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8 03:25:22

천리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중국 청나라 시절 존재했던 천리교에 대한 내용은 백련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동아시아의 종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한국
전통신앙 계통
· ·
삼교 계통
· · ·
[[금강대도|파일:[[파일:종교상징_금강대도_검은색.png
금강대도]]
동학 계통
·
증산 계통
· · ·
중화권
삼교 계통
· ·
소수민족 계통
·
일본
신토 계통
·
교파신토 계통
· · ·
삼교 계통
·
베트남
·
몽골
}}}}}}}}}
파일:천리교 가몬.svg
종교법인 천리교에서 사용하는, 매화의 모습을 본뜬 교몬. 원래는 나카야마 집안을 뜻하는 가몬이었지만, 현재는 사실상 천리교의 상징이다. 일본에서는 매화를 본떠 만든 가몬을 우메바치(梅鉢, Umebachi)라고 부르는데 우메바치는 마에다 가의 상징이자 마에다 토시이에의 가몬이다. 마에다 가는 카가(Kaga)라고 하는 가몬을 사용한다. 마에다 가의 상징과 비슷하다. 9세기 말, 일본에서 학문의 신으로 유명한 스가와라노 미치자네가 매화를 칭송한 시를 남긴 일화가 유래가 되어, 미치자네를 숭앙하는 집안에서는 종종 매화의 형상을 본떠 가몬을 만들었다. 상기 가몬을 나카야마 집안이 미치자네를 숭앙해서 만들었는지는 알 수 없으나, 디자인적으로는 일본 가몬 중에서 유명하고 흔한 종류이다.

1. 개요2. 일본/한국 천리교의 현황3. 서술의 주의 사항4. 천리교의 기원과 발전
4.1. 신들림 이전의 삶4.2. 신들림 이후의 삶4.3. 미키 사후 천리교단의 변화4.4. 입교의 날
5. 교단의 지도자
5.1. 신바시라5.2. 혼세키
6. 경전7. 교리
7.1. 천리교 신명(神名)의 변화7.2. 터전과 감로대
8. 의례와 행사
8.1. 의상
9. 언어 습관10. 교회 조직11. 사건사고12. 한국의 천리교13. 기타14. 창작물

[clearfix]

1. 개요

천리교([ruby(天理教, ruby=てんりきょう)])는 19세기 중반 나라현에서 지역유지의 아내 나카야마 미키(中山みき, 1798~1887)[1]가 신(천리왕)의 계시를 받았다며 창시한 일본의 신종교이다.[2]

천리왕(天理王)을 생명과 환생을 주관하는 최고신으로, 나카야마 미키를 교조이자 천리왕과 함께 신자들을 보살피는 신적 존재로 받든다. 또한 미키가 살았던 집 터, 오늘날 일본 나라현 텐리시(天理市)에 있는 천리교 본부 자리를 터전, 일본어로는 지바(地場)[3]라고 부르며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텐리시란 지명도 여기에 천리교(텐리쿄) 본부가 있다는 뜻으로 붙었다.

일본에서 제2차 세계 대전 이전에는 교파신토로 법적 공인을 얻었지만, 패전 이후로는 신토와 관계없는 별개의 종교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지금도 의례나 교리 등에서 신토적 요소가 두드러진다. 불교에서 영향받은 부분도 일부 보이는데, 천리교 역사의 초창기에는 불교적 요소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주장이 있다. 19세기 말 - 20세기 초에 걸쳐서 일본에서는 미신적인 종교, 혹은 불교의 적대자로 상당한 어그로를 끌면서 유명해졌으나, 지금은 일본에서도 대다수 보통 사람들은 천리교를 잘 모른다. 19세기 일본 농촌사회에 맞춰진 종교라고 평하는 사람들 또한 있다.

구한말에 일본인 포교사들이 조선으로 들어와 천리교를 포교하여 일본 발상의 종교로서는 드물게 한국에서도 유의미한 수의 신자를 형성한 종교이다. 1960-70년대까지는 언론에서 주목할 정도로 교세가 확장되기도 했으나, 이후 대형 종교에 밀려 교세가 축소되고 교회 분열도 일어나 현재는 소수 종교로서 겨우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4]

2. 일본/한국 천리교의 현황

좁은 의미에서 천리교는 일본 나라현 텐리시 미시마정(三島町) 터전에 교회본부를 둔 '종교법인 천리교'를 가리킨다. 당연하게도 텐리시 주민들 중 천리교도의 비율이 매우 높은데, 사람마다 말이 좀 다르지만 최소한 인구의 반은 될 것이라고 하니 사실상 종교도시이다. 매년 천리교단은 텐리시에 15억 5천만 상당의 막대한 금액을 기부하며, 일본의 사회운동단체에서는 천리교단과 텐리시가 유착되었다는 의혹을 제기한다. 통계에 따르면 일본에서 신자 수는 120만 명 남짓이라고 하지만, 실제로는 그 이하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천리교 고위간부들은 나라현 고액납세자 명단에 단골로 들어간다.

넓은 의미에서 천리교라고 할 수 있는 단체들도 존재한다. 이들은 종교법인 천리교가 교조 미키의 가르침을 무시하고 왜곡했다고 주장하며 거부한 단체들이다. 이들 단체들 중 대부분은 천리교라는 이름을 교명으로 사용하지 않는다. 2001년에 독립한 천리교 토요후미 교회(天理教豊文教会)란 단체가 천리교란 이름을 대놓고 사용하자 종교법인 천리교 측이 소송을 걸었으나 오히려 패소하였다. 법정에서 종교법인 천리교 측은 '천리교'라는 단어가 천리교 본부의 상표이며 독점적인 것이라고 주장했지만, 2004년 일본 법원은 "천리교라는 호칭은 나카야마 미키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단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하면서 종교법인 천리교 측 요구를 기각하였다. 종교법인 천리교에서 갈라진 종교단체들은 많지만 교세가 미미하여 별 영향력이 없다.

종교법인 천리교의 교주는 신바시라(真柱)라고 부른다. 교조 미키의 외손자 나카야마 신노스케(中山眞之亮)가 1882년 초대 신바시라가 된 이래로 그 자손들이 대대로 직위를 세습하는데, 2023년 시점에서 4대 신바시라가 재임 중이다. 천리교단이 상징으로 쓰는 교몬도 원래는 나카야마 가문이 사용하는 집안 상징이었다.

일제강점기의 식민지인 한국에서 천리교가 일본 신종교 중에서는 가장 교세가 컸다. 혈의 누를 쓴 친일문학가 이인직(1862-1916)이 천리교 신자였고 장례식도 천리교식으로 치렀지만, 한국 천리교에서는 쉬쉬하는 이야기.

대한민국의 천리교는 양분되었다. 원래는 <대한천리교>만 있었으나, 대한천리교의 토착화 정책에 반발하는 사람들이 1980년대에 <천리교 한국교단>이란 이름으로 분열되었다. 대한천리교는 일본의 종교법인 천리교와 관계를 단절하고 복장이나 의례 등에서도 가급적 일본풍을 배제하는 방향을 취했다. 천리교 한국교단은 일본 천리교 본부와 관계를 유지하며 일본풍을 여전히 유지한다.

이름도 한자어고 개량 한옥 건물을 사용하는 경우가 흔하여 모르는 사람들은 자생적인 소수종교로 착각하기 쉽지만, 어디까지나 일본 신토를 기본으로 한다. 한국 천리교의 신자가 몇 명인지는 신뢰할 만한 통계가 없다. 두 교단의 자체주장에 따라 합산하면 약 20만 명이지만, 통계청의 종교인구통계를 감안하여 따지면 절대로 20만 명이 될 수 없고, 아마도 3만 명 이하일 가능성이 크다.

3. 서술의 주의 사항

1. 아래의 설명은 모두 텐리시에 본부를 둔 '종교법인 천리교'를 기준으로 한다.

2. 천리교 본부에서는 1956년에 고본 천리교 교조전(稿本 天理敎敎祖傳)이라는 이름으로[5] 미키의 공식적인 전기를 발표했다. 아래에 있는 미키의 생애는 기본적으로 이 서적의 내용을 요약하여 서술하되, 이 내용에 반대하는 주장이 있을 경우 함께 소개하였다. 이하에서는 약칭하여 ‘고본 교조전’이라 한다.

3. 날짜는 음력이라고 명시하지 않는 한, 전부 양력으로 표기한다. 음력 날짜를 쓸 경우에는 당시 일본에서 사용한 칸세이력(寛政暦)ㆍ텐포력(天保暦)을 따랐다. 일본의 음력 날짜는 동시기 조선에서 사용한 시헌력(時憲曆) 날짜와 다를 수 있다.

4. 나이 표기는 만 나이라고 명시하지 않는 한, 전부 세는나이로 쓴다.

5. 고유명사 음역은 국립국어원 일본어 표기법을 따르되, 어두에 カ행ㆍタ행이 오는 경우에도 거센소리로 표기하였다. (단, 도쿄다다미 등 한국 대중들에게도 잘 알려진 낱말은 이 원칙에 어긋나더라도 알려진 대로 썼다.) 필요에 따라 최대한 일본어 발음에 가깝게 음역해야 한다면 최영애-김용옥 표기법을 따랐다.

6. 지명에 사(寺)ㆍ촌(村)ㆍ국(国) 등 한자가 붙으면 그 부분만 한국식 한자음으로 붙여 썼다(예: 善福寺 → 젠푸쿠사). 고유명사라 하더라도 한자 표기를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어 의미가 잘 전달된다면 음역하지 않았다.

7. 한국과 일본의 중요한 역사적 사건이나 변화를 병기하여, 미키의 생애나 천리교의 조직 정비와 함께 역사의 흐름을 가늠할 수 있도록 하였다.

4. 천리교의 기원과 발전

교단의 공식적인 입장에 따르면, 천리교는 1838년 (음)10월 26일, 일본 나라현에서 나카야마 미키라는 41세 아주머니가 신들림 현상을 겪어 남편이 아내를 신령의 사당으로 바치면서 시작하였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iki_Nakayama.jpg
메이지 시절에 나카야마 미키를 그린 초상화.
흑백사진이라 색깔 구분이 되지 않지만,
말년에 붉은 옷을 입고 지내는 모습을 그렸다.

4.1. 신들림 이전의 삶

천리교 교조 나카야마 미키(中山みき)는 1798년 (음)4월 18일[6], 야마토국(大和国) 야마베군(山辺郡) 산마이덴촌(三昧田村)[7]에서 마에가와 한시치마사노부(前川 半七正信)의 장녀로 태어났다. 마에가와 집안은 영주로부터 칼을 차고 성씨를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받기도 한, 평민들 중에서는 잘 나가는 곳이었다.
고본 교조전은 마에가와 가문이 미키가 태어나기 전부터 대대로 성씨 사용과 칼 착용을 허락받은 듯이 서술하지만, 실제로는 미키가 시집간 뒤에 비로소 허락받았다는 주장도 있다. 즉 미키가 결혼할 때까지만 해도 미키는 한시치마사노부의 딸일지언정 '마에가와 한시치마사노부'의 딸은 아니었다는 것. 아무튼 미키의 친정이 평민 중에서는 나름대로 잘 나갔음이 확실하다. 듣보잡이었으면 칼 착용을 허락받았을 리도 없었을 것이다.

아버지 한시치마사노부는 당시 평민들 중에서는 드물게 글을 어느 정도 아는 사람이었고, 미키를 서당에 보내 역시 글을 깨치도록 하였다. 당시에 여자가 글을 배우도록 함은 드물었다. 종종 비교되는 인물인 오모토 교조 데구치 나오(1837-1918)만 하더라도 까막눈이었다.

미키 본인의 회고에 의하면, 이 시기에 미키는 여자에게 주어진 일은 야무지게 잘 하지만 사람들과 얼굴 맞대며 놀기는 좋아하지 않는 조용한 소녀였다고 한다. 미키네 집안은 일본 불교종파인 정토종을 대대로 믿었다. 미키는 남달리 신심이 깊어 어린 나이에도 염불을 빨리 외워 따라 하고 비구니로 출가하기를 원하였다.

1810년(13세), 마침 나카야마 집안에 시집 간 고모 키누(きぬ)가 아들 젠베에의 배필로 미키를 원하였으므로, 친정 부모들은 미키를 이해(1810)에 인근 마을 쇼야시키촌(庄屋敷村)에 사는 나카야마 젠베에(中山善兵衛 1788-1853)와 혼인시켰다. 키누가 미키의 고모이므로 그 아들 젠베에는 미키의 고종사촌이다. [8] 처음 부모가 미키에게 혼인 이야기를 꺼내니, 미키는 "저는 비구니로 살고 싶습니다." 하고 거절하여 부모가 놀랐다고 한다. 하지만 부모가 설득하므로 결국 미키는 어른들에게 시집 간 이후에도 집안일이 끝난 뒤 염불을 할 수 있게 허락해달라고 청하고 혼인하였다.[9] 당시 일본의 풍속에 따라 식만 올리고 정식 부부생활은 1812년(15세) 무렵에 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사실여부는 알 수 없다.

미키는 시집 간 이후로 매우 열심히 일하여 결혼한 지 3년 만인 1813년(16세)에 시어머니에게서 주부로서의 경제권을 넘겨받았을 정도로 일찍 인정을 받았다. 이토록 일찍 경제권을 넘겨받음은 이례적이라고 한다.

1816년(19세), 미키는 첫 아이를 낳았으나 이름을 붙이기도 전에 아기가 사망하였다. 아이가 죽은 뒤 집 근처에 있는 정토종 사찰 젠푸쿠사(善福寺)[10]에서 장례식을 치르고, 영혼에게 포수동자(泡水童子)라는 계명(戒名)을 주었다.[11] 동자(童子)라는 호칭 때문에 죽은 아이가 남자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본 교조전에는 포수동자 이야기가 나오지 않는다.

미키는 포수동자를 잃은 뒤 더욱 종교에 의탁하고 싶었는지 바로 그해(1816년)에 젠푸쿠사에서 오중상전(五重相伝)이라는 법회가 열리자[12] 여기에 참석하였다. 당시 오중상전에 참석한 사람은 전부 19명이었는데 미키가 가장 젋었다. 미키는 법회에서 연예승안지보선정니(蓮誉勝岸智宝禅定尼)라는 계명을 받았다.[13]

정토종에서 오중상전은 아무나 받을 수 없는 비밀스러운 것이지만, 그 무렵에는 그 의미가 많이 퇴색하여 꽤나 설렁하게 행했다고 한다. 미키는 정말로 진지한 마음으로 임했지만 꽤 실망했던 듯, 이후로는 여기에 참석한 일을 별로 이야기하지 않았다.

그 대신 인근에서 활동하는 저명한 슈겐자 나카노 이치베에(中野市兵衛 1792-1870)를 만나 49일간 진언종의 가르침을 받는 등, 점차 정토종보다는 진언종에 더 가까워진 듯하다. 슈겐자는 크게 천태종 계열 본산파(本山派)와 진언종 계열 당산파(当山派)로 나뉘는데, 나카노는 당산파 사찰 우치야마에이큐사(内山永久寺)에 몸담은 사람이었다.

나카야마 집안은 대대로 쇼야시키촌의 촌장을 세습하고 쌀 100섬을 거두는 부유한 유지였으나, 미키의 시집살이는 별로 행복하지 않았다. 시가가 대대로 마을 유지라 일이 많고 고된데 남편은 가정에 그리 충실하지 않았다고 한다. 미키가 포수동자를 잃고 오중상전에 참석한 그 해(1816) 남편이 카노라는 하녀와 사통하였다. 그런데 카노가 본부인의 자리를 탐내어 미키가 먹을 찌개에 독을 탔다. 미키가 먹고 심한 복통에 시달리며 병석에 눕긴 했으나 큰 탈 없이 회복하였다. 사실이 드러난 뒤 미키가 관대하게 넘어간 덕분에 카노는 별다른 해코지를 받지 않고 나카야마 집안을 떠났다.
당시 일본에서 남편이 하녀와 사통하는 정도는 별로 큰 흠이 아니었다고 한다. 카노와 사통했다는 이야기가 사실이라면 미키에게는 상당한 정신적 압박이었겠지만, 남편 젠베에는 이에 대해서 크게 죄책감을 가지진 않았을 것이다.

카노가 미키를 독살하려 했다는 일화가 거짓이라는 주장도 있다. 카노라는 인물 자체가 없었는데, 미키가 덕이 많음을 보이고자 교단이 거짓 이야기를 고본 교조전에 집어넣었다는 것이다.

1817년, 닌코 천황이 즉위했다.

1821년(24세)에 미키는 비로소 제대로 성장한 첫 아이를 낳았다. 장남 나카야마 슈지(秀司)였다. 전해에 사망한 시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장남의 이름을 젠에몬(善右衛門)이라고 하였지만, 훗날 장남이 ‘슈지’라고 개명하였다.[14]

1828년(31세), 이웃집 여자가 가난한 데다가 젖도 나오지 않아 그 집 아기가 굶어 죽게 되자, 미키가 아기를 받아 대신 젖을 물려주었는데 그만 그 아기가 천연두에 감염되었다. 미키는 '내가 맡아서 키워주다가 아기가 죽는다면 큰일이다.' 하고 생각해서, (오늘날의) 미시마 신사를 비롯하여 토다이사(東大寺)나 진언종 개조 쿠카이(空海) 대사를 모신 사당에 찾아가 백일간 치성을 드리며 '제 아들 하나를 남기고 딸 둘의 목숨을 바치겠나이다. 만약 그것으로 부족하다면 제 목숨을 바치겠나이다.' 하면서 치성을 올렸다고 한다.[15] 다행스럽게도 맡아 키우던 아기는 병이 나았을 뿐만 아니라 마마 흔적도 없었다고 한다.

1830년(33세)에 차녀가, 1835년(38세)에 4녀가 유아사망하였다.[16]

1837년(40세), 도쿠가와 이에요시가 막부의 12대 쇼군이 되었다. 텐포 대기근 때문에 오시오의 난을 포함하여 봉기가 여럿 일어났다.

이해 음력 12월 미키는 막내딸 코칸을 낳았는데, 천리교는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미키가 1828년에 옆집 아기가 죽을 위기에 처하자 '딸 둘의 목숨을 바치겠다.'고 치성했기 때문에 딸들 중 2명이 죽어야 했다. 그러나 이는 너무 잔인하므로 천리왕은 차녀가 죽어 4녀로 환생하도록 하고, 4녀가 죽어 막내딸 코칸으로 태어나게 했다. 즉 육신으로는 두 명이 죽고 한 명이 살았으나, 영혼으로는 단지 한 명이 고생했을 뿐이라는 것이다. 코칸은 미키의 추종자들에게 젊은 신(若い神)이라고 불릴 정도로 위상이 컸다.

미키는 코칸을 낳은 뒤로 건강이 부쩍 나빠졌다. '몸이 흔들리는 것처럼 느낄 때가 있고 두드러지게 기억력이 감퇴했으며 종종 기절하였다.' 게다가 코칸이 태어나기 약 두 달 전, 장남 슈지는 어머니를 따라 보리밭에 일하러 나갔는데 갑자기 왼쪽 다리에 통증을 느꼈는데, 그 후로 계속 다리가 아파서 제대로 일할 수가 없었다. 슈지의 병이 낫지 않자 슈겐자 나카노 이치베에를 불러 치병의례를 행하였으나, 그 순간만 차도가 있을 뿐 시간이 지나면 다시 돌아왔으므로 몇 번이고 의례를 거듭했다. 그뿐 아니라 미키는 허리가 아파오고 남편 젠베에는 갑자기 눈이 침침해졌다. 대기근이 들어 식량은 줄어들고, 봉기가 일어났다는 소문이 들리고, 가세는 예전만 못하고, 아기들도 죽고, 부부와 장남이 몽땅 병에 걸렸으니 정말로 암울하게 느꼈을 것이다.

나카노와 나카야마 집안은 우환을 없애려면 특별히 큰 의례를 거행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연도 나이 사건
1810 13세 나카야마 젠베에와 결혼
1813 16세 시어머니로부터 주부의 경제권을 넘겨받음
1816 19세 첫 아이(아들)을 낳았지만 영아사망함. 계명은 포수동자(泡水童子)[17]
정토종에서 오중상전을 받고, 카노가 독살을 시도함
1817 20세 닌코 천황이 즉위함
1820 23세 시아버지 젠에몬(善右衛門) 사망
1821 24세 장남 슈지(秀司)를 낳음
1825 28세 장녀 마사(まさ)를 낳음
1827 30세 차녀 야스(やす)를 낳음
시어머니 키누 사망
1828 31세 맡아 키우던 이웃집 아기가 천연두에 걸리자 치성 드림
1830 33세 차녀 사망
이세마이리(伊勢まいり)[18] 유행
1831 34세 삼녀 하루(はる) 출생[19]
1832 35세 남편 젠베에가 쇼야시키촌 촌장을 계승
1833 36세 사녀 쓰네(つね) 출생
일본에서 텐포(天保) 대기근 시작
1834 37세 조선에서 헌종이 즉위함
1835 38세 사녀 사망
1837 40세 오녀 코칸(こかん)을 낳음[20]
도쿠가와 이에요시가 12대 쇼군 됨. 오시오의 난(大塩の乱) 발생[21]
1838 41세 첫 신내림, 입교(立敎)
1839 42세 텐포 대기근 종료[22]
참고사항
(1) 코칸을 제외하고 미키의 딸들 이름에는 흔히 오(お)를 앞에 붙여주는 경우가 많다. 삼녀 하루를 오하루(おはる)라고 쓰고 부르는 식.
(2) 신자들은 코칸을 '코칸 님(こかん様)'이라고 특별하게 부른다. 한국 천리교에서는 일본 발음을 귀에 들리는 대로 써서 고깡, 혹은 고깐이라고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일본어 표기법에 충실하게 음역하면 '고칸'이다.
(3) 코칸이란 이름이 24절기소한 무렵에 태어났다고 붙인 것이라 한자로 小寒(코칸/소한)이라고 쓰지만, 일본에서도 대부분 히라가나로 표기한다.

