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2px -0px" | <tablebordercolor=#ee1c25> | }}} |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4, 지구 5, 자치주 5 | 현급행정구 시할구 13, 현급시 28, 현 60, 자치현 6 | |
우루무치시 성도 乌鲁木齐市 | |||
카라마이시 克拉玛依市 | |||
투르판시 吐鲁番市 | |||
하미시 哈密市 | |||
아크수지구 阿克苏地区 | |||
카슈가르지구 喀什地区 | 수푸현 疏附县 수러현 疏勒县 잉지사현 英吉沙县 쩌푸현 泽普县 예청현 叶城县 마이가이티현 麦盖提县 웨푸후현 岳普湖县 가스현 伽师县 바추현 巴楚县 | ||
호탄지구 和田地区 | |||
창지 후이족 자치주 昌吉回族自治州 | |||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博尔塔拉蒙古自治州 | 보러시 博乐市 아라산커우시 阿拉山口市 징허현 精河县 원취안현 温泉县 | ||
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巴音郭楞蒙古自治州 | |||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克孜勒苏柯尔克孜自治州 | 아르투슈시 阿图什市 아커타오현 阿克陶县 아허치현 阿合奇县 우차현 乌恰县 | ||
일리 카자흐 자치주 伊犁哈萨克自治州 | |||
타청지구 塔城地区 | |||
알타이지구 阿勒泰地区 | 알타이시 阿勒泰市 부얼진현 布尔津县 푸윈현 富蕴县 푸하이현 福海县 하바허현 哈巴河县 칭허현 青河县 지무나이현 吉木乃县 | ||
자치구직할 현급행정구★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255, 0, 0, .2)" | |||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7deg, transparent 1%, #ffd700 1%, #ffd700 6%, transparent 6%, transparent 7%, #ffd700 7%, #ffd700 8%, transparent 8%, transparent 9% ,#ffd700 9%, #ffd700 10%, transparent 10%), linear-gradient(110deg, #ee1c25 50%,#ee1c25 50%)" | <tablebordercolor=#ee1c25,#ee1c25>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문화유산 | ||
1987년 만리장성 长城 | 1987년 베이징과 선양의 명·청 시대 황궁 北京及沈阳的明清皇家宮殿 | 1987년 둔황 막고굴 莫高窟 | |
1987년 진시황릉과 병마용갱 秦始皇陵及兵马俑坑 | 1987년 저우커우뎬 베이징 원인 유적 周口店北京猿人遗址 | 1994년 청더 피서산장과 주변 사원 承德避暑山庄及其周围寺庙 | |
1994년 취푸의 공자 유적 曲阜孔庙、孔林、孔府 | 1994년 우당산의 고대 건축물군 武当山古建筑群 | 1994년 라싸의 포탈라 궁 역사 유적군 拉萨布达拉宫历史建筑群 | |
1996년 루산 국립공원 庐山国家级风景名胜区 | 1997년 리장고성 丽江古城 | 1997년 핑야오 고대도시 平遥古城 | |
1997년 쑤저우 전통 정원 苏州古典园林 | 1998년 베이징의 황실 정원 : 이화원 北京皇家园林 - 颐和园 | 1998년 천단 : 베이징에 있는 황제의 제례 제단 北京皇家祭坛 - 天坛 | |
1999년 다쭈 암각화 大足石刻 | 2000년 청성산과 도강언 수리 시설 青城山 - 都江堰 | 2000년 남부 안후리 고대 마을 : 시디춘과 훙춘 皖南古村落 - 西递、宏村 | |
