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2:58:54

파리 생제르맹 FC/2024-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파리 생제르맹 FC/역사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파리 생제르맹 FC/2024-25 시즌/리그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51e2d,#dddddd
<colbgcolor=#0b3b6a> 개요 <colbgcolor=#ed1c24> 산하 축구단 파리 생제르맹 FC파리 생제르맹 FC 페미닌PSG 아카데미
선수단 스쿼드스쿼드(간략)페미닌(간략)임대 선수 명단
스태프 보드진 및 스태프
기타 스포츠 PSG 핸드볼PSG 쥬도|PSG 복싱 해체|PSG 럭비 리그 해체
Esports PSG Talon(LoL) 종료PSG Talon(R6)
역사와 문화 역사 역사역대 유니폼역대 엠블럼역대 성적역대 감독 /통계 초대~
주요 인물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구단주루이스 엔리케 감독역대 회장
역대 시즌
(2010-11~)
2010-112011-122012-132013-142014-152015-162016-172017-182018-192019-202020-21 /리그2021-22 /리그2022-23 /리그2023-24 /리그2024-25 /리그2025-26 /리그
문화 응원가
관련 상식 더비 매치 파일:올랭피크 드 마르세유 로고.svg 르 클라시크
그 외 재정스폰서
구단 시설 경기장 파르크 데 프랭스스타드 조르주 르페브르
기타 경기장 스타드 장부앵|스타드 샤를레티|스타드 피에르 드 쿠베르탱
종합 훈련 시설 캄 데 로주|파리 생제르맹 트레이닝 센터
기타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나이키 키트 스폰서파일:Qatar Airways logo white.png 카타르항공 메인 스폰서파일:파리 FC 로고.svg 파리 FCMNM
}}}}}}}}}}}}}}} ||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 ||
2023-24 시즌 2024-25 시즌 2025-26 시즌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단장 루이스 캄포스
(Luis Campos)
감독 루이스 엔리케
(Luis Enrique)
수석코치 라펠 폴
(Rafel Pol)
주장 마르퀴뇨스
(Marquinhos)
부주장 프레스넬 킴펨베 (Presnel Kimpembe)
아슈라프 하키미 (Achraf Hakimi)
잔루이지 돈나룸마 (Gianluigi Donnarumma)
경과
(L1 20R / UCL MD 8 / CDF 16강 기준)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1위 / 20R
(20전 15승 5무 0패 54득점 19실점 +35)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녹아웃 플레이오프 진출 / 15위
(8전 4승 1무 3패 14득점 9실점 +5)
파일:Coupe de France 2021 logo.png 8강 진출
(2전 2승 0무 0패 5득점 3실점 0)
파일:트로페 데 샹피옹 로고(2024).svg 우승
(1전 1승 0패 1득점 0실점 +1)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로고.png 조별리그 진출 / 그룹 B -위
(0전 0승 0무 0패 0득점 0실점 +)
합산 성적 승률 71.88%
32전 23승 6무 3패 76득점 31실점 +45
최다 득점 우스만 뎀벨레 (18득점)
최다 도움 주앙 네베스 (6도움)
최다 출장 이강인, 브래들리 바르콜라 (32경기)

1. 개요2. 유니폼
2.1. 부착 패치
3. 스태프4. 스쿼드
4.1. 1군 스쿼드
4.1.1. 주장단4.1.2. 등번호 변동4.1.3. 리그 통계
4.1.3.1. 득점 순위4.1.3.2. 도움 순위4.1.3.3. 경고 횟수
4.2. 2군 스쿼드4.3. 임대 선수 명단4.4. 국가대표팀 차출 선수 목록
5. 이적시장
5.1. 스태프5.2. 여름 이적시장
5.2.1. 이적설
5.2.1.1. 영입설5.2.1.2. 방출설
5.2.2. 여름 이적 시장 총평
5.3. 겨울 이적시장
5.3.1. 이적설
5.3.1.1. 영입설5.3.1.2. 방출설
5.3.2. 겨울 이적 시장 총평
6. 프리 시즌
6.1. VS 슈투름 그라츠 (원정, 2:2 무)6.2. VS RB 라이프치히 (원정, 1:1 무)
7. 정규 시즌
7.1. 리그 17.2. 파일:Coupe de France 2021 logo.png 쿠프 드 프랑스
7.2.1. 64강 vs RC 랑스 (원정, 1 (3 PSO 4) 1 승)7.2.2. 32강 vs FC 에스팔리 (원정, 2:4 승)7.2.3. 16강 vs 르망 FC (원정, 0:2 승)7.2.4. 8강 vs 미정 (미정, -:- )
7.3. 파일:트로페 데 샹피옹 로고(2024).svg 트로페 데 샹피옹
7.3.1. 결승전 VS AS 모나코 FC (중립, 1:0 승)
7.4.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 UEFA 챔피언스 리그
7.4.1. 리그 페이즈
7.4.1.1. MD1 vs 지로나 FC (홈, 1:0 승)7.4.1.2. MD2 vs 아스날 FC (원정, 2:0 패)7.4.1.3. MD3 vs PSV 에인트호번 (홈, 1:1 무)7.4.1.4. MD4 vs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홈, 1:2 패)7.4.1.5. MD5 vs FC 바이에른 뮌헨 (원정, 1:0 패)7.4.1.6. MD6 vs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원정, 0:3 승)7.4.1.7. MD7 vs 맨체스터 시티 FC (홈, 4:2 승)7.4.1.8. MD8 vs VfB 슈투트가르트 (원정, 1:4 승)
7.5. 녹아웃 PO vs 브레스트
7.5.1. 1차전 (원정, -:-)7.5.2. 2차전 (홈, -:-)
7.6.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로고.png 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7.6.1. 그룹 스테이지
7.6.1.1. 1차전 vs AT 마드리드 (중립, -:-)7.6.1.2. 2차전 vs 보타포구 (중립, -:-)7.6.1.3. 3차전 vs 시애틀 (원정, -:-)
8. 시즌 총평
8.1. 전반기8.2. 후반기

[clearfix]

1. 개요

파리 생제르맹 FC의 2024-25 시즌의 관한 문서이다.

2. 유니폼

{{{#!wiki style="margin: -16px -11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유니폼
파일:psg24251.png 파일:psg24252.png 파일:psg24253.png 파일:psg24254.png 파일:psg24255.png 파일:psg24256.png
HOME AWAY THIRD FOURTH GK Nike GK Jordan
}}} ||
<rowcolor=#fff> 유니폼 메이커 메인 스폰서 슬리브 스폰서
파일:나이키 로고.svg 파일:qatar-airways.png 파일:goat_group_logo.png

2.1. 부착 패치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부착 패치
파일:PSG_24-25 Ligue 1.png
리그 1 우승 기념 배지

3. 스태프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
{{{#!wiki style="margin:0 -12px -3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45%"
{{{#fff {{{#!folding [ 보드진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ed1c24><colcolor=#fff> 회장<colbgcolor=#fff,#1c1d1f><colcolor=#000,#fff> 파일:카타르 국기.svg 나세르 알 켈라이피 (Nasser Al-Khelaïfi)
사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장클로드 블랑 (Jean-Claude Blanc)
사무총장 파일:프랑스 국기.svg 빅토리아노 멜레로 (Victoriano Melero)[1]
전무이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안젤로 카스텔라치 (Angelo Castellazzi)
단장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루이스 캄포스 (Luis Campos)
}}}}}}}}}}}}
{{{#!folding [ 코치진 ]
}}} ||

4. 스쿼드

4.1. 1군 스쿼드

{{{#fff,#ddd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151e2d,#dddddd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스쿼드
파일:PSG_2024-25_01.png 파일:PSG_2024-25_02.png 파일:PSG_2024-25_03.png 파일:PSG_2024-25_05.png 파일:PSG_2024-25_07(임시).png
1
VC
<rowcolor=#fff> 2
VC
3
VC
5
C
7
잔루이지 돈나룸마
Gianluigi Donnarumma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999.02.25
2021~2026
아슈라프 하키미
Achraf Hakimi
파일:모로코 국기.svg | DF
1998.11.04
2021~2029
프레스넬 킴펨베
Presnel Kimpembe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5.08.13
2015~2026
마르키뉴스
Marquinhos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1994.05.14
2013~2028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Khvicha Kvaratskhelia
파일:조지아 국기.svg | FW
2001.02.12
2025~2029
파일:PSG_2024-25_08.png 파일:PSG_2024-25_09.png 파일:PSG_2024-25_10.png 파일:PSG_2024-25_14.png 파일:PSG_2024-25_17.png
<rowcolor=#fff> 8 9 10 14 17
파비안 루이스
Fabian Ruiz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1996.04.03
2022~2027
곤살루 하무스
Gonçalo Ramo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FW
2001.6.20
2023~2029
우스만 뎀벨레
Ousmane Dembél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7.05.15
2023~2028
데지레 두에
Désiré Doué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5.06.03
2024~2029
비티냐
Vitinha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2000.02.13
2022~2029
파일:PSG_2024-25_19.png 파일:PSG_2024-25_21.png 파일:PSG_2024-25_24.png 파일:PSG_2024-25_25.png 파일:PSG_2024-25_29.png
<rowcolor=#fff> 19 21 24 25 29
이강인
Lee Kang-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1.02.19
2023~2028
뤼카 에르난데스
Lucas Hérnandez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1996.02.14
2023~2027
세니 마율루
Senny Mayulu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6.05.17
2024~2027
누누 멘데스
Nuno Mend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2002.06.19
2021~2026
브래들리 바르콜라
Bradley Barcola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2.09.2
2023~2028
파일:PSG_2024-25_33.png 파일:PSG_2024-25_35.png 파일:PSG_2024-25_39.png 파일:PSG_2024-25_42.png 파일:PSG_2024-25_45(임시).png
<rowcolor=#fff> 33 35 39 42 45
워렌 자이르에메리
Warren Zaïre-Emery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2006.03.08
2022~2029
루카스 베랄두
Lucas Beraldo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2003.11.24
2024~2029
마트베이 사포노프
Matvei Safonov
파일:러시아 국기.svg | GK
1999.02.25
2024~2029
요람 자그
Yoram Zague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6.05.15
2024~2028
나우펠 엘 하나스[U-19]
Naoufel El Hannach
파일:모로코 국기.svg | DF
2006.12.07
2023~2026
파일:Paris SG_48.png 파일:PSG_2024-25_49(임시).png 파일:PSG_2024-25_51.png 파일:Paris SG_70.png 파일:PSG_2024-25_80.png
<rowcolor=#fff> 48 49 51 70 80
악셀 타페[U-19]
Axel Tape
파일:프랑스 국기.svg | DF
2007.08.10
2020~2025
이브라힘 음바예[U-19]
Ibrahim Mbaye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8.01.24
2024~2026
윌리안 파초
Willian Pacho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DF
2001.10.16
2024~2029
루이 무케[U-19]
Louis Mouquet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GK
2004.07.21
2022~2025
아르나우 테나스
Arnau Tenas
파일:스페인 국기.svg | GK
2001.05.30
2023~2026
파일:PSG_2024-25_87.pn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rowcolor=#fff> 87
주앙 네베스
Joao Nev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2004.09.27
2024~2029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임대 선수
파일:80993(22-23)(IG).jpg 파일:hero_22-23-renato.png 파일:PSG_20.png 파일:1000003972.png 파일:PSG_26.png
'''
46
'''
85 19 16 23
일리에스 우스니
Ilyes Housni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005.03.14
2023~?
파일:르아브르 AC 로고.svg ~2025.06.30
헤나투 산체스
Renato Sanches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1997.08.18
2022~2027
파일:SL 벤피카 로고.svg ~2025.06.30
가브리에우 모스카르두
Gabriel Moscardo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2005.09.28
2024~2028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svg ~2025.06.30
루카스 라발레
Lucas lavallee
파일:프랑스 국기.svg | GK
2003.02.18
2022~?
파일:오바뉴 FC 로고.svg ~2025.06.30
노르디 무키엘레
Nordi Mukiele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997.11.01
2023~2027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2025.06.30
파일:PSG_28.png 파일:PSG_2024-25_23.png 파일:PSG_2024-25_37.png 파일:PSG_2024-25_11.pn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4
20
37 21 -
카를로스 솔레르
Carlos Soler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1997.1.2
2022~2027
파일: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2025.06.30
랑달 콜로 무아니
Randal Kolo Muani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998.12.05
2023~2028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화이트).svg ~2025.06.30
밀란 슈크리니아르
Milan Škriniar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 DF
1995.02.11
2023~2028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2025.06.30
마르코 아센시오
Marco Asensio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1996.01.21
2023~2028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2025.06.30
구단 정보
회장: 나세르 알 켈라이피 · 단장: 루이스 캄포스 · 감독: 루이스 엔리케 · 구장: 파르크 데 프랭스
출처: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PSG 공식 웹사이트 · 파일:리그 1 맥도날드 로고(화이트).svg 리그 1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 2025년 2월 5일
* 본 문서를 간략화한 것입니다.
[U-19] U-19와 동행.[U-19] U-19와 동행.[U-19] U-19와 동행.[U-19] U-19와 동행.
}}}}}}}}}}}}}}}}}} ||

