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5 18:20:13

포크로우스크 전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 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 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
도네츠크 전선
[첨자1]
아르테미우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포위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마리우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일로바이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데발체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브데예프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경과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1월 · 2월)
전선 및 전투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하르키우 전투파일:ongo.png · 쿠퍈스크 전투파일:ongo.png · 이지움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스타로빌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파일:ongo.png · 크레민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루베즈노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시찬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크 전투파일:ongo.png · 졸로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파스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솔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바흐무트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차시우야르 전투파일:ongo.png · 토레츠크 전투파일:ongo.png · 니우요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브데예프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피스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오체레티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크로우스크 전투파일:ongo.png · 셀리도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우크라인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쿠라호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부흘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리우폴 포위전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헤르손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미콜라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드니프로강 공방전파일:ongo.png · 멜리토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토크마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베르댠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에네르호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폴로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훌랴이폴레 전투파일:ongo.png ) · 오데사 상륙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파일:ongo.png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오리히우 전투파일:ongo.png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크린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흘루히우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쇼스트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체르니히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체르노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키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호스토멜 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수미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파일:ongo.png · 쿠르스크 전투(2024년)파일:ongo.png)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격파일:모호 아이콘.svg · 벨고로드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타간로크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크림 대교 붕괴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 모스크바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러시아 항공우주군 기지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림 대교 USV 자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전쟁범죄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흐로자 공습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경제제재와 영향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
전쟁 당사국 지지

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

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

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

우크라이나 국제군단(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

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 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사건 사고 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 2024년 러시아 Il-76 추락 사고 · 막심 쿠즈미노프 피살 사건 · 아제르바이잔 항공 8243편 추락 사건
기타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 나는 살고 싶다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025년 1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첨자1]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친러반군의 승리[첨자2] 파일:ongo.png: 진행중,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의 승리[첨자3]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공격, 파일:모호 아이콘.svg: 공격주체 미상, 그 외 각주 참조[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A]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B]
}}}}}}}}} }}}}}}}}}
포크로우스크 전투
파일:러시아 국기.svg Бои за Покровск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Бої за Покровськ
파일:영국 국기.svgBattle of Pokrovsk, Pokrovsk offensive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기간
2024년 7월~ 진행 중
장소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포크로우스크 일대
교전국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러시아|]][[틀:국기|]][[틀:국기|]]
지휘관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올렉산드르 시르스키 파일:러시아 국기.svg 안드레이 모르드비체프[1]
병력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
파일:우크라이나 육군기.svg 우크라이나 육군
제47기계화여단
제33기계화여단
파일:제100기계화여단 엠블럼.png제100기계화여단
제115기계화여단
스칼라 대대
서부작전사령부
북부작전사령부
남부작전사령부
동부작전사령부
파일: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기.svg 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
파일: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 엠블럼.svg제35해병대대
파일:우크라이나 해군 보병대 엠블럼.svg제38해병대대
제38독립포병대대
제43포병대대
파일:우크라이나 공수군 엠블럼.svg우크라이나 공수군
제7공중강습군단
파일:우크라이나 국토방위군 로고.svg우크라이나 국토방위군
제117국토방위여단
제120국토방위여단
제210국토방위여단
파일:우크라이나 국가경찰기.svg우크라이나 국가경찰
파일:AZOV_logo.svg아조우 여단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연방군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러시아 육군
피해규모
피해 규모 피해 규모
결과
교전 진행 중
영향

1. 개요2. 배경3. 전개
3.1. 2024년3.2. 2025년

[clearfix]

1. 개요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중인 2024년 8월부터 러시아군과 우크라이나군이 도네츠크주 포크로우스크(러시아명: 포크롭스크)일대에서 벌이는 전투다. 이 전투에서 러시아군이 승리할 경우 우크라이나군이 점유한 도네츠크주 남부, 자포리자주, 드니프로페트로우스크주 지역에 심대한 타격이 있을 것으로 강하게 추정된다.

