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Studio Album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Single ]
- ||<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width=1000> 1980s singles ||<width=85%> Everybody · Burning Up · Physical Attraction · Holiday · Lucky Star · Borderline · Like a Virgin · Material Girl · Crazy for You · Angel · Into the Groove · Dress You Up · Gambler · Live to Tell · Papa Don't Preach · True Blue · Open Your Heart · La Isla Bonita · Who's That Girl · Causing a Commotion · The Look of Love · Spotlight · Like a Prayer · Express Yourself · Cherish · Oh Father · Dear Jessie ||
1990s singles Keep It Together · Vogue · Hanky Panky · Justify My Love · Rescue Me · This Used to Be My Playground · Erotica · Deeper and Deeper · Bad Girl · Fever · Rain · Bye Bye Baby · I'll Remember · Secret · Take a Bow · Bedtime Story · Human Nature · You'll See · One More Chance · Love Don't Live Here Anymore · You Must Love Me · Don't Cry for Me Argentina · Another Suitcase in Another Hall · Frozen · Ray of Light · Drowned World/Substitute for Love · The Power of Good-Bye · Nothing Really Matters · Beautiful Stranger 2000s singles American Pie · Music · Don't Tell Me · What It Feels Like for a Girl · Die Another Day · American Life · Hollywood · Me Against The Music · Nothing Fails · Love Profusion · Hung Up · Sorry · Get Together · Jump · 4 Minutes · Give It 2 Me · Miles Away · Celebration · Revolver 2010s singles Give Me All Your Luvin' · Girl Gone Wild · Masterpiece · Turn Up the Radio · Living for Love · Ghosttown · Bitch I'm Madonna · Hold Tight · Medellín · Crave · I Rise 2020s singles I Don't Search I Find · Levitating (The Blessed Madonna remix) · Frozen (Sickick remixes) · Break My Soul (The Queens remix) · Back That Up to the Beat · Popular · VULGAR
||<-3><table width=7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ff549b><bgcolor=#c6e6fb> 마돈나의 음반 순서 ||
← | 정규 4집 Like A Prayer (1989) | → |
정규 3집 True Blue (1986) | 정규 5집 Erotica (1992) |
<colbgcolor=#c6e6fb><colcolor=#ff549b> Like A Prayer The 4th Studio Album by Madonna | |
아티스트 | |
발매일 | 1989년 3월 21일 |
장르 | 팝 |
길이 | 51:36 |
레이블 | 사이어 레코드,워너 브라더스 레코드 |
프로듀서 | 마돈나, 패트릭 레오나드, 스티븐 브레이, 프린스 |
[clearfix]
1. 개요
마돈나의 네 번째 정규 앨범.2. 상세
마돈나의 황금 같았던 80년대를 화려하게 마무리해준 앨범. 판매량은 떨어졌지만 음악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으며 80년대 최고의 여가수로 자리매김했다. 빌보드 200에서 1위를 차지했고, 총 1500만 장이 팔려나갔다.[1][2]앨범 아트는 롤링 스톤스의 명반 Sticky Fingers에 대한 레퍼런스이며, 토브 로의 Lady Wood의 앨범 아트는 이 앨범 아트에서 따온 것이다.
3. 성적
||<-5><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e400,#b2a529><bgcolor=#fff,#000><color=#b2a529,#fff> ![파일:빌보드 200 로고.svg]()
![파일:빌보드 200 로고 흰색.svg]()
빌보드 200 역대 1위 음반 ||
빌보드 200 역대 1위 음반 ||
Lōc-ed After Dark Tone Lōc | → | Like A Prayer Madonna (6주) | → | The Raw & the Cooked Fine Young Cannibals |
4. 평가
마돈나는 시간이 지날수록 젊은 층에게만 어필하는 건 한계가 있다고 판단했고, 더 많은 리스너들이 들을 수 있는 음악을 하고 싶어 했다.[3] 이렇게 탄생한 것이 Like A Prayer이며, 그전까지도 거대한 상업적 성과는 거두었지만 평론가들의 쓴 소리를 피하지 못했던 마돈나에 대한 평가가 바뀌는 데 성공한 시기이다.[4]앨범 자체의 컨셉, 음악, 뮤직 비디오 등 다양한 부분에서 완벽한 일치를 이루어서, 다양한 예술의 장르를 결합시켜 하나의 '컨셉'으로 제시한다는 평가를 받았다.
