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00>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시(городской округ) | |||||
| 고를롭카 | 데발체보 | 도네츠크 | ||||
| 도쿠차옙스크 | 마리우폴 | 마케옙카 | ||||
| 스네즈노예 | 예나키예보 | 일로바이스크 | ||||
| 크라마토르스크 | 토레즈 | 하르치즈스크 | ||||
| 군(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 | ||||||
| 문서가 있는 기타 행정구역 | ||||||
| 노보그로돕카, 노브고로드스코예, 드루즈콥카, 디미트로프, 마린카, 솔레다르, 세베르스크, 셀리도보, 아브데옙카, 우글레다르, 우크라인스크, 제르진스크, 차솝야르, 크라스노고롭카, 파블롭카, 즈다놉카 | ||||||
| 2023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 기준 시(городской округ)의 경우 그 수가 28개에서 12개로 줄었으며, 사라진 시들은 다른 군 산하 시가 되었다. 일로바이스크가 시로 승격했다. 군(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의 경우 2014년 4월 행정구역 개편 당시의 군(район)과 일치하나, 페르쇼트라브네보군이 만구시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마린카군 일부가 도네츠크시에 편입된 후 쿠라호보군이 신설되었다.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3399fe>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가: 우크라이나 | 임시주도: 크라마토르스크[1] | ||
| <colbgcolor=#800000><colcolor=#ffd500> 도네츠크군 Донецький район | 도네츠크(Донецьк, 상실), 마키이우카(Макіївка, 상실), 모스피네(Моспине, 상실), 빌리츠케(Білицьке), 암브로시브카(상실), 야시누바타(Ясинувата, 상실), 주흐레스(Зугрес, 상실), 일로바이스크(Іловайськ, 상실), 하르치즈크(Харцизьк, 상실) | ||
| 마리우폴군 Маріупольський район | 마리우폴(Маріуполь, 상실), 만후시(Мангуш, 상실) | ||
| 바흐무트군 Бахмутський район | 바흐무트(Бахмут, 상실), 잘리즈네(Залізне, 상실), 시베르스크(Сіверськ), 솔레다르(Соледар, 상실), 스비틀로다르스크(Світлодарськ, 상실), 차시우 야르(Часів Яр, 상실), 토레츠크(Торецьк, 상실) | ||
| 볼노바하군 Волноваський район район | 벨리카 노보실카(Велика Новосілк, 상실), 볼노바하(Волноваха, 상실), 부흘레다르(Вугледар, 상실) | ||
| 칼미우스케군 Кальміуський район | 칼미우스케(Кальміуське, 상실), 노보아조우스크(Новоазовськ, 상실), 도쿠차예우스크(Докучаєвськ, 상실) | ||
| 크라마토르스크군 Краматорський район | 드루즈키우카(Дружківка), 리만(Лиман), 미콜라이우카(Миколаївка, 상실), 스뱌르토히르스크(Святогірськ, 상실), 슬로우얀스크(Слов’янськ), 코스탼티니우카(Костянтинівка), 크라마토르스크(Краматорськ) | ||
| 포크로우스크군 Покровський район | 노보흐로디우카(Новогродівка, 상실), 도브로필랴(Добропілля), 로딘스케(Родинське), 셀리도베(Селидове, 상실), 마린카(Мар’їнка, 상실), 미르노흐라드(Мирноград)[2], 아우디이우카(Авдіївка, 상실), 빌로제르스케(Білозерське), 우크라인스크(Українськ, 상실), 쿠라호베(Курахове, 상실), 크라스노호리우카(Красногорівка, 상실), 포크로우스크(Покровськ), 히르니크(Гірник, 상실) | ||
| 호를리우카군 Горлівський район | 데발체베(Дебальцеве, 상실), 분헤(Бунге,[3] 상실), 부흘레히르스크(Вуглегірськ, 상실), 스니지네(Сніжне, 상실), 샤흐타르스크(Шахтарськ, 상실), 예나키예베(Єнакієве, 상실), 지다니우카(Жданівка, 상실), 치스탸코베(Чистякове, 상실), 흐레스티우카(Хрестівка, 상실), 호를리우카(Горлівка, 상실)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background-color: rgba(213, 43, 30, .2)" | }}}}}}}}} | ||
[1] 도네츠크시 상실로 인한 주도 변경.[2] 포크로우스크 동쪽에 위치한 소도시로, 포크로우스크 전투의 교전지 중 하나다.[3] 이전에는 Юнокомунарівськ 유노코무나리우스크로 불렸다.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도시 쿠라호보 Курахово | Kurakhovo | ||||||
| | ||||||