2000년 룽먼 석굴 龙门石窟 | 2000년 명과 청 시대의 황릉 明清皇家陵寢 | 2001년 윈강석굴 云冈石窟 | |
2004년 고대 고구려 왕국 수도와 묘지 高句丽王城、王陵及贵族墓葬 | 2005년 마카오 역사 지구 澳门歷史城区 | 2006년 은허 殷墟 | |
2007년 카이핑 댜오러우 건축물과 마을 開平碉樓與村落 | 2008년 푸젠 성 토루 福建土楼 | 2009년 우타이산 五台山 | |
2010년 덩펑의 천지지중 역사 기념물 登封 "天地之中" 历史建筑群 | 2011년 항저우의 서호 문화경관 杭州西湖文化景观 | 2012년 상도 유적 元上都遗址 | |
2013년 훙허 하니족의 다랑논 문화경관 紅河哈尼梯田文化景觀 | 2014년 대운하 大运河 | 2014년 실크로드: 창안-톈산 회랑 도로망 丝绸之路: 长安 - 天山廊道的路网 | |
2015년 투스 유적 土司遗址 | 2016년 줘장화산 암벽화 문화경관 左江花山岩画文化景观 | 2017년 구량위 : 유서 깊은 공공조계 鼓浪屿: 国际历史社区 | |
2019년 량주 고고학 유적 良渚古城遗址 | 2021년 취안저우 : 송 ・ 원 시대 중국의 세계 해양 상업 중심 泉州: 宋元中国的世界海洋商贸中心 | 2023년 푸얼 징마이 산 고대 차나무 숲 문화 경관 普洱景迈山古茶林文化景观 | |
2024년 베이징 중축선 - 중국의 이상적 도성 질서의 걸작 北京中轴线:中国理想都城秩序的杰作 | 2025년 서하릉 西夏陵 | ||
자연유산 | |||
1992년 황룽 계곡 경관 및 역사 지구 黄龙风景名胜区 | 1992년 주자이거우 계곡 경관 및 역사 지구 九寨沟风景名胜区 | 1992년 우링위안 자연경관 및 역사 지구 武陵源风景名胜区 | |
2003년 윈난 싼장병류 보호구 云南三江并流保护区 | 2006년 쓰촨 자이언트판다 보호구역 四川大熊猫栖息地 | 2007년 중국 남부 카르스트 中国南方喀斯特 | |
2008년 싼칭산 국립공원 三清山国家级风景名胜区 | 2010년 중국 단샤 中國丹霞 | 2012년 청장 화석 유적 澄江化石遗址 | |
2016년 신장 톈산 新疆天山 | 2016년 후베이 선눙자 湖北神农架 | 2017년 칭하이 호실 青海可可西里 | |
2018년 판징산 梵净山 | 2019년 황해 - 발해만 연안의 철새 보호구 (1단계) 中国黄(渤)海候鸟栖息地(第一期) | ||
복합유산 | |||
1987년 타이산 泰山 | 1990년 황산 黄山 | 1996년 어메이 산과 러산 대불 峨眉山 - 乐山大佛 | |
1999년 우이산 武夷山 | }}}}}}}}} |
위서(魏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f5cfd6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제기(帝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 1권 「서기(序記)」 | 2권 「태조기(太祖紀)」 | 3권 「태종기(太宗紀)」 | ||||
탁발부 · 대나라 | 탁발규 | 탁발사 | |||||
4권 「세조·공종기(世祖恭宗紀)」 | 5권 「고종기(高宗紀)」 | 6권 「현조기(顯祖紀)」 | |||||
탁발도 · 탁발황 | 탁발준(浚) | 탁발홍 | |||||
7권 「고조기(高祖紀)」 | 8권 「세종기(世宗紀)」 | 9권 「숙종기(肅宗紀)」 | |||||
원굉 | 원각 | 원후 | |||||
10권 「효장제기(孝莊帝紀)」 | 11권 「폐출삼제기(廢出三帝紀)」 | 12권 「효정제기(孝靜帝紀)」 | |||||
원자유 | 원공 · 원랑 · 원수 | 원선견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 13권 「황후전(皇后傳)」 | ||||||