※ 주의: 기기 환경에 따라 펼칠 시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4.1.1. 주장단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주장단
파일:Paris SG_05.png
파일:Paris SG_03.png
파일:Paris SG_02.png
파일:Paris SG_01.png
마르퀴뇨스 (C) 프레스넬 킴펨베 (VC) 아슈라프 하키미 (VC) 잔루이지 돈나룸마 (VC)

4.1.2. 등번호 변동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등번호 변동
이름 기존 등번호 변경 등번호 과거 변경 등번호 소유 선수
(2023-24 시즌)

[[프랑스|]][[틀:국기|]][[틀:국기|]]세니 마율루
41 24 -

[[이탈리아|]][[틀:국기|]][[틀:국기|]]잔루이지 돈나룸마
99 1
[[코스타리카|]][[틀:국기|]][[틀:국기|]]케일러 나바스

[[프랑스|]][[틀:국기|]][[틀:국기|]]데지레 두에
- 14 -

[[러시아|]][[틀:국기|]][[틀:국기|]]마트베이 사포노프
- 39 -

[[에콰도르|]][[틀:국기|]][[틀:국기|]]윌리안 파초
- 51 -

[[포르투갈|]][[틀:국기|]][[틀:국기|]]주앙 네베스
- 87 -

[[브라질|]][[틀:국기|]][[틀:국기|]]가브리에우 모스카르두
- 20 -

[[조지아|]][[틀:국기|]][[틀:국기|]]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 7
[[프랑스|]][[틀:국기|]][[틀:국기|]]킬리안 음바페

4.1.3. 리그 통계

리그 1 20라운드 기준 (2025년 2월 2일, 리그 1 공식 사이트[1] 기록 기준, 리그 1 이외 타 대회 제외.)
4.1.3.1. 득점 순위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득점 순위 파일:L1_득점순위_1위_배지.png
All Goal PK
1 우스만 뎀벨레 14 0
2 브래들리 바르콜라 11 1
3 이강인 6 0
4 곤살루 하무스 4 0
5 비티냐 3 2
6 마르코 아센시오 2 0
주앙 네베스 0
아슈라프 하키미 0
랑달 콜로 무아니 1
파비안 루이스 0
11 데지레 두에 1 0
세니 마율루 0
루카스 베랄두 0
워렌 자이르에메리 0
4.1.3.2. 도움 순위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도움 순위 파일:L1_도움순위_1위_배지.png
1 주앙 네베스 6
2 마르코 아센시오 5
아슈라프 하키미
4 우스만 뎀벨레 4
5 브래들리 바르콜라 3
6 곤살루 하무스 2
데지레 두에
이강인
9 랑달 콜로 무아니 1
누누 멘데스
파비안 루이스
윌리안 파초
4.1.3.3. 경고 횟수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경고 횟수
1 루카스 베랄두 5 0
2 마르퀴뇨스 3 0
3 우스만 뎀벨레 2 0
워렌 자이르에메리
아슈라프 하키미
윌리안 파초
잔루이지 돈나룸마
8
이강인 1 0
브래들리 바르콜라
루카스 에르난데스
밀란 슈크리니아르
누누 멘데스
세니 마율루
비티냐

4.2. 2군 스쿼드


4.3. 임대 선수 명단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임대 선수 명단
<rowcolor=#fff> 국적 포지션 등번호 선수명 임대된 구단 임대 기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MF 85 헤나투 산체스 (Renato Sanches) 파일:SL 벤피카 로고.svg SL 벤피카 2024.08.06 ~ 2025.06.30
파일:프랑스 국기.svg GK 16 루카스 라발레 (locas lavallee) 파일:오바뉴 FC 로고.svg 오바뉴 FC 2024.08.21 ~ 2025.06.30
파일:브라질 국기.svg MF 19 가브리에우 모스카르두 (Gabriel Moscardo)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svg 스타드 드 랭스 2024.08.21 ~ 2025.06.30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46 일리에스 우스니 (Ilyes Housni) 파일:르아브르 AC 로고.svg 르아브르 AC 2024.08.28 ~ 2025.06.30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23 노르디 무키엘레 (Nordi Mukiele)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바이어 04 레버쿠젠 2024.08.29 ~ 2025.06.30
파일:스페인 국기.svg MF 4 카를로스 솔레르 (Carlos Soler) 파일: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24.08.31 ~ 2025.06.30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20 랑달 콜로 무아니 (Randal Kolo Muani)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화이트).svg 유벤투스 FC 2025.01.23 ~ 2025.06.30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DF 37 밀란 슈크리니아르 (Milan Škriniar)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페네르바흐체 SK 2025.01.30 ~ 2025.06.30
파일:스페인 국기.svg FW 21 마르코 아센시오 (Marco Asensio)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아스톤 빌라 FC 2025.00.00~ 2025.06.30
}}}}}}}}} ||

4.4. 국가대표팀 차출 선수 목록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2024년 10월
A매치 주간 차출 선수
목록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리 생제르맹 FC 2024년 10월 A매치 주간 차출 선수 목록 및 성과
(2024년 10월 10일 ~ 10월 15일)
파일:PSG_33.png
파일:PSG_29.png
파일:PSG_10.png
파일:PSG_23.png
파일:PSG_01.png
18 20 11 → 7 12 1
워렌 자이르에메리
파일:프랑스 국기.svg | MF
1교체 0골 0도움
브래들리 바르콜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1선발 1교체 1골 0도움
우스만 뎀벨레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선발 0골 0도움
랑달 콜로 무아니
파일:프랑스 국기.svg | FW
2선발 2골 1도움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GK
1선발 2실점
파일:PSG_25.png
파일:PSG_87.png
파일:PSG_17.png
파일:PSG_08.png
파일:PSG_37.png
19 15 23 8 14
누누 멘데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DF
2선발 0골 0도움
주앙 네베스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0경기 0골 0도움
비티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MF
2선발 0골 0도움
파비안 루이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 MF
1선발 0골 0도움
밀란 슈크리니아르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 DF
2선발 0골 0도움
파일:PSG_02.png
파일:PSG_05.png
파일:PSG_35.png
파일:PSG_51.png
파일:PSG_19.png
2 4 17 6
18
아슈라프 하키미
파일:모로코 국기.svg | DF
2선발 0골 0도움
마르키뉴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2선발 0골 0도움
루카스 베랄두
파일:브라질 국기.svg | DF
2선발 0골 0도움
윌리안 파초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DF
2선발 0골 0도움
이강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선발 0골 0도움
파일:PSG_24.png
파일:PSG_42.png
파일:PSG_49.pn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19 15 23 - -
세니 마율루
파일:프랑스 국기.svg(U-20) | MF
2선발 0골 0도움
요람 자그
파일:프랑스 국기.svg(U-19) | DF
2선발 0골 0도움
이브라힘 음바예
파일:프랑스 국기.svg(U-17) | FW
2선발 0골 0도움
}}}}}}}}} ||

5. 이적시장

  • 영입설, 방출설 선수 등재시 주의할 점.
    • 영입, 방출이 가능한 선수는 [영입설], [방출설] 로 표기한다. [2]
    • 영입, 방출이 유력한 선수는 [영입 유력], [방출 유력] 으로 표기한다. [3]
    • 영입, 방출이 확정된 선수는 [영입 완료], [방출 완료] 로 표기한다. [4]
    • 영입, 방출이 무산된 선수는 [영입 무산], [방출 무산] 으로 표기한다.
  • 화폐단위는 유로(€).

5.1. 스태프

5.2. 여름 이적시장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여름 영입
<rowcolor=#fff> 이전 소속 국적 이름 포지션 이적료
파일:SC 코린치안스 로고.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가브리에우 모스카르두 (Gabriel Moscardo) MF €20m+€2m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U-19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니 마율루(Senny Mayulu) MF 프로 계약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트베이 사포노프(Matvei Safonov) GK €20.0m
파일:SL 벤피카 로고.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주앙 네베스(João Neves) MF €59.9m+10m
파일: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로고.svg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윌리안 파초(Willian Pacho) DF €45m
파일:스타드 렌 FC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데지레 두에(Désiré Doué) MF €60m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여름 방출
<rowcolor=#fff> 이적 구단 국적 이름 포지션 이적료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킬리안 음바페(Kylian Mbappe) FW FA
파일:LOSC 릴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에단 음바페(Ethan Mbappe) MF FA
파일:FC 안시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노아 르미나(Noha Lemina) MF €60m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사비 시몬스 (Xavi Simons) MF 임대
이적
파일:SL 벤피카 로고.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헤나투 산체스(Renato Sanches) MF 임대
이적
파일:베식타스 JK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셰르 은두르(Cher Ndour) MF 임대
이적
파일:오바뉴 FC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루카스 라발레 (lucas lavallee) GK 임대
이적
파일:스타드 드 랭스 로고.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가브리에우 모스카르두 (Gabriel Moscardo) MF 임대
이적
파일:르아브르 AC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일리에스 우스니 (Ilyes Housni) FW 임대
이적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노르디 무키엘레 (Nordi Mukiele) DF 임대
이적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후안 베르나트 (Juan Bernat) DF 임대
이적
파일: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마누엘 우가르테 (Manuel Ugarte) MF €50m+€10m
파일: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로고.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카를로스 솔레르 (Carlos Soler) MF 임대
이적
파일:알 이티하드 FC 엠블럼.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다닐루 페레이라 (Danilo Pereira) DF €5m
파일:K 베이르스홋 VA 로고.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콜린 다그바 (Colin Dagba) DF FA

5.2.1. 이적설

5.2.1.1. 영입설
GK
  • [영입 완료] 마트베이 사포노프 from FC 크라스노다르
    메디컬 테스트도 통과해 문제가 없을 줄 알았으나, 사포노프가 자신의 전 부인에게 9억원의 위자료를 빚지고 이로 인해 이동에 제한이 생기면서 무산될 위기에 놓여있다. 하지만 문제 없이 이적이 15일자로 완료되며 5년 간 계약이 체결 되었다. 등번호 39번을 부여받았다.

