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02:26:22

체르니히우 전투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 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 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
도네츠크 전선
[첨자1]
아르테미우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포위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마리우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일로바이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데발체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우디이우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경과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전선 및 전투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하르키우 전투파일:ongo.png · 쿠퍈스크 전투파일:ongo.png · 이지움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스타로빌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파일:ongo.png · 크레민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루베즈노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시찬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크 전투파일:ongo.png · 졸로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파스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솔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바흐무트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차시우야르 전투파일:ongo.png · 토레츠크 전투파일:ongo.png · 니우요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우디이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피스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오체레티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크로우스크 전투파일:ongo.png · 셀리도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우크라인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쿠라호베 전투파일:ongo.png · 부흘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리우폴 포위전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헤르손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미콜라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드니프로강 공방전파일:ongo.png · 멜리토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토크마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베르댠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에네르호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폴로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훌랴이폴레 전투파일:ongo.png ) · 오데사 상륙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파일:ongo.png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오리히우 전투파일:ongo.png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파일:ongo.png · 크린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흘루히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쇼스트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체르니히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체르노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키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호스토멜 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수미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파일:ongo.png · 쿠르스크 전투(2024년)파일:ongo.png)
특수작전 및 지역공습
[첨자3]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포격파일:모호 아이콘.svg · 벨고로드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타간로크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크림 대교 붕괴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 모스크바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 · 러시아 항공우주군 기지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댜길레보 비행장 공격 · 엥겔스 비행장 공격 · 쿠르스크 공항 공격)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림 대교 USV 자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전쟁범죄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흐로자 공습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경제제재와 영향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
전쟁 당사국 지지

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

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

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

우크라이나 국제군단(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

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 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사건 사고 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 2024년 러시아 Il-76 추락 사고 · 막심 쿠즈미노프 피살 사건
기타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 나는 살고 싶다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4년 11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첨자1]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친러반군의 승리[첨자2] 파일:ongo.png: 진행중,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의 승리[첨자3]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공격, 파일:모호 아이콘.svg: 공격주체 미상, 그 외 각주 참조[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A]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B]
}}}}}}}}} }}}}}}}}}
체르니히우 전투
Бої за Чернігів[1]
Битва за Чернигов[2]
Battle of Chernihiv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의 일부
2022년 2월 24일 ~ 4월 4일
장소
우크라이나 체르니히우 일대
교전국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지휘관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발레리 잘루즈니[3]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빅토르 니콜류크[4]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블라디슬라우 아트로셴코[5]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레오니드 호다 [6]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르 라핀[7]
파일:러시아 국기.svg 데니스 쿠릴로
파일:러시아 국기.svg 콘스탄틴 바이니체프
병력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
우크라이나 육군
제1전차여단
우크라이나 영토방위군
제119국토방위여단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연방군
러시아 공수군
제11근위공중강습여단
제2근위차량화소총사단
제36제병협동군
제41제병협동군
제74근위차량화소총여단
제35근위차량화소총여단
제90근위전차사단
피해규모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측 주장)
군인 132명 사망
포로 50~100명
민간인 700명 이상 사망
파일:러시아 국기.svg (우크라이나 측 주장)
군인 300~350명 사망
결과
우크라이나군의 승리
영향
러시아군의 북부전선 후퇴

1. 개요2. 경과
2.1. 1차 전투2.2. 2차 전투

[clearfix]

1. 개요

2022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당시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첫날 시작된 전투이다.

체르니히우는 러시아에서 키이우로 가는 길목에 있는 우크라이나 북동부의 도시로, 우크라이나군은 개전 직전인 2월 11일에 제 1전차여단을 배치했다. 우크라이나군은 2022년 2월 기준 단 4개의 기갑여단을 가지고 있었는데 그 중 하나를 이곳에 배치했다는 사실은 이 지역이 북부 전선에서 정말 중요한 요충지임을 의미하는 것이다.##

2. 경과

2.1. 1차 전투

개전 직후 러시아군은 우크라이나에 동시다발적인 공세를 진행했다. 북쪽의 러시아군은 키이우로 향하는 고속도로가 지나는 체르니히우로 진격했다. 현지 시각 03시 27분(UTC+3), 러시아 공수군 제11근위공중강습여단 소속 대위(Captain) 1명과 상병(Corporal) 1명[8]우크라이나 육군에 항복했다. 영국 국방부에 따르면 체르니히우 방면의 러시아군의 공세는 시외에서 중단되었으며, 따라서 시외에서 전투가 벌어질 것으로 보인다.