신원황후 · 봉황후 · 기황후 · 평문황후 · 소성황후 · 헌명황후 · 도무황후 · 도무선목황후 · 명원소애황후 · 밀황후 · 태무황후 · 경애황후 경목공황후 · 문성문명황후 · 문성원황후 · 헌문사황후 · 효문정황후 · 풍폐후 · 효문유황후 · 효문소황후 · 선무순황후 · 선무황후 · 선무영황후 효명황후 · 효정황후 | |||||||
14권 「신원·평문제제자손전(神元平文諸帝子孫傳)」 | |||||||
탁발흘라 ,탁발제, · 탁발영문 · 탁발육 · 탁발인 · 탁발수낙 · 탁발퇴 · 탁발소연 · 탁발욱 · 탁발목진 · 탁발육수 · 탁발비간 · 탁발여 · 탁발고 탁발돈 · 탁발석 · 탁발위 · 탁발대두 · 탁발제 · 탁발처진 · 탁발니 | |||||||
15권 「소성자손전(昭成子孫傳)」 | 16권 「도무7왕전(道武七王傳)」 | ||||||
탁발식군 · 탁발한 · 탁발준(遵) · 탁발건(虔) · 탁발순 · 탁발의열 탁발굴돌 | 탁발소 · 탁발희 · 탁발요 · 탁발수 · 탁발처문 · 탁발연 · 탁발려(黎) | ||||||
17권 「명원6왕전(明元六王傳)」 | 18권 「태무5왕전(太武五王傳)」 | ||||||
탁발비 · 탁발미 · 탁발범 · 탁발건(健) · 탁발숭 · 탁발준(俊) | 탁발복라 · 탁발한 · 탁발담 · 탁발건(建) · 탁발여(余) | ||||||
19권 「경목12왕전(敬穆十二王傳)」 | |||||||
탁발신성 · 탁발자추 · 탁발소신성 · 탁발천사 · 탁발만수 · 탁발낙후 · 탁발운 · 탁발정 · 탁발장수 · 탁발태락 · 탁발호아 · 탁발휴 | |||||||
20권 「문성5왕전(文成五王傳)」 | 21권 「헌문6왕전(獻文六王傳)」 | ||||||
탁발장락 · 탁발략 · 탁발간(簡) · 탁발약 · 탁발맹 | 원희 · 원간(幹) · 원우 · 원옹 · 원상 · 원협 | ||||||
22권 「효문5왕전(孝文五王傳)」 | 23권 「위조등전(衛操等傳)」 | 24권 「연봉등전(燕鳳等傳)」 | |||||
원순 · 원유 · 원역 · 원회 · 원열 | 위조 · 막함 · 유고인 | 연봉 · 허겸 · 장곤 · 최현백 · 등연 | |||||
25권 「장손숭등전(長孫嵩等傳)」 | 26권 「장손비등전(長孫肥等傳)」 | 27권 「목숭전(穆崇傳)」 | |||||
장손숭 · 장손도생 | 장손비 · 울고진 | 목숭 | |||||
28권 「화발등전(和跋等傳)」 | 29권 「해근등전(奚斤等傳)」 | ||||||
화발 · 해목 · 막제 · 유업연 · 하적간 · 이율 · 유결 · 고필 · 장려 | 해근 · 숙손건 | ||||||
30권 「왕건등전(王建等傳)」 | |||||||
왕건 · 안동 · 누복련 · 구퇴 · 아청 · 유니 · 해권 · 차이락 · 숙석 · 내대천 · 주기 · 두대전 · 주관 · 염대비 · 울발 · 육진 · 여락발 | |||||||
31권 「우율제전(于栗磾傳)」 | 32권 「고호등전(高湖等傳)」 | ||||||
우율제 | 고호 · 최영 · 봉의 | ||||||
33권 「송은등전(宋隱等傳)」 | |||||||
송은 · 왕헌 · 굴준 · 장포 · 곡혼 · 공손표 · 장제 · 이선 · 가이 · 설제 | |||||||
34권 「왕낙아등전(王洛兒等傳)」 | 35권 「최호전(崔浩傳)」 | 36권 「이순전(李順傳)」 | |||||
왕낙아 · 차노두 · 노노원 · 진건 · 만안국 | 최호 | 이순 | |||||
37권 「사마휴지등전(司馬休之等傳)」 | 38권 「조옹등전(刁雍等傳)」 | 39권 「이보전(李寶傳)」 | |||||
사마휴지 · 사마초지 · 사마경지 · 사마숙번 사마천조 | 조옹(刁雍) · 왕혜룡 · 한연지 · 원식 | 이보 | |||||
40권 「육사전(陸俟傳)」 | 41권 「원하전(源賀傳)」 | 42권 「설변등전(薛辯等傳)」 | |||||
