중대에 4.2인치 박격포가 탑재된 K-242 편제 지원소대를 두고 있는데 화력수색을 위한 소대이므로 사격훈련은 정확도보다 빠른 발사 위주로 한다. 실사격훈련 시에 대대의 모든 4.2인치 박격포가 일제사 하는 광경도 볼 수 있다. 박격포 문 수가 기계화보병대대의 편제보다 배 이상 많으므로 눈앞에서 장관이 펼쳐진다. 박격포는 장갑차에 실어서 움직이고 발사 역시 탈착하지 않고 장갑차에 실린 상태로 한다. 기동력 문제로 인해 박격포를 탈거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기갑수색대에서 박격포를 운영하는 지원소대는 중대 내에서 천대 받는 경우가 많다. 대부분의 지휘관이 기갑병과 출신이고 중대내에서 전차를 제일 중시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박격포를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지휘관이 대부분이고 보병특기자가 드물고 있다 하더라도 장갑차에 우선 배치하는 기갑수색대의 특성상 여군이나 하사가 지원반장을 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인원은 많은데 하는게 애매하기 때문에 중대의 모든 작업을 담당하기도 한다. 경수색 하차 시에 만약 K-200 계열이면 K6는 장갑차에 그대로 설치해 놓고, 분대 지원화기인 K3나 M60은 가지고 내린다. K6 같은 50구경 중기관총은 도수로 움직이기도 힘들고 화력 지원시에 유용하기에 장비에 남아있는 장갑차 조종수가 대공경계 또는 화력지원을 하고 K3나 M60은 가지고 내려서 하차전투시에 사용한다. K-21이면 그냥 간다. 경수색의 주요일과가 하차전투 훈련일 정도로 이러한 훈련을 굉장히 많이한다.

간혹 전술기동 훈련시에 각 중대 전차들을 한번에 편성하여 전차대대의 전차중대마냥 운용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대대의 모든 장비가 한꺼번에 움직일 경우 많이 쓰인다. 대한민국 지형이나 전방지역 도로 및 다리 특성상 장갑차는 쉽게 통과해도 전차가 통과할 수 없는 곳이 많기에[24] 병목현상 및 기동력 저하를 최소화하고 화력을 집중하기 위한 기갑수색대대만의 기동 시 상황대처 방안이다.

전차대대와 같은 이유로 간부가 많기는 하지만 그와 달리 병사들이 기계화보병대대만큼 많으므로 근무는 생각보다 힘든 편이 아니다. 아무래도 전차와 장갑차가 함께 있고 일반 차량도 많다보니 병사가 적을 수 없다. 사단내 대대에서도 인원이 많은 쪽에 속한다. 그만큼 기계화보병사단에서 수색대대에 걸릴 확률도 높다. 당직근무도 간부가 많은 편이라 로테이션이 굉장히 긴 편이다. 다만 전차승무원은 대부분 간부화시키는 것이 현재 추세이므로 병사비율은 지금보다 줄어들 것이다.

근무뿐 아니라 내무생활도 상당히 편한 편이다. 전차와 장갑차를 운영하는 부대의 특성상 일반 기보대대보다 많은 수의 간부가 존재한다. 중대 병력의 절반 이상만큼 간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부조리에 대한 감시가 철저한 편이다. 하지만 간부가 많은 만큼 평소 생활에 어느 정도 통제가 있다. 또한 작업시에도 간부가 많기 때문에 병력통제가 쉬워서 짬을 먹더라도 일을 빼는 게 쉽지 않다. 기갑수색대가 첫 자대인 기갑병과 초임장교들은 소대장 보직으로 장갑차만 탑승할 수 있다. 기갑병과 장교는 소대장일 때만 전차장으로 전차에 탑승할 기회가 있다고 볼 수 있는데 만약 기갑수색대로 왔다면 전역 때까지 전차를 탈 수 있는 일이 없어진다. 물론 한두 번 타보는 거나 너그러운 지휘관의 경우 경험을 위해 전차포사격 등을 시켜주지만, 기갑병과 장교로서 전차장 한 번 못해본다는 건 좀 아쉬운 일이다.

