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 ||
합병 지역 | 크림 공화국 · 세바스토폴 | ||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 |||
친러 미승인국 | 도네츠크 · 루간스크 · | ||
돈바스 전쟁 | |||
경과 |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 ||
전선 | 도네츠크 전선 [첨자1]아르테미우스크 전투 | ||
루간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 |||
개요 |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 휴전 협상 | ||
경과 |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5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전선 및 전투 | [첨자2] 하르키우 전선 루한스크 전선 북부 도네츠크 전선 남부 도네츠크 전선 |
오데사 전선 헤르손 전선 자포리자 전선 |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크리비리흐 공습 |
전쟁범죄 |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 ㆍ 흐로자 공습 ㆍ 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 ㆍ 2024년 콘스탄티놉카 슈퍼마켓 미사일 공격 | |
경제제재와 영향 |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
리만 전투 Бої за Лиман Бои за Лиман Battle of Lyman | |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 |
러시아군의 공세 2022년 5월 23일 ~ 5월 27일 우크라이나군의 탈환전 9월 10일 ~ 10월 1일 | |
장소 | |
<nopad> 우크라이나 리만 | |
교전국 | |
|
|
지휘관 | |
| |
병력 | |
1차 전투 제79공중강습여단 제81공중기동여단 제95공중강습여단 우크라이나 영토방위군 2차 전투 제92기계화여단 제81공중기동여단 제103영토방위여단 제4신속대응여단 드니프로-1연대 우크라이나 특수작전군 비정규 민병대 | 러시아 연방군 1차 전투 제90근위전차군 제144근위차량화소총사단 제15독립근위차량화소총사단 제24근위스페츠나츠여단 2차 전투 제20근위제병합동군 제503근위소총사단 제752근위차량화소총사단 제3근위스페츠나츠여단 BARS 친러 반군 수비대 1500~5000명[1] |
결과 | |
우크라이나의 리만 탈환 성공 | |
피해규모 | |
전사자, 민간인 사상자 300명 이상 | 1500명 사상[2] |
1. 개요
우크라이나 리만에서 벌어진 전투이다.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에 대한 북동부 공세와 그 탈환전으로, 제2의 마리우폴 전투라는 수식어가 붙을 만큼 2주 넘게 치열한 시가전이 벌어졌던 세베로도네츠크 전투 이후의 전투로, 화력을 앞세운 러시아군에 의해 우크라이나군이 이지움까지 밀려난 이후 러시아군에 점령되었다가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로 인해 탈환되었다.2. 배경
리만은 우크라이나 제2의 도시인 하르키우와 고속도로로 이어진 이지움으로 향하는 철도가 지나고, 우크라이나군이 세베로도네츠크 쪽으로 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나야 할 거점으로 양측이 격돌하였던 지역이다. 특히 리만 남동쪽은 세베로도네츠크, 리시찬스크 등으로 향하는 철도와 주요 도로가 위치하고 있어 양측 모두에게 중요하다. 5월 27일 러시아에 함락되었다가 10월 2일 우크라이나가 다시 탈환했다.3. 러시아 군의 재점령 시도
2025년 여름, 테르니 방향에서 남하하던 러시아 군은 9월 8일 들어 리만 동쪽 토레츠케(Torske)를 함락시키고 리만을 동쪽과 북쪽에서 압박하고 있다.
3.1. 2025년 9-10월
- 9월 들어 러시아 군의 정찰대가 리만 동남쪽 얌필[3]에 침투했다.
- 9월 말엽 기준 러시아 군이 토레츠케 서쪽 자리치네를 완전히 점령하고, 얌필 동부도 장악했다.
- 10월 초엽 기준 러시아 군이 리만 북쪽의 스타브키에 접근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