육사 | 원하 | 설변 · 구찬 · 역범 · 한수 · 요훤 | |||||
43권 「엄릉등전(嚴棱等傳)」 | 44권 「나결등전(羅結等傳)」 | ||||||
엄릉 · 모수지 · 당화 · 유휴빈 · 방법수 | 나결 · 이발 · 을괴 · 화기노 · 순퇴 · 설야저 · 우문복 · 비우 · 맹위 | ||||||
45권 「위랑등전(韋閬等傳)」 | 46권 「두근등전(竇瑾等傳)」 | 47권 「노현전(盧玄傳)」 | |||||
위랑 · 두전 · 배준 · 신소선 · 유숭 | 두근 · 허언 · 이흔 | 노현 | |||||
48권 「고윤전(高允傳)」 | 49권 「이령등전(李靈等傳)」 | 50권 「울원등전(尉元等傳)」 | |||||
고윤 | 이령 · 최감 | 울원 · 모용백요 | |||||
51권 「한무등전(韓茂等傳)」 | |||||||
한무 · 피표자 · 봉칙문 · 여나한 · 공백공 | |||||||
52권 「조일등전(趙逸等傳)」 | |||||||
조일 · 호방회 · 호수 · 송요 · 장담 · 종흠 · 단승근 · 감인 · 유병 · 조유 · 색창 · 음중달 | |||||||
53권 「이효백등전(李孝伯等傳)」 | 54권 「유아등전(游雅等傳)」 | 55권 「유명근등전(游明根等傳)」 | |||||
이효백 · 이형 | 유아 · 고려 | 유명근 · 유방 | |||||
56권 「정희등전(鄭羲等傳)」 | 57권 「고우등전(高祐等傳)」 | 58권 「양파전(楊播傳)」 | |||||
정희 · 최변 | 고우 · 최정 | 양파 | |||||
59권 「유창등전(劉昶等傳)」 | 60권 「한기린등전(韓麒麟等傳)」 | 61권 「설안도등전(薛安都等傳)」 | |||||
유창 · 소보인 · 소정표 | 한기린 · 정준 | 설안도 · 필중경 · 심문수 · 장당 · 전익종 · 맹표 | |||||
62권 「이표등전(李彪等傳)」 | 63권 「왕숙등전(王肅等傳)」 | 64권 「곽조등전(郭祚等傳)」 | |||||
이표 · 고도열 | 왕숙 · 송변 | 곽조 · 장이 | |||||
65권 「형만등전(邢巒等傳)」 | 66권 「이숭등전(李崇等傳)」 | 67권 「최광전(崔光傳)」 | |||||
형만 · 이평 | 이숭 · 최량 | 최광 | |||||
68권 「견침등전(甄琛等傳)」 | 69권 「최휴등전(崔休等傳)」 | 70권 「유조등전(劉藻等傳)」 | |||||
견침 · 고총 | 최휴 · 배정준 · 원번 | 유조 · 부영 · 부수안 · 이신 | |||||
71권 「배숙업등전(裴叔業等傳)」 | 72권 「양니등전(陽尼等傳)」 | ||||||
배숙업 · 하후도천 · 이원호 · 석법우 · 왕세필 · 강열지 · 순우탄 · 이묘 | 양니 · 가사백 · 이숙호 · 노시경 · 방량 · 조세표 · 반영기 · 주원욱 | ||||||
73권 「해강생등전(奚康生等傳)」 | 74권 「이주영전(爾朱榮傳)」 | 75권 「이주조등전(爾朱兆等傳)」 | |||||
해강생 · 양대안 · 최연백 | 이주영 | 이주조 · 이주언백 · 이주도율 · 이주천광 | |||||
76권 「노동등전(盧同等傳)」 | 77권 「송번등전(宋翻等傳)」 | 78권 「손소등전(孫紹等傳)」 | |||||
노동 · 장열 | 송번 · 신웅 · 양심 · 양기 · 고숭 | 손소(孫紹) · 장보혜 | |||||
79권 「성엄등전(成淹等傳)」 | 80권 「주서등전(朱瑞等傳)」 | ||||||
성엄 · 범소 · 유도부 · 유도빈 · 동소 · 풍원흥 · 녹여 · 장습 | 주서 · 질열연경 · 곡사춘 · 가현도 · 번자곡 · 하발승 · 후막진열 · 후연 | ||||||
81권 「기준등전(綦儁等傳)」 | 82권 「이염지등전(李琰之等傳)」 | ||||||
기준 · 산위 · 유인지 · 우문충지 | 이염지 · 조영 · 상경 | ||||||
83권 「외척전(外戚傳)」 | |||||||