DF
  • [영입 완료] 윌리안 파초 from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
    2024년 8월 5일, 파리 생제르맹과 링크가 났다. 예상 이적료는 €40M. 이후 로마노에 따르면, PSG와 프랑크푸르트 사이 €40m+@로 합의를 봤다고 하며, 파초 역시 개인 합의를 완료했다고 한다. 또한 현재 프랑크푸르트와 지불 구조에 대해 협상 중이라고 하며, 파초는 메디컬을 위해 파리로 떠났다고 한다. 2024년 8월 9일, PSG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적을 발표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9년까지이며, 등번호는 51번이다. 이적료는 €45M.
  • [영입 무산] 에드몽 탑소바 from 바이어 04 레버쿠젠
    레니 요로의 영입에서 다른 구단들에게 밀리자 차선책으로 영입하기 위해 탑소바의 에이전트와 접촉했고 다행히 PSG로의 이적에 호의적이었다고 한다. 탑소바의 이적료는 8000만 유로에 달하지만 그 정도 금액은 PSG 측에서 감당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영입 무산] 토마스 아라우주 from SL 벤피카
    SL 벤피카에서 뛰고 있는 2002년생 센터백 자원이다. 밀란 슈크리니아르의 방출을 고려하고 있는 파리는 얇아진 센터백 뎁스 자원으로 이 선수를 영입하고 싶어 한다. 첼시 FC도 동시에 이 선수를 노리고 있지만, 벤피카는 팔지 않는다는 NFS 스탠스를 유지하고 있다.

MF
* [영입 완료] 주앙 네베스 from SL 벤피카
중원 보강을 하려는 루이스 엔리케 감독의 방향성에 따라 예의주시 중인 선수로 보인다. 네베스는 PSG 뿐 아니라 맨유, 리버풀, 아스날 등 프리미어 리그 구단들의 관심도 받고 있다. 하지만 벤피카 측에선 1억 2000만 유로의 부담스러운 금액을 책정하며 급하게 팔 생각이 없음을 드러내고 있었지만 파브리시오 로마노 기자는 "네베스는 PSG 선수가 될 것이다. 다음 주에 계약을 마무리하려는 계획이 명확하다"고 보도했다. 8월 5일, 오피셜이 뜨면서 영입이 마무리 되었다. 이적료는 70m에 헤나투 산체스를 더했다고 알려졌다.

* [영입 완료] 데지레 두에 from 스타드 렌 FC
2005년생 리그앙 스타드 렌에서 준수한 활약을 보여준 유망주다. PSG Actualities, 파브리스 호킨스에 따르면 영입을 갈망하고 있다고 한다. 8월 17일, 오피셜이 뜨면서 이적료 60m에 영입이 마무리 되었다.
  • [영입 무산] 라얀 셰르키 from 올랭피크 리옹
    리옹에서 17골 24도움을 기록한 미드필더로 계약 기간이 1년 밖에 남지 않아서 다른 구단으로의 이적을 희망하고 있다고 한다. 현재 리버풀, 토트넘이 영입에 참여한 상태다. 6월 20일, 레퀴프와 파브리지오 로마노의 보도에 따르면 파리 생제르맹 FC가 15+3M 유로의 가격으로 첫 오퍼를 하기도 하였다.
  • [영입 무산] 브루노 기마랑이스 from 뉴캐슬 유나이티드 FC
    마누엘 우가르테, 다닐루 페레이라를 방출할 계획이기 때문에 대체할 주전 선수를 영입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저번 시즌부터 눈 여겨 봤지만 기마랑이스는 뉴캐슬의 핵심 주전이기 때문에 영입이 이뤄질 가능성은 낮다.

FW
  • [영입 무산] 빅터 오시멘 from SSC 나폴리
    PSG와도 이적설로 연결 되었던 선수였다. 그런데 6월 10일자로 첼시와 아스날이 돌연 영입을 철회하면서 PSG 측에 이적이 가까워졌다. 뿐만 아니라 나폴리 회장이 직접 PSG 회장과 만나 설득했단 소식까지 나오면서 영입이 굉장히 유리해졌다. 이적료는 1790억으로 비싼 편이며 이적이 이뤄질 시, PSG는 카를로스 솔레르, 루카스 베랄두, 마르코 아센시오, 이강인 등 4명 중 1명이나 2명을 스왑딜을 시도하며 가격을 낮출 계획이라고 한다. 하지만 비싼 이적료가 발목을 잡은데다 최근엔 사우디의 알 아흘리에서 오시멘의 1777억의 바이 아웃 발동을 준비할 계획이라고 해 이것도 무산될 가능성이 높다.
  • [영입 무산] 루이스 디아스 from 리버풀 FC
    이번 보도에 따르면 PSG측에서 디아스를 영입하기 위해 FC 바르셀로나와 치열하게 경쟁 중이라고 한다. PSG는 디아스의 이적을 위해 7500만 유로(1112억 원)의 이적료를 지불할 의향이 있다고 한다.
  • [영입 무산] 베르나르두 실바 from 맨체스터 시티 FC
    이적에 실제로 가까웠지만 리야드 마레즈가 사우디 리그로 향하면서 펩 과르디올라 감독이 베실바의 이적을 불허하며 없던 일이 되었는줄 알았지만 베실바가 맨시티 측에 여름에 구단을 떠나겠다는 통보를 하며 다시 그의 이적에 가능성이 생겨났다.
  • [영입 무산]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from 레알 마드리드 CF
    음바페를 레알 마드리드에 빼앗겼다고 생각하는 PSG 측에서 뜬금없이 비니시우스로 음바페의 자리를 대체하려고 3억 유로(4460억 원)의 이적료를 지출할 계획이 있다고 한다. 하지만 레알 마드리드의 확고한 에이스인데다 선수 본인도 PSG로 갈 의사가 없기 때문에 이것도 그냥 가능성이 낮다.
  • [영입 무산]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from SSC 나폴리
    SSC 나폴리에서 활약한 30년 만에 구단에 스쿠데토를 안겨줬던 주역이다. 하지만 저번 시즌에서 나폴리 구단이 극도의 부진에 빠지자 흐비차는 이적을 결심 했고 합의에 도달 했지만 구단인 나폴리와 후임 감독인 안토니오 콘테가 판매 불가를 선언해 난관에 봉착한 상태다. 결국 11일자로 1633억의 이적 제안도 나폴리에게 거절 당하며 영입을 포기하기로 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 후로도 계속해서 흐비차가 나폴리를 떠나고 싶어하는 기사가 나오고 있다. 하지만 나폴리에서 원래 제시한 것의 2배를 주지 않으면 거래를 시도조차 하지 않겠다는 강경한 입장을 비치고 재계약 의사를 강하게 드러내는만큼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 [영입 무산] 킹슬리 코망 from 바이에른 뮌헨
    PSG는 올 여름 떠나는 코망의 복귀에 관심이 있으며 바이에른 뮌헨은 744억의 이적료를 원한다는 뜻을 밝혔다. 거의 모든 이적설이 빠그라지면서 최후에선 코망까지 영입 시킬려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4000만 유로는 절대 적지 않은 금액이며 뮌헨의 높은 이적료를 지불해야만 영입할 수 있다.
  • [영입 무산] 마커스 래시포드 from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래시포드 측에서 자신의 맨유의 팀 내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외부로 이적설을 퍼뜨린 것으로 처음부터 PSG는 래시포드의 이적에 대해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하지만 정말 골 때리게도 27일자로 래시포드의 영입을 재추진 중에 있다고 한다. 킹슬리 코망의 영입마저 실패한 것으로 보여 마지못해 영입 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5.2.1.2. 방출설
GK
DF
  • [방출 완료] 노르디 무키엘레 to 바이어 04 레버쿠젠 임대 이적
    백업 자원으로 주로 활용 되었고 선수 본인도 바이에른 뮌헨 이적을 희망을 했지만, 뮌헨은 사샤 보이의 영입을 확정 지으며 무키엘레의 영입을 철회했다. 결국 잔류하게 되는 가닥으로 잡혔지만 PSG 측은 기회가 되는데로 방출 시킬 계획이다. 한국시간 8월 28일 새벽 2시쯤 파브리지오 로마노가 HERE WE GO 를 띄우면서 레버쿠젠으로의 이적이 확실시 되었다. 2024년 8월 29일, 바이어 04 레버쿠젠으로 임대 이적했다.
  • [방출 무산] 밀란 슈크리니아르
    지난 시즌 영입되었지만, 루초볼에 적합한 스타일이 아니기에 센터백 뎁스가 얇아질 것이라는 예상에도 불구하고 방출될 것이라는 얘기가 있다. 여름 이적시장이 닫히기 직전인 8월 말에 사우디의 알 나스르가 관심을 보였고, 클럽 간 이적 협의는 완료되었지만, 선수와의 이적 합의가 남아있다. 8월 27일 로마노에 따르면 알 나스르가 공식적으로 슈크리니아르에게 개인 협상을 시작했다고 한다.

