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6 01:02:03

크라마토르스크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3399fe>
파일:도네츠크 주기.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국가: 우크라이나 | 임시주도: 크라마토르스크[1]
<colbgcolor=#800000><colcolor=#ffd500> 도네츠크군
Донецький район
도네츠크(Донецьк, 상실), 마키이우카(Макіївка, 상실), 모스피네(Моспине, 상실), 빌리츠케(Білицьке), 암브로시브카(상실), 야시누바타(Ясинувата, 상실), 주흐레스(Зугрес, 상실), 일로바이스크(Іловайськ, 상실), 하르치즈크(Харцизьк, 상실)
마리우폴군
Маріупольський район
마리우폴(Маріуполь, 상실), 만후시(Мангуш, 상실)
바흐무트군
Бахмутський район
바흐무트(Бахмут, 상실), 잘리즈네(Залізне, 상실), 시베르스크(Сіверськ), 솔레다르(Соледар, 상실), 스비틀로다르스크(Світлодарськ, 상실), 차시우 야르(Часів Яр, 상실), 토레츠크(Торецьк, 상실)
볼노바하군
Волноваський район район
벨리카 노보실카(Велика Новосілк, 상실), 볼노바하(Волноваха, 상실), 부흘레다르(Вугледар, 상실)
칼미우스케군
Кальміуський район
칼미우스케(Кальміуське, 상실), 노보아조우스크(Новоазовськ, 상실), 도쿠차예우스크(Докучаєвськ, 상실)
크라마토르스크군
Краматорський район
드루즈키우카(Дружківка), 리만(Лиман), 미콜라이우카(Миколаївка, 상실), 스뱌르토히르스크(Святогірськ, 상실), 슬로우얀스크(Слов’янськ), 코스탼티니우카(Костянтинівка), 크라마토르스크(Краматорськ)
포크로우스크군
Покровський район
노보흐로디우카(Новогродівка, 상실), 도브로필랴(Добропілля), 로딘스케(Родинське), 셀리도베(Селидове, 상실), 마린카(Мар’їнка, 상실), 미르노흐라드(Мирноград)[2], 아우디이우카(Авдіївка, 상실), 빌로제르스케(Білозерське), 우크라인스크(Українськ, 상실), 쿠라호베(Курахове, 상실), 크라스노호리우카(Красногорівка, 상실), 포크로우스크(Покровськ), 히르니크(Гірник, 상실)
호를리우카군
Горлівський район
데발체베(Дебальцеве, 상실), 분헤(Бунге,[3] 상실), 부흘레히르스크(Вуглегірськ, 상실), 스니지네(Сніжне, 상실), 샤흐타르스크(Шахтарськ, 상실), 예나키예베(Єнакієве, 상실), 지다니우카(Жданівка, 상실), 치스탸코베(Чистякове, 상실), 흐레스티우카(Хрестівка, 상실), 호를리우카(Горлівка, 상실)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background-color: rgba(213, 43, 30, .2)"
}}}}}}}}}

