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16:17:22

즈다놉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000>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장.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시(городской округ)
파일:고를롭카 시장.jpg
고를롭카
파일:데발체보 시장.png
데발체보
파일:도네츠크 시장.png
도네츠크
파일:도쿠차옙스크 시장.png
도쿠차옙스크
파일:마리우폴 시장(러시아).png
마리우폴
파일:마케옙카 시장.png
마케옙카
파일:스네즈노예 시장.svg
스네즈노예
파일:예나키예보 시장.jpg
예나키예보
파일:일로바이스크 시장.png
일로바이스크
크라마토르스크 파일:토레즈 시장.jpg
토레즈
파일:하르치즈스크 시장.jpg
하르치즈스크
군(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
문서가 있는 기타 행정구역
노보그로돕카, 노브고로드스코예, 드루즈콥카, 마린카, 솔레다르, 세베르스크, 셀리도보, 아브데옙카, 우글레다르, 제르진스크, 차솝야르, 크라스노고롭카, 파블롭카,즈다놉카
2023년 4월 1일 행정구역 개편 기준
시(городской округ)의 경우 그 수가 28개에서 12개로 줄었으며, 사라진 시들은 다른 군 산하 시가 되었다. 일로바이스크가 시로 승격했다.
군(муниципальный округ)의 경우 2014년 4월 행정구역 개편 당시의 군(район)과 일치하나, 페르쇼트라브네보군이 만구시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마린카군 일부가 도네츠크시에 편입된 후 쿠라호보군이 신설되었다.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63180>
파일:러시아 국장.svg
러시아 극동 연방관구 후원
도네츠크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63180, #263180 20%, #263180 80%, #26318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사하 공화국 부랴티야 공화국
도쿠차옙스크
옐레놉카
키롭스코예
스타로베셰보
사할린주 마가단주 아무르주
샤흐툐르스크 즈다놉카 암브로시옙카
프리모리예 지방 하바롭스크 지방 자바이칼 지방
토레즈 데발체보 스타로베셰보
캄차카 지방
미로놉스키
스베틀로다르스크
유대인 자치주
암브로시옙카
추코트카 자치구
노보루간스코예
미로놉스키
스베틀로다르스크
2022년부터 8개 연방주체가 지원을 시작했다. # 캄차카 지방은 이후 추가 합류했다. # 2023년부터 자바이칼 지방, 유대인 자치주, 추코트카 자치구가 각각 부랴티야 공화국, 아무르주, 캄차카 지방을 지원하면서 모든 연방주체가 간접적으로 재건에 참여한다. # }}}}}}}}}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의 도시
즈다놉카
Ждановка | Zhdanovka
파일:즈다놉카 시기.png 파일:즈다놉카 시장.png
<rowcolor=#ff530b> 시기 시장
행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98d8><colcolor=#fff> 국가 <colbgcolor=#fff,#010101>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실효지배]

[[우크라이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행정구역 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즈다놉카
우크라이나 도네츠크주 즈다니우카
시간대 UTC+3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98d8><colcolor=#fff> 인구 <colbgcolor=#fff,#010101>약 11,867명(2022년)
인구 밀도 5956명/km²
면적 2km²
공용어 러시아어 }}}}}}}}}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98d8><colcolor=#fff> 시장 세르게이 리트비노프[2]
}}}}}}}}} ||
<colbgcolor=#0098d8><colcolor=#fff> 설립 <colbgcolor=#fff,#010101> 1924년
홈페이지 파일:즈다놉카 시장.png

1. 개요2. 역사3. 여담

[clearfix]

1. 개요

즈다놉카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고를롭카 산하의 도시로, 인구는 2022년 기준 약 12,352명이다.

2. 역사

즈다놉카가 세워진 것은 1924년 석탄의 발전과 관련이 있다. 1959년까지 이 마을은 노보-즈다놉카라고 불렸다. 1966년부터 이 도시는 즈다놉카라고 불리게 되었다.

이 도시에는 교정 노동 수용소가 있었고, 수감자들은 이곳에서 최초의 다층 주거용 건물을 지었다.

2014년 4월 14일, 친러시아 활동가들이 즈다놉카 시의회를 장악했고, 이들은 이 도시가 자칭 도네츠크 인민공화국에 합병된다고 발표했다.# 2014년 8월 16일, 이 도시는 우크라이나의 통제 하로 돌아갔지만, 2014년 9월 20일, 우크라이나군은 포위 위협으로 인해 도시를 떠났다.#

최근, 극동 연방관구가 대대적으로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도시 재건에 참여했다. 마가단주에서 즈다놉카시를 재건할 예정이다. #

3. 여담



[실효지배] 돈바스 전쟁 이후 시 전체를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산하로 지배하고 있다.[2] Сергей Литвино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