미키는 평생 동안 2남 5녀를 낳았으나 포수동자를 제외하더라도 1830년에는 차녀(4살)가, 1835년에는 4녀(3살)가 사망하여, 성인이 된 자식들은 1남 3녀였다. 그 뒤로 가세가 전성기보다 기울었다.

4.2. 신들림 이후의 삶

1838년(41세), 미키는 처음으로 신들림 증상을 보였는데, 기록에 따라 구체적인 정황이 다르다. 고본 교조전은 미키가 신내림 받을 때의 정황을 아래와 같이 서술했다.
아내ㆍ남편ㆍ장남이 모두 병에 걸리자 나카야마 집안은 1838년 (음)10월 24일[23] 오전, 전부터 알고 지내던 슈겐자 나카노 이치베에(中野市兵衛)를 불러 집 근처에 있는 미시마(三島) 신사에서 굿[24]을 하였다. 굿을 해야 하는데 신대를 잡기로 한 무녀가 오지 않았다. 부득이 미키가 양손에 각각 신대를 잡고 굿에 참여했다. 굿을 하던 중 미키에게 신령이 내려 트랜스 상태에 빠진 채로[25] "나는 으뜸의 신, 진실한 신이다. 이 집터에 인연이 있어 이번에 세계 인류를 구제하기 위해 하강했다. 미키를 신의 현신으로 삼겠다."하고 말했다 한다.

집안 사람들은 미키에게 내린 신령의 이름을 이전까지 들어본 적도 없었다. 더구나 이런 요구를 해올 줄은 더더욱 몰라 당황했다. 만약 동의한다면 이후로 미키는 해당 신령의 전속 무당이 될 텐데, 바쁜 집안에서 갑자기 주부가 집안일에서 손을 놓으면 손해가 막심하다고 판단했다. 신령에게 정중하게 "황공하지만 저희는 바쁜 집안이라 명을 받들 수 없으니 다른 집으로 가주셨으면 합니다." 하고 답했더니, 신령은 사흘간이나 미키의 몸 안에서 농성(?)하며 미키를 자기에게 내놓으라고 요구했다. 미키는 신들린 동안 의식을 잃고 잠도 자지 않고 식사도 하지 않은 탓에 시간을 끌면 끌수록 목숨이 위험했다. 결국 사흘째 되는 26일[26][27] 오전 8시 무렵, 남편이 "미키를 바치겠습니다." 했더니 그제서야 신령이 누그러들고 미키도 트랜스 상태에서 깨어났다.

천리교단은 남편이 미키를 신령에게 바친 사건을 천리교의 시작으로 여겨 1838년을 원년(1년)으로 하는 릿쿄(입교立敎)라는 연호를 사용한다. 서기 2021년은 릿쿄 184년.

천리교단의 다른 초기 기록은 미키가 첫 신들림 증상을 보이던 날을 고본 교조전과 다르게 설명한다. _교단의 공식적인 전기가 상당히 첨삭, 혹은 윤색되었을 가능성이 높다._ 여기에 대해서는 아래에 있는 '입교의 날' 항목을 참고.

아무튼 신내림을 받은 이후, 미키는 대략 3년간 집안일에서 일절 손을 떼고 다만 창고에 들어가 기도하거나 하다가 밤이 되면 자기 방으로 돌아와 잤다. 이렇게 창고에 들어가 있을 때에도 신들림 증상을 겪었다고 한다.

1842년(45세), 미키에게 가난해지라는 계시가 내렸다고 한다. 그 후 미키는 신령님이 원하신다고 주장하며 안채를 허물게 하고 가재도구를 빈민에게 팔았으며 전답을 정리하였다. 당연히 집안사람들은 맹렬히 반대하였으나 미키는 단식하며 뜻을 관철하였다. 조상 대대로 유지한 재산이 이렇게 없어지는 꼴을 남편 젠베에는 견디기 힘들었다. 젠베에는 잠자는 미키에게 칼을 들이대고 깨워서 "사람들에겐 놀림받고 친척들에겐 얼굴을 들 수 없다. 귀신이라면 당장 나가고 광인이라면 정신을 차려라." 하고 협박했다. 미키가 뭐하는 짓이냐고 묻자 남편은 정말 무섭다고 대답하였다. 시가(媤家) 친척들은 모여서 미키를 채찍질하거나 연기를 피워 숨을 못 쉬게 괴롭혀서 악령이 빠져나가게 하려고 하기도 했다. 미키가 밖으로 나가니 마을 아이들이 "여우 귀신 들린 할머니다." 하면서 놀렸다는 기록도 있다. 미키의 말을 믿지 않은 사람들은 미키를 잡귀에 홀린 미친 사람으로 본 것이다. 1855년(58세)에는 3정보(9천 ) 남아있는 땅까지 팔아 집만 남았다고 한다.
여기에 대해서는 다른 주장도 있다. 장남 슈지가 1855년 무렵에 무명을 투기하다 실패해서 급전이 필요했으므로 가산을 정리할 수밖에 없었는데, 천리교단이 이를 숨기고 미키를 미화하느라 신령으로부터 계시를 받았다 운운했다는 것이다. 일단 슈지가 투기에 실패하여 손해를 보았음은 사실인 듯하다.

1846년, 코메이 천황이 즉위했다.

1852년(55세), 3녀 하루가 카지모토 소지로(梶本惣治郎)와 혼인하였다.

1853년(56세), 남편 젠베에가 향년 66세 나이로 사망했다. 젠베에가 사망한 뒤, 당시 17세였던 막내딸 코칸이 신령의 명을 받아 슬픔을 참고 오사카까지 가서 "나무천리왕님."이라는 기도문을 외우며 카미나나가시(神名流し)[28]를 하며 포교했다고 한다.
코칸이 오사카까지 가서 포교했다는 이야기는 천리교단이 꾸며낸, 역사적 근거가 없는 일화라는 주장도 있다. 근거들 중 하나는 이 시기에는 아직 천리왕이라는 신명이 없었다는 것이다. 천리왕이란 신명이 없었는데 어떻게 나무천리왕님이라는 기도문을 외웠겠느냐는 것. 역사적 진실이 무엇이든, 천리교도들은 코칸이 했다는 오사카 포교를 상당히 중요한 사건으로 받아들인다. 일본의 천리교 신자들은 코칸이 오갔다는 행로를 표시한 지도를 들고 길을 따라가며 순례하기도 한다.
파일:Jusan-Touge.jpg
코칸이 오사카로 포교하러 가면서 넘었다는 주산 고개(十三峠). 희한한 점이라면 주산 고개의 일본 발음은 '쥬우산토오게'(じゅうさんとうげ)인데, 한국인 천리교 신자들은 흔히 쥬산또/쥬산토 고개라고 쓴다는 것이다. '토오게'가 '또 고개'와 비슷하여 그렇게 굳어버린 듯하다. 오사카부 야오시(八尾市)에 있는데 높이는 해발 431 m. 이미지는 위키페디아 공용.

이해에 도쿠가와 이에사다가 막부의 13대 쇼군이 되었지만, 미국 해군 제독 페리가 군함을 이끌고 요코하마내항하여 큰 파장을 일으켰다.

1854년(57세), 미키의 3녀 하루가 첫 임신을 하였다. 하루는 해산하러 친정으로 찾아왔다. 미키는 딸이 순산하도록 간단한 주술적인 행위를 하였는데, 임신한 배에 숨을 3번 불고 3번 쓰다듬어 주는 것이었다. 출산하던 날, 지진이 일어나 산실의 벽이 무너질 지경이었는데도 하루는 별 탈 없이 첫 아들을 낳았다.[29]

같은 마을에 있던 임신한 부인이 이를 지켜보고는 자기에게도 똑같이 해달라고 부탁하였다. 미키는 알겠다고 답하고 주술을 해주면서 이 외의 다른 주술을 하지 말라고 했지만, 이 부인은 그 외에도 일본 전통의 이런저런 금기를 지켰다. 부인은 출산한 뒤 열이 나서 한 달쯤 병석에 누웠다. 병석에서 일어난 뒤 부인이 따지고 들자, 미키는 "의심하는 마음이 있었기 때문이다." 하고 답했다. 그 부인이 또다시 임신하여 미키의 말만 믿고 따르자 이번에는 별 탈 없이 해산했다고 한다.

이런 이야기가 전해지자 미키에게 부인들이 순산하게 해주는 힘이 있다는 소문이 돌았다. 먼저 임신한 부인들이 찾아오고, 점차 다른 병에 걸린 사람들도 찾아오고, 한명 두명 추종자가 생기고 미키의 종교적 주장도 신앙으로 받아들이면서 종교집단으로 발전하였다. 천리교 역사에서 질병치유는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가장 중요한 요소였고 지금도 그러하다.

천리교단은 미키가 처음 신들린 1838년을 천리교가 창시된 해로 간주하지만, 천리교의 진정한 시작은 미키 주변으로 병자들이 모이기 시작한 1854년 이후라고 해야 합당할 것이다. 이때부터 미키는 비로소 '귀신 들려 미친 할머니'에서 '한 종교의 교조'가 될 수 있었다. 추종자들은 미키를 흔히 '살아있는 신령님(生神樣)'이라고 불렀다. 추종자들이 코칸을 '젊은 신(若い神)'이라고 부름도 미키의 호칭에 대응한 것.
근세 일본에는 산 사람을 신(神)이라 하는 사례가 없잖이 있는데 이를 생신(生神) 신앙이라고 부른다. 오모토의 교조 데구치 나오도 아직 본격적인 종교단체를 이루기도 전인 1890년대에 이미 아야베와 인근 지방에서 '아야베의 금신金神'이라고 불리었다. 오모토에 영향을 준 금광교(金光敎)의 창시자 콘코 다이진(金光大神)[30]은 아예 본인이 금광교의 신격이 되었다. 신종교 교조들뿐만 아니라 저명한 정치가ㆍ신도학자도 신으로서 살아있을 때 제사를 받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17세기 주자학자 야마자키 안사이(山崎闇齋)도 살아있을 때 제사를 받았다.

미키가 '살아있는 신령님'이라고 불림도 일본 생신신앙의 한 사례이다.

물론 미키를 찾아온 모든 환자가 전부 미키의 추종자가 되지는 않았다. 미키를 찾아온 환자들 중 대부분은 다시 찾아오지 않았다. 미키의 손으로 병이 나은 사람들 중 일부가 한명 두명 추종자가 되다가, 어느 순간부터 신자들이 부쩍 늘어났다.

1858년,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막부의 14대 쇼군이 되었다. 미키는 이해에 환갑(61세)이 되었다.
1859년, 요코하마가 개항장으로 지정되었다. 가난한 어촌 마을에 불과하던 요코하마는 이후 서구문물이 들어오는 거대도시로 발전하였다.

1863-4년 무렵부터 미키를 따르는 추종자들의 숫자가 늘어났다.

이다 이와지로(飯田岩治郎)라는 6살 소년이 양부모의 손에 이끌려 미키를 찾아왔다. 이다는 처음에는 복통을 앓다가 이게 심해지자 목숨까지 위험해져서 미키의 소식을 듣고 왔다. 미키가 이다의 배를 어루만지자 병이 나았다고 한다. 이때 이다는 미키에게 이른바 '물 수훈'이라는 것을 받았는데, 근처에 있는 우물물을 마시면 병이 낫는다는 것이었다. 이다의 이야기는 미키의 추종자들 사이에서 유명해졌다. 이다는 미키 사후 '물 집터 사건'의 중심인물이 되었다.

(훗날 초대 혼세키가 된) 목수 이부리 이조가 미키를 찾아왔다. 이부리 이조는 아내가 아이를 낳은 뒤 건강이 나빠지자 미키를 찾아왔다가 열렬한 추종자가 되었다. 아내가 낫자 이부리는 미키에게 보답하고자, 미키의 허락을 얻고 다른 추종자들과 의논하여 조그만 건물을 지어 11월 25일에 상량식을 올렸다. 이날은 미키가 신령의 집으로 바쳐진 (음)10월 26일이라, 이를 겸하여 크게 축하했다. 이부리 이조가 세운 이 건물을 근행장소라고 부르는데, 오늘날 감로대 자리의 서쪽 언저리에 있었다. 근행장소 윗방에는 고헤이를 신체(神體)로 하여 모시고, 미키는 같은 방 서쪽 단 위에 앉아 동쪽을 바라보며 사람들을 맞이하였다고 한다. 이부리 이조가 만든 이 건물이 신전의 원형이다. 미키와 가족들은 옆에 있는 다다미 6장짜리 방에 머물렀다.

추종자가 많아지자 슬슬 기성종교, 관청을 상대로 어그로를 끌기 시작했다.

근행장소 상량식 때 야마나카 추시치(山中忠七)[31]는 다른 참석자들에게 내일 자기 집으로 사람들을 초대하고 싶다고 하였다. 이튿날(11월 26일) 슈지와 이부리 이조 등 12명이 야마나카네 집으로 가기 전 미키에게 인사를 올렸더니, 미키는 "신사 앞을 지날 때 예배를 보아라." 하였다. 그네들이 오야마토 신사(大和神社) 앞을 지날 적에 미키가 한 말을 떠올리고는 지고 가던 북 등을 내려놓고 연주하며 "나무천리왕님." 하고 기도문을 낭송하며 예배를 보았다. 신사에 있던 신관들이 이 광경을 보고 뛰쳐나와 악기를 빼앗고 예배를 중단시켰다.

마침 오야마토 신사에 있던 신직통솔관 모리야 치쿠젠노카미(守屋筑前守)는 사건을 목격하고 "유서 깊은 신사에서 범속한 악기를 연주하며 듣도 보도 못한 신의 이름을 읊조리다니 매우 괘씸하다." 하며 일행을 3일간 가두어두었다. 이 소식이 알려져서 쇼야시키촌과 인근 마을에서 촌장 대리로 사람을 보내어 사죄하자, 모리야는 다시는 이러한 짓을 하지 않겠다는 각서를 쓰도록 하고 풀어주었다. 일행이 구금된 동안 사람들이 백방으로 뛰어다닌다고 돈도 상당히 썼다. 코칸이 이런 광경을 보고 "차라리 가지 않았더라면 좋았을 텐데." 하고 중얼거렸더니 미키가 코칸을 꾸짖었다.

불교 사찰도 천리교도들을 거부하였다. 부처님의 가피력을 입지 않아도 극락왕생하지 않고 인간으로 환생할 수 있다는 교리는 당시 일본인들의 사후세계와 장례를 담당하는 불교에 대한 도전이었다. 또한 미키는 천리교를 믿으면 신령님의 도움으로 병이 나으므로 의사가 따로 필요없다고 주장했다. 그리하여 신사의 신관들은 물론 지역 사찰의 승려들, 의사들과도 척을 지고 공권력으로부터도 어그로를 끌었다. 미키의 추종자들은 열정에 넘쳐서 공권력, 혹은 종교계만이 아니라 천리교를 믿지 않는 다른 주민들과도 상당히 충돌한 듯하다. 꼭 정치적인 이유만이 아니더라도 천리교가 탄압받음은 필연이었다.

1865년(68세), 미키에게 눈병을 치유받은 적이 있는 이마이 스케조(今井助造)[32]라는 사람이 자기가 사는 하리가벳쇼촌(針ヶ別所村)[33]이 본(本)이고, 미키가 사는 쇼야시키촌은 하리가벳쇼의 영험이 드러난 말(末)에 불과하다고 주장하였다.

미키는 이 일에 분노하여 한 달간 금식한 뒤, 노구를 이끌고 이부리 이조와 야마나카 추시치를 데리고 하리가벳쇼촌까지 찾아가 스케조네 집에 모신 고헤이를 없애도록 하였다. 교조전에 따르면 스케조는 결국 미키에게 사과했다고 한다. 하지만 스케조가 바로 그해에 천륜왕교회(天輪王敎会)라는 천리계 종교를 세워 분파했으므로, 스케조가 결코 미키에게 승복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이 사건은 미키의 종교적 권위에 대한 최초의 내부적 도전이었고, 천리교 역사에는 최초의 이단으로 기록되었다.

이해에는 미키에게도 많은 일들이 있었다. 미키가 이때부터 신악가를 쓰기 시작했고, 3녀 하루가 (훗날 1대 신바시라가 되는) 3남 신노스케를 낳았다. 이해 가을에 코이즈미촌(小泉村)에 있는 후도원(不動院)[34]이라는 사찰의 슈겐자들이 미키네 집으로 몰려와 미키와 설전을 벌이다가 북을 찢는 등 행패를 부리고 갔다. 이들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야마나카 추시치 집에도 찾아가 폭행한 뒤 [35] 대관소에 가서 미키 무리를 고발하였다. 미키의 추종자들과 기성종교/관청간 관계가 매우 험악했음을 알 수 있다. 게다가 슈겐자들의 행적을 보면, 미키의 추종자들은 종교와 관련해서는 법의 보호를 받지 못한 듯하다. 이런 일을 겪은 뒤 슈지는 정식 종교단체로 승인받아야겠다고 생각했다.

1867년(70세), 메이지 천황이 즉위하고,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막부의 마지막(15대) 쇼군이 되었다.

정부의 탄압을 피하고자 미키의 장남 나카야마 슈지가 중심이 되어 교토에 있는 요시다(吉田) 가문[36]에 청원하여 포교허가를 받은 덕분에 잠시 탄압을 피할 수 있었다. 이때 슈지가 요시다 가문에 청원하면서 제출한 문서에 모시는 신의 이름을 전륜왕명신(轉輪王明神)이라고 했음이 특기할 사항이다.

이해 말, 대정봉환으로 막부가 막을 내렸다.

이듬해(1868)에 메이지 유신이 시작되었다. 일본 정부가 신토계를 관할하는 요시다 가문의 권리를 폐지하자, 천리교단이 받은 허가도 자동적으로 무효가 되어 다시 탄압이 시작되었다. 메이지 정부는 신불분리령을 내려 일본에서 신토와 불교가 습합된 것을 정책적으로 분리하려고 했다.

메이지 정부는 천리교가 국가신토와 어긋난다 하여 상당히 껄끄럽게 여겼다. 천리교에서 정립한 천리왕이란 신은 고사기일본서기로 대표되는 기기신화, 혹은 제도권 신토는 물론이고 심지어 기존의 일본 민속에도 존재하지 않는 신이었다.[37] 또한 천리교가 내세우는 종교적 질병치유 역시 일본의 근대화 정책과 어긋나므로 지식인 계층은 천리교를 좋지 않게 여겼다. 메이지 정부는 미키와 가족들을 유치장에 가두거나, 압수수색을 하거나, 신자들이 많이 모이면 해산시키며 활동을 억압하였다.

이해 말, 메이지 천황교토에서 도쿄로 거처를 옮겼다. 법률적인 논란이 있긴 하지만 통상적으로는 수도를 천도하였다고 간주한다.

1869년(72세)부터 미키는 (후일 천리교의 경전이 되는) 친필을 쓰기 시작했다.

1870년, 메이지 정부는 대교선포(大教宣布) 조서를 발표했다. 여기서 메이지 천황은 신토를 보호하고 국가의 대계로 삼겠다고 밝혔다. 이 조서 발표로 국가신토가 일본의 국교가 된 것으로 본다. 일본 각지에서 불상이 파괴되고 승려들이 환속하거나 신사의 신관이 되었다. 이 일은 종교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 일본 민중들에게 큰 충격을 주었다. 정부는 국가신토를 각지에 잘 보급하고자, 각지의 유력한 신사를 골라 민중을 계몽(?)하도록 하였다. 미키가 살던 곳 근처에서는 (과거에 신사 앞에서 예배를 보다가 신자들이 구류되기도 했던) 오야마토 신사가 국가신토를 보급하는 곳이 되었다.

1871년, 메이지 정부는 폐번치현을 단행함으로써 기존의 번을 폐지하고 중앙집권적으로 나라의 체계를 바꾸었다. 조선에서 신미양요가 일어났다.

1872년(75세), 카지모토(梶本) 집안에 시집 간 3녀 하루가 42세 나이로 숨을 거두었다.

1873년(76세), 미키는 이부리 이조에게 나무로 감로대의 모형을 만들라고 지시하였다. 높이가 대략 6자쯤 되었는데, 만든 뒤 창고에 보관하였다.

1874년(77세) (음)10월 중 어느 날[38], 미키는 신자 두 사람을 오야마토 신사로 보내 "이곳에서 모시는 신은 어떤 분이십니까?" 하고 묻도록 하여 또다시 어그로를 끌었다. 신자들은 오야마토 신사에 가서 미키가 지시한 대로 신관들에게 질문하였다. 신관들이 고사기일본서기에도 기록된 대신(大神)이시라고 대답하자, 신자들은 그분이 어떤 수호를 하시냐고 물었다. 신관들은 이들이 미키의 추종자라고 눈치채고 "그런 헛소리를 하는 자는 쇼야시키촌의 할멈(미키)일 것이다. 너희들이 주장하는 근거는 무엇이냐?" 하고 되물었다. 신자들은 미키가 쓴 친필을 보여주면서 천리왕이야말로 온갖 수호를 해주시는 분이라고 큰소리를 쳤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10대 스진 천황(崇神天皇) 재위 6년(기원전 92?), 큰 전염병이 돌아 백성들이 흩어지고 나라가 혼란해지자, 스진 천황은 궁에서 아마테라스와 야마토노오쿠니타마(日本大国魂神) 신을 제사 지내며 나라의 안녕을 기원했다. 그러나 두 신의 위엄이 높아 궁궐에서 모시기가 두렵고 힘들어서 각기 다른 곳에서 신을 모시도록 하였다. 이후의 전승에 따르면 아마테라스이세 신궁에서, 야마토노오쿠니타마 신은 오야마토 신사에서 모시게 되었다. 일본어 위키페디아는 오야마토 신사가 스진 천황 재위 12년(기원전 86?)에 창건되었다고 서술했다.