| <rowcolor=#aebd22> 시장 | ||||||
| <nopad> | ||||||
| 행정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97db><colcolor=#fff> 국가 | <colbgcolor=#fff,#010101>[실효지배] | ||||
| 행정구역 | 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쿠라호보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포크롭스크군 쿠라호보 | |||||
| 시간대 | UTC+3 | }}}}}}}}} | ||||
| 인문 환경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97db><colcolor=#fff> 인구 | <colbgcolor=#fff,#010101>18,220명 (2022년) | ||||
| 인구 밀도 | - 명/㎢ | |||||
| 면적 | 14㎢ | }}}}}}}}} | ||||
| 정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97db><colcolor=#fff> 시장 | }}}}}}}}} | ||||
| <colbgcolor=#0097db><colcolor=#fff> 설립 | <colbgcolor=#fff,#010101> 1936년 | |||||
1. 개요
쿠라호보는 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도시이다.2. 역사
1929년 근처에 로옙스키 엘레바토르 공장 근처에 기차역이 건설되었고 1936년 쿠라호보 지역 발전소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거주하게 되면서 만들어졌다.1969년 쿠라호보 국영 지역발전소[2] 확장 공사를 하던 와중에 볼샤야 모길라[3] 고분군에서 12세기에 만들어진 유목민들의 고분 18기가 발굴되었는데, 쇠사슬 갑옷, 단검, 사브르와 화살통이 발견되었으며 무덤 중에서는 마구(馬具)를 착용한 말 유골이 발굴되었다.
2014년 5월 11일 분리독립 투표가 실시되었으나, 며칠 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측이 철수했다.
2.1.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 ||
| 합병 지역 | 크림 공화국 · 세바스토폴 | ||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
| 친러 미승인국 | 도네츠크 · 루간스크 · | ||
| 돈바스 전쟁 | |||
| 경과 |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 ||
| 전선 | 도네츠크 전선 [첨자1]아르테미우스크 전투 | ||
루간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 |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 개요 |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휴전 협상 | ||
| 경과 |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
| 전선 및 전투 | [첨자2] 하르키우 전선 루한스크 전선 북부 도네츠크 전선 남부 도네츠크 전선 | |
오데사 전선 헤르손 전선 자포리자 전선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크리비리흐 공습 |
| 전쟁범죄 |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ㆍ 흐로자 공습 ㆍ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ㆍ 2024년 콘스탄티놉카 슈퍼마켓 미사일 공격 | |
| 경제제재와 영향 |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최전선에 있는 도시였고, 12월 7일에는 러시아군이 투하한 폭탄에 의해 시민 10명이 사망, 5명이 부상당했다. 2024년 6월 말엽 들어 러시아 군이 인접 도시 막시밀야니우카에 진입했다.
2024년 12월 31일 러시아군에 도시 전체가 함락되었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라호보 전투#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쿠라호보 전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민족
모국어를 조사한 결과 우크라이나어 29.84%, 러시아어 69.74%, 그리스어 0.06%, 벨라루스어 0.05%, 아르메니아어 0.04%, 불가리아어 0.02%, 루마니아어 0.01%이다. 폴란드어과 헝가리어를 쓰는 거주민들도 있으며, 집시들도 거주하고 있다.4. 경제
쿠라호보 발전소에서 대다수의 시민들이 종사하고 있다.[실효지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도시 전체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2] Кураховской ГРЭС.[3] Большая могила, 큰 무덤이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