MF
  • [방출 완료] 에단 음바페 to LOSC 릴 이적
    PSG에서 유소년 아카데미를 졸업한 이후에 1군 경기에 5회 출전했지만 구단의 기준에 맞추는 수준은 아니었다. 더군다나 형인 킬리안 음바페마저 레알 마드리드로 떠나면서 본인 또한 남아있을 이유가 없어졌다. 차기 행선지는 이 유력하며 이미 메디컬 테스트까지 마친 상태라고 한다. 이후 릴이 영전에서 물러났다고 하였으나,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PSG를 떠난다는 말을 함으로써 방출이 확정되었다.
  • [방출 완료] 마누엘 우가르테 to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이적
    PSG로의 이적 후, 개막 후 초반 몇 경기 동안은 뛰어난 능력을 보였지만 발밑 능력이 부족한 점과 빌드업 과정에서 실수가 잦아지며 경기력이 아쉽단 평가를 받았었다. 결국 1년 만에 매각하는 방향으로 잡히며 중원을 보강할 계획이라고 한다. 다행히 맨유가 5100만 파운드에 우가르테의 영입에 관심을 보이고 있어서 팀을 떠날 가능성이 있다. 일단 맨유의 900억 제안은 PSG에서 먼저 거절 했다고 한다. 8월 27일 데이비드 온스테인의 보도와 파브리지오 로마노HERE WE GO가 뜨면서 맨체스터 유나이티드로의 이적이 유력해졌다. 예상 이적료는 €50+10m에 셀온 10% 조항이 달린 것으로 추정된다. 8월 28일, 다르미시 셰스의 보도에 따르면 애드온 €10M은 우가르테의 활약상 관련이기에 맨유가 이걸 지불하게 된다면 굉장히 기쁠 것이라고 한다. 이후 보도에 따르면 우가르테가 메디컬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마쳤다고 한다. 8월 31일, 오전 5시 30분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입단 오피셜이 발표되었다. 계약은 2029년 6월까지이며 1년 연장 옵션이 있다고 한다.
  • [방출 완료] 카를로스 솔레르 to 웨스트햄 임대 이적
    파리 이적 후 애매한 모습만 보여준 솔레르를 PSG가 이번 여름 이적시장에 방출하려 한다. 로익 탄지, 레퀴프 등에 의하면 웨스트햄 유나이티드로의 이적이 유력하다. 8월 30일 파브리지오 로마노의 HERE WE GO가 뜨면서 메디컬 테스트를 하러 영국으로 가는중이라고 한다. 8월 31일 로마노의 HERE WE GO가 뜨면서 웨스트햄 임대 이적이 확정되었다.
  • [방출 무산] 파비안 루이스
    풋메카르토에 따르면 엔리케 감독과 PSG는 파비안을 높게 평가하지만 유로에서의 활약성에 따라 좋은 제안이 온다면 팔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FW
  • [방출 완료] 킬리안 음바페 to 레알 마드리드 이적
    매 시즌마다 이적설이 돌다가 결국 흐지부지 되는 것이 반복 되었지만 6월 2일부로 레알 마드리드로의 FA 이적이 완료되며 그의 길고 길었던 이적 사가가 마무리 되었다.
  • [방출 무산] 마르코 아센시오
    역시나 레알에 이어 PSG에서도 4골 5어시로 굉장히 부진 했으며 시즌 내내 벤치만 달구는 골칫덩이로 전락했다. 결국 아센시오 또한 매각 대상에 포함 되며 오시멘 영입이 이뤄질시 스왑딜로 나폴리로 팔려갈 신세가 될 예정이다.
  • [방출 무산] 곤살루 하무스
    공식전 40경기를 치렀고 모든 대회를 통틀어 14골을 넣었지만, 팀 내에서 겉도는 모습이었고 새해가 된 이후론 꾸준히 득점을 올렸지만, 이내 득점 페이스가 사라지며 다시 애매한 입지로 돌아갔다. 결국 입단한지 1년만에 매각 될 것이라고 한다. SSC 나폴리 측에선 1순위로 로멜루 루카쿠를 생각하고 있지만 무산될 경우 곤살루 하무스도 고려 중이라고 한다.

5.2.2. 여름 이적 시장 총평

저번 겨울 이적시장에 나간 케일러 나바스의 빈 자리를 채울 마트베이 사포노프, 다닐루 페레이라의 빈 자리를 채울 윌리안 파초, 마누엘 우가르테의 빈 자리를 채울 주앙 네베스, 카를로스 솔레르의 빈 자리를 채울 데지레 두에까지 나쁘지 않은 선수들을 영입했으나, 위에 말한 4명의 선수들[5] 같은 에이스들의 공백을 채울만한 실력을 보유하진 못해 걱정이 많다. 공격수 영입이 시급한 상황에 이적설 많이 떴으나 영입은 정작 제대로 되지 않은 상태였고, 무엇보다 킬리안 음바페에 공백이 가장 심한 상태이다. 아마 PSG 역대 이적시장중 가장 에이스가 많이 빠져나간 이적시장 이였을 듯 하다.

5.3. 겨울 이적시장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겨울 영입
<rowcolor=#fff> 이전 소속 국적 이름 포지션 이적료
파일:SSC 나폴리 로고.svg파일:SSC 나폴리 로고_skyblue.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Khvicha Kvaratskhelia) FW €70m

파리 생제르맹 FC 2024-25 시즌 겨울 방출
<rowcolor=#fff> 이적 구단 국적 이름 포지션 이적료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화이트).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랑달 콜로 무아니 (Randal Kolo Muani) FW 임대
이적
파일:비야레알 CF 로고.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후안 베르나트 (Juan Bernat) DF 임대
계약해지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사비 시몬스 (Xavi Simons) FW 임대
계약해지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밀란 슈크리니아르 (Milan Škriniar) DF 임대
이적
파일:ACF 피오렌티나 로고.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셰르 은두르 (Cher Ndour) MF 완전
이적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마르코 아센시오 (Marco Asensio) FW 임대
이적

5.3.1. 이적설

5.3.1.1. 영입설
GK
DF
  • [영입 무산] 윌리엄 살리바 from 아스날 FC
    마르퀴뇨스의 노쇠화와 더불어 작년 시즌의 영입생들이 뚜렷한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때에 PSG가 9500만 유로의 이적료를 준비하고 그의 영입을 노리고 있지만 아스날에선 그를 쉽게 보내주지 않을 것이고 살리바 역시 아스날에서의 선수 생활에 집중하기 때문에 가능성이 낮을 것이다.
  • [영입 무산] 트렌트 알렉산더아놀드 from 리버풀 FC
    레알 마드리드와의 FA 영입이 추진 중인 것은 공공연한 사실이지만 다른 이적인 파리와의 계약도 있다. 그가 계약이 만료되는 여름에 이적하기 위해 다른 대형 구단과 계약을 추진 중이란 말이 있는데 그것이 레알 마드리드가 아니고 파리 생제르맹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 가능성은 레알보단 낮겠지만 정말 오게 된다면 아놀드는 26년에 계약이 만료되는 아슈라프 하키미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적 가능성이 낮고 레알 마드리드가 이번 겨울 이적시장에서 더이상 영입하지 않는다고 발표해서 아마도 다음 여름 이적시장에서 레알로 이적할 것이다.

MF
  • [영입 무산] 니콜로 파지올리 from 유벤투스 FC
    유벤투스의 공격형 미드필더. PSG에서는 콜로 무아니나 슈크리니아르를 유벤투스로 보내고 그를 영입하는 것을 계획 중에 있다. 유벤투스는 €25m에서 30m 사이를 원한다고 한다. 1월 26일 로마노에 따르면 이스마엘 코네가 이적할 시에 마르세유가 곧바로 유벤투스에게 임대를 위해 접촉할 예정이라고 한다. ACF 피오렌티나로 임대이적하여 영입이 무산되었다.

FW
  • [영입 완료]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from SSC 나폴리
    파브리지오 로마노는 흐비차가 1월 나폴리를 떠날 준비가 됐다고 전했다. 현재 SSC 나폴리와 PSG의 계약 조건 및 연봉 논의가 진행중이라고 한다. 한편 PSG는 밀란 슈크리니아르를 나폴리로 보내고 흐비차를 영입하는 것을 계획 중에 있지만 나폴리는 슈크리니아르의 월급이 비싸다고 하면 거래 관심이 없다고 한다. 1월 12일 파브리지오 로마노와 잔루카 디 마르지오는 PSG가 흐비차와의 구두합의가 완료됐다고 전했다. 15일 새벽, 로마노가 결국 HERE WE GO를 띄우며 이적이 컨펌되었다. 계약 기간은 5년으로 예상되며, 계약금은 €70m을 넘을것이고 이번주 내에 메디컬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한다. 1월 16일, 메디컬을 받으러 파리로 이동하였다. 18일 PSG의 오피셜로 흐비차의 이적이 확정되었다.
  • [영입 무산] 존 듀란 from 아스톤 빌라 FC
    아스톤 빌라와 재계약을 했지만 에메리 감독이 출전 시간을 보장 해주지 않아 불만이 쌓이고 있는 상황이다. 만약 추가적인 변화가 없다면 엔리케 감독이 관심을 가지고 그의 이적을 추진할 수도 있다. 1월 선수 본인이 FC 바르셀로나로 가고싶다는 뜻을 밝혔다. 최근 2030년까지 계약을 연장했다 하고, 웨스트햄은 57억 파운드의 제안을 한것으로 알려졌다. 아스톤 빌라는 거대한 입찰이 오지않는 한 존 듀란을 팔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1월 30일 로마노는 존 듀란이 알 나스르로의 이적함에 따라 HERE WE GO를 띄웠다.
  • [영입 무산] 빅토르 요케레스 from 스포르팅 CP
    현재 4대 리그에서 가장 공격 포인트 생산이 활발한 선수라 파리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는 선수다. 현재 파리는 이강인의 제로톱 실패와 더불어 콜로 무아니의 부진이 심각하기 때문에 무아니가 겨울에 방출되면 그의 대체자로 들어올 가능성이 높은 선수 중 하나다. FC 바르셀로나, FC 바이에른 뮌헨레알 마드리드 CF가 관심을 보인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영입 무산] 모하메드 살라 from 리버풀 FC
    한 기사에선 "PSG가 살라에게 이미 계약 기간 3년을 제시했다. 주급 50만 유로(7억 6천만 원)를 준비 중" 이라고 전했다. 제시하며 PSG와 링크가 많이 뜨지만 그만큼 다른 클럽과도 이적설이 돌고있고, 살라는 반 다이크와 함께 재계약을 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돌고있지만 아직까진 소식이 불투명하다.
  • [영입 무산] 해리 케인 from FC 바이에른 뮌헨
    1780억의 이적료를 준비하고 홀란드의 영입이 실패할 시 계획중인 선수지만 애초에 작년 여름 뮌헨과의 영입 경쟁에서도 밀린 PSG의 이적 제안을 그가 수락할 가능성은 극히 낮기 때문에 그냥 지나가는 이적설일 가능성이 크다.
  • [영입 무산] 손흥민 from 토트넘 홋스퍼 FC
    300억의 이적료를 제시하며 이제 토트넘과 계약을 하지 않는다는 손흥민을 이적시키려고 하였으나 현재 토트넘과 다시 계약 이야기가 돌며 영입은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1년 연장 옵션이 발동될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계속해서 입장이 뒤바뀌는 상태다. 영국의 BBC는 손흥민과 토트넘 홋스퍼 FC가 재계약 조짐이 없다고 주장했다. 25년 1월 1일자로 보스만 룰에 해당하는 선수로 자유계약이 가능했지만, 1월 7일자로 연장 옵션이 발동 되며 결국 없던 일이 되었다.
  • [영입 무산] 엘링 홀란드 from 맨체스터 시티 FC
    펩 과르디올라 감독이 2025년 여름 계약 만료 후 맨체스터 시티를 떠날 경우에 홀란드 역시 이적을 생각하고 있다. PSG는 이런 상황에서 제기된 플랜 B의 위치한다. 레알 마드리드바르셀로나와의 이적이 지지부진 해지면 높은 이적료를 제시한다면 가능성이 높아질수도 있지만 만약 펩 감독이 재계약을 한다면 그 역시 맨체스터 시티에 잔류 할수도 있다. 데이비드 온스테인은 엘링 홀란드가 2034년까지 9년 6개월 계약을 연장했다고 한다.
  • [영입 무산] 비니시우스 주니오르 from 레알 마드리드 CF
    27년 6월까지 계약 기간이 있지만 최근엔 레알과 비니시우스의 재계약 협상이 잘 안되고 있다고 한다. 파리는 음바페의 빈 자리를 메우고 싶어서 그를 주시 중이지만 맨유, 첼시, 사우디의 알 나스르 등 다른 구단들도 그를 노리는데다 최근엔 에이스로 활약 중이라 레알에서의 생활에 만족을 느껴 이적하고 싶어하지 않을수도 있다. 안첼로티는 비니시우스가 떠날 계획이 없다고 발표했다. 한편 비니시우스는 레알에서 모든 타이틀의 우승을 원한다고 한다.
5.3.1.2. 방출설
GK
  • [방출 무산] 잔루이지 돈나룸마
    잔루카 디 마르지오는 11일 인테르는 돈나룸마를 면밀히 지켜보는 중이라며 돈나룸마의 이적은 25년 6월에 현실적으로 가능할 수도 있다. 인테르는 이번 6월 여름 이적시장에서 골키퍼 포지션에 주목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현재 돈나룸마는 파리에서 열일중이기에 이 방출설은 그냥 흘러갈 듯 하다.
  • [방출 무산] 마트베이 사포노프
    2000만 유로로 PSG로 이적 했으나 백업 수준도 안되는 저조한 퍼포먼스로 결국 엔리케 감독의 눈 밖에 나며 방출 리스트에 올라버렸다. 엔리케는 더 수준 높은 잔루이지 돈나룸마의 경쟁자를 원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아직 타 구단과 링크조차 뜨지 않았고, 현재 그래도 자주 주전에 쓰이는 골키퍼라 그냥 방출시키지 않고 지켜볼 듯 하다.