오야마토 신사는 10세기 초 연희식신명장(延喜式神名帳)에도 중요한 신사로 등재되었고, 이세 신궁과 함께 22사로도 뽑히는 등 역사가 오래되고 격이 높은 신사로 대대로 매우 존중받았으며, 제국주의 시절에 각지 신사에 등급을 매길 때에도 가장 높은 등급인 관폐대사(官幣大社)가 되었다. 그래서 메이지 정부도 오야마토 신사를 국가신토를 보급하는 곳으로 지정했다.

미키와 추종자들이 한 일은 오야마토 신사의 신관들 보기에는 터무니없이 건방지고 어처구니없었을 것이다. 1864년에도 그렇고 74년에도 그렇고, 미키는 오야마토 신사를 의도적으로 도발하며 시비를 건 듯하다.

이 일은 확실히 어그로를 끌었다. 두 사람이 돌아오자 오야마토 신사의 신관이 인력거를 타고 미키를 찾아왔으나 슈지가 이들을 돌려보냈다. 이튿날 이소노카미 신궁(石上神宮)[39] 신관 5명이 미키를 찾아와 설전을 벌였다.

동년 12월 23일에 나라현청이 엔쇼사(圓照寺)[40]로 미키를 소환하여 처음으로 신문하였다. (소환날짜가 음력으로는 11월 15일이므로, 미키가 오야마토 신사에 신자들을 보내 어그로를 끌고 그 다음 달이다.)

나라현청이 하필 사찰로 소환한 이유는 미키에게 악귀가 들렸다면 엔쇼사의 영험으로 눌러버리기 위해서였다. 관청은 25일에 신앙을 금지하고 물품을 압류하였다. 26일부터 미키는 죽는 날까지 버선을 포함하여 모조리 붉은 옷만 입었다. 미키는 붉은색 옷에 신이 있다고 말했는데, 자신을 신의 현신으로 드러내려는 의도였던 듯하다. 미키가 입던 붉은 옷자락을 잘라 증거부라고 부르며 추종자들에게 나누어주는 관습도 이때 시작했다. 이후 미키는 죽는 날까지 십수 차례 소환받아 신문받거나 진술서를 쓰거나 유치장에 수감된다.

엔쇼사에 지체 높은 여인이 문적(주지)으로 있다보니, 야마무라 어전(山村御殿)이라고 높여 부르기도 한다. 산기슭에 있는 높으신 분의 거처라는 뜻. 일본식 발음으로는 '야마무라 고텐'인데, 한국 천리교인들은 이를 귀에 들리는 대로 써서 '야마무라 고뗑' 혹은 '야마무라 고뎅'이라고 할 때가 많다.

1875년(78세) 6월 29일, 미키가 신탁을 받았다. 미키는 신탁에 따라 집터 안을 깨끗이 청소한 뒤, 뜰을 거닐다가 마치 발이 땅에 붙은 듯 움직일 수 없는 지점을 찾아 표시하였다. 다른 사람들을 불러 시험해보니 역시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못하였다고 한다. 미키는 그 곳이 천리왕이 인류를 창조한 자리라고 말하고, 거기에 감로대(甘露台)[41]라는, 생김새가 육각형 아령과 비슷하고 높이가 2.5 m쯤 되는 구조물을 돌로 만들라고 명령했다. 감로대를 만들던 중 석공이 도망가서 작업을 중단했다. 고본 교조전은 석공이 도망갔다고 설명할 뿐 이유에 대해서는 침묵한다. 다른 설명에 따르면 경찰이 석공을 붙잡아 때리면서 이런 일에 협조하지 말라고 협박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동년 9월 24일, 나라현청이 미키와 장남 슈지에게 소환장을 보내었다. 그때 슈지가 병석에 누워 나갈 수 없었으므로, 이튿날 미키는 슈지의 대리자와 함께 출두하여 신문을 받았다. 그러나 27일에 막내딸 코칸이 향년 39세(만 37세)로 사망했다. 이 소식을 접하고 경찰은 미키에게 사흘간 시간을 주어 잠시 집으로 돌려보냈다. 미키는 죽은 딸의 손을 잡고 슬퍼하였다. 만약 코칸이 일찍 죽지 않았다면, 미키 사후에 이부리 이조가 아니라 코칸이 혼세키가 되어 천리교의 영적인 부분을 이끌었으리라고 추측하는 사람들도 있다. 친필에 그런 의사가 어렴풋이 드러난다나. 취조 결과, 미키는 벌금을 물었다.
슈지는 막내동생 코칸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모양이다. 코칸이 어머니가 말한 감로대 근행을 보고 싶다고 신자들에게 말하자 신자들은 감로대 근행을 어설프게나마 거행하였는데, 슈지는 이 광경을 보고 신자들이 코칸이 쾌차하기를 기원하는 줄 알고 비웃었다고 한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착각했다면 어떻게 비웃을 수 있을까? 슈지는 미키의 추종자들이 자기보다 코칸을 더 따르므로 여동생에게 악감정을 품었을지도 모른다.

1876년(79세), 미키는 훗날 2대 혼세키가 된 우에다 나라이토(당시 14세)를 만나 3일 만에 병이 낫게 해주었다고 한다. 이후 우에다 집안은 천리교 신앙을 깊이 받아들였다.

슈지는 집 근처에 목욕탕과 여관을 개설했다. 미키를 찾아온 사람들은 쇼야시키촌에 있는 친척, 혹은 아는 사람 집에 숙박했다. 방문객들이 많아지자 더 이상 동네 주민들이 숙박을 시켜주기 힘들어서 원성이 커졌다. 슈지가 목욕탕과 여관을 만듦은 동네 주민들에게도 좋고, 찾아온 사람들에게도 좋고, 나카야마 집안에도 돈이 되어 좋았다.

1877년, 사이고 다카모리가 중심이 되어 세이난 전쟁이 일어났다.

1879년(82세)부터 신을 가리키는 호칭을 바꾸겠다는 친필이 나왔다. 원래 미키가 친필에서 쓰키히(月日)란 말을 사용했는데, 이는 일본 민간신앙에서 천신(天神)을 가리키는 호칭이었다. 하지만 앞으로는 더 이상 쓰키히란 말을 쓰지 않고 어버이신이라는 말을 사용하겠다고 하였다. 이해에 우에다 나라이토를 집터에 머무는 사람으로 받아들였다.

1880년(83세), 슈지가 주도하여 일본 진언종 산하에 전륜왕강사(転輪王 講社)[42]로 들어가려고 하였다. 미키의 추종자들은 신토에 기울어졌던 슈지가 불교로 돌아온다고 좋아했으나[43], 막상 미키는 정부의 허가를 받을 필요가 없다고 매우 강경하게 반대하며 슈지에게 화를 냈다고 한다.

이듬해 1881년(84세), 슈지가 환갑 나이로 사망하였다. 만으로는 59세였다. 슈지가 사망하자 전륜왕강사를 유지할 동력이 사라져서 흐지부지되었다.
고본 교조전은 슈지가 죽자 미키가 매우 슬퍼했다고 서술한다. 하지만 다른 자료에는 미키가 "그러니까 내가 경고하지 않았더냐!" 하면서 시신 앞에서 화를 내었다는 내용이 있다. 슈지가 나카야마 집안의 가장으로서 신자들이 바치는 헌금을 관리했는데, 미키는 슈지가 돈 욕심을 부린다고 싫어했다는 것이다.

1882년(85세), 일본에서 콜레라가 유행하였다.

이해 5월 12일, 경찰이 찾아와 만들다 만 감로대를 비롯하여 나카야마 집안의 물건들을 압수하였다. 미키는 이 일에 대하여 매우 분노하여, 친필에서 "어버이 신의 마음을 무시한 이상, 어버이 신의 어떤 보복이 있을지 모른다." 하고 적었다. 교인들은 감로대가 있던 자리에 돌을 쌓아 표시했다. 신자들은 이 돌에도 영험이 있다고 생각해서 다른 돌을 놓고 대신 원래 있던 돌을 가져가서 아픈 부위에 문지르곤 했다고 한다.
파일:external/www.yousun.sakura.ne.jp/kanrodai3.jpg
1875년에 만들다가 석공이 도망가 실패한 2단짜리 석제 감로대. 1882년에 경찰이 압류하였다가 훗날 천리교단이 다시 받아왔다. 지금은 천리교 교회본부 신바시라(교주) 거처 한구석에 놓여 있다고 한다.

이해(1882) 초대 신바시라 나카야마 신노스케가 나카야마 집안의 호주가 되었다. 천리교단은 이때부터 신노스케가 신바시라로 취임했다고 간주한다.

이해 10월 20일(음력 9월 9일 중양절)[44] 밤에 아비코(我孫子) 사건이 일어났다. 안 그래도 좋지 않았던 천리교의 이미지가 더욱 떨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이즈미국(和泉国) 센보쿠군(泉北群) 토요나카촌(豊中村) 아비코(我孫子)[45]에서 일어난 사건이라고 아비코 사건이라 부른다.

쓰지카와 이와마쓰(辻川岩松 당시 21세)[46]는 1881년에 병에 걸렸다가 천리교 신자의 도움으로 병이 나은 뒤 열렬한 신자가 되었고, 지인인 시부타 토요지로(渋田豊次郎 당시 18세)에게도 천리교 신앙을 전파하였다. 두 사람은 미키를 만나 고헤이를 받았다. 쓰지카와는 고헤이를 지극정성으로 모셨지만, 시부타는 부담스럽게 여겨 자기가 받은 고헤이를 목욕탕에서 불태웠다. 쓰지카와가 환자를 위해 고헤이 앞에서 기도하면 병이 낫는다는 소문이 돌아 명성이 높아졌다.

82년에 콜레라가 일본에 유행하여 시부타도 감염되었다. (음) 9월 9일 중양절 밤, 시부타는 쓰지카와를 불러 도와달라고 청하였다. 쓰지카와는 "네가 감히 신이 계신 고헤이를 불태웠기 때문에 벌을 받아, 콜레라 균이 몸 속에 들어간 것이다." 하였다. 시부타는 자기 몸 속에 뭔가가 있어서 여기저기 돌아다니며 몸에 혹이 나게 한다면서 잘라달라고 부탁하였다. 쓰지카와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천리왕에게 기도하며 혹을 잘랐으나, 시부타는 오히려 죽고 말았다.

이 사건이 오사카 매일신문 등 언론에 보도되자 천리교의 이미지는 더 나빠졌다. 신자들도 이 소식을 접하고 혼란스러웠던 듯 미키에게 질문하여 대답을 받기도 하였다. 무관심보다는 악평이 낫다고, 언론의 관심이 집중된 틈을 타 천리교는 존재감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사건의 당사자인 쓰지카와는 살인혐의로 기소되었으나 최종적으로는 무죄판결을 받았다.

1886년(89세) 2월 18일, 미키가 아흔을 바라보는 노구에 이치노모토 경찰분소에 끌려가 3월 1일까지 12일간 유치장 신세를 졌다. 마지막 경찰서행이었다.
파일:external/blogs.c.yimg.jp/img_7?1387921354.jpg
오늘날의 이치노모토 분서 건물


미키는 유치장 안에서도 신들림 증세를 보였다. 유치장에서 어느날인가 미키가 문뜩 "마디 마디에 새싹이 돋는다." 하는 말을 툭 내뱉었다. 순사가 이 말을 듣고 버럭 소리를 지르자 친척 꼬마아이가 "할머니, 할머니." 하고 부르면서 미키를 말리려고 하였다. 하지만 미키는 "나는 할머니가 아니라 하늘의 장군이다." 하고 대답했는데, 그 모습이 너무나 당당해서 보던 사람들이 소름이 끼칠 정도였다고 한다.

이해 5월, 천리교단이 신도본국(神道本局)[47] 산하에 들어가 국가적 공인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신노스케가 이에 대하여 미키에게 의견을 물었으나, 미키는 여지껏 고난을 받고도 견뎌왔는데 왜 이제 와서 포기하겠느냐고 답하며 단호하게 거부하였다.

1887년[48] 1월 4일부터 미키의 건강이 급격히 나빠졌다. 신자들은 미키가 쾌유하기를 바라며 1월 18일부터 2월 17일까지 매일 밤 찬물로 목욕재계하고 근행을 올렸다. 그 전까지 사람들이 모여 근행을 하려고 하면 경찰들이 달려와 강제로 해산시키곤 하였으나, 미키가 오늘내일하기 때문인지 경찰들은 신자들이 많이 모였는데도 그냥 내두었다.

동년 2월 18일(음력 1월 26일) 금요일 오후 2시, 나카야마 미키가 거처에서 사망했다. 향년 만 88세, 세는나이로는 90세, 미키가 처음 신들린 지 만 48년 2개월, 이치노모토 분소 유치장에서 풀려난 지 만 11개월째였다.[49]

아직 교단이 법적 공인을 얻지 못하였으므로 신관 모리야 히데오(守屋秀雄)[50]를 재주(斎主)로 삼아 6일장으로 신토식 장례식을 치른 뒤 (미키가 오중상전을 받은) 젠푸쿠사에 있는 나카야마 집안 묘지에 안장하였다. 이때 미키에게 올린 시호는 '마미치이야히로코토시리메노미코토(真道弥広言知女命)'[51]이다.

사후 5년 뒤인 1892년, 터전 뒷산인 토요다산(豊田山)에 묘지를 만들고 여기로 이장하였다. 이후 토요다산 묘지는 천리교인들이 묻히는 종교묘역이 되었다. 비석에도 미키의 시호를 새기고 제문에서도 이를 사용하였으나, 일본 패전 이후 이른바 '복원' 이후로는 이를 사용하지 않는다.

천리교 본부는 미키가 사망한 오후 2시를 기려 매일 오후 2시마다 사이렌을 울린다. 또한 1887년을 1년으로 헤아려 10년째 되는 해마다 교조(敎祖) XX년제(年祭)라고 칭하며 성대하게 행사를 치르는데, 2016년에 교조 130년제가 있었다. [52]

미키는 원래 사람이 천리왕에게 받은 수명이 115세라고 주장했기 때문에, 신자들은 너무나도 당연하게 다른 사람은 몰라도 미키는 115세를 모두 채우고 사망하리라 생각하였다. 따라서 미키가 90세에 숨을 거두자 신자들은 매우 동요했다. 이부리 이조는 초대 혼세키가 되어 '미키가 신자들을 돌보고자 정해진 수명에서 25년 일찍 숨을 거두었고, 지금도 신자들을 돌본다.'는 신탁을 받았다. 이후 이부리 이조는 살아있는 동안 천리교단의 영적인 부분을 이끌었다.

역사적인 관점으로 보면 이부리 이조는 미키가 기대보다 일찍 죽어 신자들이 받은 충격을 최소화하고, 신바시라가 교주가 되는 징검다리 역할을 하였다. 이부리 이조가 인격적으로 문제가 없고 야망은 없으되 인망은 높은 사람이었음도 천리교단의 입장에서는 행운이었다.

천리교는 미키가 죽은 뒤에도 환생하지 않고 그 혼령이 여전히 터전(천리교 본부 자리)의 교조전(敎祖殿) 건물에 머문다고 믿는다. 미키의 죽음을 은신(隱身)이라고 표현하는데, 눈에 보이는 육신을 숨겼다는 뜻이다. 교단은 지금까지도 교조전에 조석으로 식사를 올리고 냉온방을 하며 옷을 지어 바치는 등 미키가 여전히 살아있는 듯이 대한다.

4.3. 미키 사후 천리교단의 변화

1880년대 후반부터 천리교가 당시 일본 사회에서 주목받는 신종교로 교세가 급속도로 확장되었다. 그러나 폐해도 적지 않아서 당시 일본인들 사이에서 이런 야유가 돌았다.
집터를 제거하고 논을 팔아주소서, 하늘의 가난뱅이님이시여.
(屋敷を払うて田売り賜え天貧乏命)
이 말은 천리교 신악가 제1절인 "악한 것을 제거하고 도와주소서, 천리왕님이시여."(悪しきを払うて助けたまえ天理王命)[53] 하는 구절을 바꾼 것이다. 한국어 번역으로는 얼른 느껴지지 않지만, 일본어로 읽으면 신악가 1절이 "아시키오 하로오테 타스케 타마에, 텐리오노미코토."인데, 비아냥거리며 패러디한 문구는 "야시키오 하로오테 타우리 타마에, 텐빈보노미코토."라서 매우 흡사하다. 비아냥거린 문구의 첫 음절이 '아'가 아니라 '야'인 것에 주의.

신악가 제1절은 천리교도들이 근행이나 월차제를 할 적에 자주 외우는 구절이다. 이를 슬쩍 바꾸어 '집이며 땅이며 다 팔아치워, 돈은 천리교에 바치고 집안은 쪽박을 찬다.'는 뜻으로 던진 야유인데, 100년이 넘은 지금도 일본의 천리교 안티들이 천리교를 비꼬고자 자주 인용한다.
신악가 1절이 1916년, 교조 30년제 때 섭정(?)으로 있던 야마자와 타메조가 지어낸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만약 이 주장이 사실이라면, 당연히 비아냥거리는 문구도 그 이후에 생겼을 것이다.
1888년, 교조 1년제를 거행하였으나 경찰이 찾아와서 참석자들의 이름을 적고, 나카야마 집안 식구들을 제외한 사람들을 모두 내쫓았다. 같은 해에 천리교는 신도본국(神道本局)에 등록되었다. 신도본국은 신토 관계자들이 모여 만든 기관인데, 반쯤은 정부 산하나 마찬가지였다. 천리교는 신도본국에 소속됨으로써 국가의 통제를 받는 신토 계열 종교단체로 법적 지위를 얻었다. 그 대신 본부를 도쿄로 옮겼으나, 이듬해에 다시 텐리시로 되돌아왔다.

1889년, 대일본제국 헌법이 발표되었다.

1891년, 교조 5년제를 거행하였다. 이때는 경찰이 방해하지 않고 오히려 질서통제에 협조했다고 한다.

1892년, 토요다산(豊田山) 묘지로 미키의 무덤을 이장하였다.

1892년 말 - 93년 초, 부산에 처음으로 천리교 전도사가 들어가 조선에서 첫 포교를 시작하였다.

1894년, 조선에서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났다. 이를 계기로 청일전쟁이 발발, 95년에 끝났다.

1896년, 교조 10년제를 거행하였다. 이후로 천리교단은 서기로 XXX6년이 되는 해마다 교조 XX년제를 거행한다.

이해 4월 6일, 내무대신 요시카와 아키마사(芳川顕正)의 이름으로 내무성 비밀훈령이 경찰에 내려왔다. 그 내용은 대략 아래와 같다.
요즘 천리교 신자들이 남녀혼음 등 풍속이 흐트러지고, 신령한 물과 부적을 주고 미신을 퍼트리며 의학을 무시하고 함부로 기부하는 등 폐해가 확산된다. 경찰은 한층 더 엄격히 시찰하여 비행을 적발하는 즉시 처분하고, 기부금에 대해서는 보고하라.
하지만 천리교에서는 이런 훈령이 내려온 진짜 이유가 청일전쟁 당시 전시협력에 시큰둥해서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좀 더 적극적인 친정부 정책을 취하기로 하였다. 아침/저녁 근행에서 신악가의 가사를 바꾸고, 감로대 근행을 규제하며, 신토식으로 신단에 신경(神鏡 신령한 거울)을 안치하며 신앙대상의 호칭을 천리대신(天理大神)으로 바꾸었다. 그리고 향후 또다시 전쟁이 벌어질 경우 이에 적극 협조하기로 하였다.

이해 12월, 천리교 신자 수가 313만 7천 명으로 집계되었다.

1897년, 미키에게 복통을 치유받았던 이다 이와지로(飯田岩治郎 1858-1907)가 물 집터 사건(水屋敷事件)을 일으켰다.

이다 이와지로는 미키에게 병을 치유받고 물 수훈을 받은 이후 신자들 사이에서 유명한 사람이 되었다. 사실 처음 복통을 치유받은 이후로도 몇 번 몸이 더 아팠는데 그때마다 미키를 찾아와 다시 치유받았다고 한다. 미키가 사망한 다음날 찍은 사진에도 이다가 있고, 교회회의를 이다 집에서 하는 등 중요한 인물이었다. 1892년에 헤이안(平安) 지교회 초대회장으로 부임했다. 미키에게 받은 물 수훈은 천리교인들에게 유명해서, 다른 계통 신자들도 근처까지 오면 이다에게 들러 물을 받아가곤 했다. 1894년에 처음으로 신들림을 겪었고, 96년에는 꿈에 미키가 나타났다고 하며 친필(오후데사키)를 썼다.

1897년부터 이다는 자신이 받은 '물 수훈'이 사람이 아니라 자기가 사는 집에 내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다 이와지로의 말에 따르면 미키의 쇼야시키촌은 불 집터이고 자기가 있는 곳은 물 집터라고 하였다. 이다가 쓰는 친필 역시 혼세키 이부리 이조의 '지도말씀'과 서로 충돌하였다. 고참 신자들 중에서도 이다를 편드는 사람들이 제법 있어 천리교는 내분을 겪었다. 이다는 미키가 자기 목숨을 50세까지 늘려주었다고 하면서 50세가 되는 1907년에 죽음을 준비하다 숨을 거두었다고 한다.