하눌 · 유나신 · 요황미 · 두초 · 하미 · 여비 · 고조 · 우경 · 호국진 · 이연실 | |||||||
84권 「유림전(儒林傳)」 | |||||||
양월 · 노추 · 장위 · 양조 · 평항 · 진기 · 상상 · 유헌지 · 장오귀 · 유란 · 손혜울 · 서준명 · 동징 · 조충 · 노경유 · 이동궤 · 이흥업 | |||||||
85권 「문원전(文苑傳)」 | |||||||
원요 · 배경헌 · 노관 · 봉숙 · 형장 · 배백무 · 형흔 · 온자승 | |||||||
86권 「효감전(孝感傳)」 | |||||||
조염 · 장손려 · 걸복보 · 손익덕 · 동락생 · 양인 · 염원명 · 오실달 · 왕속생 · 이현달 · 장승 · 창발 · 왕숭 · 곽문공 | |||||||
87권 「절의전(節義傳)」 | |||||||
우십문 · 단진 · 석문덕 · 급고 · 왕현위 · 누제 · 유갈후 · 주장생 · 우제 · 마룡팔 · 문문애 · 조청 · 유후인 · 석조흥 · 소홍철 · 왕영세 · 호소호 · 손도등 · 이궤 · 장안조 · 왕려 | |||||||
88권 「양리전(良吏傳)」 | |||||||
장순 · 녹생 · 장응 · 송세경 · 노옹 · 염경윤 · 명량 · 두찬 · 배타 · 두원 · 양돈 · 소숙 | |||||||
89권 「혹리전(酷吏傳)」 | |||||||
우락후 · 호이 · 이홍지 · 고준 · 장사제 · 양지 · 최섬 · 역도원 · 곡해 | |||||||
90권 「일사전(逸士傳)」 | |||||||
휴과 · 풍량 · 이밀 · 정수 | |||||||
91권 「예술전(藝術傳)」 | |||||||
조숭 · 장연 · 은소 · 왕조 · 경현 · 유영조 · 강식 · 주담 · 이숙 · 서건 · 왕현 · 최욱 · 장소유 | |||||||
92권 「열녀전(列女傳)」 | |||||||
임성국태비 | |||||||
93권 「은행전(恩倖傳)」 | |||||||
왕예 · 왕증흥 · 구맹 · 조수 · 여호 · 조옹(趙邕) · 후강 · 정엄 · 서흘 | |||||||
94권 「엄관전(閹官傳)」 | |||||||
종애 · 구락제 · 단패 · 왕거 · 조묵 · 손소(孫小) · 장종지 · 극붕 · 장우 · 포억 · 왕우 · 부승조 · 왕질 · 이견 · 진송 · 백정 · 유등 · 가찬 · 양범 성궤 · 왕온 · 맹란 · 평계 · 봉진 · 유사일 | |||||||
95권 「유총등전(劉聰等傳)」 | |||||||
유총 · 석륵 · 유하 · 모용외 · 부건 · 요장 · 여광 | |||||||
96권 「사마예등전(司馬叡等傳)」 | 97권 「환현등전(桓玄等傳)」 | 98권 「소도성등전(蕭道成等傳)」 | |||||
사마예 · 이웅 | 환현 · 풍발 · 유유 | 소도성 · 소연 | |||||
99권 「장실등전(張實等傳)」 | |||||||
장실 · 걸복국인 · 독발오고 · 이고 · 저거몽손 | |||||||
100권 「고구려등전(高句麗等傳)」 | |||||||
고구려 · 백제 · 물길 · 실위 · 두막루 · 지두우 · 고막해 · 거란 · 오락후 | |||||||
101권 「저등전(氐等傳)」 | |||||||
저족 · 토욕혼 · 탕창강 · 고창 · 등지 · 만족 · 요족 | |||||||
102권 「서역전(西域傳)」 | |||||||
선선 · 차말 · 우전 · 백정 · 차사국 · 언기 · 쿠처 · 소륵 · 속특 · 파사 · 남천축 · 읍달 | |||||||
103권 「연연등전(蠕蠕等傳)」 | |||||||
연연 · 우문막괴 · 단질육권 · 고차 | |||||||
104권 「자서전(自序傳)」 | |||||||
위수 |
※ 105권 ~ 114권은 志에 해당. 위서 문서 참고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dc143c><tablebgcolor=#dc143c> ||