DF
  • [방출 완료] 밀란 슈크리니아르 to 페네르바흐체 SK 임대 이적
    이적 첫 해에 컵 대회 포함 32경기 출전에 그쳤고, 이번 시즌에는 리그 3경기에 출전하는 등 상황이 나아지긴 커녕 그의 입지는 계속해서 줄어들고 있다. 결국 그도 자신의 상황에 불만을 느끼고 최근에 언해피를 띄우며 1월 이적 시장이 열리면 유벤투스로 이적하길 희망하고 있다고 한다. 밀란 슈크리니아르유벤투스 FC와의 구두 합의에 도달했고 PSG는 유벤투스와 세부 논의가 진행중이라고한다. 12월 토트넘 홋스퍼 FC와 링크가 뜨고 있다. 1월 22일 로마노는 HERE WE GO 선언으로 슈크리니아르가 페네르바흐체 SK로 임대 이적한다고 알렸다. 현재 임대중인 다른선수와 계약 해지해야 임대 이적 할 수 있다. 1월 30일 PSG는 RB 라이프치히에서 임대중이던 사비 시몬스를 완전 이적시켰고 페네르바흐체는 오피셜로 밀란 슈크리니아르의 임대 이적 소식을 알렸다. 등번호는 37번
  • [방출 무산] 누누 멘데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가 누누 멘데스에게 오퍼를 했고, 멘데스는 루벤 아모림에 합류하고 싶어한다고 했다고 한다. 누누 멘데스는 아직 파리 생제르맹과 재계약에 합의하지 않았기에 충분히 방출이 가능한 상황이고, 누누 멘데스는 현제 PSG를 떠나고 싶다고 했다. 그러나 PSG는 멘데스를 유지하려는 의도가 있으며 1월 이적 기간에 멘데스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 팔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RB 라이프치히 등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루이스 엔리케가 누누 멘데스를 설득하여 이번 겨울 이적시장에서 이적하지 않을 것이다.
  • [방출 무산] 뤼카 에르난데스
    지난 시즌 챔피언스리그 4강전에서 큰 부상을 당한 이후 몇개월만에 복귀했으나, PSG에서 언해피를 띄우고 있다고 전해진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리턴설이 돌고 있으며, 선수도 한 매체에서 아틀레티코 리턴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하며, 이적료는 30M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이번 챔피언스리그 6라운드에서 복귀 후 자주 경기에 나오고 있기때문에 이적 가능성은 낮다.

MF
FW
  • [방출 완료] 랑달 콜로 무아니 to 유벤투스 임대 이적
    나름 9500만 유로의 이적료를 들여서 콜로 무아니를 들였지만 파괴력이 떨어지는 퍼포먼스로 1시즌 만에 백업 공격수로 분류됐다. 곤살루 하무스가 부상으로 빠졌어도 이강인과 아센시오가 그 자리를 메우고 있기 때문에 무아니는 입지가 완전히 사라졌다. PSG는 무아니를 겨울 이적 시장 때 임대로 내보내길 원하는데 라스무스 호일룬, 조슈아 지르크지의 부진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맨유가 관심을 보이는 중이다. 요즘은 교체도 아니고 아예 명단에서 제외됬기에 이젠 진짜 방출이 확실시 된 듯 하다. 역시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 토트넘 홋스퍼 FC, 아스날 FC, RB 라이프치히 등에서 관심을 보이고 있다. 1월 11일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도 협상을 시작했다. 15일 로마노는 HERE WE GO를 띄우며 무아니가 6월까지 유벤투스로 임대이적 했다고 알렸다. 월급은 유벤투스에서 부담한다......그러나 PSG는 임대 상한을 초과하였고 이로 유벤투스 임대이적이 중단되었다. 무아니의 유벤투스 임대를 보내려면 현재 임대중인 선수들[7]을 완전이적시켜야 한다. 19일 로마노는 계획대로 무아니의 유벤투스와의 거래는 이루어진다고 한다. 현재 임대중인 셰르 은두르베식타스 JK로 완전이적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23일 PSG는 비야레알 CF에서 임대중인 후안 베르나트의 계약을 해지하고 콜로 무아니는 유벤투스의 오피셜로 임대이적하였다. 구매 옵션은 미포함
  • [방출 완료] 마르코 아센시오 임대 이적
    입단후 평균 출전시간이 49.9분으로 출전시간 부족에 대한 불만이 쌓이면서 이번 겨울 이적시장에서 떠날 가능성이 있다. PSG는 최소 2500만 유로에서 최대 3000만 유로 사이의 제안이 들어오면 매각할 의향이 있다고한다. 결국 로마노가 2월 2일 HERE WE GO를 띄우며 아스톤 빌라로 임대이적이 확정되었다. 단순 임대다. 2월 3일 아스톤 빌라의 오피셜로 임대이적하였다.

5.3.2. 겨울 이적 시장 총평

이번 겨울 이적시장에서 레알 마드리드로 떠난 킬리안 음바페의 공백을 채우기 위해 SSC 나폴리에서 뛰던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를 영입하면서 공격수를 보강하였지만 그후 영입이 없었고 임대 3명[8] 계약 해지 3명[9] 완전 이적 1명[10]을 보내면서 성공적인 이적시장으로 보기엔 어려울 듯 하다.

6. 프리 시즌

6.1. VS 슈투름 그라츠 (원정, 2:2 무)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fff 친선경기}}}
2024년 8월 8일 목요일 01:30 (UTC+9)
뵈르터제 슈타디온 (오스트리아, 클라겐푸르트)
주심: 스테판 에브너
관중: 19,600명
파일:SK 슈투름 그라츠 로고.svg
2 : 2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SK 슈투름 그라츠 파리 생제르맹 FC
<rowcolor=#000>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6.2. VS RB 라이프치히 (원정, 1:1 무)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fff 친선경기}}}
2024년 8월 11일 일요일 01:00 (UTC+9)
레드불 아레나 (독일, 라이프치히)
주심: 리처드 힘멜
관중: 40,365명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1 : 1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RB 라이프치히 파리 생제르맹 FC
<rowcolor=#000> 12' 로이스 오펜다 파일:득점 아이콘.svg 69' 곤살루 하무스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7. 정규 시즌

7.1. 리그 1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파리 생제르맹 FC/2024-25 시즌/리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파일:Coupe de France 2021 logo.png 쿠프 드 프랑스

7.2.1. 64강 vs RC 랑스 (원정, 1 (3 PSO 4) 1 승)

파일:Coupe de France 2021 logo.png
{{{#fff 2024-25 쿠프 드 프랑스 64강}}}
2024년 12월 23일 월요일 05:00 (UTC+9)
스타드 볼라르트-들렐리스 (랑스)
{{{#191970,#fff 주심: 토마 레오나르}}}
{{{#191970,#fff 관중 : 38,182명}}}
파일:RC 랑스 로고.svg
1 : 1
PSO
(3 : 4)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RC 랑스 파리 생제르맹 FC
66' 음발라 은졸라 (A. 압두코디르 후사노프) 파일:득점 아이콘.svg 70' 곤살루 하무스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에르베 코피
64강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1 GK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선발 라인업 4-3-3[11]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9 D. 두에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6’
19 G. 하무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6’
CF
10 O. 뎀벨레
RW
11 이강인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6’
14 바르콜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6’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6 주앙 네베스
CM
7 비티냐
RCM
8 파비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57’
20 자이르에메리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57’
}}}
LB
3 N. 멘데스
LCB
4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
GK
1 사포노프
SUB GK 16 아르나우 테나스
DF 18 자그, 15 베랄두, 12 L. 에르난데스
MF 20 자이르에메리, 17 마율루
FW 19 G. 하무스, 14 바르콜라, 13 음바예
파일:쿠팡플레이(2024)2.png
캐스터 해설
소준일 한준희

  • 경기 전 예상
한동안 선발 출전하던 수문장인 돈나룸마에 부재에다가 리그에서 꽤 강력한 모습을 보여준 랑스를 만났기에 운이 안 좋다면 패배할 가능성도 충분히 돈다.
  • 경기 결과
돈나룸마의 부재와 1대1 무승부를 만든 RC 랑스 때문에 64강에서 탈락할 뻔 했지만 PK에서 비티냐, 곤살루 하무스와 우스만 뎀벨레, 브래들리 바르콜라의 활약으로 32강에 진출했다.

7.2.2. 32강 vs FC 에스팔리 (원정, 2:4 승)

파일:Coupe de France 2021 logo.png
{{{#fff 2024-25 쿠프 드 프랑스 32강}}}
2025년 1월 15일 수요일 22:00 (UTC+9)
스타드 마르셀미슐랭 (클레르몽페랑)
주심: 마크 볼랑지에
{{{#191970,#fff 관중 : 12,939명}}}
파일:Fc Espaly.jpg 2 : 4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FC 에스팔리 파리 생제르맹 FC
3' 케비스 기에치
71' 막상스 푸르넬
파일:득점 아이콘.svg 37' 워렌 자이르에메리 (A. 데지레 두에)
67' 데지레 두에 (A. 브래들리 바르콜라)
88' 브래들리 바르콜라
90+2' (PK) 곤살루 하무스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데지레 두에
32강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49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브라힘 음바예 파일:부상 아이콘.svg 발목 염좌
5 DF 파일:브라질 국기.svg 마르키뉴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내전근 통증
10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우스만 뎀벨레 파일:부상 아이콘.svg 바이러스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선발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10 바르콜라
CF
9 G. 하무스
RW
11 D. 두에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7 마율루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19 이강인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CM
8 파비안 파일:주장 아이콘.svg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17 비티냐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RCM
6 자이르에메리
}}}
LB
3 주앙 네베스
LCB
4 L. 에르난데스
RCB
5 타페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2’
15 파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2’
RB
2 자그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46’
18 N. 멘데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46’
GK
1 테나스
SUB GK 16 사포노프, 20 무케
DF 18 N. 멘데스, 15 파초, 12 킴펨베
MF 19 이강인, 17 비티냐
FW 14 M. 아센시오
파일:쿠팡플레이(2024)2.png
캐스터 해설
소준일 한준희

  • 경기 전 예상
FC 에스팔리는 5부 리그인 샹피오나 나시오날 3에 있는 팀으로써 주전선수들이 아니여도 충분히 이길만한 경기이다.