1899년부터 천리교는 국가가 관리하는 신도본국의 산하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교파신토로 자립하자고 계획하였다. 국가의 호의를 받기 위해서 더욱 친정부적인 방침으로 기울었다.
1901년에 오모토의 교조 데구치 나오가 인근 마을 사람들에게 욕을 먹으면서 ‘천리교 멍청이’라는 소리를 들었다고 한다. 정말로 나오가 천리교도였다는 뜻이 아니라[54], ‘천리교처럼 신의 계시를 받았다고 하면서 남다르게 행동하고 규율을 무시하는 자’라는 의미였다. 천리교도라는 말이 욕처럼 쓰였으므로, 이때까지도 일본 대중들이 천리교를 나쁘게 인식했음을 알 수 있다.

1902년, 영일동맹이 체결, 1923년에 효력을 상실하였다.

1903년에 메이지 교전(敎典)을 발간하였다. 천리교의 초기경전인데, 메이지 시절에 발간했다고 메이지 교전이라고 부른다. 교전은 천리교의 교리해설서에 가까운데, 여기서 천황가의 조상을 신으로 묘사함으로써 국가신토에 영합했다. 교단은 총력을 기울여 신도본국으로부터 독립하자고 방침을 세웠다.

1904년, 러일전쟁이 일어났다. 천리교 본부에서는 "천리교는 천황과 천황의 선조들을 신이라고 믿는데, 교조님(미키)이 신이라고 가르치는 불량교사들이 있다." 하면서 천리교인 약 1400명을 파면했다. 미키와 오랜 인연이 있고, 또 미키에게 칭찬받은 적도 있는 유명한 사람인 이즈미다 토키치(泉田藤吉)[55], 만다 만키치(萬田萬吉)도 포함되었다. 천리교는 신자들에게 '빚을 내어서라도 전시국채를 구입하라.'고 요구했다. 그래서 신자들은 국채 250만 엔어치를 구입하였고, 초대 신바시라 신노스케는 러일전쟁이 끝난 이후 훈6등 훈장을 받았다.

1906년, 천리교는 교조 20년제를 지냈다. 이때 읽은 제문(축문)에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있었다.
천황은 살아있는 신이시며 교조님은 천황님의 자손입니다. 의사나 승려 등이 공격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경찰이 교조님을 체포하였지만, 교조님은 필사적으로 "천황은 살아있는 신이십니다." 하고 가르쳐주셨습니다....
천리교가 자기네 교리의 독자성을 고수하기를 포기하고 역사를 왜곡하며 완전히 국가신토에 영합했음을 알 수 있다.

1907년, 이부리 이조가 사망했다. 혼세키 직은 우에다 나라이토가 계승하였지만, 나라이토는 이부리 이조와 같은 권위를 얻지 못하고 어둠 속으로 묻혔다. 천리교단은 이부리 이조 이후로 혼세키는 없다고 주장한다. 교단의 영적인 부분을 담당한 혼세키가 사라지자 교단에 반발하여 갈라진 분파가 더욱 늘어났다. 이 무렵부터 천리교인들 사이에는 신탁이 더 이상 없다는 생각이 퍼졌다. 천리교 내부에서 말하던 신탁이 이루어지지 않자 점차 실망하는 사람들이 많아졌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있다.

1908년 일본 정부는 천리교를 합법적이고 독립적인 교파신도로 인정해주었으나, 그 대신 천리교의 교리와 의례ㆍ행정에 깊이 관여했다. (혹은 천리교 쪽에서 정부의 눈치를 보며 알아서 기었다.) 포교사들이 나대지 못하게 억제한다거나 하는 식으로 통제하였다. 일본 내부에서 천리교가 통제받자 포교사들은 자기 열정만 믿고 무작정 조선으로 포교하겠다고 나가기도 하였다.

합법적인 교파신도로 인정받은 뒤에도 일본 국민들 사이에서 인식이 아주 좋지 않아, '천리교 같은 미신적 종교는 교파신토로 인정해주면 안 된다.'는 청원이 빗발쳤다.

나카야마 미키는 어느 날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75년이 지나면 일본 전체가 천리교에 귀의할 것이며, 그 뒤로는 세계로 퍼져나가 천리왕을 전도할 것이다.
(七十五年たてば、日本あらあらすます。それから先は、世界隅から隅まで天理王命の神名を流す)
뜬금없이 '75년이 지나면'이라고 하니 언제를 말하는지 이론이 있을 수 있지만 1912년을 가리킬 확률이 높다. 미키가 자기가 말처럼 115세를 살았다면 1912년에 사망했을 터이고, 미키가 신내림 받은 해를 1년으로 삼아 헤아리면 75년째가 1912년이다. 천리교 포교사들은 이 말을 믿고 전도에 박차를 가했다.
현재의 천리교단은 미키가 사망한 1887년을 1년으로 삼아 75년이 되는 1961년, 2대 신바시라 나카야마 쇼젠이 해외선교를 부르짖음으로써 미키의 예언이 실현되었다고 해석한다. 하지만 천리교는 현재까지도 일본 안에서도 소수종교이며, 세계에서는 말할 것도 없다. 아무튼 나카야마 미키는 ‘으뜸인 리’에서도 이자나미가 자식들을 75일에 걸쳐 자식들을 낳는다고 설명하는 등, 75란 숫자에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했다.

당시 일본 풍속에서 임산부가 아이를 낳으면 70일, 또는 75일간 부정하다고 간주했다고 한다. 미키가 75라는 숫자를 중시하고, 자기가 115세까지 산다고 주장한 것도 이 때문일지도 모른다.

1910년, 천리교단이 의례를 양력으로 거행하기로 하였다.

1912년, 다이쇼 천황이 즉위하였다. 미키가 정말로 115세를 살았다면 이해에 사망했을 것이다.
1913년, 오니시 아이지로(大西愛治郎 1881-1958)라는 사람이 자신에게 신이 내려 자신이 (미키가 말했던) 감로대가 되었다고 주장했다.

오니시는 본디 나라사범학교(奈良師範学校)에서 공부 중이었으나, 1899년에 어머니가 병이 들자 이를 치유받고자 천리교에 입교하고, 후에 사범학교를 중퇴하여 열성적으로 천리교 포교활동을 하던 중 이런 주장을 펴기 시작했다.

천리교 본부가 오니시를 이단으로 규정하고 천리교 교사직을 박탈하자 고향으로 내려가 소학교 교사, 세무서 직원 등을 하면서 생계를 꾸렸다. 그러는 와중에도 요시다 신토와 천리교를 비교하는 등 종교적인 탐구를 계속하였다. 오니시는 이후 아래에서 설명할 혼미치 불경사건의 중심인물이 된다.

1916년, 교조 30년제가 있었지만 신탁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여기서 천리교인들이 많이 실망했기 때문에 '신탁은 더 이상 없다.'는 생각이 더욱 힘을 얻었다.

1921년, 제1차 오모토 사건이 일어났다. 일본 정부는 오모토 교단이 힘을 기울여 교토부 아야베시에 짓던 장생전(長生殿)을 파괴하였다.
1925년, 오니시 아이지로는 천리연구회(天理研究会)라는 조직을 결성했다. 천리교 신자들 중에서 오니시의 주장에 공감하는 사람들이 있어 이해 연말에 모두 추방되었다. 쫓겨난 신자들 중 상당수는 천리연구회에 가입하였다. 천리연구회는 나중에 천리본도(天理本道 텐리혼미치)[56]라는 이름을 쓰다가, 1950년부터 혼미치(ほんみち)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는데, 여기서는 혼미치로 통일하여 쓴다.[57]

1926년, 쇼와 천황이 즉위하였다.
1928년, 혼미치에서는 '연구자료'라고 칭하며 오니시의 종교적 주장을 담은 책자를 배포하기 시작하였다. 이 책자에서 오니시는 당시 일본의 천황제적 국체를 전면에서 부정하였다. 천명이 받지 못한 인간이 (일본서기의) 신대기라는 허황된 문서를 근거로 허황되이 옥좌에 앉아 천황이라 칭하는데, 이 때문에 신이 노여워하시며, 또한 천황의 권위로 나카야마 미키가 (공권력에게) 탄압받았기 때문에 그 댓가를 치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살아있는 인간 감로대인 오니시 자신이 일본을 구제할 수 있다고 하였다.

오니시와 혼미치 신자 5백 명은 그 해에 불경죄로 기소되어 재판장에 섰으나 법관들은 의외의 문제와 맞닥트렸다. 오니시과 그 동료들은 재판석에서 시종일관 천황의 신성성과 현인신이라는 프로파간다를 맹렬히 거부했는데, 오니시가 살아있는 감로대라는 주장을 법정에서 허황되다고 단정하면 "천황이 현인신이라고 함은 허황되지 않은가?" 하는 역공을 받을 수 있었다. 국체가 일개 사이비 교주의 신성성과 같은 선에서 다툴지도 모르는 상황이이었다.

그런데 오니시가 천황제를 부정했다는 것 이외에는 다른 범법행위를 찾을 수가 없었으므로, 결국 법정은 무죄, 집행유예로 처리할 수밖에 없었다. 오니시 등은 종교적 과대망상 환자로 취급되어 별다른 처벌을 받지 않았다. 이를 1차 천리연구회 사건, 혹은 1차 혼미치 불경사건이라고 부른다. 적어도 제국주의 시절의 처신에 대하여 혼미치의 이러한 소극적 저항은 천리교의 처세에 대비된다.

1935년, 2차 오모토 사건이 일어났다. 특히 2차 오모토 사건이 매우 강경하였다. 일본 경찰은 오모토 교단이 총기를 감춰두고 있으리라 생각하여 거의 반란세력을 진압하는 수준으로 본부를 수색하고, 데구치 오니사부로 등 교단의 교위 인사들을 연행하였다. 공권력은 법률을 반쯤 무시하고 오모토 교단을 탄압하여, 한때 교인수가 자칭 백만에 달했던 오모토가 거의 붕괴할 지경에 처했고 연행된 간부들 중 사망자가 발생했으며, 고문 때문에 데구치 나오히(오모토 3대 교주)의 남편 히데마루는 정신병에 걸렸다.

오모토의 개조 데구치 나오는 평생 가난하게 살면서 가족들을 먹여 살리느라 고생한 할머니였다. 그래서 나오가 신들림하여 쓴 경전 오모토신유(大本神喩)[58]에는 곳곳에서 이 세상(일본)을 짐승의 나라, 어둠의 세계라고 비난하며 한바탕 뒤엎어야 한다는 생각이 드러난다. 일본 정부는 오모토신유의 이런 점을 두고 ‘천황 폐하께서 다스리시는 일본은 비난하다니, 천황 폐하를 비난하는 것’이라면서 교단을 거의 붕괴 직전까지 몰아넣었다.

당시의 일본 신종교 여러 교단은 오모토가 어떻게 쳐맞는지 실시간으로 목격하고 매우 '얌전히' 일본 정부ㆍ군부의 군국주의 정책에 순응하였다. 이 점에 대해서 천리교 역시 예외가 아니었다. 게다가 미키가 쓴 친필과 신악가에도 일본 정부에게 책이 잡힐 만한 아래와 같은 구절이 있었다.
온시대 모든세계 인간들을 살펴보아도
신의뜻 아는자는 바이없도다
천리교 한국교단이 사용하는 신악가 번역문에서 인용함.
오모토가 핍박받았듯이 천리교도 이 구절 때문에 핍박받을 가능성이 있다 하여 교단은 이 부분을 부랴부랴 감추고, 근행이나 월차제 때에도 전혀 낭송하지 않았다.

원래부터 천리교는 일본 정부의 정책에 잘 순응했지만, 오모토가 어떻게 되는지 보고서는 더욱 말을 잘 들었다. 러일전쟁, 태평양 전쟁에도 팔굉일우(八紘一宇)를 위해 헌신하라고 신자들을 독려했다. 현대의 천리교는 이 시기를 두고 흔히 응법(応法)의 길이라고 표현한다.[59]
1938년, 혼미치는 또다시 ≪우국지사에게 고함≫이라는 문서를 배포하였는데, 여기서도 대놓고 천황제를 거부하였다. 그 결과 오니시를 포함한 270여 명이 체포되었고, 1942년에 오사카 지방법원은 오니시에게 무기징역을 내렸다. 오니시는 결과에 불복하고 즉각 항소하였다. 1945년에 일본이 패전하자 오니시를 처벌할 형법적 근거인 치안유지법과 불경죄가 폐지되었다. 따라서 오니시와 일행들은 석방되었다. 이것을 2차 혼미치 불경사건이라고 부른다. 이후 혼미치는 천리교 본부로부터 갈라진 천리계 종교 중에서는 가장 영향력 있는 종교단체가 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난 뒤에야 비로소 천리교는 국가의 통제에서 벗어났다.

일본이 패전한 1945년, 2대 신바시라 나카야마 쇼젠이 주도하여 '국가의 통제를 받던 시기에 변형된 의례ㆍ교리 등을 미키 시절로 되돌리는 작업을 하겠다.'고 선언했는데 이를 '복원(復元)'이라고 부른다. 그 작업의 일환으로 먼저 메이지 교전을 폐지하였다. 쇼젠은 메이지 교전을 ‘외부인의 눈을 의식해서 만든 것’이라고 설명하고, 이제는 ‘겉과 속의 차이가 없는 교전을 만들 것’이라고 하였다. 새 교전은 1949년에 발간되었다.
야시마 히데오가 쓴 혼아즈마 등에서는 쇼젠이 "지금은 GHQ가 일본을 통치하므로 일신교와 비슷해야 교전이 허락받을 수 있다. 그 대신 10년이 지나면 교전을 바꾼다." 하고 말했다 한다. 그러나 10년이 지나도 교전을 바꾸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천리교 본부는 쇼젠이 "겉과 속의 차이가 없는 교전을 만든다." 했다고 하므로, 야시마의 주장과 충돌한다.

하지만 천리교 내부에서도 아직 제대로 청산하지 못했다는 비판하고, 황도신토에 물들어 천리교 본연의 가르침이 왜곡되었다고 주장하며 많은 단체들이 독립해 나오는 원인이 되기도 했다. 복원의 일환으로 천리교단은 석제 감로대가 있던 자리에 목제 감로대를 만들어 설치하였다. 패전 이전까지는 정부의 눈치를 보느라 나무 감로대도 제대로 세울 수 없었다.

1956년, 천리교단은 고본 천리교 교조전(稿本 天理敎敎祖傳)을 출간하였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이 책은 완성본이 아니지만, 출간한 지 60년이 넘어가는데도 아직도 완성판이 나오질 않는다. 이 또한 일본의 천리교 안티들이 비웃는 부분.

복원과 관련하여 야시마 히데오(八島英雄 1929-2014)라는 사람이 천리교계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야시마 히데오는 1959년에 텐리대학을 졸업하고 1967-68년에는 수양과에서 고존 교조전을 가르치는 강사로 일하였다. 또한 2대 신바시라 쇼젠이 복원을 주도할 당시 이를 도왔다. 1969년, 일본 천리교에서 발행하는 천리시보(天理時報)에서 차별기사가 실려 큰 문제가 생겼다. 천리시보에서는 당시에 '천리건강장수법'이라는 글을 연재하였다. 당시 천리교 교전에는 "날 때부터 온전한 몸을 받지 못한 사람은 전생에 마음에 티끌이 끼어 이를 없애지 못했기 때문이다." 하는 구절이 있었다고 한다.

구체적으로 이 구절을 인용하며 어떻게 서술했는지는 몰라도 부락민들은 이 기사가 자신들을 차별하는 내용이라고 판단, 천리교단에 극렬하게 항의했다. 부락민으로 태어남은 전생에 마음 티끌을 제대로 없애지 못한 탓이라는 의미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그런데 부락민보다도 선천적인 장애인들이 제일 먼저 화내야 하지 않나? [60] 사건이 커지자 천리교단은 문제 기사가 실린 천리시보를 회수하고, 표통령이 교제되고, 부락민들에게 사절단을 보내는 등 난리도 아니었다.

야시마는 차별기사 문제로 시끄러운 가운데 표통령으로부터 교조의 평등사상을 알려달라는 부탁을 받고 <나의 교리공부>(私の教理勉強)라는 글을 연재했다. 이 글은 반응이 좋았지만, 당시 천리교 교회본부의 교리해석을 곳곳에서 비판하였기에 갈등이 생겼다. 그 뒤에도 야시마가 쓴 책 문제로 "우익이 무섭지 않아?" 하는 협박을 받기도 하였다.

야시마는 1974년 도쿄에 있는 천리교 혼쓰마하라 분교회(天理教本嬬原分教会)의 회장으로 취임하고, 79년에 이치노모토 분서 사적보존회(櫟本分署跡保存会)[61]를 발족하여 대표가 되었다. 야시마는 교리해석ㆍ의례복원ㆍ역사고증의 문제로 천리교 본부와 지속적으로 충돌하였다. 1985년에 대한천리교가 감로대를 예배대상으로 삼기로 하고 천리교 본부에 통보하자, 천리교단은 그 책임을 야시마에게 물어 1986년에 혼쓰마하라 분교회장 직위를 박탈하였다.[62] 이 일로 야시마는 천리교 본부와 독립하여 법정 공방을 벌였다. 야시마의 주장을 뭉뚱그려 야시마 교학(八島敎學)이라고 부른다.

야시마의 아버지는 한때 도쿄부 스미다구(墨田区)에 있는 혼아즈마(本吾嬬) 분교회의 교회장이었다. 그 인연으로 야시마는 이 교회에서 발행하는 기관지 혼아즈마(ほんあづま)에 자기 주장을 실을 수 있었다. 그 때문에 야시마 히데오를 '혼아즈마의 야시마'라고 부르기도 한다. 한국 천리교에서는 귀에 들리는 대로 '홍아즈마'라고 쓴다. [63] 일본의 종교법인 천리교는 야시마 히데오를 이단으로 간주하고, 신자들에게도 접촉하거나 서적을 읽지 말라고 요구한다.

야시마 히데오와 천리교단이 법정공방을 벌일 적에, 천리교 본부의 일부 인사가 법정에서 "천리교는 야시마를 이단이라고 보지 않는다." 하고 증언하기도 하였다. 물론 똑같은 법정에서 이단이라고 주장한 사람도 있으므로, 교단 내부에서도 야시마를 어떻게 보아야 할지 혼란이 있었던 모양이다. 물론 지금은 야시마는 이단이라는 결론으로 정리되었다.

대한천리교가 토착화 작업을 하면서 이치노모토 분서 사적보존회의 자료를 많이 참고하였고, 2001년에 독립한 천리교 토요후미 교회 역시 감로대 근행하는 법을 야시마에게서 배웠다. 대한천리교 교단도 복원 문제나 야시마 교학에 직접적으로 영향받아, 토착화를 시도하는 이론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대한천리교에서 신각 대신 감로대를 사용함도 야시마 교학을 근거로 하였다.

세계대전 이후, 천리교단은 정말로 종교의 자유를 얻었지만 현대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조금씩 교세가 위축되는 중이다. 아래 '교회조직' 항목 참고.

4.4. 입교의 날

나카야마 미키의 생애는 천리교 신자들에겐 고본 교조전을 통해 널리 알려졌다. 하지만 고본 교조전이 미키의 삶을 사실대로 서술했는지는 의문의 여지가 있다.

고본 교조전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집안에 우환이 뒤따르자 슈겐자를 불러 1838년 음력 10월 24일부터 의례를 거행하기로 하였다. 그리고 24일, 미키가 무녀 대신 신대를 붙잡고 기도하다가 스스로를 진실의 신이라 주장하는 신격이 내려와 26일 오전 8시까지 음식도 먹지 않고 버티므로, 어쩔 수 없이 젠베에가 미키를 신령의 사당으로 삼겠다는 것에 동의했다고 한다.

하지만 교단의 다른 초기기록에는 이야기가 상당히 다르다. 미키가 1881년에 나라 경찰서에 제출했던 수속서(手續書)에 따르면 그 때의 장면은 이러하다.
24일 밤에 가슴이 타는 듯한 느낌을 받았다. 이튿날 25일 아침에 눈을 뜨니, 머리맡에 작을 칼을 든 사람이 있었고, 또다른 사람은 신대를 가지고 있었다. 집안 사람들은 미키가 마치 여우나 너구리의 영이 들린 것으로 생각하고 이런저런 기도를 하고 있었다.

그날 밤 하늘 위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렸다. 큰 바위에 눌린 듯한 느낌이 나고 이상한 목소리로 이상한 것이 다가와 "나는 쿠니노토코타치(国之常立命)[64]이다."라고 하였다. 그 뒤에도 몸은 가볍게 되지 않고 신령들이 바꾸어가며 들어와 차례대로 열 분이 왔다.

이 열 분 신령님을 전륜왕(轉輪王)이라고 한다.

고본 교조전이 묘사하는 바와 사실관계가 다르다. 이에 따르면 미키는 24일 밤에 신내림 증상을 보여 기억을 잃었고, 그래서 25일에 미키가 정신을 차렸을 때에는 이미 가족들이 미키에게 들린 잡령을 내쫓는다고 주술행위를 하고 있었다. 또한 25일 밤에 미키에게 신령들이 다가와 자기를 소개하며 미키에게 말을 걸었다.

1885년에 미키가 한 말을 받아 적었다고 하는 신빙략기(神憑略記)에서는 상황묘사가 또 다르다.
내(미키) 나이 41살 되던 해 10월 24일에 처음 스스로 신대를 잡고 기원을 했다. 3일 동안 밤낮으로 꿈과 같이 지내는데, 무슨 소리카 크게 나더니 코신신(荒振神)께서 내려오셨다. 여쭈어보니 나의 신은 하늘의 장군님이라고 하셨다. 이번에는 이 사람의 몸을 신령의 사당으로 삼고 싶다. 나는 '구니노토코타치'라고 하는 신이다. 다음에 또 오겠다고 하시며 올라가셨다.