3. 기타

  • 병종으로서 기병(특히 중기병)의 직계 후손으로 볼 수 있다. 기갑이란 전간기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전차장갑차가 발달하면서 생긴 개념인데, 동시기 쇠퇴하기 시작한 기병의 '빠른 속도'와 '돌파', '충격'을 대신 발휘하였기에 기병이 하던 일을 슬슬 넘겨받았다. 당시에는 기갑부대를 현대화한 기병부대로 생각한 사람이 많았고, 실제로도 대부분 기병부대를 그대로 기갑부대로 전환하였다. 그 영향으로 현대까지도 기병부대의 전통이나 표식을 이어받은 기갑부대들이 다수 존재한다. 영국의 경우에는 아예 기존 기병부대들이 그대로 기갑부대로 재편되었기에, 명칭들도 '용기병'이니 '창기병'이니 '검기병'이니 하는 부대명칭을 유지하고 있으며 이들 부대는 역사도 수백 년 전부터 친다. 미군도 '기병사단'이나 '기병연대' 등의 명칭을 유지하고 있고, 특히 기갑수색대나 항공수색대를 기병대(cavalry)라고 부른다. 사실 대신 전차나 장갑차를 탈 뿐이지 하는 임무는 거의 그게 그거라서 딱히 이상할 것도 없다. 아예 편제단위도 보병 등과는 달리 전대(squadron)나 기병중대(troop) 등을 쓰기도 한다. 그 외에도 헬리콥터를 이용한 공중강습부대나 항공정찰부대, 항공공격부대 중에서도 기병부대의 표식을 본뜬 사례도 있다. 일부 부대는 기갑이나 항공 병과 인원에게도 기병 병과장을 달게 하기도 한다.

    같은 이유에서, 기병의 다른 직계 후손들인 기계화보병이나 수색대하고도 연관성이 많다. 기갑이 병종으로서 기병의 역할 중 전근대부터 이어진 전통적인 역할을 주로 넘겨받았다면, 기계화보병은 승마 소총수에 가깝게 운용되는 일이 많았던 근대 말의 기병을, 수색대는 전술로서의 기병을 계승하였다. 오늘날에도 기갑과 기계화보병은 거의 항상 제병연합을 하며, 수색대도 특히 공격적 정찰을 많이 하는 기갑수색대의 경우 기갑 및 기계화보병부대 예하에 편제된다.
  • 파일:원사.jpg
    부사관은 다른 군사특기에 비해서도 같은 보직에 오래 있는 경우가 많으며 원사가 되도록 계속 전차장에 머무르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이런 사진이 나오는 게 가능하다. 참고로 저 원사는 보병이었으면 주임원사를 했을 사람이다.
  • 미 육군의 전차와 장갑차 승무원들에게는 자기 탑승 차량에 이름을 붙이는 문화가 있는데,[25] 전차의 경우 이름을 쓸 때 보통 포신 측면에 쓰기 때문에[26] 이를 Gun Tube Name이라고 한다. 과거 차량들 중 이름이 알려진 차량들은 M4A1인 IN THE MOOD(기분대로), 점보 셔먼COBRA KING 등이 있고, 일반적으로 알파 중대라면 A로, 브라보 중대라면 B로 시작하는 등 중대 알파벳으로 시작하는 이름을 짓는다. [27] 승무원이 바뀌거나 할 경우에도 바뀔 정도로 한번 정해서 고정되는 것은 아니다. 미군도 군대인 만큼 사람 군상도 여럿이라 대충 지은 이름, 폼 나는 이름, 웃기는 이름이 자주 보인다. DEMOCRACY DELEVERER(민주주의 배달부)이나, A TANK, Bottom feeder(시궁창 인생), CHARIOT OF HELL(지옥의 마차) 등 찾아보면 독특한 이름들을 발견할 수 있다. 전차 뿐만이 아니라 장갑차나 MLRS, 자주포에도 쓰는데, M2 브래들리의 경우 TOW-MA-TOR같은 드립을 치기도 한다. 미국 전차의 Gun Tube Name에 관한 글. 비슷하게 영국군의 경우에도 차량의 별칭을 포탑 전방이나 차체에 새겼다.