| |||||
[ruby(吐鲁番, ruby=Tǔlǔfān)][ruby(市, ruby=Shì)] | تۇرپان شەھىرى 투르판시 | Turpan City | |||||
<nopad> | |||||
시정부 소재지 | 신장 위구르 자치구 투르판시 가오창구 뤼저우둥루 495호 新疆维吾尔自治区吐鲁番市 高昌区绿洲东路495号 | ||||
지역 | 시베이 | ||||
면적 | 69,713km² | ||||
하위 행정구역 | 1구 2현 | ||||
시간대 | UTC+8 | ||||
인문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인구 | 693,988명 (2020) | |||
인구밀도 | 10명/km² | ||||
민족 구성 | 위구르인 68.96% | 한족 25.02 후이족 5.63% | 토가족 0.07% | ||||
서기 | 마쉐량(马学良) | ||||
시장 | 멤티 사으티(위구르인) (买买提·沙吾提) | ||||
GRDP | 전체 | $56억 (2020) | |||
1인당 | $8,039 (2020) | ||||
상징 | 시화 | 없음 | |||
시목 | 없음 | ||||
차량번호 | 新K | ||||
행정구역코드 | 650400 | ||||
지역전화번호 | 0995 | ||||
우편번호 | 830000 | ||||
ISO 3166-2 | CN-XJ-04 | }}}}}}}}} | |||
홈페이지 |
|
투르판의 랜드마크인 아민 미나레트 |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 | 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 |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 한국어 | 실크로드: 장안-톈산 회랑 도로망 | |
중국어 | 絲綢之路:长安-天山廊道的路網 | ||
카자흐어 | Чанъань-Тянь-Шань дәлізіндегі Ұлы Жібек жолы | ||
키르기스어 | “Жибек Жолу”: Тянь-Шань коридорунун маршруттарынын тармагы жана башталыш участогу | ||
영어 | Silk Roads: the Routes Network of Chang'an-Tianshan Corridor | ||
프랑스어 | Routes de la soie : le réseau de routes du corridor de Chang’an-Tian-shan | ||
국가·위치 |
,
,
|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
지정번호 | 1442 | ||
등재연도 | 2014년 | ||
등재기준 | (ⅱ)[1], (ⅲ)[2], (ⅴ)[3], (ⅵ)[4] | }}} |
1. 개요
중국 서부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지급시. 우루무치에서 동남쪽으로 150km 떨어진 투르판 분지에 위치한 도시로, 인구는 69만 명이다.카레즈(كارىز Karez 坎儿井)[5]를 이용해서 과일 농사를 짓는데 특히 포도[6]가 맛있기로 유명하다. 과거에는 목화 농사가 번성하였다. 투르판 자오허 공항이 있지만, 주로 철도 교통이 이용된다. 고창성, 교하성 유적이 매우 유명한 관광지이고, 시내의 에민 미나렛도 18세기 위구르 건축 양식을 잘 보여준다. 고창성, 교하성 유적은 2014년 실크로드: 장안-톈산 회랑 도로망의 일부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도 등재되었다.