잠시 있으니 또 말씀이 내렸다. 정말 무서운 기세인데 삼가 여쭈어보니 오모타리(面足命)이라고 하셨다. 내 모습을 보이면 무서운 신이다. 머리가 열둘 있는 뱀의 형상이라고 하셨다. 이제 이 집터와 어버이, 자식을 모두 신령의 사당으로 삼기 위해 하늘에서 내려왔다고 하셨다.

너무나 무서워서 코신신 님, 물러가주십시오 하였더니 크게 노하여, 이 집터와 어버이 자식을 받는다면 삼천세계를 도와주겠으나, 그렇지 않는다면 이 집은 대가 끊어질 것이라고 하셨다. 이 말을 듣고 어쩔 수 없다고 남편 젠베에도 바치겠노라고 말하였다.

그러자 "인간에게는 신의 이름을 주지 않기 때문에, 이 집터의 지명에 천리왕(天理王命 텐리오노미코토)이라는 이름을 주겠다. 이 집터에서 최초의 인간세계를 시작한 인연이 있어 하늘에서 내려왔다. 미키의 마음이 천리에 맞기 때문에 텐리오라는 이름을 부여했다. 원래 미키의 영혼은 어버이 이자나미의 혼령이다." 하고 말씀하셨다.

신빙략기 내용은 수속서보다는 고본 교조전에 가깝기는 하지만, 그래도 차이가 있다. 특히 훗날 교단에서 유일신의 이름으로 정립한 천리왕이라는 신명이 여기서는 그저 집터를 신격화하여 붙인 이름이라고 하므로 주목할 만하다.

신빙략기나 수속서에서 얼른 드러나지 않지만, 이른바 미키에게 신령들이 한 말은 전부 미키가 트랜스 상태에 빠진 채 미키의 입으로 나온 말일 가능성이 크다.

교조전과 수속서, 신빙략기가 하는 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천리교에서 말하는 입교(立敎)의 날, 천리교식 표현으로는 '이 길의 으뜸하루'라고 부르는 그 날에 정확히 무슨 일이 있었는지 파악하기는 어렵다. 교조전의 기록을 그냥 믿기에는 수속서나 신빙략기의 내용이 매우 걸린다.

다만 1838년 (음)10월 24일을 전후하여 어떤 일이 있어서 의례를 행하기로 했다는 점, 그 즈음에 미키가 육체적/정신적으로 힘든 상황에 처했다는 점, 그리고 미키에게 신령 10위가 차례대로 나타나 말을 걸었고, 결국 남편이 26일에 미키를 신령의 사당으로 인정했다는 점까지는 믿을 수 있을 것이다.

미키가 신내림을 처음 겪기 전에 사람의 일을 자꾸 잊어버리는 건망증 증세가 나타났고, 때때로 기절하는 등의 증상을 보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학자 임태홍은 <<다중인격의 측면에서 본 나카야마 미키의 신비체험>>(2004, 종교연구 37)이라는 논문에서 미키의 신내림 체험이 다중인격의 증상일 가능성을 검토하기도 하였다.

(이 항목에서 수속서와 신빙략기의 내용 번역은 임태홍이 논문에 올려놓은 번역을 요약하여 2차 인용하였다.)

5. 교단의 지도자

5.1. 신바시라

천리교단은 교주라는 낱말을 사용하지는 않으나, 신바시라가 천리교의 교주이며 교단 전체를 대표한다. 내부적으로 어떻게 돌아가는지는 모르겠으나, 적어도 교단 내규에 따르면 '교조의 혈통을 잇는 사람들 중 천리교 본부 회의에서 인가한 사람'이 승계한다. 원래 신바시라(真柱)라는 말은 목탑을 받치는 중심기둥[65]을 가리키는데, 이 단어를 '교단을 받치는 기둥, 중요한 인물'이란 뜻으로 비유하여 사용한 것이다. 한국인 신자들은 한자를 한국식으로 읽어 진주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규정하기로는 신바시라는 교조의 혈통을 잇는 사람들 중 고른다고 했으나, 실제로는 자손들 중에서도 초대 신바시라 신노스케 혈통의 장남이 대대로 세습하였다. 신노스케가 미키의 외손자인데 미키의 손녀인 타마에와 결혼하였으니, 미키의 자손들 중 신노스케의 자손이 가장 혈연적으로 가까움은 분명하다. 일본의 신종교단체들은 창교주의 후손이 교주직을 세습하는 경우가 흔한데, 천리교도 그러하다. 나카야마 집안의 가몬을 천리교의 상징으로 사용하는 것, 그리고 나카야마 집안의 남자가 대대로 신바시라를 세습하는 것은 천리교 내부에서 나카야마 집안의 위상이 어떠한지 보여준다.

혼세키가 있던 시절까지만 하더라도 천리교는 영적인 부분은 혼세키가, 행정적인 부분은 신바시라가 맡는 양대 지도체제였지만, 혼세키가 없는 지금은 신바시라가 양쪽을 다 맡는다. 신바시라가 신자들에게는 정말로 신(천리왕)이 그 안에 머무는 사람으로 숭배받지만, 교단 내적으로는 실권이 없다는 말들이 일본 웹사이트에 돌아다닌다. 실권은 신바시라 밑에 있는 고위간부들이 쥐었다고 한다.

나카야마 집안의 장남들은 대대로 이름에 젠(善)이라는 글자를 사용하는 관습이 있다. 예외는 훗날 개명했거나, 혹은 양자로 들어온 경우뿐이다. 미키의 장남 슈지도 초명은 젠에몬이었다. 그래서 역대 신바시라들도 외손자가 양자로 들어온 1대 신노스케, 조카가 양자로 들어온 (5대가 될) 다이스케를 제외하면 전부 이름에 젠(善)이라는 글자가 들어간다.

일제강점기 무렵에는 신바시라라는 호칭은 내부적으로만 사용하고, 대외적으로는 칸초(管長/관장)라는 호칭을 사용했다. 우리말 관장(館長)과 착각하기 쉽지만 한자가 다르다. 일본어 사전에 의하면 1872년에 일본 정부가 신토나 불교계 종교 지도자를 뜻하는 의미로 만든 낱말이라고 한다.

생몰란의 날짜는 양력.
향년은 만 나이
1대 나카야마 신노스케(中山眞之亮) 생몰: 1866.06.19-1914.12.31 (만 48세) 재임: 1882-1914
미키의 외손자. 미키의 3녀 하루가 카지모토(梶本)가에 시집 가서 낳은 3남. 천리교단에 따르면 미키는 신노스케가 태어나기 전부터 신노스케를 신바시라로 낙점하고 기다렸다고 한다.

하루가 처음 장남을 낳자 미키는 "(미키 본인의) 친정 아버지께서 환생하셨다." 하고 말하며 입양하기를 원했지만, 카지모토 집안은 "어떻게 장남을 입양 보낸단 말이냐?" 하면서 반대하였다. 이후 장남이 유아사망하고 사망하고 하루가 2남, 3남을 낳자, 미키는 3남이 역시 친정 아버지의 환생이라고 말하며 입양하길 원하였으므로 그렇게 하였다. 천리교의 해석에 따르면 집안의 대를 이을 아들을 입적하면 카지모토 집안에서 타격이 크므로, 장남이 죽고 그 영혼이 3남으로 환생하여 입양된 것이라고 한다.

1868년에 나라현에서는 이름에 亮나 衛門란 글자를 쓰지 못하도록 포고하여 집안에서 이름을 신지로(新治郎)라고 개명하여 호적에 올렸고, 공적인 서류에는 평생 신지로라는 이름을 사용하였으나, 그 이외에는 초명인 신노스케를 사용하였다.

1880년, 신노스케가 열다섯 살 나이로 나카야마 집안에 들어왔다. 이듬해(1881)에 나카야마 집안의 호주(이자 미키의 장님인) 슈지가 사망하자 나카야마 집안으로 입적, 82년에 신노스케가 호주가 되었다. 천리교에서는 신노스케가 호주가 되면서 신바시라가 되었다고 본다. 1891년, 외사촌 동생 나카야마 타마에와 결혼하였다. 타마에는 신노스케의 외삼촌이며 미키의 외아들인 슈지의 딸로, 신노스케보다 열한 살이 어렸다. 이부리 이조가 혼세키가 되는데 동의하여, 이부리 이조가 살아있는 동안 천리교는 양대지도체제가 되었다.

교단의 행정은 신노스케가 책임지었으므로 교단 합법화도 신노스케가 중심이 되어 추진하였다. 정부가 지속적으로 천리교를 탄압하자, 합법종교로 승인받아야만 한다는 위기감을 느꼈다. 일본 정부는 명백히 승인을 거부하는 등 천리교가 탄압받지 않게 하려고 슈지와 마찬가지로 교단 합법화 운동을 주도하였다. 정부의 정책에 모나지 않게 천리교의 의례를 바꾸는 등 노력을 기울여 1909년에 비로소 정부 차원으로 천리교를 공인받았다. 천리교 교전(敎典)을 정립하고 1909년에 (오늘날의) 천리 고등학교를 개교하였다. 1911년부터 건강이 나빠지다가 1914년 연말에 사망하였다.
2대 나카야마 쇼젠(中山正善) 생몰: 1905.04.23-1967.11.14 (만 62세) 재임: 1915-1967
신노스케의 장남. 도쿄대학을 졸업한 인재였다. 천리교단은 미키의 장남 슈지가 쇼젠으로 환생했다고 말한다. 1914년 12월, 아버지 신노스케가 사망하자 이듬해 1월에 10살 나이에 신바시라가 되었다. 물론 중학교도 안 들어간 열 살짜리 아이가 제대로 일할 수 있을 리가 없으므로 한동안 고모부 야마자와 타메조(山澤為造 1857-1936)[66]가 1925년 4월까지 섭정(?) 비슷하게 있었다.

그런데 야마자와는 일본의 군국주의에 찬성하는 사람으로 "천황과 천황의 선조들은 신이며, 우리들 백성들과는 영혼이 다르다." 하고 말할 정도였다. 이 시기 천리교는 국가에 영합하여 군국주의에 협조하여 세를 불렸고, 쇼젠이 성장하여 더 이상 야마자와의 그늘 밑에 있지 않아도 될 나이가 되어서도 이러한 성향은 바뀌지 않았다. 천리교 신자들 중에는 이 시기 천리교가 군국주의에 협력한 역사를 두고 야마자와에게 책임을 돌리는 사람도 있지만, 쇼젠이 어른이 되고서도 별로 바뀌지 않았음을 보면 그냥 천리교 전반에 걸쳐 협력적이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1918년, 2대 혼세키 우에다 나라이토가 미쳤다는 소문이 돌아 혼세키로서의 권위가 결정적으로 손상되었다. 우에다에 대한 모함이 실은 쇼젠의 어머니 타마에나 후견인들이 꾸민 짓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교단의 종교적 권위를 나카야마 집안으로 집중시키고자 혼세키를 유명무실하게 만들어 끝내는 없애버렸다는 것이다. 물론 교단은 인정하지 않는다.

패전 이후 교단이 국가의 통제를 벗어나자 국가의 정책으로 변형했던 의례를 되돌리는 등 천리교 역사에 획을 그었다. 쇼젠이 한 일련의 복구작업을 '복원'이라고 부른다. 이 시기에 쇼젠은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동원하여 미키의 행적과 의례를 검토하고, 이 내용을 '복원'이라고 이름지어 차례대로 여러 권 문서로 출간하였다. 하지만 이때 발표된 복원은 현재의 천리교단이 미키의 뜻을 왜곡했다고 하여 분파가 생기는 이론적 근거도 되었다.

쇼젠은 도쿄대학 물을 먹은 인텔리로서 천리교를 학문적으로 발전시키려고 논문을 발표하기도 하였다. 그 외에도 스포츠 등에 관심이 많아, 천리교단의 자금으로 스포츠 선수를 육성하는 등 사회사업을 하고, 텐리시에 천리교 도서관을 세웠으며 천리교학의 체계를 잡았다. 실질적으로 세계대전 이후 종교법인 천리교의 틀을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역대 신바시라들 중에서는 가장 뛰어난 인물이라는 평을 듣는다.
3대 나카야마 젠에(中山善衞) 생몰: 1932.07.07-2014.06.24 (만 81세) 재임: 1967-1998
쇼젠의 장남. 1967년에 아버지 쇼젠이 갑작스럽게 사망하자 그날로 신바시라가 되었다. 아들 세 명이 있었지만 장남 젠지만 남기고 다른 아들들은 양자로 내보냈다. 두 차례 심장 대수술을 받은 적이 있다. 그 때문인지 1998년 4월 26일, 장남에게 직위를 물려주고 말년을 보내다가 사망하였다.
4대 나카야마 젠지(中山善司) 생몰: 1959.01.16-(현재) 재임: 1998-(현재)
젠에의 장남. 1998년 4월, 아버지 젠에가 직위를 물려주어 신바시라로 취임하였다. 자식이 없어서 조카를 양자로 들였다.
5대 예정자 나카야마 다이스케(中山大亮) 생몰: 1991.01.23-(현재) 재임: 없음
젠지의 친조카이자 양자. 칸사이 대학 졸업. 원래는 젠지의 동생 나카타 젠스케(中田善亮)의 장남이다. 친아버지 젠스케의 성이 나카야마(中山)가 아닌데, 다른 집안에 양자로 들어갔기 때문이다. 젠지가 2013년 4월 4일, 교조전에서 조카 다이스케를 양자로 입적했고, 천리교단은 동년 10월 24일, 다이스케를 차기 신바시라 예정자로 정하였다. 2017년 9월 1일, 다이스케가 2살 연상인 카미카와 노부에(上川布恵)와 결혼하자, 천리교 본부와 텐리시 일대에서 화려한 축하행사를 하였다.

친아버지 젠스케도 2015년 3월에 천리교의 행정/내무부 장관쯤 되는 표통령(表統領)으로 임명되는 등 족벌경영의 모습을 보인다. 물론 이러한 족벌경영은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라 천리교 초창기부터 이어진 것이다.

2023년 현재 자녀는 마사에(2018년생)와 시즈쿠(2020년생) 두 딸이 있다.

5.2. 혼세키

혼세키(本席)는 교조 나카야마 미키 사후로 미키의 대리인으로서 천리왕이 내리는 계시를 받는 인물을 가리키지만, 실제로는 이부리 이조 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한다. 한국인 신자들은 한자를 한국식으로 읽어 본석이라고 부른다. 천리교는 이부리 이조 이후로 더 이상 천리왕으로부터 계시를 받는 사람은 없다고 말한다.

생몰란 날짜 표기는 양력
향년은 만 나이
1대 이부리 이조(飯降伊蔵) 생몰: 1834.02.06[67]-1907.06.09 (만 72세) 재임: 1887-1907
촌장 집안에서 태어났지만 무고에 걸려 아버지가 자리에서 쫓겨났다. 14살에 고향 마을에서 목수가 되었고, 22살에 (현재의) 텐리시로 독립하였다. 이후 평생 세 번 결혼했다. 첫 아내는 몸이 약해 요절하고 아이도 유아사망하였다. 두 번째 아내는 도박을 좋아해 파경하였으며, 세 번째 아내 이부리 오사토(1834-1893)를 맞이하여 평생 같이 살았다. 1864년에 세 번째 아내가 아이를 낳은 뒤 건강이 나빠져 나카야마 미키를 찾아갔다가 추종자가 되었다. 본업이 목수였던 만큼, 미키의 명령으로 건물을 짓거나 혹은 뭔가를 만들 일이 있으면 이부리가 중심이 되어 맡았다. 1881년에는 이조를 제외한 가족들이 나카야마 집으로 이사했고, 82년에는 이부리 이조가 본래의 자기 집을 처분하고 나카야마 집에 들어갔다. 자기만이 아니라 온가족을 나카야마 집안에, 혹은 천리교에 바친 셈이다. 미키가 사망하기 전에도 미키가 경찰에 불려간다거나 하면 때때로 신들림되어 말하곤 했다고 한다.

1887년에 미키가 사망하자 공식적으로 혼세키(本席)가 되어 미키의 대리자로서 신들림되어 계시를 받아 가르침을 전했다. 이 시기 천리교는 신바시라 / 혼세키의 양대지도체제였다. 신바시라가 교단의 행정적인 업무를 담당한다면, 혼세키는 신의 말씀을 받아 전하는 영적인 업무(?)를 맡았다. 신전을 건축/증축할 것인가 하는 문제도 혼세키를 통해 신령의 뜻을 물어 결정하였다.

교조 나카야마 미키의 본디 수명이 115살인데, 신자들을 돌보고자 일부러 25년을 줄여서 90살에 사망했다는 교리도 이부리 이조가 미키 사후에 천리왕의 신탁을 받아 전했다고 한다. 미키만큼은 아니어도 이부리 이조도 혼세키로서 천리교 교리 정립에 큰 영향을 끼쳤다.

천리교 신자들이 '지도말씀'이라고 부르는 경전에는 교조 미키가 한 말뿐만 아니라 이부리 이조가 천리왕의 계시를 받아 전했다는 말들 또한 함께 정리가 되어 전한다. 1907년 6월 6일, 우에다 나라이토라는 여신도에게 혼세키 직을 넘기고 사흘 뒤 사망했다.

손자 이부리 마사히코(飯降政彦 1942-)가 1998년부터 2009년까지 천리교 표통령을 역임하는 등, 이부리 이조의 자손들은 여전히 천리교 내부에서 위치가 높은 듯하다.
2대 우에다 나라이토(上田ナライト)[68] 생몰: 1863.04.10-1937.01.12 (만 73세) 재임: 1907-1918(?)
1863년에 오늘날 텐리시 소노하라정(園原町)에서 아버지 우에다 가지로(上田嘉二郎)의 장녀로 태어났다. 천리교단의 기록에 따르면 1876년, 열네 살이던 해에 나라이토는 갑자기 "후루에 있는 이와가미 신(神)이 산발하고 내려왔어요. 무서워요." 하면서 신병과 비슷한 증상을 보였다고 한다. 아버지는 딸을 치료하려고 애썼으나 백약이 무효였다. 그러다가 이웃을 통해 천리교 신앙을 접한 뒤 증상이 조금 가라앉자 딸을 데리고 미키를 찾아갔다. 미키는 나라이토를 보고 "기다렸다, 기다렸다. 너는 5대 전 전생에서 내 목숨을 구해준 숙모였노라." 하고 말하였으며, 나라이토는 3일 뒤에 병이 나았다고 한다.

이부리 이조가 죽기 전에 이른바 '100일 지도말씀'이라고 하면서 가르침을 남겼다고 하는데, 실은 100일 지도말씀도 1880년대 후반부터 대략 4년간에 걸쳐 나라이토가 한 것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이부리 이조 사후로 나라이토와 나카야마 집안 사람들 사이에서 교단의 주도권을 놓고 상당한 갈등이 있었던 듯 보인다. 천리교단이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가장 큰 요인은 병 치유였고, 따라서 용재들이 병을 치유하는 수훈을 남에게 줄 수 있도록 허락하는 권한(수훈의 리理)이 매우 중요했다. 원래는 미키가 이 권한을 지녔으나 미키 사후로는 이부리 이조가 지녔고, 이부리가 혼세키 자리를 나라이토에게 넘기자 수훈의 리 역시 나라이토에게 넘어갔다. 하지만 나카야마 집안 사람들, 특히 타마에가 이를 못마땅하게 여겼다.

1918년 3월, 갑자기 나라이토가 그 누구에게도 수훈의 권한을 허락하지 않겠다고 선언하자 교단 내에서 난리가 났다. 당시 수양과 교육을 수료할 시기가 가까웠다. 교육을 수료하면 수훈의 권한을 내려주어야 하는데, 나라이토가 누구에게도 허락해주지 않겠다고 하니 내부에서는 더욱 당혹스러워했다. 교단에서는 나라이토가 중병이 들어 활동을 할 수 없다고 발표하고 상층부가 서로 모여 상의하다가, 결국 타마에(당시 신바시라 쇼젠의 어머니)에게 수훈의 리를 맡기기로 결정했다.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으나 나라이토를 유폐하고 권한을 넘기도록 압력을 가했다고 한다. 결국 7월부터 나카야마 타마에가 수훈의 리를 넘겨받기로 확정되었다. 타마에는 일본 내 천리교회를 이곳 저곳 돌아다니며 수훈의 리가 자신에게 있음을 대외적으로 보여주었다.

이후 나라이토는 사실상 유폐되어 살았는데, 미쳤다는 소문까지 돌아 더욱 권위가 손상되었다. 나라이토는 1937년 1월에, 타마에는 이듬해(1938) 6월에 사망하였다. 타마에는 죽는 그날까지 수훈의 리를 놓지 않았고, 타마에 사후에는 아들 쇼젠이 받았다. 그 이후로 신바시라에게 수훈의 리가 있다.

현 천리교단은 우에다 나라이토가 2대 혼세키라고 인정하지 않고, 나카야마 미키를 제외하면, 오직 이부리 이조만이 천리왕의 신탁을 받아 전했다고 가르친다.[69] 이후 천리교에서는 영매, 혹은 신탁자라고 할 수 있는 혼세키가 사라지고 신바시라만이 남았다. 천리교단의 역사왜곡이 의심되는 부분.

6. 경전

천리교의 경전은 나카야마 미키가 직접 쓴 친필(親筆)과 신악가(神楽歌), 그리고 신자들이 미키와 이부리 이조가 계시를 받아 구두(口頭)로 가르친 내용을 모아서 정리한 '지도말씀'이 있다.