[1] 도네츠크시 상실로 인한 주도 변경.[2] 포크로우스크 동쪽에 위치한 소도시로, 포크로우스크 전투의 교전지 중 하나다.[3] 이전에는 Юнокомунарівськ 유노코무나리우스크로 불렸다.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0>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시(городской округ)
파일:고를롭카 시장.png
고를롭카
파일:데발체보 시장.png
데발체보
파일:도네츠크 시장.png
도네츠크
파일:도쿠차옙스크 시장.jpg
도쿠차옙스크
파일:마리우폴 시장.jpg
마리우폴
파일:마케옙카 시장.png
마케옙카
파일:스네즈노예 문장.gif
스네즈노예
파일:예나키예보 시장.jpg
예나키예보
파일:일로바이스크 시장.jpg
일로바이스크
크라마토르스크 파일:토레즈 시장.jpg
토레즈
파일:하르치즈스크 시장.jpg
하르치즈스크
군(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
문서가 있는 기타 행정구역
노보그로돕카, 노브고로드스코예, 드루즈콥카, 디미트로프, 마린카, 솔레다르, 세베르스크, 셀리도보, 아브데옙카, 우글레다르, 우크라인스크, 제르진스크, 차솝야르, 크라스노고롭카, 파블롭카, 즈다놉카
2023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 기준
시(городской округ)의 경우 그 수가 28개에서 12개로 줄었으며, 사라진 시들은 다른 군 산하 시가 되었다. 일로바이스크가 시로 승격했다.
군(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의 경우 2014년 4월 행정구역 개편 당시의 군(район)과 일치하나, 페르쇼트라브네보군이 만구시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마린카군 일부가 도네츠크시에 편입된 후 쿠라호보군이 신설되었다.
}}}}}}}}}
크라마토르스크
Краматорськ | Краматорск
파일:크라마토르스크.png 파일:크라마토르스크휘장.png
시기 시장
행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94DD><colcolor=#F8C300> 국가 <colbgcolor=#fff,#010101>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우크라이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우크라이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러시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러시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러시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명목상]
행정구역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크라마토르스크군 크라마토르스크
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크라마토르스크
시간대 UTC+2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94dd><colcolor=#F8C300> 인구 <colbgcolor=#fff,#010101>약 80,000명(2024년)
인구 밀도 1208명/㎢
면적 124.26㎢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94dd><colcolor=#F8C300> 시장 알렉산드르 곤차렌코[2] }}}}}}}}}
<colbgcolor=#0094dd><colcolor=#F8C300> 설립 <colbgcolor=#fff,#010101> 1868년

1. 개요2. 역사3. 경제4. 인구5. 언어

1. 개요

파일:크라마토르스크.jpg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 북부에 있는 도시. 북쪽에는 슬로뱐스크가 있다. 기계 공업이 발달했으며 우크라이나 동부의 철도 교통 요충지다.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에는 러시아가 이 도시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2014년 시작된 돈바스 전쟁으로 인해 도네츠크 주의 주도였던 도네츠크도네츠크 인민공화국에 함락된 뒤 도네츠크주의 임시 주도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나, 2025년 8월 차솝야르 함락 직후 도네츠크 군정청이 드니프로로 이전하면서 임시 주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했다. 동시에 도시 행정부도 철수했으며, 군인 및 경찰이 도시 행정을 담당한다. #

2. 역사

1767년 페트롭카(Петровка)라는 이름의 마을이 이 곳에 세워졌다. 19세기 후반에 쿠르스크아조프를 잇는 철도가 개통되면서 페트롭카가 마을에서 소도시로 성장할 수 있었다. 이후 현재의 이름인 크라마토르스크로 불리게 되었다.

1918년 12월 볼셰비키가 이 곳을 장악하였고 1919년 5월 안톤 데니킨이 이끄는 러시아 백군이 이 곳을 장악하였지만 데니킨의 공세가 실패한 뒤인 1919년 12월 볼셰비키가 이 곳을 다시 장악하였으며 1920년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일부가 되었다.

1926년 실시된 인구 조사에 의하면 인구는 1만 2000명이었고 그 중 55.4%가 우크라이나인이었다. 러시아인, 벨라루스인, 독일인, 폴란드인, 유대인의 비율은 각각 35.3%, 2.4%, 1.8%, 1.4%, 1.1%이었다.

1932년애 도시 지위를 부여받았다. 이오시프 스탈린이 주도한 중공업화에 의거하여 기계 제작 공장이 세워졌다.

1941년 나치 독일바르바로사 작전을 개시하여 소련을 침공하여 1941년 10월 27일부터 1943년 2월 5일까지 독일 국방군이 이 곳을 장악하였다. 소련군은 2월 5일 이 곳을 탈환하였으나 독일군이 2월 27일에 이 곳을 다시 빼앗았다가 소련군이 1943년 9월 6일에 이 도시를 재탈환하였다.

1959년 이 곳의 인구는 11만 5000명이었고 소련 붕괴 직전인 1991년 인구는 20만 1000명이었다.