주장인 마르키뉴스, 그리고 우스만 뎀벨레가 결장하면서 걱정은 있으나 그리 힘들진 않을 듯 하다.

뎀벨레가 바이러스로 결장하면서 이강인이 선발로 나올 가능성이 있다.
  • 경기 결과
마르키뉴스, 우스만 뎀벨레의 결장으로 걱정이 있었지만 자이르에메리, 데지레 두에, 바르콜라, 하무스의 4골로 16강에 진출했다.

7.2.3. 16강 vs 르망 FC (원정, 0:2 승)

파일:Coupe de France 2021 logo.png
{{{#fff 2024-25 쿠프 드 프랑스 16강}}}
2025년 2월 5일 수요일 05:10 (UTC+9)
스타드 마리 마빙트 (르망)
주심: 압델타티프 케라지
{{{#191970,#fff 관중 : 0명}}}
파일:르망 FC 로고.svg 0 : 2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르망 FC 파리 생제르맹 FC
- 파일:득점 아이콘.svg 25' 데지레 두에 (A. 곤살루 하무스)
71' 브래들리 바르콜라 (A. 누누 멘데스)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데지레 두에
16강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33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워렌 자이르에메리 파일:부상 아이콘.svg 발목 염좌
49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브라힘 음바예 파일:부상 아이콘.svg 발목 염좌
87 M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주앙 네베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발 부상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선발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7 크바라츠헬리아
CF
9 G. 하무스
RW
11 D. 두에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8’
19 바르콜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8’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8 파비안
파일:주장 아웃 아이콘.png HT’
CM
6 마율루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8’
17 비티냐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8’
RCM
10 이강인
}}}
LB
4 베랄두
LCB
3 L. 에르난데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HT’
15 N. 멘데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HT’
RCB
5 파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80’
13 킴펨베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80’
파일:주장 인 아이콘.png 80’
RB
2 자그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HT’
12 하키미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HT’
파일:주장 인 아이콘.png HT’
파일:주장 아웃 아이콘.png 80’
GK
1 사포노프
SUB GK 16 아르나우 테나스, 20 무케
DF 12 하키미, 13 킴펨베, 14 타페, 15 N. 멘데스
MF 17 비티냐
FW 18 O. 뎀벨레, 19 바르콜라
파일:쿠팡플레이(2024)2.png
캐스터 해설
소준일 한준희

  • 경기 전 예상
르망 FC는 현재 프랑스 3부 리그인 샹피오나 나시오날에 소속되어 있고 리그 6위를 차지하고 있는 중상위권 팀이다.

미드필더 지역의 자이르에메리와 주앙 네베스의 공백이 걱정된다. 하지만 전 경기인 브레스트전에서 뎀벨레의 해트트릭으로 승리했기 때문에 쉽게 8강에 진출할 것으로 보인다.
  • 경기 결과
전반 7분, 르망이 프리킥으로 패스를 내줘 슈팅까지 했으나 다행이 골대 옆면을 맞았다.

전반 9분, 코너킥 실패로 역습이 시작되었으나 사포노프가 일찍 나와 처리했다.

전반 25분, 곤살루 하무스가 준 공을 데지레 두에가 그대로 집어넣었다.

7.2.4. 8강 vs 미정 (미정, -:- )

파일:Coupe de France 2021 logo.png
{{{#fff 2024-25 쿠프 드 프랑스 8강}}}
2025년 -월 -일 -요일 00:00 (UTC+9)
구장 (지역)
주심: 미정
{{{#191970,#fff 관중 : 0명}}}
파일:로고.svg - :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 파리 생제르맹 FC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미정
8강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 - 파일:국기.svg - 파일:부상 아이콘.svg -
파일:쿠팡플레이(2024)2.png
캐스터 해설
소준일 한준희

  • 경기 전 예상

  • 경기 결과

7.3. 파일:트로페 데 샹피옹 로고(2024).svg 트로페 데 샹피옹

7.3.1. 결승전 VS AS 모나코 FC (중립, 1:0 승)

파일:트로페 데 샹피옹 로고(2024).svg
2024 트로페 데 샹피옹
2025년 1월 6일 월요일 01:30 (UTC+9)
스타디움 974 (카타르, 도하)
주심: 윌리 들라조
관중: -명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일:트로페 데 샹피옹 로고(2024).svg
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AS 모나코
1 파일:득점 아이콘.svg 0
90+3' 우스만 뎀벨레 (A. 파비안 루이스)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우스만 뎀벨레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선발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14 D. 두에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2’
9 G. 하무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2’
CF
10 O. 뎀벨레
RW
19 이강인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7’
29 바르콜라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7’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87 주앙 네베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7’
8 파비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7’
CM
17 비티냐
RCM
33 자이르에메리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88’
24 마율루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88’
}}}
LB
25 N. 멘데스
LCB
51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
GK
1 돈나룸마
SUB GK 39 사포노프
DF 21 L. 에르난데스, 35 베랄두, 42 자그
MF 8 파비안, 24 마율루
FW 14 바르콜라, 9 G. 하무스, 11 M. 아센시오

7.4.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엠블럼.svg UEFA 챔피언스 리그

7.4.1. 리그 페이즈

<rowcolor=#fff> 포트 1 상대 포트 2 상대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맨 시티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바이에른 뮌헨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아틀레티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아스날
<rowcolor=#fff> 포트 3 상대 포트 4 상대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PSV 파일:FC 레드불 잘츠부르크 로고.svg 잘츠부르크 파일:지로나 FC 로고.svg 지로나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슈투트가르트

<rowcolor=#fff> 순위 경기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비고
1 파일:리버풀 FC 라이버 버드 로고(레드).svg
8 7 0 1 17 5 +12 21
2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
8 6 1 1 28 13 +15 19
3 파일:아스날 FC 로고.svg
8 6 1 1 16 3 +13 19
4 파일: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 로고.svg
8 6 1 1 11 1 +10 19
5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8 6 0 2 20 12 +8 18
6 파일:바이어 04 레버쿠젠 로고.svg
8 5 1 2 15 7 +8 16
7 파일:LOSC 릴 로고.svg
8 5 1 2 17 10 +7 16
8 파일:아스톤 빌라 FC 로고.svg
8 5 1 2 13 6 +7 16
9 파일:아탈란타 BC 로고.svg
8 4 3 1 20 6 +14 15
10 파일:보루시아 도르트문트 로고.svg
8 5 0 3 22 12 +10 15
11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8 5 0 3 20 12 +8 15
12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svg
8 5 0 3 20 12 +8 15
13 파일:AC 밀란 로고.svg
8 5 0 3 14 11 +3 15
14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8 4 2 2 16 12 +4 14
15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8 4 1 3 14 9 +5 13
16 파일:SL 벤피카 로고.svg
8 4 1 3 16 12 +4 13
17 파일:AS 모나코 FC 로고.svg
8 4 1 3 13 13 0 13
18 파일:스타드 브레스투아 29 로고.svg
8 4 1 3 10 11 -1 13
19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
8 4 1 3 18 21 -3 13
20 파일:유벤투스 FC 로고.svg파일:유벤투스 FC 로고(화이트).svg
8 3 3 2 9 7 +2 12
21 파일:셀틱 FC 로고.svg
8 3 3 2 13 14 -1 12
22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svg
8 3 2 3 18 14 +4 11
23 파일:스포르팅 CP 로고.svg
8 3 2 3 13 12 +1 11
24 파일:클뤼프 브뤼허 KV 로고.svg
8 3 2 3 7 11 -4 11
25 파일:GNK 디나모 자그레브 로고.svg
8 3 2 3 12 19 -7 11
26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8 3 1 4 13 17 -5 10
27 파일:FC 샤흐타르 도네츠크 로고.svg
8 2 1 5 8 16 -8 7
28 파일:볼로냐 FC 1909 로고.svg
8 1 3 4 4 9 -5 6
29 파일:FK 츠르베나 즈베즈다 로고.svg
8 2 0 6 13 22 -9 6
30 파일:SK 슈투름 그라츠 로고.svg
8 2 0 6 5 14 -9 6
31 파일:AC 스파르타 프라하 로고.svg
8 1 1 6 7 21 -14 4
32 파일:RB 라이프치히 로고.svg
8 1 0 7 8 15 -7 3
33 파일:지로나 FC 로고.svg
8 1 0 7 5 13 -8 3
34 파일:FC 잘츠부르크 로고.svg
8 1 0 7 5 27 -22 3
35 파일: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로고.svg
8 0 0 8 7 27 -20 0
36 파일:BSC 영 보이즈 로고.svg
8 0 0 8 3 24 -21 0
16강 직행
녹아웃 플레이오프 진출
탈락
타이브레이커: 승점 > 득실차 > 다득점 > 원정 다득점 > 다승 > 원정 다승 > 상대팀 승점[1] > 상대팀 득실차 > 상대팀 다득점 > 페어플레이 점수 > UEFA 클럽 계수


[1] 해당 타이브레이커 부터는 리그 페이즈 종료 후 적용된다.

2024/25 시즌부터 UEFA 챔피언스 리그의 조별리그가 아닌 8팀을 한번씩 상대하는 리그 페이즈가 진행된다.

조별리그 운이 없는 파리가 작년에 죽음의 조에 걸렸고, 아니나 다를까 개편 후 첫 시즌에도 트레블 팀만 3팀인 죽음을 넘어선 역대 최악의조라고 칭할 정도로 어려운 경기를 치러야 한다. 거기다가 파리가 만나는 모든 팀들은 지난 시즌에 모두 4위 이상을 기록한 팀들이다[12]

1포트 중에 상대하는 팀은 맨체스터 시티 FCFC 바이에른 뮌헨이다. 전전시즌 우승팀인 맨체스터 시티 FC를, 에서, 과거 결승에서 대결을 펼친 FC 바이에른 뮌헨을 원정에서 각각 만난다.

2포트 중에서 상대하는 팀은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아스날 FC다. 2포트에도 쟁쟁한 팀들이 모여 있지만, 그 중에서도 더 상대하기 어렵다고 불리는 두 팀을 만나게 되었다. 아틀레티코 마드리드에서, 아스날 FC를 원정에서 각각 만난다.

3포트 중에서 상대하는 팀은 PSV 에인트호번FC 레드불 잘츠부르크다. PSV 에인트호번에서, FC 레드불 잘츠부르크를 원정에서 상대로 각각 맞붙게 된다.