친필을 일본에서는 오후데사키(御筆先)라고 부른다. 오후데사키란 원래 붓 끝, 혹은 서예 솜씨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천리교에서는 의미를 다르게 사용했다. 미키가 친필을 1869년부터 와카로 썼는데 총 1710여 수이다. 미키 본인의 말을 빌리면, 친필의 와카를 쓰는 동안 신이 들려 자기도 모르게 글을 쓰되, 자기가 깨어나 와카를 읽고는 뜻을 모르는 부분이 있으면 신령에게 물어봐서 내용을 보충하기도 했다고 한다. 미키는 친필을 한자 없이 히라가나로 썼는데, 천리교는 모든 사람이 쉽게 오후데사키를 읽을 수 있게 하려고 그렇게 썼다고 말한다. 미키가 쓴 원본이 현존한다.

한 가지 재미난 점은 오모토의 교조 데구치 나오도 1893년부터 신들림하여 글을 썼는데 이를 똑같이 '오후데사키'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게다가 데구치 나오 역시 오직 히라가나로만 글을 썼다. 차이점은 나오는 자기 의식을 잃지 않고 다만 손이 멋대로 움직여 썼다는 점, 그리고 와카가 아니라 산문 형식으로 썼다는 점이다. 오모토의 성사인 오니사부로는 이런 공통점을 의식하여 자기 스스로 두 사람을 비교, 분석하는 글을 쓰기도 하였다. 종교학계에서도 천리교와 오모토는 이러한 공통점 때문에 꽤 많이 비교한다.

신악가는 일본에서는 미카구라우타(神楽歌)[70]라고 부르는데, 미키가 1866년부터 의례 중에 부를 노래의 가사를 적은 것이다. 천리교도에게는 노래이자 기도문이다. 미키가 쓴 원본은 훗날 경찰에게 압수되어 망실되었으며, 현전하는 신악가 본문은 교단이 복원한 것이다. 종교법인 천리교와 갈라진 단체들은 신악가의 복원된 구절 일부에 이의를 제기하기도 한다.

신악가에는 미키의 종교적 관심사가 주로 어디에 있었는지 상당히 직접적으로 드러난다. 신악가의 전체 분량은 많지 않으나, 그중 여러 번 질병을 낫게 하겠다는 구절이 있다. 천리교에서 질병치유를 중시함은 미키 때부터 나타난 경향이다. 신악가는 질병이 생기는 근본이 마음이라고 노래하는데, 미키는 근대의학을 거부하였다. 근대 일본에서 나이든 사람들이 근대의학을 거부함은 흔한 일이었던 듯, 오모토 개조 데구치 나오도 근대의학을 거부하고 아이들에게 예방접종을 맞히지 않으려 했다고 한다.

신악가에는 질병치유 말고도, 천리교의 영험으로 풍년이 되리란 구절도 들어간다. 미키 본인이 농촌사회 지역유지의 주부였으니 어찌 보면 지극히 당연한 관심사일 것이다. 그 외에도 인근 사람들이 무시하지만 참고 견디라는 구절도 은근히 보이는데, 미키 시절의 핍박이 반영된 구절일 것이다. 의외로 있을 듯한데 없는 구절이 아기 낳음에 관한 것이다. 미키가 본인이 주변에서 유명해지는 계기가 된 것이 순산하게 해주는 힘이 있다는 소문이고, 당시 일본 사회에서 아들 낳기가 중요한 문제인데도 의외로 신악가에는 이에 대한 구절이 없다.

친필과 신악가는 교조 미키가 쓰던 야마토(오늘날 나라현 지방) 방언으로 쓰였기 때문에, 일본의 천리교 안티들은 "천리왕님이 야마토 출신이신가 보지." 하며 비웃는다.

지도말씀을 일본에서는 오사시즈(御指図)라고 부르는데, 미키와 이부리 이조가 다른 신자들에게 받은 질문에 답한 내용, 혹은 신탁을 받아 가르친 내용을 정리한 모음집이다. 친필이나 신악가와는 달리 미키(혹은 이부리 이조)가 아니라 신자들이 정리한 것이다.

7. 교리

천리교는 천리왕을 유일신으로 모시되, 나카야마 미키를 그보다 격이 낮은 신적 대상으로 모신다. 천리왕을 어버이신, 미키를 어버이님이라고 부르면서 신자들을 자식이라고 말하며, 종교적 가족제를 매우 강조한다.

천리교에서 말하는 인간이 창조될 무렵의 이야기는 '으뜸인 리(理)'라고 부르는데 아래와 같다.
나카야마 미키가 첫 신내림을 받기 9억 9만 9999년 전, 지금의 천리교 터전(천리교 본부 신전) 자리에서 월일(月日)[71]이 사람들이 즐겁게 하는 모습을 보고 싶어서 인류를 창조했다고 믿는다. 그 때에 세상은 온통 진흙 바다였고 미꾸라지들이 진흙 속을 돌아다녔는데, 그중에 인어(이자나기)와 흰 뱀(이자나미)이 있었다. 월일(천리왕)은 이들을 부부의 본으로 삼으려고 둘을 불러들여, 처음에 낳을 자녀들 숫자와 같은 해(年)가 지나면 신으로 예배받게 해주겠다고 약속하였다.

북서쪽에서 범고래, 남동쪽에서 거북이, 서쪽에서 검은 , 동쪽에서 장어, 남서쪽에서 가자미, 북동쪽에서 복어[72]를 불러들여 일일이 먹어보며 그네들의 마음씨를 살펴본 뒤 인류창조의 도구로 삼았다.

이후 천리왕은 진흙바다에 사는 모든 미꾸라지를 먹어 인간의 씨앗으로 삼았다. 달은 이자나기(인어) 몸 안에 들고, 해는 이자나미(흰 뱀) 몸 안에 들어 자식들 9억 9만 9999명을 잉태했다. 이자나미는 3년 3개월 동안 그 자리(터전)에 머물면서 75일에 걸쳐 자식들을 모두 낳았다.

처음 자식들이 태어났을 때에는 길이가 5푼에 불과했으나, 99년이 지나자 조금 더 커진 뒤에 죽어 다시 환생하였고, 이자나기도 이때 같이 은신(몸을 숨김)하였다. 이렇게 99년 주기로 죽고 환생하기를 세 번 거듭하며 4치까지 성장하자, 이자나미(흰 뱀) 역시 "이만큼 성장했으니 언젠가는 5척 사람이 될 것이다." 하면서 은신하였고, 자식들도 죽었다.

그 뒤 이자나미의 자식들이 8008번 환생을 거듭하며 벌레, 새, 짐승이 되었고 마지막에는 암원숭이 한 마리가 남았으니 쿠니노사쓰치 신(国狭槌尊)이다.[73] 원숭이의 태중에서 남녀 5쌍이 태어났다.

처음 태어났을 때에는 모두들 키가 5푼에 불과했지만 나날이 조금씩 성장하였다. 8치가 되었을 때 물과 흙, 높고 낲은 곳이 생겼다. 1척 8치가 되었을 때 바다와 산이 나뉘었다. 이때까지는 한 배에 열 명씩 태어났고, 3척까지는 한 배에 남녀 한 쌍씩 태어났다. 3척이 되었을 때부터 한 배에 한 사람씩 태어나고 말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래서 사람들이 3살이 되어야 말을 하고 지혜도 생기는 것이다.) 이때부터 음식을 찾아 먹게 되었는데, 가라나 천축에까지도 갔다. 사람은 5척이 될 때까지 물 속에서 살았다. 그리고 5척이 되자 하늘과 땅이 모두 생겨 사람이 뭍에서 살게 되었다. 그리고 인간은 터전에서 벗어나 이주하여 다른 곳에서도 살게 되었다.

이렇게 9억 9만 년간은 진흙바다에서 살고, 6천 년간은 천리왕이 인간에게 지혜를 전했으며, 3999년간 문자를 가르쳤다. 그래서 총 걸린 시간은 9억 9만 9999년이며, 연수를 다 채우던 해에 나카야마 미키에게 천리왕이 내려 천리교를 입교(立敎)하였다.[74][75]

'으뜸인 리'를 과거에는 니해고기(泥海古記 진흙바다의 옛 기록)라고 불렀다 한다. 아래에서 이야기할 야시마 히데오는 '으뜸인 리'가 교조 미키 본연의 가르침이 아니라 국가신토를 강요받던 시대에 만들어진 거짓 교리라고 주장하였다.

천리교단은 흰 뱀(이자나미)의 영혼이 교조 나카야마 미키로, 인어(이자나기)의 영혼이 미키의 남편 나카야마 젠베에로 태어났다고 설명한다. 한국 천리교는 흰 뱀-이자나미를 여자추형묘상의 리(女子雛型苗床의 理), 인어-이자나기를 남자추형종자의 리(男子雛型種子의 理)[76]라고 (천리교의 교학적 용어를 사용하여) 매우 어렵게 표현하지만, 일본 천리교도들은 그냥 이자나미이자나기라고 간단하게 말한다.

천리교는 위 이야기에 나오는, 인류 창조시에 협력한 물고기들에게 각각 신토에서 말하는 신들의 이름을 사용한다. 해와 달, 이자나기와 이자나미, 그리고 범고래부터 복어까지 여섯 어류들까지 전부 10위 신들의 이름으로 표현하며, 특히 고사기에서 말하는 태초에 나온 신세7대(神世七代)에 속한 신들의 이름 중 일곱 개가 포함됐다.

천리교단은 으뜸인 리에서 신령 10위가 인류창조에 관여한 것을 십전의 수호(十全の守護)라고 부른다. 유일신 천리왕이 인간을 수호하는 열 가지 섭리를 각각 신토 신들의 이름을 빌려 설명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일본인들에게도 그 역할이 쉽게 이해되는 신명이 아니므로 종교학자들은 천리교가 아직 천리왕 유일신 교리를 확립하기 이전, 다신교 시절의 흔적으로 본다. 특히 북쪽에 서는 쿠니노토코타치는 오모토에서도 중요하게 여기는 신명이다.

천리교 본부 신전에서만 행하는 감로대 근행(신악근행)에서도 십전의 수호를 의례적으로 표현하는데, 이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한국의 천리교에서는 십전의 수호에서 일본 신들의 이름과 연결되는 부분을 전혀 이야기하지 않고 그저 'XXXX의 리[理]'라고 교학적 용어로만 이야기한다. 신들의 이름이 너무 노골적으로 일본식이라 이를 피하려는 것일 가능성이 높다.)
방위이름동물비고
쿠니노토코타치(国常立尊)큰 용/사자신세7대. 감로대 근행에서 사자로 표현함.[77]
북동타이쇼쿠텐(大食天尊) 복어
쿠모요미(雲読尊) 장어
남동쿠니노사쓰치(国狭槌尊) 거북이 신세7대. 동일 이야기에서 암원숭이 이름으로도 등장
오모타리(面足尊)[78]큰 뱀/사자신세7대. 감로대 근행에서 사자로 표현함.[79]
남서카시코네(惶根尊) 가자미 신세7대
오호토노베(大戸辺尊) 검은 뱀 신세7대
북서쓰키요미(月読尊)[80] 범고래
중앙의 북이자나미(伊耶那美) 흰 뱀 신세7대. 감로대 근행에서는 가장 동쪽에 서서 이자나기를 본다.
중앙의 남이자나기(伊耶那岐) 인어 신세7대. 감로대 근행에서는 가장 동쪽에 서서 이자나미를 본다.
파일:external/tenri.mireene.com/haichi_e.jpg
영어로 된 감로대 근행의 배치 설명도. 사진에서 점선은 서로를 실로 연결함을 뜻한다.

천리교는 천리왕(天理王), 일본어로는 텐리오노미코토(天理王命)라고 부르는 신이 사람들이 즐겁게 사는 광경을 보고 싶어서 오늘날 일본 나라현 텐리시 천리교 본부의 감로대가 있는 자리에서 인류를 창조했다고 믿으며, 천리왕을 어버이신님(오야가미사마)이라고 부른다. 천리교는 천리왕을 죄와 벌을 주는 신이 아니라, 즐거운 삶을 누리도록 보살펴 주는 신이라고 가르친다. 그래서 질병이나 재난 없이 즐겁게 사는 것이 바로 신이 의도한 이상세계의 실현이며, “천국이나 극락은 죽어서가 아니라 이 세상에 있다.”라고 믿는다.

사람에게 병이 생기는 것은 천리왕에게 노여움을 샀기 때문이라고 본다. 병을 치유하는 수훈이 있지만, 먼저 자기 삶을 뉘우치고 돌아볼 것을 요구한다. 환생을 이야기 하기 때문에 이승에 덕을 쌓지 못한 사람은 후생에서 뭔가 안 좋은 상황에 처한다고 믿는다.

천리왕이 정해준 인간의 수명 또한 원래는 115세이며, 인간의 혼은 죽어서 저승으로 가지도 소멸하지도 아니하고 다시 환생한다고 주장한다. 다만 모든 사람이 죽자마자 바로 태어나지는 않고 사람에 따라 환생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다르다고 하며, 살아서 덕을 쌓은 사람은 행복한 인간으로 환생하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은 불행한 인간으로, 혹은 아예 짐승으로 태어난다고 믿는다. 올바르지 못한 마음씨를 티끌이라고 부르며, 덕을 쌓고 수양함으로써 마음의 티끌을 없애야 비로소 천리왕의 진정한 도움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미키가 1887년에 90세에 사망했음이 그래서 문제가 되었다. 물론 90세도 충분히 장수한 것이다. 하지만 천리왕이 정한 인간의 본디 수명이 115세라고 가르쳤는데, '신령의 집'인 미키조차도 115세를 채우지 못했다면 과연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할까? 추종자들은 미키가 115세까지 살리라 당연히 믿었으므로 미키가 죽자 충격을 받았다. 그래서 이부리 이조가 신탁을 말하기를 미키가 신자들을 돌보고자 일부러 수명을 25년 줄여 은신(사망)했다고 한 것이다.

사람이 태어날 때에는 천리왕에게 육신을 받고, 죽을 때에는 천리왕에게 육신을 돌려준다고 믿는다. 따라서 천리교의 교리에 따르면, 인간의 몸은 천리왕의 입장에서는 대물(貸物: 빌려준 물건)이며, 인간의 입장에서는 차물(借物: 빌려 쓰는 물건)이다. 그래서 죽음을 기존의 육신을 반납하고 새로운 환생을 준비하는 것이라고 여겨, '처음부터 다시 한다'라는 뜻인 데나오시(出直し)라고 부른다.[81]

천리교는 교조 나카야마 미키가 살던 집터, 오늘날 나라현 텐리시 천리교 본부 신전(神殿)이 있는 자리를 '지바'(地場)라고 부르며 종교적으로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상술했듯 미키가 처음 신들렸을 때에도 "이 집 터에 인연이 있어 내려왔다." 하였다. 천리왕이 바로 그 자리에서 인류를 창조했다고 믿기 때문이다. 여기에 대해서는 아래 '터전과 감로대' 항목을 볼 것.

나카야마 미키를 일본 천리교 신자들은 교조(敎祖)라고 쓰고 ‘오야사마’(어버이님)라고 부른다. 천리교의 설명에 따르면 만물을 창조한 어버이神 천리왕이 미키의 몸에 머물렀기 때문에 어버이님이고, 천리왕의 가르침으로 신자들을 보살폈고 지금도 보살피기 때문에 어버이님이며, 천리왕이 인류를 창조할 적에 미키의 영혼을 인류의 여성성, 모성의 모델(이자나미)로 삼았기 때문에 어버이님이라고 부른다고 한다. 다만 일본어로는 '오야가미사마'(어버이신님)와 '오야사마'(어버이님)가 소리로 꽤 구분이 되지만, 우리말로는 별로 구분이 안 되어서 그런지 한국인 신자들은 미키를 '교조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미키가 신들림을 겪은 뒤 말한 종교적인 주장들은 당시 일본 풍습대로 다신교적이었던 듯하다. 이 시기 미키의 기록을 보면 천리왕 이외에도 당시 일본 민속이나 불교, 신토에서 말하는 여러 다른 신들을 언급하며, 천리왕이란 명칭도 '토지에 붙인 신명'이라고 하는 등 지금의 천리교 측 설명과는 차이가 있다. 하지만 점차 천리왕이 유일한 신격이고 (미키가 언급했던) 다른 신들은 단지 천리왕을 가리키는 다른 호칭, 혹은 비유일 뿐이라고 해석하여, 천리왕 유일신교로 바뀌었다.

미키는 메이지 시기의 근대화를 나쁘게 생각했을 뿐만 아니라 反외세 감정이 있었다. 미키가 신들림하여 쓴 친필에서 미키는 "가라가 지금까지 일본을 멋대로 다루었다."라든가 "지금까지는 가라가 훌륭하다고 했지만 앞으로는 꺾일 뿐이야."라든가 하고 말하였다. 일본어로 가라는 본디 가야를 가리키는 말이었으나, 나중에는 중국 당나라, (일본 입장에서) 서양을 포함하여 외국을 가리키는 말로 변했다. 요컨데 미키는 "지금까지는 외국인들이 일본을 쥐락펴락 했다." 하고 말한 것이다. 미키가 생각한 세상 사람들은 일본인들이었다. 위로는 천황부터 아래로는 서민에 이르기까지 모두가 형제라고 하였으나, 대상은 일본인들만이었다. 당시 기준으로는 나름대로 혁명적이지만 그 한계 또한 명확했다.

콜레라가 돌 때에도 미키는 "세상은 그것을 콜레라라고 부르지만, 실은 신의 노여움."이라면서, 근대적인 의학에 거리를 두었다. 외래문화ㆍ외래지식을 거부하고 (미키가 이상적으로 생각한) 순수한 일본문화를 그리워하며, 천리왕이 이런 상황을 바꿀 것이라고 하였다. 다만 현대의 천리교단은 가라라는 말을 외국으로 해석하지 않고, '천리교의 가르침이 전해지지 않은 곳'이라고 우회적으로 해석한다.

7.1. 천리교 신명(神名)의 변화

지금은 천리교에서 받드는 신의 이름이 천리왕(天理王命)으로 고정됐지만 초기 교단에서는 여러가지 표기가 있었다.

天輪王命, 天龍王命, 天輪王明神, 転輪王命, 天倫王命, 天理大神, 天理王命

한자 표기를 어떻게 하든, 그리고 신명의 뒤에 붙이는 존칭어(命, 神 등)를 무시하고 신명의 발음만으로 말한다면 텐린오 / 텐리오로 좁혀진다. 예외적인 호칭으로 천룡왕(天龍王 텐류오)라는 사례가 있긴 하지만 무시할 수 있다.

신빙략기에서 천리왕을 나카야마 저택의 집터에 붙인 이름이라고 한 데서도 알 수 있듯, 처음부터 천리교의 신명이 천리왕인 것은 결코 아니었다.

천리교 외부의 학자들은 천리교의 초기 신명이 전륜왕(転輪王 텐린오)였다고 주장한다. 수속서에서 미키에게 모습을 드러난 신령 10위를 전륜왕이라고 한다는 서술이 있다.

그뿐 아니라 1865년 이마이 스케조가 미키와 대립한 뒤 갈려져서 천륜왕교회(天輪王敎会)라는 종교를 세웠다. 1867년에는 이마이 스케조의 동생이 전륜왕교회(転輪王敎会)를 세웠다. 1880년에는 슈지가 전륜왕강사(転輪王講社)를 세웠는데, 미키 추종자들이 슈지가 불교로 돌아왔다고 좋아했다고 하니, 추종자들의 종교적 성향이 신토보다는 불교에 더 가까웠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아마 미키가 내세운 본래의 신명이 전륜왕, 일본식 발음으로 텐린오였으리라 본다.

만약 미키가 전륜왕을 의도했다면, 미키의 종교적 의도를 약간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전륜왕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미키가 슈겐자 나카노 이치베에(中野市兵衛 1792-1870)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카노는 본디 슈겐자 중에서도 진언종 계열로, 미키에게 49일간 진언종의 가르침을 전하기도 하였다. 미키는 본디 정토종 신자였지만 나카노 때문에 진언종의 영향도 받았다.

전륜성왕수행경을 보면, 전륜성왕이 다스릴 때에는 백성들이 몇만 살까지, 아무런 고통도 없이 즐겁게 산다고 한다. 또한 전륜성왕은 미륵신앙과 연계되어, 전륜왕이 통치할 시기에 미륵이 나타난다고 한다. 혹은 아예 미륵이 직접 전륜성왕이 되어 나온다는 경전도 있다. 미키가 자기가 사는 시대를 말세의 혼란기라고 여겼다면[82] 전륜왕의 힘을 빌어 전쟁, 대기근으로 고통받는 민중들을 구하여 즐겁게 살 수 있기를 바랐다는 뜻이 된다.

혹은 미륵이나 이상적인 통치자로서의 전륜성왕이 아니라, 아미타불의 별칭인 전륜왕일 수도 있다. 아미타불이 부처가 되기 전에 한 서원들 중에 "내 불국토에 태어난 사람에게는 어떠한 괴로움도 없을 것이다." 하는 것이 있는데, 미키가 종교적 주장을 하면서 강조한 '즐거운 생활'과 흡사하다.

미키가 초기에 불교적 용어인 전륜왕을 신명으로 사용했다면, 천리교단의 초기 기도문은 '나무천리왕님'이 아니라 '나무전륜왕님'이 된다. 불교적 용어인 전륜왕에 나무(귀의한다)라는 말을 붙임은 자연스럽다.

야시마 히데오는 자기 어린 시절에는 천리왕이 열 분 신령님이라고 하더니, 패전 이후로는 갑자기 한 분이라고 말을 바꾸더라고 이야기하였다.

천리교단은 이러한 외부 학자들의 주장을 잘 알지만, 이러한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고, 처음부터 천리왕을 신명으로 사용하였다고 설명한다. 다만 천리교 초기 역사에서 발음이 비슷한 신명이 여럿 사용되었다는 사실은 교단도 인정한다.

