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00:58:28

리시찬스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af>
파일: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장.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시 (городской округ)
파일:로벤키 시장.jpg
로벤키
파일:루간스크 시장.jpg
루간스크
파일:루베즈노예 시장.jpg
루베즈노예
파일:리시찬스크 시장(루간스크).png
리시찬스크
파일:브랸카 시장.jpg
브랸카
파일:세베로도네츠크 시장.jpg
세베로도네츠크
파일:스타하노프 시장.png
스타하노프
파일:알쳅스크 시장.png
알쳅스크
파일:크라스니 루치 시장.png
크라스니 루치
파일:키롭스크 시장.png
키롭스크
파일:페르보마이스크 시장.jpg
페르보마이스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군 (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폐지된 행정구역
문서가 있는 기타 행정구역
마케옙카, 벨로고롭카
2022년 9월 1일 행정구역 개편 기준
1: 2022년 9월 1일 폐지. #
}}}}}}}}}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
리시찬스크
Лисичанск | Lisichansk
파일:리시찬스크 시장(루간스크).png
시장
행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0><colcolor=#000> 국가 <colbgcolor=#fff,#010101>
[[러시아|]][[틀:국기|]][[틀:국기|]][실효지배]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행정구역
[[러시아|]][[틀:국기|]][[틀:국기|]]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리시찬스크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루한스크주 리시찬스크
시간대 UTC+3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0><colcolor=#000> 인구 <colbgcolor=#fff,#010101>97,251명(2019년)
인구 밀도 1,013명/km²
면적 96km²
공용어 러시아어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0><colcolor=#000> 시장 안드레이 스코리[2]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colbgcolor=#ff0><colcolor=#000> 설립 <colbgcolor=#fff,#010101> 1710년
홈페이지 파일:리시찬스크 시장(우크라이나).svg
SNS 파일:브콘탁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clearfix]

1. 개요

리시찬스크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로, 2019년 기준 인구는 약 10만 명이다. 세베로도네츠크, 루베즈노예, 크레멘나야, 프리볼리예 등과 함께 루간스크 서부의 공업 지대를 구성한다.

2. 역사

1721년 돈바스 지역의 석탄이 발견되면서 1795년 탄광 마을로 시작했다.[3]

1962년 세베로도네츠크가 독립하고 노보드루제스크와 프리볼리예가 도시로 포함되면서 도시 경계선이 바뀌게 된다.

2014년 4월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이 이곳을 장악하였으나, 2014년 7월 24일 우크라이나군이 도시를 탈환하였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세베로도네츠크가 함락되며 루간스크 지역 내 우크라이나군 최후의 보루로 남았다.

2022년 6월 3일, 영국 국방부는 2주 이내에 러시아군이 루한스크주 전체를 통제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는 영국 국방부의 예측으로는 2주 이내에 리시찬스크가 함락될 가능성을 암시한다. # 실제로 우크라이나군이 3주 이상 더 버티기는 했지만, 2022년 6월 24일 우크라이나군이 세베로도네츠크에서 철군하기로 하면서 리시찬스크 역시 러시아군의 수중으로 넘어가는 것은 시간문제가 되었다. 리시찬스크까지 넘어가게 된다면 루한스크주는 전역이 러시아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수중으로 넘어가게 된다.

2022년 6월 24일에는 프랑스24가 리시찬스크를 취재하면서 일부 주민들이 피난을 가는 반면에 친러 주민들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반감을 드러내고 피난을 거부하면서 러시아군을 기다리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2022년 7월 3일, 러시아군이 리시찬스크 전역을 점령했다.#

파일:리시찬스크점령2022년7월3일.jpg

2022년 7월 3일자 리시찬스크 시의회의 사진. 첫 번째 사진에서 카디로비치가 아흐마트 카디로프 깃발을 들고 시의회 앞에 서 있다.

2022년 7월 4일, 프랑스24가 러시아군을 환영하는 리시찬스크 시민들의 모습을 취재했다.#

2022년 9월 10일, 세르히 하이다이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 주지사가 리시찬스크 탈환을 위해 시 외곽에 진입했다고 주장했고 일부 매체는 아무런 시각 자료 없이 우크라이나군이 리시찬스크 방어선을 돌파해 다시 탈환전에 들어갔다는 소식을 전했다. 그러나 이는 거짓으로 드러났으며, 2022년 7월 3일 이후 리시찬스크 내에서 전투는 단 한 번도 발생하지 않았다.


[실효지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 전체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2] Андрей Скорый[3] 카자크 마을은 1710년 생겨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