4포트 중에서 상대하는 팀은 지로나 FCVfB 슈투트가르트다. 두 팀 모두 자신이 속한 리그에서 돌풍을 일으킨 팀이다. 지로나 FC에서, VfB 슈투트가르트를 원정에서 상대로 각각 맞붙게 된다.
7.4.1.1. MD1 vs 지로나 FC (홈, 1:0 승)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1
2024년 9월 19일 목요일 04:00 (CEST+7)
파르크 데 프랭스 (파리)
주심: 다니엘 시버트
관중: 39,951명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1 : 0
파일:지로나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지로나
90' 파울로 가사니가 (OG)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누누 멘데스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1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21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뤼카 에르난데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3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레스넬 킴펨베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9 FW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곤살루 하무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1 GK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잔루이지 돈나룸마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49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브라힘 음바예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퇴장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29 바르콜라 63’
14 D. 두에 63’
CF
11 M. 아센시오 39’
23 콜로 무아니 39’
RW
10 O. 뎀벨레 90’
35 베랄두 90’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8 파비안 63’
87 주앙 네베스 63’
CM
17 비티냐 63’
19 이강인 63’
RCM
33 자이르에메리
}}}
LB
25 N. 멘데스
LCB
51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
GK
39 사포노프
SUB GK 80 아르나우 테나스
DF 35 베랄두, 37 슈크리니아르, 42 자그
MF 87 주앙 네베스, 19 이강인, 24 마율루
FW 23 콜로 무아니, 14 D. 두에
7.4.1.2. MD2 vs 아스날 FC (원정, 2:0 패)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2
2024년 10월 2일 수요일 04:00 (BST+8)
아스날 스타디움 (런던)
주심: 슬라브코 빈치치
관중: 60,103명
파일:아스날 FC 심볼(화이트).svg
2 : 0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아스날 FC 파리 생제르맹 FC
20' 카이 하베르츠 (A. 레안드로 트로사르)
35' (FK) 부카요 사카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카이 하베르츠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2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21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뤼카 에르난데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9 FW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곤살루 하무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3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레스넬 킴펨베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29 바르콜라
CF
19 이강인
RW
14 D. 두에 64’
23 콜로 무아니 64’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87 주앙 네베스
CM
17 비티냐 64’
8 파비안 64’
RCM
33 자이르에메리
}}}
LB
25 N. 멘데스
LCB
51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
GK
잔루이지 돈나룸마
SUB GK 39 사포노프, 80 아르나우 테나스
DF 35 베랄두, 37 슈크리니아르, 42 자그
MF 8 파비안, 24 마율루
FW 23 콜로 무아니, 11 M. 아센시오, 49 음바예
7.4.1.3. MD3 vs PSV 에인트호번 (홈, 1:1 무)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3
2024년 10월 23일 수요일 04:00 (UTC+9)
파르크 데 프랭스 (파리)
주심: 파일:스웨덴 국기.svg 글렌 나이버그
관중: 47,511명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1 : 1
파일:PSV 에인트호번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PSV
55' 아슈라프 하키미 (A. 파비안 루이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34' 노아 랑 (A. 이스마엘 사이바리)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아슈라프 하키미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3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21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뤼카 에르난데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9 FW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곤살루 하무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3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레스넬 킴펨베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29 바르콜라 81’
23 콜로 무아니 81’
CF
19 이강인 68’
11 M. 아센시오 68’
RW
10 O. 뎀벨레 81’
14 D. 두에 81’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8 파비안 59’
17 비티냐 59’
CM
87 주앙 네베스
RCM
33 자이르에메리 81’
24 마율루 81’
}}}
LB
25 N. 멘데스
LCB
51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
GK
1 돈나룸마
SUB GK 39 사포노프, 80 아르나우 테나스
DF 35 베랄두, 37 슈크리니아르, 42 자그
MF 17 비티냐, 24 마율루,
FW 11 M. 아센시오, 14 D. 두에, 23 콜로 무아니
7.4.1.4. MD4 vs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홈, 1:2 패)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4
2024년 11월 7일 목요일 05:00 (UTC+9)
파르크 데 프랭스 (파리)
주심: 파일:폴란드 국기.svg 지만 마르치니악
관중: 47,369명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1 : 2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24-25 AWAY).svg
파리 생제르맹 FC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14' 워렌 자이르에메리 (A. 우스만 뎀벨레) 파일:득점 아이콘.svg 18' 나우엘 몰리나
90+3' 앙헬 코레아 (A. 앙투안 그리즈만)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나우엘 몰리나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4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21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뤼카 에르난데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9 FW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곤살루 하무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3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레스넬 킴펨베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선발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29 바르콜라
CF
11 M. 아센시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7’
19 이강인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7’
RW
10 O. 뎀벨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90’
14 D. 두에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90’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87 주앙 네베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7’
8 파비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7’
CM
17 비티냐
RCM
33 자이르에메리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3’
23 콜로 무아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3’
}}}
LB
25 N. 멘데스
LCB
51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
GK
1 돈나룸마
SUB GK 39 사포노프, 80 아르나우 테나스
DF 35 베랄두. 37 슈크리니아르, 42 자그
MF 8 파비안, 19 이강인, 24 마율루
FW 23 콜로 무아니, 14 D. 두에
7.4.1.5. MD5 vs FC 바이에른 뮌헨 (원정, 1:0 패)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5
2024년 11월 27일 수요일 05:00 (GMT+9)
푸스발 아레나 뮌헨 (뮌헨)
주심: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이스트반 코바치
관중: 75,000명
파일:FC 바이에른 뮌헨 로고(1970~1979).svg
1 : 0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FC 바이에른 뮌헨 파리 생제르맹 FC
38' 김민재 파일:득점 아이콘.svg -
<rowcolor=#373a3c,#000> -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56' 우스만 뎀벨레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김민재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5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21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뤼카 에르난데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24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니 마율루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선발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29 바르콜라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2’
9 G. 하무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2’
CF
10 O. 뎀벨레
RW
33 자이르에메리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5’
19 이강인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5’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87 주앙 네베스
CM
17 비티냐
RCM
8 파비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83’
11 M. 아센시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83’
}}}
LB
25 N. 멘데스
LCB
51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
GK
39 사포노프
SUB GK 1 돈나룸마, 80 아르나우 테나스
DF 35 베랄두,37 슈크리니아르, 42 자그
MF 19 이강인
FW 9 G. 하무스, 11 M. 아센시오, 14 D. 두에, 23 콜로 무아니
7.4.1.6. MD6 vs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원정, 0:3 승)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6
2024년 12월 11일 수요일 05:00 (CET+8)
슈타디온 잘츠부르크 (잘츠부르크)
주심: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이클 올리버
관중: 25,065명
파일:FC 잘츠부르크 로고.svg
0 : 3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FC 잘츠부르크 파리 생제르맹 FC
- 파일:득점 아이콘.svg 30' 곤살루 하무스 (A. 아슈라프 하키미)
72' 누누 멘데스
85' 데지레 두에 (A. 아슈라프 하키미)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브래들리 바르콜라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6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3 DF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레스넬 킴펨베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24 MF 파일:프랑스 국기.svg 세니 마율루 파일:부상 아이콘.svg 부상
11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우스만 뎀벨레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퇴장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선발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29 바르콜라
CF
9 G. 하무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6’
14 D. 두에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6’
RW
19 이강인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87 주앙 네베스
CM
17 비티냐
RCM
8 파비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3’
33 자이르에메리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3’
}}}
LB
25 N. 멘데스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83’
21 L. 에르난데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83’
LCB
51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
GK
1 돈나룸마
SUB GK 39 사포노프, 80 아르나우 테나스
DF 21 L. 에르난데스, 35 베랄두, 37 슈크리니아르, 42 자그
MF 33 자이르에메리
FW 14 D. 두에, 23 콜로 무아니, 11 M. 아센시오

  • 경기 결과
위기의 파리 생제르맹이지만 결과적으로 3골을 퍼붓고 클린시트 승리를 챙겨 희망의 불씨가 살아났다. 하지만 다음 상대는 잘츠부르크 정도가 아닌 강팀인 맨체스터 시티다. 맨시티가 최근 폼이 안 좋다고는 하나 이 경기를 이겨야 안정적으로 16강에 갈 수 있으니 최대한 전술을 고심하는 것이 좋아보인다.
7.4.1.7. MD7 vs 맨체스터 시티 FC (홈, 4:2 승)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7
2025년 1월 23일 목요일 05:00 (CEST+8)
파르크 데 프랭스 (파리)
주심: 파일:폴란드 국기.svg 시몬 마르치니악
관중: 47,818명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_투명화이트.svg 4 : 2
파일:맨체스터 시티 FC 로고(Definitely City).png
파리 생제르맹 FC 맨체스터 시티 FC
56' 우스만 뎀벨레 (A. 브래들리 바르콜라)
60' 브래들리 바르콜라
78' 주앙 네베스 (A. 비티냐)
90'+2 곤살루 하무스
파일:득점 아이콘.svg 50' 잭 그릴리쉬
53' 엘링 홀란드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주앙 네베스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7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7 FW 파일:조지아 국기.svg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UCL 선수 미등록
49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브라힘 음바예 파일:부상 아이콘.svg 발목 염좌
<colcolor=#0b3b6a,#fff> 파리 생제르맹 FC 선발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29 바르콜라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81’
21 L. 에르난데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81’
CF
19 이강인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HT’
10 O. 뎀벨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HT’
RW
14 D. 두에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9 G. 하무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8 파비안 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1’
33 자이르에메리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1’
CM
17 비티냐
RCM
87 주앙 네베스
}}}
LB
25 N. 멘데스
LCB
51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
GK
1 돈나룸마
SUB GK 39 사포노프, 80 아르나우 테나스
DF 3 킴펨베, 35 베랄두, 42 자그, 21 L. 에르난데스, 48 타페
MF 33 자이르에메리, 24 마율루
FW 10 O. 뎀벨레. 9 G. 하무스, 11 M. 아센시오

  • 경기 전 예상
맨체스터 시티와의 플레이 오프 진출권을 두고 승부를 겨루는 단두대 매치다. 이 경기에서 파리 생제르맹이 패배하게 된다면 이번 시즌 챔피언스 리그는 사실상 끝나게 된다.