7.2. 터전과 감로대

천리교 내부적으로는 터전, 집터, 본고장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많은 신자들이 3 단어를 서로 혼용하여 사용하지만 엄밀히는 구별된다.

터전은 천리교 교회본부 부지에 있는, 감로대가 안치된 신전(神殿)을 가리킨다. (신전 안에서도 감로대가 있는 자리를 진좌[眞座]라고 부르는데, 패전 이후 1934년에 2대 신바시라 쇼젠이 처음으로 사용한 낱말이다.) 한국인 신자들도 종종 터전을 일본어 표현을 그대로 받아들여 지바라고 부르곤 한다. 집터란 말은 원래는 나카야마 저택 부지를 가리켰지만 지금은 교회본부 부지를 뜻하며, 본고장이란 말은 집터와 그 바깥에 있는 천리교 제반시설이 있는 지역까지 가리킨다.

범위로 따지면 본고장 > 집터 > 터전.

천리교의 따르면 터전이야말로 인류의 고향이므로, 터전으로 귀참(순례)하는 것은 고향으로 돌아오는 것이다. 그래서 텐리시의 천리교 신자들은 터전귀참하러 오는 신자들에게 "어서 오십시오."가 아니라 "어서 돌아오십시오."라고 인삿말을 건넨다고 한다. 신자들 사이에서는 "터전/집터에 떨어진 껍질만 주워먹어도 병이 낫는다." 하는 말이 있다고 한다.

1875년, 미키는 나카야마 저택의 정원 한 자리를 지적하며, 그곳이 천리왕이 인류를 창조한 정확한 자리라고 말하고, 거기에 돌로 (1873년에 이부리에게 만들라고 했던 모형대로) 감로대(甘露台)라는 육각형 아령 비슷하게 생긴, 높이 2.5 m짜리 13단 구조물을 세우라고 추종자들에게 명령하였다. 하지만 석공은 도망하고 공권력이 탄압하여 1933년까지는 만들지 못하였다.

1933년에 오늘날 위치에 교조전을 세우고, 감로대 자리 북쪽에 북예배장을 세웠다. 34년에 감로대가 들어설 자리를 다듬고 나무로 감로대를 만들어 그 자리에 세웠다. 나카야마 미키는 돌로 감로대를 만들라고 하였는데, 당시의 신바시라 쇼젠은 그런 사실을 뻔히 알면서도 미키가 명령한 모양과 크기에 따라 감로대를 세우되 나무로 만들도록 하였다. 또한 남예배장도 이때 함께 만들었다.

1981, 84년에 서예배장과 동예배장을 각각 만들어, 지금의 신전 형태를 완성하였다. 신전은 동서남북 예배장을 통틀어 다다미 3157장이며, 건물의 재질은 내화재 등을 제외하면 대부분 편백나무이다. 법적으로 예배장의 토지소유권은 종교법인 천리교에 있지만, 감로대 자리의 소유권은 나카야마 집안에 있다고 한다.
파일:external/sakionetroka.up.seesaa.net/E69CA8E8A3BDE381AEE79498E99CB2E58FB0-1-1.gif
나무로 만든 감로대. 13조각을 합쳤음이 보인다. 높이는 일본 곡척으로 8척 2촌(약 248.5 cm), 밑단의 너비는 3척(약 91 cm)

신전과 교조전, 그리고 조령전은 회랑으로 연결되어 밖으로 나가지 않고도 오갈 수 있다. 신자들이 이 곳의 회랑을 청소하는 모습은 천리교 제작 동영상에서 흔히 나온다.

감로대를 중앙에 두고 ㅜ 자 형태로 신전(神殿)이 정남향으로 서 있다. 신전 내부는 동서남북으로 예배장을 두어 구획을 나누었다. 천리교단은 감로대 자리를 중심으로 한 변이 17 m, 깊이가 2 m쯤 되는 네모난 공간을 만들어 건물의 기반이 되는 대지 위에 감로대를 직접 세우고, 바닥에는 바닷가에서 가져온 조약돌을 깔았다. 또한 감로대로 드나들 수 있도록 사방에 계단을 두었다. 감로대가 지면 바로 위에 서 있으므로, 신전에 들어가도 가까이 다가가서 아래를 내려다보아야만 감로대를 제대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사람들이 함부로 감로대에 접촉하지 못하도록 경계를 설정하고 장애물을 두어,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을 제외하고) 천리교인이라도 넘지 못하게 한다. 또한 근처에 경비원을 두어 수상한 사람이 가까이 다가가면 제지한다고 한다.[83]

천리교단이 감로대 사진촬영을 막기 때문에 사진이 없다. 다만 감로대를 사람이 보고 그린 스케치가 있어 소개한다.
파일:external/en.tenrikyo-resource.com/Jiba-Kanrodai.jpg
손으로 스케치한 감로대 모습

미키가 신자들에게 명령한 대로라면 감로대를 돌로 만들고, 맨 위에 그릇을 하나 올려두어야 한다. 그러면 하늘에서 천리왕이 감로(甘露)[84]를 내려주는데, 이 감로를 마시는(먹는?) 모든 사람은 115세까지 무병장수한다고 한다.

감로를 받기 위해서는 감로대가 하늘과 통해야 한다. 아래 사진상으로는 잘 안 보이지만, 감로대 위쪽으로 지붕에 한 넓이로 네모난 구멍이 뚫려 하늘과 통하며, 비가 내리면 감로대는 빗방울을 맞는다. 처음에는 지붕 위 구멍에 창을 달아 비가 오면 닫는 방안도 고려했으나 결국 지금처럼 하기로 결정하였다.
파일:external/www.tenrikyo.or.jp/img02.jpg
교조전과 그 앞쪽에 있는 신전(神殿), 신전은 ㅜ자 형태로 각각 동/서/남/북 예배장으로 구분된다. 감로대는 신전의 가운데, 북예배장과 남예배장 사이에 있다. 위 사진상으로는 잘 안 보이지만, 감로대 위쪽으로 지붕에 네모난 구멍이 뚫려 있어 하늘과 통한다.

미키가 신자들에게 말한 바를 따른다면 감로대를 돌로 만들고 위에 그릇을 올려놓아야 한다. 하지만 2대 신바시라 쇼젠은 미키의 가르침대로라면 그리해야 하는 줄 알면서도, 미키가 말한 감로대의 형상과 크기는 그대로 따르되 나무로 감로대를 만들도록 하였다. 천리교에서는 지금 있는 감로대를 진짜가 아니라 모형으로 간주한다. 비가 내리면 감로대가 빗물을 맞기 때문에 대략 십여 년에 한 번씩 새 것으로 바꾼다.[85][86] 현 천리교단은 인류의 마음이 맑게 깨이는 날 돌로 감로대를 만들고 위에 그릇을 놓아 천리왕이 내리는 감로를 받으리라고 설명한다. 그런 날이 오긴 할까? 하지만 그렇다면 왜 미키가 생전에 돌로 감로대를 만들라고 요구했는지 설명이 되지 않는다.

천리교단의 변명에도 불구하고 외인들에게는 현 천리교단이 미키의 말을 무시하는 것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 이를 두고 일본의 천리교 안티들은 "쟤네들은 심지어 자기네 교조의 말도 대놓고 무시한다." 하고 천리교단을 비아냥거리곤 한다.
파일:external/www.tenrikyo.or.jp/kyosoden.jpg
천리교 교회본부 교조전의 모습. 구리 기와를 덮어서 지붕이 푸르스름하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는 구리 기와도 전쟁물자로 바쳐야 하는가로 다툼이 있었다.

천리교 교리에 따르면 신전이야말로 인류 탄생의 땅이자 인류의 고향이며 세상의 중심이다. 또한 감로대는 지상과 천상을 연결하는 기둥이라는 의미가 있다. 신전 자리의 중심성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장치가 신전에 있다. 감로대를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예배장이 있는데, 따로 정문이 없고 각 예배장에 뚫린 문을 모두 정문으로 간주한다. 정말로 감로대가 있는 자리가 세상의 중심이라면, 특정방향이 정면이 될 수가 없다. 물론 부지 내 건물들이 기본적으로 남향하고, 신전 역시 부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도로선상에 있으며, 신전과 교조전이 남북으로 나란히 있기 때문에 실제로는 남예배장 쪽이 정면으로 기능한다.

고본 교조전에 따르면 어느 날 미키가 말하기를 사방 8정(町)이 모두 집터(나카야마 저택 부지)라고 말했다 한다. 여기서 정(町)은 길이 360을 뜻한다. 계산하면 1정이 약 109 m이고, 8정은 약 872.7 m이다. 사방이 8정이라면 한 변이 8정인 정사각형 부지가 되어 면적이 약 23만 4백 , 76.16 헥타르여의도 택지면적의 4분의 1에 해당한다.

2대 신바시라 쇼젠은 1955년, 미키가 했다는 말을 실현하기로 작정하였다. 감로대를 중심으로 하여 한 변이 8정짜리 정사각형 모양으로 천리교 교회본부를 확대하기로 하고, 부지 경계선을 따라 건물을 회랑처럼 만들어 부지를 둘러버린다는 무지막지한 청사진을 만들었다. 계획을 시작한 지 60년이 넘었지만 아직 절반도 만들지 못하였다. 천리교의 교세가 점차 하강세이기 때문에 건물 건축속도는 앞으로 더욱 늦어질 듯하므로 천리교단도 예상완공년도를 감히 말하지 못하는 상황.

천리교에서는 부지를 둘러쌀 건물군을 오야사토야카타(おやさとやかた), 흔히들 줄여서 '오야사토'라고 부른다. 오야사토(親里)는 한국 천리교에서 '본고장'이라고 번역한 단어이며, 오야사토야카타란 '본고장 저택' 혹은 '본고장 숙소'라는 뜻이다. 오야사토야카타의 남동쪽 일부를 천리대학으로 사용한다.

파일:tenrijiba.jpg파일:tenrijiba2.jpg
구글어스에서 본 천리교 본부 모습과 오야사토야카타의 건축계획도. 12시 방향이 북쪽. 상단 사진에서 중심부 위쪽에 보이는 파란색 건물이 교조전(敎祖殿)이며, 그 아래에 있는 넓은 건물이 신전이다. 아직도 건축계획에 비해서 건설하지 못한 부분이 더 많다. 미시마 신사의 옛 위치와 현 위치도 표시하였는데, 신사를 오야사토야카타 바깥으로 밀어냈음을 알 수 있다.

위에서도 설명했듯, 교조 미키는 1887년에 향년 만 88세, 세는나이 90세로 거처에서 사망하였다. 미키 사후에 이부리 이조가 받은 신탁에 따라 신자들은 미키의 본디 수명이 115세였지만, 신자들을 더 잘 보살펴주려고 일부러 수명을 25년 줄여 90세에 물질세계에서 자기 몸을 숨겼다고 믿는다. 또한 터전 신전 뒤쪽(북쪽)에 있는 교조전(敎祖殿)에서 그 혼령이 지금도 머물고 생활하며, 신자들을 돌본다고 여긴다.[87] 천리교에서는 이것을 교조존명(敎祖存命)의 리(理)라고 표현한다.

교단에서는 매일 교조전에 식사를 올리고 미키가 목욕할 수 있도록 목욕물을 데우며, 계절에 맞추어 붉은 옷을 지어올리고, 더우면 냉방을, 추우면 온방을 한다고 한다. 그뿐 아니라 미키의 혼령을 시중드는 사람들을 두어서 (눈에 보이지 않는) 혼령을 모시고 교조전 주변을 산책하기도 한다.[88] 보통은 혼령이 머문다고 믿어도 이렇게까지 하지는 않으므로 이례적인 사례이다.
일본의 종교전통에서 이와 비슷한 것이 없지는 않다. 일본에서는 유명한 진언종(眞言宗) 개조 쿠카이(空海) 대사(774-835)를 예로 들 수 있다. 대사가 고야산에서 입적하였으나, 진언종 사람들은 입적을 인정하지 않았다. 대사는 죽지 않고 다만 계속 선정(禪定)에 들었을 뿐이라고 하였다. 그래서 매일 소임을 맡은 승려들이 대사가 먹을 음식을 마련한다고 한다.

하지만 천리교는 진언종과 비교해도 그 정도가 더욱 심하다. 진언종은 쿠카이 대사가 아직 죽지 않았다고 믿으므로 식사를 제공하지만, 천리교는 미키가 죽었음을 인정하면서도, 그 혼령을 대상으로 새로 집(교조전)을 지어드리고, 철마다 옷을 지어 바치고, 매일 식사를 지어 올리며, 냉온방을 하고 목욕물을 데운다. 지금도 그런 소문이 있는지는 모르겠지만, 천리교 신자들 사이에서는 교조전에서 목욕물을 데우면 그 안에서 물 끼얹는 소리가 들린다는 말이 돌기도 했다.

이를 두고 미키가 115세가 되기 전에 죽어 신자들이 동요하자, 이부리 이조의 입을 빌어 '미키가 일부러 수명을 줄여 사망했고, 지금도 그 영혼이 터에 존재한다.'고 주장하며 살아있을 때와 똑같이 행동함으로써 더 이상 동요하지 않도록 조처했다고 보는 사람들도 있다.

8. 의례와 행사

의례(儀禮)란 관점에서 천리교는 입교의례가 없다는 점이 특이하다. 그리스도교세례가, 불교는 수계가, 이슬람교는 샤하다 낭송이 입교의례이며, 우리나라의 천도교대종교 등에도 제사 형식으로 저마다 입교의례가 있다. 보통은 체계적으로 조직화된 종교라면 간단하든 복잡하든 나름대로 입교의례가 있는 법인데, 천리교는 이러한 입교의례가 없다. 그 대신 아래에서 설명할 수양과를 수료한 사람을 정회원(?), 별석 강좌를 수료한 사람을 상급회원(?)으로 받아들인다. 한국 천리교에서는 천리교 본부의 수양과 대신 강습소란 이름으로, 수양과와 같은 과정으로 수업을 진행한다고 한다.
일본의 신종교단체는 입교의례가 따로 없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비슷한 시기에 창교된 오모토만 하더라도 입교하는 방법은 입교희망서를 작성하고 1인당 2천 엔 이상씩 공물료(玉串料)를 내는 것이다. 이렇게 서류로 먼저 등록하고 가까운 오모토 지부로 찾아가 교육을 받는다.

천리교 교회에서 신을 모시는 신단은 형식을 제대로 갖추었다면 단을 셋으로 나눈다. 신단을 바라보아서 가운데에는 천리왕을, 오른쪽에는 교조 나카야마 미키를, 왼쪽에는 해당교회 소속으로 죽은 신자들의 (아직 환생하지 않은) 혼을 집단적인 조령(祖靈)으로 모신다. 왼쪽 신단은 조상을 집단적인 조령으로 모시는 일본 풍습이 직접적인 유래일 것이다. 다만 장소가 좁을 경우에는 천리왕을 모시는 신단만 갖추기도 한다. 천리교 지역교회의 신단은 터전 방향을 향해야 한다고 한다. 터전의 천리교 본부에서는 신전ㆍ교조전ㆍ조령전을 별개의 건물로 분리했다.

사실 천리교 교리대로라면 조령을 반드시 모셔야 할 필요는 없다. 시간차이가 있을 뿐 언젠가 천리왕에게 다시 육신을 받아 환생할 테니까. 그래서 천리교에서는 조령을 모신 단에 대해서는 그 혼령을 모신다고 설명하지 않고 ‘죽은 이의 덕을 기린다.’고 설명한다. 그렇게 환생 여부와 관계없이 계속 조령을 모시는 이유를 설명하지만, 문제는 의례적으로는 마치 실제로 혼령이 그 안에 깃든 듯이 한다는 점이다. 일본에서 가정마다 자기네 조상을 모시던 풍습을 천리교 안에 받아들이면서도 교리와 어긋나지 않게 하려다 보니, 의례와 설명 사이에서 엇갈림이 생겼다.

천리교 교회본부에서는 조령전이 교조전 서쪽에 조그마하게 있다. 신전이나 교조전과 비교하면 크기도 작고 위치도 구석이다. 조령 모시기의 위상을 보여주는 대목. 필요하기는 하고 받들기는 하지만 크게 중요하지는 않다는 것이다.

각 신단에 모신 신각 앞에는 거울이 있다. 거울 뒤쪽, 신각의 안에도 별도로 모시는 것이 있는데, 천리왕의 신각에는 오후다(일본식 부적) 비슷한 것이, 미키의 신각에는 고헤이가, 조령의 신각에는 영새부(靈璽簿)[89], 혹은 영새(靈璽)[90]가 있다고 한다. 천리교 본부로부터 '교회의 리'를 받지 못한 경우에는 천리왕의 신각 안에 아무것도 없다고 한다.

이렇게 경배의 대상이 되는 것을 천리교에서는 목표(目標)라고 부른다.[91] 예전에 천리교에서 사용하던 목표는 봉수천리왕명수호(奉修天理王命守護)라는 문구를 종이 위에 쓴 것이었으나, 1896년에 정부가 개입하여 지금처럼 바뀌었다고 한다.

천리교는 일본에서 시작한 종교라, 신단이 있는 공간이 일본 사찰의 법당처럼 내진(內陣)과 외진(外陣)으로 나뉜다. 내진과 외진의 사이에는 야트막한 목책으로 공간을 구별하며, 근행 등 예배를 볼 적에 교복을 입은 사람은 신단과 가까운 내진에 들어가 예배를 보고, 그렇지 않은 사람은 외진에 앉아 예배를 본다. 다만 천리교 내부적으로는 내진이니 외진이니 하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내진을 결계(結界)라고 부르는 듯하다.

포교소처럼 작은 곳에서는 굳이 내진과 외진을 물리적으로 구별하지는 않지만, 교복을 입은 사람이 앞줄에 서는 것은 마찬가지.

의례로는 매일 아침저녁으로 행하는 근행(懃行), 매월 1번 행하는 월차제(月次祭), 병든 사람들을 치유하기 위해 하는 수훈 등이 있다.

중요한 종교축일로는 원단제(1월 1일), 춘계대제(1월 중), 추계대제(10월 중)가 있다. 춘계대제는 미키가 은신(사망)함을, 추계대제는 미키에게 첫 신내림이 내려 남편이 미키를 신령에게 바침을 기념한다. 원단제에 부속된 절회(1월 5-7일)라는 축제도 있는데, 원단제 때 신단에 떡을 바치고, 절회 때 모여 이 떡을 먹는다.

4월 18일에는 교회본부와 산마이덴 분교회에서 ‘교조 탄생제’를 치른다. 원래는 교회본부만 하겠지만, 산마이덴 분교회 경내에 미키가 태어난 생가가 있으므로 이곳은 예외적으로 교조 탄생제를 거행한다. (한국의 대한천리교 교단은 천리교 본부와 갈라졌으므로 본부의 방침과 상관없이 교조 탄생제를 거행한다.)

천리교의 가장 기본적인 예배를 '근행'이라고 부른다.[92] 신단 양옆에 있는 인원들이 미키가 지정한 악기를 연주하며 정해진 음률로 노래를 부르면, 신단 앞에서 지정된 인원이 미키가 제정한 '손춤'을 추는 부분이 있어 특징적이다. 천리교 측 해설에 따르면 손춤에는 하나하나 나름대로의 상징적 의미가 있는데, 미키가 일상에서 볼 수 있는 동작을 바탕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기모노를 입은 여자도 할 수 있을 정도로 동작이 절제되어. 뒤돌거나 앞뒤좌우로 한 걸음씩 디디거나 하면서 손을 움직인다. 근행은 아침과 저녁으로 해가 뜨고 지는 시간에 맞추어 적당히 조절하기 때문에, 계절에 따라 거행하는 시간이 다르다.
파일:tsutome.jpg
▲천리교 본부 신전에서 근행을 하는 모습

근행 중 사용할 악기에 대해서도 미키가 악기의 종류와 음률, 그리고 남자는 어떤 악기를 연주하고 여자는 어떤 악기를 연주해야 할지 일일이 정하였다. 미키는 악기를 모두 9가지로 정하였는데, 사람의 사지ㆍ눈ㆍ코ㆍ입ㆍ귀ㆍ성기까지 헤아려 9가지라고 한다.

미키를 따르는 사람들은 미키의 가르침에 따라, 미키가 사망하기 전까지 나름대로 천리왕에게 예배하긴 하였으나 그 형식이 완성되지는 않았다. 미키는 의례를 계속 손보았으므로 최종판(?)을 확립하지 못하였다. 감로대 또한 미키가 사망하는 순간까지 만들지조차 못하였다. 미키는 신자들에게 자기가 만든 근행을 연습하여 익히라고 신자들에게 요구했으나 잘 진척되지 않았다. 사망할 무렵에야 초대 신바시라 신노스케가 주도하여 그럭저럭 해보았을 뿐이었다. 근행 의례의 최종판을 미키의 감독 아래 충분히 익힐 만큼 해보지 못했다는 점, 일본 정부가 천리교에 개입하여 의례를 손보고 신악가 원문을 압수했다는 점 때문에, 패전 이후 천리교단이 복원을 하려고 할 때에도 복원이 제대로 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나왔다.

매달 한 번은 근행과 별개로 월차제[93] 더 크게 예배를 올린다. 1월/10월 월차제는 춘계/추계 대제라고 부르며 성대하게 거행한다.

천리교 본부는 월차제를 매월 26일에 거행한다. 미키가 살아있던 시절부터 미키는 매달 26일마다 월차제를 하였는데, 천리교가 입교(立敎)된 날이 1838년 (음)10월 26일이기 때문이다. 월차제에 입교 기념제의 의미가 있음을 알 수 있다. [94] 당연히 원래는 음력 26일에 거행하였다.