2000년에는 도시의 인구 중 70%가 위구르인, 23%가 한족이었으나, 2018년에는 위구르인 77%, 한족 17%로 바뀌었다. 6% 남짓을 차지하는 후이족도 있다.
교하(交河) 고성
고창(高昌) 고성
고대의 투르판 지역은 실크로드가 지나가며 번영하였는데, 시내 북쪽의 야르호토에는 한대에 차사국(車師國)이라 기록된 국가의 도성인 교하성 유적이 있고, 시내 남쪽의 카라호자에는 고창국의 도성인 고창성 유적이 있다. 투르판이라는 이름은 몽골 제국 시대 이후로 생긴 이름이다.
2. 지리
중국에서 가장 더운 지역도시가 위치한 투르판 분지는 타림 분지의 북쪽 끝에 해당하는데, 해발 고도가 마이너스 400m로, 전세계에서 가장 해발고도가 낮고 매우 건조하여 무상일수가 270일에 달하며 연간 일조 시간은 약 3,200시간 이상된다. 여름에는 영상 50도까지 올라가고, 겨울에는 영하 28도까지 내려가기도 한다...[7] 연교차가 무려 76도...[8]
2023년 7월 중순에는 산하 싼바오향(三堡乡)의 기온이 무려 52.2도까지 치솟았다.[9] #
투르판 분지의 최고기온은 66.7°C이다.
3. 역사
위구르-신장&동튀르키스탄의 역사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1.2px" | ||||||||
<colbgcolor=#eaf8ff,#3f484c> 고 대 | 토하라인 | 흉노 | ||||||
월지 | ||||||||
흉노 | ||||||||
전한 서역도호부 | ||||||||
후한 서역도호부 | ||||||||
한·위·진 서역장사부 | 선비 | |||||||
전량 후량 북량 | 유연 | |||||||
고창국 | ||||||||
에프탈 | ||||||||
서돌궐 | ||||||||
중 세 | 당 안서도호부 | |||||||
토번 제국 | {{{#!wiki style="margin:-40px -10px -18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 | ||||||
위구르 제국 | ||||||||
카라한 칸국 | 호탄 왕국 | 고창회골 | 하서회골 | |||||
서요 | ||||||||
몽골 제국 | ||||||||
차가타이 칸국 | 오고타이 칸국 | |||||||
원 | ||||||||
모굴리스탄 칸국 | ||||||||
중 근 세 | 모굴리스탄 칸국 | |||||||
{{{#!wiki style="margin:-5px -10px -3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야르칸드 칸국 | }}}}}} | 호쇼트 칸국 | |||||
{{{#!wiki style="margin:-10px -10px -2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 | |||||||
근 대 | 준가르 | |||||||
청 | ||||||||
예티샤르 왕국 / 둥간 봉기 | ||||||||
청 신강성 | ||||||||
중화민국 신장성 | ||||||||
현 대 | 중화민국 신장성 신강군벌 | |||||||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위구르 자치구 [[동튀르키스탄 망명정부| 동튀르키스탄 망명정부 ]] | ||||||||
}}}}}}}}} |
기원전 2세기 무렵 투르판 분지의 오아시스 도시 국가 차사국은 흉노에 종속되었으나 한나라가 이들을 몰아내고 둔전을 설치하며 이 지역에 한나라 군인들을 주둔시켰다. 한나라 멸망 이후 노수호들이 이주해 와 고창국을 세웠다. 고창국에는 많은 소그드인들이 이주해와서 살게 되었는데 소그드인들의 기록에 따르면 고창에서는 한나라가 무너진 이후에도 계속 한문을 사용했다 한다. 다만 고고학 발굴 결과 이들이 사용하는 한문은 엉터리 한문이 많았다.