4. 기갑전투차량(AFV)[28]

기갑차량(AFV)의 분류
장갑차 전차 자주포

5. 관련 문서



[1] 국제 표준 영어(영연방 및 UN, EU등 국제기구)에서는 Armoured, 미국식 영어에서는 Armored라고 쓴다.[2] 엄밀히는 해당 차량의 원본인 Mk. I이 최초의 전차다.[3] 전차군이나 전차여단 등으로 불리는 부대도 보통은 그 나라에서 전차부대로 부르더라도 실제 전력이나 역할은 대한민국 국군의 동급 기갑 및 기계화부대에 대응하는 경우가 많다.[4] 기갑 외에도 포병 등 장비가 중심이 되는 병과들은 장비를 기준으로 편제가 결정되는데, 보병 출신자들은 이를 신기하게 여기기도 한다. 육해공군 중 사람 쪽수로 편제 잡는 병과는 보병이나 헌병 등, 개인화기를 주력으로 삼는 병과가 전부이다.[5] 보병 병과마크에 기병을 뜻하는 말발굽 편자를 추가한 형태이다. 이는 상기한대로 기갑 병과가 기병을 계승한 병과라는 의미이다.[6] 기계화보병사단이나 기동부대, 기갑부대에 소속된 전차 편제는 3대, 보병사단에 배속된 경우 4대이다.[7] 육군의 목표가 총 병력을 38만 명으로 감축하는 것으로 기갑 등 장비부대와 특공부대를 간부화시키는 것이 1차 목표다.[8] 실제로 기갑병과 장교들 진급시험 중에 전차조종이 포함되어 있다.[9] 영상의 대위는 조종이 상당히 미숙한 편이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조종수들은 단 한 개의 장애물도 건드리지 않는다. 장교들은 소위 시절 면허 딸 때를 제외하고는 전차를 조종할 일이 없기 때문에 보통 조종 실력이 서툴다.[10] 실제로 해군같은 경우에는 이 간부자격시험에 합격하지못하면 아예 배에서 내리지 못한다. 아예 영외 숙소도 주어지지않고, 부대밖을 나갈때도 휴가끼고 나가야한다. 심지어 부사관의 경우 침실도 수병침실에 자리가 있을경우 거기에 넣어버리며 합격해야 간부 침실로 이전된다.[11] 육사, 3사, 같은 대학교 학군단, 학사 등을 똑같이 나온 경우가 그렇다.[12] 단, 독일 육군 기갑병과 베레는 검은색이다.[13] 프랑스군 산악부대의 전통 베레모를 영국군이 기갑부대용으로 적당하게 고친 것이 익히 알려진 형태의 베레모이며, 이것을 다시 똑같이 좁아터진 수송기와 글라이더를 타고 다니던 공수부대가 받아들이고 그게 그대로 특수부대까지 전파된 것이다.[14] 무조건적인 사항은 아니다. 기갑 병과가 기보분대 장갑차장을 맡는 경우도 드물게 있다.[15] 출처[16] 기계화보병/기동부대 및 기갑부대 내에서 ‘보병부대 예하 수색대’의 임무를 수행하는 부대는 지상정찰중대(정찰대)라고 불리며 정보대대 및 정부중대 예하에 별도 편제되어 있다.[17] 기계화보병여단이 아니다.[18] 다만 장갑차 승무원은 아직 모두 간부화 하기엔 인력이 부족해서 일부를 병사에게 맡긴다.[19] 개인화기가 K-5인 경우가 그렇다.[20] 기계화보병사단 정찰대는 대급 규모로 인원이 적고 차량 등 장비가 거의 없다. 1호차 합쳐서 차량이 두 대인 경우도 있다.[21] 신형 차량, 신형 텐트, 신형 방탄헬멧 등[22] 정찰대는 전투 부대라기보다 정보 부대이므로 예외, 다만 침투 및 국지도발 등의 훈련에서 대항군을 전담한다.[23] 굉장히 특수한 경우로 기 투입부대에서 사건사고 발생시 신속히 땜빵 투입되기 딱 좋은 부대다.[24] 때문에 샛길로 우회기동 하기가 어려워서 도로와 다리가 최근에 잘 지어진 곳으로 기동해야 한다. 거기다가 중량물인 전차는 한 번에 한 대씩만 건널수 있다.[25] 이외에도 mlrs나 자주포 견인포에도 이름을 붙인다.[26] 반드시 포신에 적지는 않는다.[27] 대대장 차량 등 대대 지휘차량의 경우 자유롭게 짓는 편.[28] Armored Fighting Vehicle. 장갑을 두른 전투차라는 뜻이며 넓은 의미의 장갑차라고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