2. 배경

2024년 2월 아브데예프카(우크라명: 아우디이우카) 전투에서 아브데예프카 중심부를 점령한 러시아군은 오체레티네 전투를 벌이며 계속 서진하고 있었고, 이에 8월 6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지쳐가는 국내외 여론을 환기시키고 앞으로 있을 휴전 협상에서의 카드 확보, 동부 전선의 러시아 공세를 완화시킬 목적으로 최대 5만 가량의 병력들을 러시아 영토인 쿠르스크주로 진격시켰다. 하지만 동부 전선의 러시아군은 병력을 분산시켜 이를 막으려 들기는 커녕 오히려 이를 빈집털이의 기회로 삼아 우크라이나군의 도네츠크 주 병참 허브인 포크로우스크를 향한 공세를 강화했다.

8월 하순이 되자 포크로우스크의 우크라이나 행정부와 기관은 폐쇄되거나 도시에서 철수하기 시작했고, 민간인들에게도 철수령이 내려 8월 22일과 23일에 피난자들이 속출했다.# 이 날 러시아군과의 최전선은 포크로우스크와 10km 떨어져 있었다.

3. 전개

3.1. 2024년

파일:08.30. 기준 아우디이우카-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08.30. 기준 아브데예프카-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
  • 8월 30일 기준 러시아군은 노보그로돕카 중심부를 포함, 주변 7개의 마을들로 밀어닥치며 포크로우스크 동남쪽 9km 거리의 철도변까지 도달했다.
파일:09.16.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09.16.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
  • 9월 들어 러시아군은 노보흐로디우카 너머 포크로우스크를 향한 정면 진격이 막히자 진격로 북동쪽의 흐로디우카와 노보흐로디우카 주변부를 우선 공격하고 있다. 또한 이 날 AFP 통신 등에 의하면 러시아군이 파죽지세로 밀려드는데 이를 막아낼 수 있었을 숙련병 수천명을 쿠르스크로 보낸 젤렌스키에 대한 각계의 비판이 빗발치고 있다고 했다.#
  • 9월 6일 CNN에 의하면, 우크라이나 참호를 점령한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군 포로들을 처형했고, 이 장면은 우크라이나 드론에 의해 촬영되어 CNN을 시작으로 각국 매체들에게 인용되었다.동아일보머니투데이
  • 9월 9일 연합뉴스가 CNN을 인용한 기사에 따르면, 정신나갈 정도의 격전지인 탓에 우크라이나 군의 사기가 심심하면 도주할 정도로 떨어졌고, 이 때문에 한 부대가 후퇴해도 (연쇄 붕괴를 우려해) 주변 부대에 이를 알려주지 않아 러시아의 공격에 노출되는 사례도 있다고 한다.#
파일:09.25.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09.25.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이 노보흐로디우카와 흐로디우카 돌출부 사이를 완전히 점령했으며, 포크로우스크 방면에 대한 통제권도 통합했다.
  • 10월 6일 ISW(미 전쟁연구소)에 따르면, 러시아군은 포크로우스크 전투에서 지금껏 전차 539대, 장갑차 1020대의 손실을 입었다고 한다.#
파일:10.09. 기준 미르노흐라드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10.09. 기준 미르노흐라드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이 포크로우스크 서쪽 미르노흐라드 앞까지 접근했다.
파일:10.19.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10.19.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2개월 가까이 뚫지 못하던 진격로의 남서쪽에 위치한 리시우카를 공격, 대부분을 점령했다.
  • 10월 24일 우크라이나 매체들에 따르면, 포크로우스크 앞 거점 대부분을 정리한 러시아군은 이번에야말로 포크로우스크를 정면에서 뚫으려고 이 날 오후 4시까지 총 30차례의 공격들을 해댔다고 한다.연합뉴스
  • 11월 18일 젤렌스키 대통령이 최전선으로부터 6km 떨어진 제25공수여단 지휘부와 장병들을 격려차 방문했다.#
파일:12.6.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12.6.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
  • 12월 초, 러시아군은 포크로우스크 남쪽 8km 앞까지 도달해 도시를 압박하고 있다.
  • 12월 11일 우크라 오신트 타타리가미에 따르면 러시아군이 포크로우스크 남쪽 셀리도브를 함락시켰고, 이를 통해 포크로우스크 바로 남쪽의 셰브첸코로 진격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또 FPV 드론들을 포크로우스크 서쪽 병참 도로로 보내 민간 차량도 표적으로 삼고 있다고 한다.
  • 12월 15일 러시아군이 마침내 셰브챈코를 함락하며 포크로우스크 남쪽 3km까지 다가가게 되었다.#
파일:12.24.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12.24.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이 포크로우스크 서쪽 병참 도로를 차단하고자 서쪽으로 진군중이나, 도시 내부는 저항이 거세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 12월 26일 Nexta 등에 의하면 포크로우스크 일대의 러시아군이 두 방향으로 공격해 도시를 포위하려 하고 있다고 한다.#