유로마이단 혁명의 여파로 키이우에 친서방 정권이 수립되자 친러 성향이 강했던 도네츠크루한스크가 독립을 선언한 직후 크라마토르스크는 2014년 5월 12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반란 세력에게 탈취당했고 이에 우크라이나군은 포격과 시가전 끝에 7월 5일 탈환에 성공했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50명 사망에 공장을 포함한 건물 상당수가 파손됐다.

2014년 10월 우크라이나 정부는 도네츠크주의 임시 주도를 마리우폴에서 이곳으로 옮겼는데 마리우폴이 너무 전선에 가까웠기 때문이다. 2015년 2월 10일 러시아의 지원을 받는 무장 세력이 스메르치 다연장로켓을 발사하여 17명이 목숨을 잃고 64명이 다쳤다.

2022년 4월 8일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이 발생했다. 4월에 이지움이 함락당하고 러시아군이 바로 북쪽의 슬로뱐스크로 진격을 시작함에 따라 이곳도 전방 도시가 되었으나 우크라이나의 가을 공세로 이지움 방면 러시아군이 격퇴당함에 따라 당장의 위험에서는 벗어났다. 다만, 러시아군이 크라마토르스크로 향하는 길목인 바흐무트에서 아직도 공세를 하고 있으므로 위험 요소는 남았고, 2023년 5월 21일 바흐무트가 함락당하면서 순식간에 다시 전방 도시가 되었다. 2025년 8월에는 차솝야르가 함락되며 도네츠크주의 군민정청이 드니프로로 철수함에 따라 임시 주청 소재지의 지위도 잃게 되었다.[3]

2025년 10월 1일, 우크라이나의 영웅 도시로 지정되었다.

3. 경제

크라마토르스크는 기계 공업이 발달하였다. 현재 크라마토르스크에는 기계 공업 시설 9곳이 존재한다. 그 목록은 아래와 같다.

1. 구 크라마토르스크 기계 제작소 - 1896년 설립, 2019년 탱크 포 제작
2. 신 크라마토르스크 기계 제작소 - 1934년 설립, 금속 제련 장비, 광산용 리프트, 광업 기계 제작, 2012년 1만 3500명 고용
3. 크라마토르스크 중장비 제작소 - 1937년 설립, 포 제작, 2014년 전쟁으로 일부 손상
4. 크라마토르스크 금속 제작소 - 1965년 설립, 금속 구조물과 파이프 제작
5. 크람테크센터 - 2000년 설립, 금속 건축 자제 생산
6. 크라마토르스크 에너지 기계 제작소 - 2012년 설립, 전력 생산 및 광업에 필요한 장비 제조
7. 콘디치오네르 크라마토르스크 제작소 - 1976년 설립, 컴프레서와 에어컨 생산
8. 자열 용접 장비 제작소 '돈메트' - 1990년 설립, 용접 장비와 의료용 산소통 제작
9. 푸어랜다 윈드테크놀로지 - 2010년 설립, 풍력 발전 장비 생산

이에 더해 금속 제련 시설 3곳이 존재한다. 소련 붕괴 후에는 독일, 프랑스 기업들과 계약을 체결하기도 한다.

크라마토르스크에는 소세지 가공 공장, 맥주 공장, 곡물 가공품 제조 공장 등이 있다.

4. 인구

도시 인구는 15만 2100명이다. 광역권 인구는 45만 3200명에 달한다. 인구 중 70.2%가 우크라이나인이고 26.9%가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 0.7%가 벨라루스인이다.

5. 언어

2001년 실시된 인구 조사에 따르면 크라마토르스크 주민 중 67.9%가 러시아어모어라고 답했다. 31.1%는 우크라이나어를 모어라고 답했다.


[명목상] [2] Александр Гончаренко[3] 2025년 11월 기준 아직 북쪽으로는 리만슬라뱐스크, 남쪽으로는 드루즈콥카콘스탄티놉카가 남아있어 최전방까지는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