2월 25일, 수미코노토프를 사수하던 우크라이나 육군 제58차량화보병여단이 패퇴하면서 키이우로 가는 고속도로가 뚫려, 우크라이나 입장에서는 체르니히우까지 위기에 직면하였다.# 러시아 국방부는 체르니히우를 봉쇄했다고 발표하였다.# 체르니히우의 우크라이나 보안국 청사에는 2발의 포격이 가해졌다.#

2월 27일, 영국 국방부는 우크라이나군이 러시아군을 체르니히우에서 격퇴했다고 발표했다.
파일:2022년 2월 27일 영국 국방부의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전황 요약.jpg
<rowcolor=#fff> 영국 국방부의 전황 업데이트
2월 27일 영국 국방부는 러시아군이 강한 저항을 피해 체르니히우를 우회하여 키이우 진공을 시도한다고 밝혔다.

2.2. 2차 전투

2월 28일 체르니히우에서 또다시 격렬한 교전이 있었으나 도시는 여전히 우크라이나군 통제하에 있다고 한다.

3월 1일, 벨라루스군이 러시아군의 증원 병력으로 이곳에 파견되었다는 외신 보도가 들어왔다.# 그러나 얼마 후 벨라루스군의 개입을 부인하는 보도가 또 이어서 나왔다.#

3월 7일, 체르니히우와 지토미르가 공격받았다.#

3월 10일, 체르니히우 시가 러시아군에 포위된 상태에 놓였다.#

3월 25일, 러시아군이 체르니히우를 포위하려 했으나 우크라이나군의 반격으로 인해 실패했다.#

3월 26일, 체르니히우 시당국은 체르니히우가 러시아군의 공습, 포격으로 폐허가 됐다고 밝혔다.#

3월 29일, 러시아 국방부는 키이우, 체르니히우에서의 공격을 줄이겠다고 밝혔다.#

이후 포브스의 기사에 따르면 이곳을 지키는 제1전차여단의 활약상이 소개되기도 했다.
놀랍게도 제1전차여단은 몇 주간의 공성전을 통해 많은 T-64를 보존한 것으로 보입니다. 제1전차여단은 업그레이드된 엔진과 장갑을 갖춘 최신 T-64BM을 사용하는 몇 안 되는 부대 중 하나입니다. 분석가들은 2대의 T-64BM만이 파괴되었음을 확인했으며, 둘 다 하르키우에 있는 우크라이나 육군 전차 학교에 속한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제1전차여단이 전차를 잃지 않았다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그것은 여단이 사진 증거를 쉽게 찾을 수 있을 정도로 많은 전차를 잃지 않았음을 의미합니다.[9]
포브스, 3월 31일 Ukraine’s Best Tank Brigade Has Won The Battle For Chernihiv
4월 1일, 체르니히우가 키이우쪽과 연결됨에 따라 포위에서 벗어나게 되었다.#

4월 4일 기준 우크라이나 북동부 지역에서 러시아군이 전면 철수함에 따라 체르니히우 역시 수미 지역과 함께 완전히 우크라이나의 영향권 안으로 돌아왔다.

4월 16일 우크라이나 철도공사에서, 체르니히우의 철도를 재연결했다고 밝혔다.

5월 17일 러시아군이 체르니히우에 미사일을 발사해 8명이 사망했다.#
[1] 우크라이나어[2] 러시아어[3] 우크라이나군 총사령관[4] 우크라이나 육군 북부작전사령부 사령관[5] 체르니히우 시장[6] 제1전차여단장[7] 러시아군 중앙군관구 사령관[8] 이는 영문 위키백과 기준 서술로, 실제 대한민국 국군의 계급 기준과는 상이할 수 있음.[9] Incredibly, the 1st Tank Brigade appears to have preserved many of its T-64s through the weeks of siege warfare. The brigade is one of the few users of the latest T-64BM with its uprated engine and armor. Analysts have confirmed the destruction of just two T-64BMs, both apparently belonging to the Ukrainian army’s tank school in Kharkiv. That doesn’t mean the 1st Tank Brigade hasn’t lost any tanks. But it does imply that the brigade hasn’t lost so many tanks that photographic evidence is easy to f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