3.2. 2025년

  • 1월 1일 레오파드 2와 카이사르 자주포로 무장된 우크라이나 155여단이 그동안의 문제들이 누적[2]된 상태에서 포크로우스크 외곽에서 전투에 돌입하자마자 큰 타격을 입고 붕괴되었으며, 보흐단 크로테비치는 이를 어리석다면서도 동시에 변덕스러운 서방 물주들에게 여전히 싸울 수 있음을 보여주려는 정치적 과시라고 평가했다. 그나마 붕괴 직후 수습된 병력과 무기들은 현지 여단들에게 분배되었다고 한다.포브스 기사러시아 톱워 기사
  • 1월 14일, 철강 생산에 필수적인 코크스석탄을 채굴하던 포크로우스크 탄광의 소유기업인 메틴베스트가 최전선 상황 변화와 전력 공급 부족, 치안 악화 등으로 작업 중단 및 직원 대피 명령을 내렸다. 이 곳은 2024년 기준으로 직원 1만명에 석탄 560만t을 생산했으며, 이 같은 조치는 러시아군의 포크로우스크 진입이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의미로도 해석될 수 있다.연합뉴스KBS 뉴스 한편 전선에서 가장 가까웠던 3번 갱도는 이미 2024년 12월 20일에 폭파된 바 있다.뉴욕타임즈
파일:12.16. 기준 포크로우스크 남부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01.16. 기준 포크로우스크 남부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포크로우스크 서쪽 병참 도로 중간 코틀리네 앞까지 진출해 병참선을 끊으려 하고 있다.
  • 1월 21일 포크로우스크 주변 전장에서 목발에 의지해 돌격하는 러시아 부상병들이 늘었고, 의도대로 소모[3]되고 있다.포브스
파일:01.23.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01.23.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이 포크로우스크 서쪽 코틀리네를 점령, 서쪽 병참 도로를 완전히 차단했다.[4]
파일:25년2월4일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jpg
<rowcolor=#fff> 02.04. 기준 포크로우스크 전선 지도
  • 러시아군은 코틀리네 서쪽과 북쪽으로 밀고 나가며 우다치네에 진입했다.


[1] 중앙군집단 사령관.[2] 새로이 확보된 인력과 무기들을 기존 베테랑 여단들에게 보충하지 않고 후방에서 14개의 신편 여단들 중 하나로 창설, 장비 부족, 길거리 징집으로 모인 어중이 떠중이 병사들, 이들을 통솔할 지휘력 부족과 연이은 탈영 등으로 12월 17일 지휘관이 교체될 정도로 문제가 상당했다.[3] 목발 신세를 질 정도면 전력질주나 엄폐는 커녕 조준 사격조차 제대로 못한다. 그나마 전장에서 이들이 딱 하나 유용한 게 있는데, 이 전쟁에서의 여타 러시아군 형벌 부대처럼 적이 있을만한 곳으로 보내 적의 반응 규모와 위치를 상부가 볼 수 있게끔 알려주는 역할이다.[4] 이렇게 되면 우크라이나군은 도시 북쪽에 난 도로들로 빙 돌아 보급하는 수밖에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