5. 싱글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
(1989. 03. 03.) | (1989. 05. 09.) | (1989. 08. 01.) | (1989. 10. 24.) | (1989. 12. 04.) |
||<-4><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6e6fb><bgcolor=#c6e6fb><color=#ff549b> 싱글 차트인 목록 ||
<rowcolor=#ff549b> 곡명 | US Hot 100 | US Dance | UK |
Like A Prayer | 1 | 1 | 1 |
Express Yourself | 2 | 1 | 5 |
Cherish | 2 | ㅡ | 3 |
Oh Father | 20 | ㅡ | ㅡ |
Dear Jessie | ㅡ | ㅡ | 5 |
Keep It Together | 8 | 1 | ㅡ |
6. 트랙리스트
||<-5><table width=10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c6e6fb><bgcolor=#c6e6fb><color=#ff549b> Like A Prayer ||
<rowcolor=#ff549b> 트랙 | 곡명 | 작사/작곡 | 프로듀싱 | 길이 |
1 | Single Like A Prayer | Madonna, Patrick Leonard | 05:41 | |
2 | Single Express Yourself | Madonna, Stephen Bray | 04:39 | |
3 | Love Song | Madonna, Prince | 04:52 | |
4 | Till Death Do Us Part | Madonna, Patrick Leonard | 05:16 | |
5 | Promise to Try | 03:36 | ||
6 | Single Cherish | 05:03 | ||
7 | Single Dear Jessie | 04:20 | ||
8 | Single Oh Father | 04:57 | ||
9 | Single Keep It Together | Madonna, Stephen Bray | 05:03 | |
10 | Spanish Eyes | Madonna, Patrick Leonard | 05:15 | |
11 | Act of Contrition | 02:19 |
6.1. Like a Prayer
Like A Prayer 의 주요 수상 및 기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빌보드 핫 100 역대 1위 | ||||||||||
She Drives Me Crazy Fine Young Cannibals | → | Like A Prayer Madonna (3주) | → | I'll Be There for You 'Bon Jovi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18904><tablebgcolor=#fff,#191919><#b18904> ||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10년 306위 ||
}}} |
Like a Prayer |
마돈나 최고의 명곡으로 불리는 곡. ‘Vogue’나 ‘Like a Virgin’이 마돈나의 팝스타로서의 상업적인 모습을 대변하는 곡이라면, 이 곡은 마돈나의 음악적 재능과 창의성의 정점을 보여주는 곡이다. 가스펠과 락, 펑크(Funk) 음악을 결합했으며, 일반적인 팝 음악과는 달리 비슷한 멜로디를 계속 변주하면서 분위기가 계속해서 전환되는, 한 편의 영화를 보는 듯한 극적인 구성을 취했다. 덕분에 러닝타임이 5분 41초나 되는 대곡이다. 기존 마돈나의 가볍고 상업적인 노래들에 비해 음악적으로 더 성숙하고 깊이 있어진 곡이라고 볼 수 있다.
가사는 마돈나 본인의 가톨릭 신앙을 사랑이라는 주제 안에 담아냈다. 대히트를 거두었으나 뮤직비디오에서 무려 기독교 국가인 미국에서 십자가에 불을 지르거나 흑인 예수와 사랑을 나누는 등의
6.2. Express Yourself
Express Yourself |
너 자신 그대로 표현하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곡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다. 후에 레이디 가가의 Born This Way가 이 곡을 표절했다는 논란이 터지기도 했다. 이후 마돈나는 투어에서 이 곡을 부를 때 Born This Way와 본인의 곡 She's Not Me(…)를 매시업하는 패기를 보여주었다.[5]
6.3. Love Song
Love Song |
6.4. Till Death Do Us Part
Till Death Do Us Part |
6.5. Promise to Try
Promise to Try |
6.6. Cherish
Cherish |
6.7. Dear Jessie
Dear Jessie |
6.8. Oh Father
Oh Father |
뮤직비디오가 그래미 어워드의 Best Music Video Short Form 부문에 노미네이션 되었다.
6.9. Keep It Together
Keep It Together |
6.10. Spanish Eyes
Spanish Eyes |
6.11. Act of Contrition
Act of Contrition |
앨범의 에필로그에 해당하는 짤막한 음원. Like A Prayer의 일부분을 역재생할 샘플 음원에 맞춰 기독교에서 쓰는 통회 기도문을 읊는데, '죄를 짓지 않기로 굳게 다짐하오니'(resolve)에서 머뭇거리다가 엉뚱한 말로 넘어가버린다. 마돈나는 이 기도가 마음에 드는 것인지 훗날 Girl Gone Wild에서도 이 기도문을 인용했다.
7. 주요 공연
MTV VMA의 Vogue 공연 |
MTV VMA의 Express Yourself 공연 |
[1] 80년대 여자가수로서 절대로 낮은 음반 판매량이 아니다. 당시에 1000만 장 이상이나 판 여자가수들은 휘트니 휴스턴, 자넷 잭슨, 트레이시 채프먼, 폴라 압둘,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엔야, 티나 터너뿐이었고, 15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한 여자 가수들은 휘트니 휴스턴과 트레이시 채프먼뿐이었다.다만 마돈나 치고 낮을 뿐[2] 당시 이 명반을 외면한 그래미도 당시에 욕을 좀 먹었다.[3] 그녀의 라이벌로 불려왔던 신디 로퍼는 여전히 대중성과 예술성에서 중간을 못 잡고 있다가 결국 인기가 떨어지기 시작했고, 그로 인해 소속사와 큰 갈등을 빚으며 활동량도 줄어들기 시작했다. 그래도 마돈나는 작곡가, 사회운동가로서 활동하며 비록 다소 굴곡이 있었지만 새로운 커리어를 잘 만들어가는 중.[4] 다만 그 무시 받았던 전작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문화적 파급력을 인정받아 재평가 받기 시작했다. 특히 가장 혹평받았던 2집 Like A Virgin이, 지금은 대중문화, 음악시장, 페미니즘 분야에서 무조건 언급되는 제일 중요한 앨범이 됐다.[5] 원래 이런 분이다.옛날 전성기 때 성깔 생각하면 이 정도면 애교지... 그리고 이후에 레이디 가가와 사이가 틀어지진커녕, 아직도 둘이 붙어다닐 정도로 사이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