640년에 당나라가 고창을 정복한 이후 투르판 분지는 돌궐, 티베트, 당나라 간의 각축정이 되었는데, 결국 803년에 위구르 칸국에게 정복되었다. 840년에 키르기즈 족의 침공으로 위구르 제국이 무너지자, 그 유민들은 투르판 분지에 코초를 중심으로 천산 위구르 왕국을 세웠다. 투르판 분지는 코초의 소그드인 후손들은 위구르인들에게 여러 가지 문화와 지식, 기술을 전수해준 덕분에 코초 위구르 왕국은 수백 년 동안 동서 무역의 중심지로 번영을 누릴 수 있었다. 동서 무역 외에도 과수 재배와 면직물 산업이 부흥하였다.
카라 키타이, 원나라 지배를 거치면서도 불교 신자가 대부분이던 투르판 분지 일대는 1389년부터 모굴리스탄 칸국의 지배를 받으며 15세기 중반 이슬람화되었다. 이 때 중심지가 코초에서 카라호자와 투르판 시로 이동하였다. 1473년에는 투르판의 술탄이 명나라의 보호를 받던 동쪽의 하미(쿠물)를 점령하고 이슬람화시켰다. 이후 준가르 칸국, 청나라를 거쳐 현재에 이른다.
2015년도에 투르판지구가 폐지되고 투르판시로 승격되었다.
4. 교통
투르판 자오허 공항(IATA : TLQ), 투루판베이역이 가오창구에 위치해 있다. 철도역의 경우 투루판역(吐鲁番站)에 란신철도(兰新铁路)가 지나가고 투루판베이역(吐鲁番北站)에 란신고속철도(兰新客运专线)가 지나간다.[1]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2]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3] 특히 번복할 수 없는 변화의 영향으로 취약해졌을 때 환경이나 인간의 상호 작용이나 문화를 대변하는 전통적 정주지나 육지·바다의 사용을 예증하는 대표 사례일 것[4]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다른 기준과 함께 적용 권장)[5] 우물과 지하수로를 결합한 일종의 인수(引水) 관개시설로 기원전 700년경 이란의 동부 사막지대에서 기원되었는데 조로아스터교의 전파와 더불어 신장지역에 전파되었다.[6] 투르판포도(吐鲁番葡萄)는 국가지식산권국이 지정한 국가지리표지산품(国家地理标志产品)으로 등록되어있다.[7] 4월부터 30도가 넘는 날이 등장해서 여름이 9월까지 계속되다가 10월에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면서 겨울로 들어선다.[8] 사막 기후 특성상 일교차가 커서 체감상 연교차가 매우 크지만, 최한월과 최난월의 평균 기온의 차는 중강군 정도면 그나마 비슷한 편이다. 물론 그곳도 한반도 내에서 연교차가 매우 큰 지역임을 감안해야 한다.[9] 이전 기록은 인근 아이딩호(艾丁湖) 부근에서 2015년 관측된 50.3도 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