주전인 뎀벨레, 주장 마르키뉴스가 부상 이후 휴식중이기에 못나올 가능성이 있지만, 훈련에도 참가하는등 모습을 보여 가능하다면 출전할 것 같다. 그럴일은 거의 없겠지만 만약 마르키뉴스의 결장이 확정된다면 공백을 채우지 못할 시, PSG는 대참사를 맞게 된다.[13]
  • 경기 결과
상대가 맨시티라 불안했지만, 후반에 시티의 디아스가 빠지면서 수비가 불안정해졌고 결국 4:2로 완승하며 플레이오프 진출 가능성이 커지게 되었다.
7.4.1.8. MD8 vs VfB 슈투트가르트 (원정, 1:4 승)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8
2025년 1월 30일 목요일 05:00 (GMT+9)
아레나 슈투트가르트 (슈투트가르트)
주심: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다비데 마사
관중: 60,000명
파일:VfB 슈투트가르트 로고.svg
1 : 4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_투명화이트.svg
VfB 슈투트가르트 파리 생제르맹 FC
78' 윌리안 파초 (OG) 파일:득점 아이콘.svg 6' 브래들리 바르콜라 (A. 6' 데지레 두에)
17', 35', 54' 우스만 뎀벨레 (A. 17' 브래들리 바르콜라, A. 35' 주앙 네베스, A. 54' 아슈라프 하키미)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우스만 뎀벨레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리그 페이즈 매치데이 8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7 FW 파일:조지아 국기.svg 흐비차 크바라츠헬리아 UCL 선수 미등록
25 DF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누누 멘데스 파일:경고 카드 아이콘.svg 경고 누적
49 FW 파일:프랑스 국기.svg 이브라힘 음바예 파일:부상 아이콘.svg 발목 염좌
<colcolor=#00008B,#fff> 파리 생제르맹 FC 선발 라인업 4-3-3
{{{#!wiki style="margin: -16px -11px" LW
29 바르콜라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1’
9 G. 하무스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1’
CF
10 O. 뎀벨레
RW
14 D. 두에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60’
19 이강인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60’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CM
33 자이르에메리
CM
17 비티냐
RCM
87 주앙 네베스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7’
24 마율루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7’
}}}
LB
21 L. 에르난데스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1’
35 베랄두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1’
LCB
51 파초
RCB
5 마르키뉴스 파일:주장 아이콘.svg
RB
2 하키미파일:교체 아웃 아이콘.svg 71’
8 파비안 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71’
GK
1 돈나룸마
SUB GK 39 사포노프, 80 아르나우 테나스
DF 35 베랄두, 3 킴펨베, 48 타페
MF 19 이강인, 8 파비안, 24 마율루
FW 9 G. 하무스, 11 M. 아센시오

  • 경기 전 예상
탈락 위기에서 맨시티를 잡고 기사회생했다. 파리는 득실차로 인해 (슈투드 -1, 파리 1) 무승부만 해도 진출이 가능하다. 패배를 하게 된다면 동시에 열리는 유벤투스 vs 벤피카, 스포르팅 vs 볼로냐 경기 결과에 따라 진출 여부가 갈리게 된다.

일단 상대 자체는 현재 챔피언스리그 넉다운 스테이지 탈락위기인 슈투트가르트로 현재 PSG가 승리가능성이 더 높으나 최근 슈투트가르트의 기세가 좋아졌기에 여전히 위협적이다.
  • 경기 결과
PSG는 자신들보다 한 수 아래급으로 평가 받는 슈투트가르트를 브래들리 바르콜라의 헤딩골과 우스만 뎀벨레의 해트트릭으로 4:1로 격파하여 승점 13점 득실차 +5점 총합 15위로 무난하게 녹아웃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특히나 우스만 뎀벨레와 브래들리 바르콜라 두 명이 맨시티전에서 멱살 잡고 캐리했고 이번 슈투트가르트전에서도 이 둘의 활약이 빛났으며 리그에서나 챔피언스 리그에서나 두 명이 스코어러로의 활약을 보았을때 앞으로의 파리 생제르맹 FC의 챔피언스 리그 향방을 가르는 아주 중요한 역할 혹은 카드가 될 것으로 보인다.

7.5. 녹아웃 PO vs 브레스트

최종 순위 15위로 마감하게 된 파리 생제르맹은 다른 팀들보다 유리한 대진을 배정 받았다. PSG는 플레이오프에서 같은 프랑스 리그1 소속팀인 브레스투아와 겨룰 예정이다. 만약 진출시 16강에서는 2위인 바르셀로나 또는 1위인 리버풀을 만나게 된다...

7.5.1. 1차전 (원정,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녹아웃 PO 1차전
2025년 02월 12일 수요일 05:00 (GMT+9)
스타드 뒤 루두루 (갱강)[14]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명
파일:스타드 브레스투아 29 로고.svg
- :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_투명화이트.svg
브레스트 파리 생제르맹 FC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16강 PO 1차전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 - 파일:국기.svg - -

7.5.2. 2차전 (홈, -:-)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녹아웃 PO 2차전
2025년 02월 20일 목요일 05:00 (GMT+9)
파르크 데 프랭스 (파리)
주심: 파일:국기.svg 미정
관중: ?명
'''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
- : -
파일:스타드 브레스투아 29 로고(2024-25 AWAY).png
파리 생제르맹 FC 브레스트
- 파일:득점 아이콘.svg -
경기 하이라이트 | 매치 리포트
Player of the Match: 미정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2024-25 UEFA 챔피언스 리그 16강 PO 2차전
결장 선수
<rowcolor=#fff>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 - 파일:국기.svg - -

7.6.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로고.png 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7.6.1. 그룹 스테이지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로고.png
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그룹 스테이지 그룹 B
<rowcolor=#000> B1 B2 B3 B4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PSG)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AT 마드리드
(ATM)
파일:보타포구 FR 로고.svg 보타포구
(Botafogo)
파일:시애틀 사운더스 FC 로고.svg 시애틀
(SEA)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로고.png
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그룹 스테이지 그룹 B
순위 경기 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svg AT 마드리드 - - - - - - - -
2 파일:보타포구 FR 로고.svg 보타포구 - - - - - - - -
3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 - - - - - - -
4 파일:시애틀 사운더스 FC 로고.svg 시애틀 - - - - - - - -
16강 진출 | 탈락
7.6.1.1. 1차전 vs AT 마드리드 (중립, -:-)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로고.png
2025 FIFA 클럽 월드컵 그룹 B 1차전
2025년 6월 16일 월요일 04:00 (UTC+9)
로즈 볼 스타디움 (로스앤젤레스)
주심: 미정
관중: 0명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0 : 0
파일:아틀레티코 마드리드 로고(2024-25 AWAY).svg
파리 생제르맹 FC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파일:득점 아이콘.svg
- ||
경기 하이라이트 경기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미정
1차전 결장 선수
<rowcolor=#c89646>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 - - -
- - - -
7.6.1.2. 2차전 vs 보타포구 (중립, -:-)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로고.png
2025 FIFA 클럽 월드컵 그룹 B 2차전
2025년 6월 20일 금요일 10:00 (UTC+9)
로즈 볼 스타디움 (로스앤젤레스)
주심: 미정
관중: 0명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0 : 0 파일:보타포구 FR 로고.svg
파리 생제르맹 FC 보타포구 FR
- 파일:득점 아이콘.svg
- ||
경기 하이라이트 경기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미정
2차전 결장 선수
<rowcolor=#c89646>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 - - -
- - - -
7.6.1.3. 3차전 vs 시애틀 (원정, -:-)
파일:FIFA 클럽 월드컵 미국 2025 로고.png
2025 FIFA 클럽 월드컵 3차전
2025년 6월 24일 화요일 04:00 (UTC+9)
루멘 필드 (시애틀)
주심: 미정
관중: 0명
파일:시애틀 사운더스 FC 로고.svg 0 : 0
파일:파리 생제르맹 FC 로고.svg
시애틀 사운더스 FC 파리 생제르맹 FC
- 파일:득점 아이콘.svg
- ||
경기 하이라이트 경기 | 매치 리포트
Man of the Match: 미정
3차전 결장 선수
<rowcolor=#c89646> 번호 포지션 이름 사유
- - - -
- - - -

8. 시즌 총평

8.1. 전반기

리그는 항상 그렇듯이 파리 생제르맹이 16경기 무패행진으로 압도하며 독보적인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리그 2위, 3위인 마르세유, 모나코와 10점 이상 차이가 나며 무난하게 우승으로 질주 중이다. 쿠프 드 프랑스와 트로페 데 샹피옹도 경쟁 상대들의 수준을 떠올릴 때 무난히 따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트로페 데 샹피옹에서도 역시나 파리 생제르맹이 압도했다. 그러나 경기력에서도 아쉬운 부분이 있었다. 하지만 결국 우승을 거머쥐며 대회 3연패, 이강인 PSG 통산 4번째 트로피, 마르퀴뇨스 통산 31번째 트로피 라는 타이틀을 달게 해주었다.

그러나 챔피언스 리그에서의 부진은 정말 심각한 수준이다.

현재 챔피언스 리그는 25위, 2승 1무 3패로 역대 시즌 들보다 더 위태로우며 플레이오프 탈락 직전까지 놓여있다. 작년 시즌에는 마무리가 확실한 공격수와 함께 운까지 따르며 4강까지 올라갔다가 탈락했지만 이번에는 아무리 어려운 대진을 받아 들였다고 해도 16강조차도 장담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이렇게 된 큰 원인은 우선 에이스인 음바페가 레알 마드리드로 떠난 여파가 컸고, 그의 공백을 제대로 메우지 못해서다. 그가 떠나자 우스만 뎀벨레가 주요 득점원으로 여겨 졌는데 엔리케 감독과 사이가 나빠 선발 기회도 낮을 뿐더러 나와도 기복이 심한 경기력으로 득점력이 떨어졌다. 랑달 콜로 무아니는 전 시즌에 이어 이번 시즌에서도 경기 영향력이 없다. 또한 이번 시즌에 새롭게 합류한 데지레 두에도 골 욕심만 부릴 뿐 확실하게 마무리가 안되고 있다. 결국 브래들리 바르콜라가 혼자 10골을 넣으며 다방면으로 활약 중이지만 프랑스 국내용 선수 수준이기 때문에 챔스에서의 부진을 극복할 정도는 아니였다.

8.2. 후반기


[1] 리그 1 공식사이트[2] 단지 영입설, 방출설만 뜬 선수[3] 오피셜 이전에 HERE WE GO, 이적료, 계약 기간 등등이 뜬 선수[4] 오피셜이 뜬 선수[5] 케일러 나바스, 다닐루 페레이라, 킬리안 음바페, 마누엘 우가르테, 카를로스 솔레르[6] 오른발 중앙 수비 - 마르키뉴스, 밀란 슈크리니아르
왼발 중앙 수비 - 루카스 에르난데스, 프레스넬 킴펨베, 윌리안 파초, 루카스 베라우두
[7] 카를로스 솔레르, 노르디 무키엘레, 가브리에우 모스카르두, 셰르 은두르, 후안 베르나트, 사비 시몬스, 헤나투 산체스[8] 랑달 콜로 무아니 to 유벤투스 FC
밀란 슈크리니아르 to 페네르바흐체 SK
마르코 아센시오 to 아스톤 빌라 FC
[9] 후안 베르나트 to 비야레알 CF
사비 시몬스 to RB 라이프치히
셰르 은두르 to 베식타스 JK
[10] 셰르 은두르 to ACF 피오렌티나[11] 쿠프 드 프랑스 규정에 따라 16강까지의 경기의 선발 출전하는 선수들은 1번부터 11번까지만 달 수 있다.[12] EPL: 맨시티 1위, 아스날 2위, 분데스리가: 슈투트가르트 2위, 뮌헨 3위, 라리가: 지로나: 2위, 아틀: 4위, 에레디비시: PSV 1위,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 잘츠부르크: 1위[13] 리그에서도 저번 경기에서 대체 중앙 이 실수를 저질러 실점까지 이어지는 경우들이 많았다.[14] UEFA 규정에 어긋나는 브레스트의 홈구장으로 인해 갱강에서 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