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0af>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 시 (городской округ) | |||||||||
| 로벤키 | 루간스크 | 루베즈노예 | ||||||||
| 리시찬스크 | 브랸카 | 세베로도네츠크 | ||||||||
| 스타하노프 | 알쳅스크 | 크라스니 루치 | ||||||||
| 키롭스크 | 페르보마이스크 |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군 (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 | |||||||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폐지된 행정구역 | |||||||||
| 문서가 있는 기타 행정구역 | ||||||||||
| 마케옙카, 벨로고롭카, 졸로토예, 토시콥카 | ||||||||||
| 2022년 9월 1일 행정구역 개편 기준 1: 2022년 9월 1일 폐지. # | }}}}}}}}} | |||||||||
|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f2f91> | }}} |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6px; word-break: keep-all" | 국가: 우크라이나 | 주도: 루한스크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background-color: rgba(213, 43, 30, .2)" | |||
| <colbgcolor=#ffffff,#1f1f1f><colcolor=#000,#fff> 스바토베군 Сватівський район | 스바토베 | ||
| 스타로빌스크군 Старобільський район | 스타로빌스크 | ||
| 세베로도네츠크군 Сєвєродонецький район | 세베로도네츠크 | ||
| 슈차스티아군 Щастинський район | 슈차스티아 | ||
| 알체우스크군 Алчевський район | 알체우스크 | ||
| 루한스크군 Луганський район | 루한스크 | ||
| 로벤키군 Ровеньківський район | 로벤키 | ||
| 도우잔스크군 Довжанський район | 도우잔스크 | }}}}}}}}} | |
| 포파스나야 Попасная | Popasnaya | ||||||
| 행정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AEEF><colcolor=#000> 국가 | <colbgcolor=#fff,#010101>[실효지배] | ||||
| 행정구역 |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페르보마이스크 포파스나야 우크라이나 루한스크주 세베로도네츠크군 포파스나 | |||||
| 시간대 | UTC+3 | }}}}}}}}} | ||||
| 인문 환경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aeef><colcolor=#000> 인구 | <colbgcolor=#fff,#010101>19,672명(2021년) | ||||
| 인구 밀도 | -.-명/㎢ | |||||
| 면적 | 28.78㎢ | }}}}}}}}} | ||||
| 정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00aeef><colcolor=#000> 시장 | }}}}}}}}} | ||||
| <colbgcolor=#00aeef><colcolor=#000> 설립 | <colbgcolor=#fff,#010101> 1878년 | |||||
1. 개요
포파스나야는 러시아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의 도시이다.2. 역사
포파스나는 1870년대 말 철도 및 철도역 부설 계획에 따라 정착지가 세워졌고, 철도 중심지가 되면서 도시가 되었다.1930년대에는 소련의 우크라이나인 정치인인 라자르 카가노비치의 이름을 따 '카가노비치'로 개명되었었다.
2014년 동부 우크라이나 위기 초기에 친러 분리주의 반군이 점거하였으나 2014년 6월 29일 우크라이나가 다시 도시를 되찾았으며 돈바스 전쟁 기간 동안 우크라이나가 실효지배하였다.
2.1. 우크라이나 전쟁 시기
세베로도네츠크, 루베즈노예와 함께 루한스크 전선의 우크라이나군 방어선을 구성했다.2022년 5월 7일 러시아군이 포파스나야 전투에서 승리하면서 이 도시를 점령했다.
3. 포파스나군
포파스나군은 포파스나 시를 중심지로 하여 주변 지역을 관할하는 행정구역으로서 1924년 처음 세워졌으나 이후 폐지와 재수립이 반복됐다.1932년에는 포파스나군이 다시 폐지되어 카디이우카군의 일부가 되었으나 1936년 당시 시 이름을 따 '카가노비치군'이 재수립되었다가 1962년에는 포파스나군이 폐지되고 신설 리시찬스크군의 일부가 되었고, 1977년 리시찬스크군이 포파스나군으로 개명되었다.
마지막으로 2020년 7월 18일 우크라이나 행정개편에 따라서 포파스나군이 폐지되고 인접 세베로도네츠크군 등으로 분할되었다.
당시 명목상으로 포파스나의 영유권을 주장한 루간스크 인민공화국은 포파스나군의 폐지를 인정하지 않았으나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포파스나를 점령하면서 2022년 9월 1일 행정구역 개편을 실시하여 루간스크 인민공화국도 포파스나야군을 폐지하였다. # 잔여 지역은 페르보마이스크, 리시찬스크 등에 편입되었다.
[실효지배]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 전체를 루간스크 인민공화국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