1910년부터 종교법인 천리교에서는 음력 대신 양력으로 종교적 축일을 기리기로 하였다. 그런데 음력 날짜를 양력으로 환산하지 않고 날짜를 그대로 옮겨왔다. 위에서도 설명했듯이 원래는 월차제를 음력으로 매월 26일에 행하였으나, 이후로는 양력 26일에 한다. 또한 미키가 1798년 (음)4월 18일에 태어났는데, 이것도 양력 4월 18일에 기념한다. 1월ㆍ4월ㆍ10월에 대제를 거행하는 것도 미키가 (음력으로) 1월에 사망했고, 4월에 태어났으며, 10월에 첫 신들림을 받았기 때문이다. 이걸 양력으로도 1월ㆍ4월ㆍ10월에 하는 것.

지역 교회에서는 월차제나 대제를 행하는 날짜를 교회 설립허가를 받은 날(교회의 리를 받은 날)로 정하는 것이 원칙이다. 예를 들어 3월 3일에 허가를 받았다면, 매월 3일에 월차제를 하고, 대제도 1월 3일, 10월 3일에 하는 식. 지역교회에서는 4월 교조탄생제는 따로 하지 않고, 그 달의 월차제에 좀 더 의미를 부여하는 정도이다. 월차제 날짜는 하급교회와 상급교회의 날짜를 서로 피하여 정하는데, 상급교회로 갈수록 본부 쪽 날짜인 26일과 가까워지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한국 천리교에서는 현실에 맞추어 월차제 하는 날을 '매달 X번째 X요일'이라는 식으로 정하는 곳도 있지만, 일본 천리교에서는 그런 곳이 거의 없는 것 같다. 일본의 천리교 안티들이 "현대사회에 적응할 생각이 없는 것 같다." 하면서 까는 형편이다.

'수훈'을 일본어로는 오사즈케(おさづけ)라고 부른다. 미키 생전에는 미키가, 미키 사후로는 이부리 이조가, 이조 사후에는 (우에다 나라이토와 타마에를 거쳐) 신바시라가 수훈의 권한(리)을 신자들에게 나누어주기 때문에 사즈케루(授ける: 하사하다)란 말에서 따와 오사즈케라고 부른다고 한다. 신악가 1절을 세 번 부르면서 손춤을 추고 환부를 만지기를 세 번 반복한다. 일본 천리교 본부의 터전에 가서 특별한 강의를 9번 들어야 하는데, 이 강의는 정해진 대본이 있어서 누가 하든 내용은 토씨까지 전부 똑같다고 한다. 강의 자체가 종교의례가 된 것이다. 수훈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받은 사람을 (천리교의) 유용한 인재라는 뜻에서 용재(用材)라고 부른다. 인재라는 뜻에서 다른 필요한 자질이나 능력이 있는 사람도 용재라고 부르지만, 좁은 의미로는 수훈을 할 수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이부리 이조가 살아있을 때까지만 해도 병을 낫게 하는 수훈 말고도 다른 수훈, 가령 밭의 수확을 좋게 하는 수훈 등을 받은 사람들도 있었지만, 지금은 병을 낫게 하는 수훈의 자격만 일반 신자들에게 허락한다. 용재가 다른 사람에게 수훈을 해주는 것을 흔히 '수훈을 전한다'라고 표현한다.

그 외에 히노키신(ひのきしん)이라는 용어가 있다. 일본에서도 보통은 히라가나로 ひのきしん이라고 쓰지만, 한자를 섞어 쓸 경우에는 日の寄進이라고 쓴다. 이것은 따로 정해진 종교적 의례는 아니지만 종교적 행동이라고 할 수는 있다. 원래 키신寄進이라는 것이 일본어에서 '사찰이나 신사에 물건이나 돈 등을 공양함'을 가리키는데, 히노키신은 이것을 천리교적으로 받아들여 '천리왕이 기뻐할 만한 모든 행위'를 히노키신이라고 부른다. 천리교인이 봉사활동을 해도 히노키신이라나. 한국인 천리교 신자들도 이 말은 일본어 표현을 그대로 쓰지만, 귀에 들리는 대로 히노키싱 혹은 히노끼싱이라고 쓴다.

히노키신은 일본 농촌사회에서 행하던 품앗이 전통을 종교적으로 바꾼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그래서 일제강점기에 천리교 포교사들이 식민지 조선의 농촌으로 포교하러 왔을 때 농민들의 품앗이, 두레를 보고 "히노키신과 다를 것이 없다."라고 말했다고 한다. 일본의 천리교 안티들은 대체로 히노키신을 천리교단이 무급으로 신자들의 노동력을 착취하는 방법으로 간주한다.

텐리시에 있는 터전, 천리교 본부에서만 할 수 있는 의례가 몇 가지 있다. 임신 6개월 이상된 임산부가 터전에 왔을 경우 순산의 수훈을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위에서 이야기한 수훈을 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하는 강의도 터전에만 있고, '신악근행'이라는 것도 있다. 터전에 있는 감로대 앞에서 사람들이 손춤을 추고 신악탈을 쓰고 행하는 근행이라 신악근행, 또는 감로대 근행이라고 부른다. 이것은 오직 천리교 본부에서만 할 뿐 일반 천리교회에서는 행할 수 없다.

하지만 일본 천리교 본부의 해석에 반대하여 갈라진 단체들, 가령 대한천리교나 천리교 토요후미 교회, 이치노모토 분서 사적보존회 등에서는 독자적으로 감로대를 만들어 일반교회에서도 신악근행을 한다.

유튜브에 올라온, 어떤 종교단체에서 거행하는 신악근행
파일:external/www.lcv.ne.jp/tutome2.jpg
천리교 토요후미 교회 홈페이지 대문에 있는 사진. 이치노모토 분서 사적보존회에서 신악근행하는 모습을 표현했다.

'증거부'라고 해서 터전에 찾아온 신자가 신청할 경우에 주는, 천리교식 오마모리(일본 부적)가 있다. 신자가 터전에 온 증거라 하여 '증거부'라고 부르는데, 이것은 한번 발급하면 어떤 경우에도 재발급해주지 않는다고 한다. 증거부에는 붉은색 옷감이 들어있는데, 교조전에 바쳤던 붉은 옷을 자른 것이라고 한다. 천리교에서는 미키가 비록 눈에 보이지는 않아도 여전히 교조전에서 먹고 목욕하고 옷을 입으며 생활한다고 믿으므로, 증거부의 옷 조각은 (실제로는 아무도 입은 적이 없어도) 미키가 입은 그 옷에서 잘라낸 유물이 되는 것이다.

종교법인 천리교는 신단에 거울을 모시는데, 신토에서 말하는 신체(神體)에 해당한다. 한국 천리교에서는 '신앙의 목표'라고 표현한다.

천리교 신자들이 참가하는, 수양과(修養科)라는 교리심층교육이 있다. 비단 천리교 신자만이 아니라 천리교에 관심 있는 만 17세 이상인 사람이면 누구나 들어올 수 있다고 한다. 터전 교회본부 건물에서 3개월간 숙식하며 공부한다. 수양과에 있는 사람이 원한다면, 3개월간 별석을 함께 참가하여 용재가 될 수도 있다고 한다. 3개월간 숙식하다 보니 상당히 돈이 많이 드는데, 2016년 시점에서 천리교 공식 홈페이지에 따르면 약 8만 5천 이 든다고 하는데, 실제로는 그 이상인 듯하다. 천리교 신자가 아니어도 참석할 수 있긴 하지만, 세상에 천리교 신자가 될 생각도 없으면서 누가 8만 5천 이상을 들여 3개월간이나 숙식하는 수양과에 들어오려고 할까? 현실적으로는 천리교 신자, 혹은 예비 천리교 신자만 들어오라고 하는 셈이다. 일본에서는 천리교 신자가 아니어도 천리교 집안에 시집오는 예비 며느리에게 수양과에 다녀오라고 요구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그나마 현대에 짧아져서 3개월이고, 과거에는 6개월이었다고 한다.

일본에는 천리교 신자가 사장인, 혹은 천리교 계열인 회사에서 사원들에게 강제로 수양과에 자비로 다녀오게 한다는 말이 있다.

8.1. 의상

천리교는 일본에서 핫피(法被)[95]라고 부르는 의상을 입어 자기가 천리교인임을 드러낸다. 원래 핫피는 에도 시대 일본에서 무가 저택의 하인이나 가게의 점원 등이 노동복으로 편하게 입던 것이며, 지금도 일본의 오래된 가게에서 종업원 제복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일본 텐리시에는 일상복으로 천리교 핫피를 입은 사람들이 남녀노소 가릴 것 없이 흔하디 흔하다.

천리교에서는 핫피를 검은색으로 통일하고, 옷깃에는 소속을, 등에는 한자로 天理敎(천리교)라고 하얀색 해서체 붓글씨로 적는데, 외국 사정에 맞추어 로마자로 쓴 것도 있다.

파일:external/store.shirokumado.net/PID178_M.jpg
파일:external/inkpot.cocolog-nifty.com/tenri_josei_2.jpg

그 외에 교복(敎服)이라고, 근행이나 월차제 등을 할 때 예복으로 입는 의상도 있다. 학생들이 입는 교복(校服)이 아니다. 한자가 다르다
파일:external/img-cdn.jg.jugem.jp/20150415_377175.jpg 파일:external/www.tomimori.jp/kyohuku.jpg
남자용 교복 여자용 교복
여자용은 두건이 없음

파일:external/518605bec69ac2e33f683f32058f4a9f5e583a49ba975f857d4a5a85fdfc139e.jpg

일본 천리교에서는 나카야마 집안의 가몬이 새겨진 검은색 기모노를 입기도 한다. 여자용 의상은 검은색 토메소데(쿠로토메소데)를 본으로 삼았는지 (이 문서 최상단에 있는) 나카야마 집안의 가몬을 양 어깨, 양 소매의 팔꿈치, 목 뒤에 하나씩 모두 5개를 새겼다. 위 사진에서도 여자용 의상의 양 어깨에 문양이 보인다. 대놓고 기모노다 보니, 일본 문화를 배척하는 한국에서는 일본풍을 유지하는 천리교 한국교단마저도 이것만은 차마 입지 못한다.

한국에서 대한천리교는 일본 문화를 배격하느라 핫피와 교복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다만 검은색 한복을 대신 입는 경우가 있다. 천리교 한국교단은 여전히 핫피와 교복을 사용하긴 하지만, 핫피가 너무 노골적으로 일본풍 느낌이 나서 그런지, 일본 천리교에서처럼 자주 입지는 않는다. 원래는 자기 소속명이 목깃에 인쇄된 핫피를 입어야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최상급교회명이 적힌 핫피를 입는 사람들도 있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천리교 한국교단 교인들이 핫피나 교복을 입으면 일본풍이 지나쳐서 민원이 들어온다는 이유로 관공서에서 자제해달라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고 한다.

9. 언어 습관

어느 종교에나 자기네만의 고유한 종교용어나 언어습관이 있는 법이지만, 여기서는 천리교에서 유독 남달리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 리(理)

천리교에서 유독 반복되는 낱말이 리(理)라는 한자이다. 천리교에서 리라는 말은 교리라는 상식적인 뜻도 있지만, 권한이나 자격, 해야 할 도리, 혹은 상식이나 개념(....)이라는 뜻으로 통하는 등 굉장히 폭 넓게 쓰인다.

몰상식한 행동을 할 때 "리를 모른다." 하거나, 자격이 박탈됨을 "리가 끊겼다." 하고, 반대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권한이 있음을 "리를 받았다."라고 말한다. 어떤 예배소가 정식교회로 허가받을 때에도 "교회의 리를 받았다." 한다. 그 외에도 교회장과 신도를 리의 부모 / 리의 자식으로 표현하기도 한다.

천리교의 종교적 행동이 천리왕의 이치에 따라 한다는 생각에서 이런 표현이 나온 듯하다.
  • 이 길(この道)

천리교에서 천리교를 가리켜 쓰는 말이다. 영어권 천리교에서는 this way라고 번역하여 사용한다.
  • 으뜸하루(元一日)

영어로는 day of origin이라고 번역한다. 원래 의미는 나카야마 미키가 신내림받은 그 날을 뜻하지만, 의미를 확장하여 어떤 사람이 천리교를 처음 받아들인 날이라는 뜻으로도 사용한다. 천리교를 여러 대에 걸쳐 믿은 집안이라면 자기 선조가 처음 천리교를 받아들인 날을 뜻한다. 나카야마 미키에게 신령이 내린 날을 이 길(천리교)의 으뜸하루라고 부르기도 한다.
  • 마디(節)

천리교에서는 난관, 고난, 역경을 가리키는 의미로 흔히 '마디'란 말을 사용한다. 일본어로는 후시(節)라고 말하는데, 미키가 생전에 자주 말했던 "마디에서 싹이 튼다."라는 비유에서 나온 표현이다.
  • 신상(身上) / 사정(事情)

신상의 1차적인 의미는 우리말 신상(身上)과 같다. 일본어에서도 신상이란 말을 비슷한 뜻으로 사용한다. 보통 일본어에서는 신상(身上)을 '신쇼'라고 하지만 일본 천리교는 '미조'라고 읽는다.

천리교에서는 신상이라는 말을 이런 사전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어떤 사람의 안 좋은 상황, 특히 질병으로 안 좋은 상황이라는 뜻으로 사용한다. 병이 생기는 것을 '가르침을 받는다.'고 표현하는데, 천리왕이 어떤 사람을 경책하고자 병을 내린다는 생각이 반영되었다. 하필 질병이라고 하는 데서도 특히 천리왕이 질병이나 치유와 연관된 신격으로 인식됨을 알 수 있다. 영어권 천리교에서는 대놓고 health disorder라고 번역하는 판이다.

"홍길동이 신상 가르침을 받았어."
"홍길동이 신상 문제가 있어."
(홍길동이가 몸이 아파)

천리왕이 누군가에게 가르침을 내리고자 몸을 아프게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나오는 표현이다. 비슷하게 사정(事情)[96]이라는 말도 쓰이는데, 엄밀하게 따지면 신상은 육체적 문제, 사정은 정신적 문제라고 한다. 하지만 실제 신자들 사이에선 대충 쓰이는 듯?
  • 수호

문자 그대로 지켜준다는 뜻인 수호(守護)지만, 천리교에서는 천리왕이 내려준 영험(靈驗), 혹은 은총이라는 뜻으로 쓰인다. 영어권 천리교에서 수호를 Providence(섭리)라고 번역하기도 하는 데서도 이런 면이 드러난다. 천리왕이 지켜주셔서(수호해주셔서) 어떤 영험을 받았다는 뜻이다. 천리교에서는 모든 사물이 어떤 식으로든 나름대로 천리왕의 수호를 받는다고 설명한다.

"신상에 가르침을 받아서 기원을 올렸더니 수호를 받았다."
(몸이 아파서 기도를 했더니 몸이 나았다.)
  • 구제

救濟, 즉 사전적인 의미대로 원래는 고난에 처한 사람을 도와준단 뜻이지만, 천리교 신자들 사이에서는 흔히 천리왕이 내리는 영험으로 누군가의 어려움을 해소함을 가리킨다. 천리교 신지가 누군가를 구제했다고 말한다면 십중팔구 (수훈으로) 병을 낫게 해주었다는 소리이다.

일본 천리교는 오타스케(おたすけ)라는 말을 쓰지만, 여기에서도 구제(救濟)와 같은 의미라고 설명한다.
  • 출직

사망을 가리키는 용어. 위 항목에서도 설명했듯, 원래는 처음부터 다시 한다는 뜻인 일본어 데나오시(出直し)란 말에서 한자만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은 것이다. 천리교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천리왕의 힘으로 다시 환생한다고 믿으므로, '삶을 다시 시작한다.'는 뜻으로 죽음을 데나오시라고 부른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출직(出直)이라고 하면 숙직을 마치고 나온다는 뜻이라 매우 심각한 오역이다.

10. 교회 조직

텐리시에 있는 천리교 본부를 머리로 하여 그 밑에 대교회, 분교회, 지교회, 포교소가 있다. 텐리시 천리교 본부로부터 교회의 리(理)를 받지 못하면, 아무리 규모가 커도 원칙적으로는 포교소로 간주한다.

천리교의 교회조직은 매우 비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A교회 사람이 B포교소, 혹은 B교회를 세우는데 성공하면 A교회는 B교회/포교소의 상급교회가 된다. 서울의 A교회 사람이 부산에 가서 B교회를 세웠다면, 서울에 있는 A교회가 부산에 있는 B 교회의 상급교회가 되며, B교회는 A교회의 행사 등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 B교회 같은 하급교회가 많이 생기면 A교회는 분교회나 대교회로 승격한다.

천리교에서는 이렇게 인맥으로 이어지는 교회간 구분을 계통이라고 부른다. 각 계통은 최상급교회(대교회)의 이름을 따서 부른다. 다단계 판매 같은 조직구성으로, 지역이 아니라 인맥을 기준으로 조직을 나누어 매우 비효율적이다.

산하에 얼마나 많은 하급교회/포교소가 있느냐에 따라 격의 상하관계가 달라지므로, 만약 하급교회나 포교소 숫자가 줄어든다면, 대교회가 분교회로, 분교회가 지교회로 격하되는 일이 벌어질 수 있다. 그래서 이런 일을 막고자 더 이상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없을 정도로 축소된 하급교회가 있어도 사정교회(事情教会)라는 이름으로 억지로 존속시킨다. (정상적으로 운영하지 못하는) 사정이 있는 교회라는 뜻이다.[97] 한번 허락받은 정식 교회는 없애지 않음이 천리교의 원칙이라 매우 불합리하다.

일본 천리교는 1940년대 무렵 교세가 정점을 찍었다. 1938년 자료에는 신자수가 456만 명이라고 했을 정도지만, 그 뒤로 점차 감소세에 있다. 1970년대쯤 활발한 전도운동을 하여 교세가 2백만 명을 넘긴 적도 있지만, 이것도 잠시뿐이고 다시 신자수가 줄어, 2013년 일본 문화청이 발행한 종교연람에서는 천리교 신자수를 121만 명으로 서술하였다. 적어도 통계상으로는 70년대에 2백만 명을 넘겼다고 하니, 40년 만에 거의 반토막이 난 셈. 하지만 여기에도 허수가 있고 실제로 천리교 신앙생활을 하는 사람의 숫자는 50만~100만 사이라고 추정하는 사람도 있다.

천리교의 교세가 줄어들었음을 단적으로 확인 가능한 부분이 별석 과정을 수료하여 용재가 된 사람의 숫자이다. 1966년에 새로 용재가 된 사람이 3만 7681명이었는데 2014년에는 5274명으로, 66년의 14%에 불과하다.

신자 수가 이토록 줄어든 데 반해서 한번 설립한 교회는 억지로 사정교회로라도 유지하기 때문에 거의 줄어들지 않았다. 교회를 유지하고자 신자 한 사람이 감당해야 하는 부담이 더욱 커진 것이다.

이러한 조직구성이 얼마나 비효율적일지 새삼 설명이 필요할까?

부모가 A 교회 소속이라면, 자식도 당연히 그 인맥이므로 A 교회 소속이 된다. 그리고 다른 곳에 있는 B 교회에는 계통이 다르기 때문에 소속될 수 없다. 간단하게 예배를 드리는 정도는 가능하지만 그 이상은 안 된다. 한번 A 교회 소속이 되면 끝까지 A 교회 소속이어야 하며, 계통이나 소속을 바꾸지 못한다. 그래서 먼 곳으로 이사를 간 신자들도 가까이에 있는 다른 천리교회에 가지 못하고 반드시 원 소속 교회로 가서 의례에 참석해야 한다. 그래서 고향을 떠나 먼 곳에서 직장을 잡은 젊은 신자들이 천리교에 점차 거리를 두는 이유가 되었다.

과거에야 사람들이 대부분 고향 가까운 곳에서 평생을 보냈고 말이나 가마를 탈 수 있는 사람도 드물었으므로, 이렇게 인맥을 중심으로 조직을 관리해도 별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현대 산업사회가 되자 문제가 된 것이다. 천리교 내부에도 인맥에 따라 조직을 구성하니 문제가 있다는 소리가 나오지만 실제 조직을 바꿀 만큼의 반향은 없는 듯하다.

계통으로 이어지는 상하관계가 매우 엄격하여 천리교를 폐쇄적인 종교조직으로 만든다는 비판이 있다. 그뿐 아니라 교회장도 세습하기 때문에 더더욱 폐쇄적이라고 한다. 일본 천리교는 물론이고 한국교단에서도 교회장 세습 문제로 신자들이 두 패로 갈려 싸우고 법정 공방까지 한 사례가 있다.

1986년에 있었던 교조 100년제[98]를 준비하는 동안, 최대한 신자들을 많이 터전으로 오게 하려고 하급 교회장들에게 압박을 가하다가, 이런 압박을 견디지 못하고 하급 교회장들이 자살하는 사건도 여러 건 있었다고 한다. 상급교회에서 하급교회로 이어지는 상명하복식의 계통이 문제를 일으킨 것이다.

월차제 날짜도 하급교회는 상급교회의 날짜를 피해서 지정함이 원칙, 혹은 불문율이다. 상급교회에서 하급교회가 월차제를 하는 날에 때때로 순시를 나오는데, 하급교회에서는 이때 상급교회에 돈을 보낸다고 한다. 일본의 천리교 안티들이 천리교에 반대하게 된 이유로 흔히 말하는 것이 바로 헌금 문제.

사실 여부를 확인하긴 어렵지만 2ch 등에 있는 천리교 관련 스레를 보면, 하급교회가 상급교회에 매달 상납금을 보내기 때문에 상급교회는 부유하지만 하급교회는 빈곤하다는 비아냥이 있다. 일본 인터넷상에서는 천리교도 창가학회처럼 신자들을 착취하는 컬트 단체라고 비난하는 여론이 있다.

이런 스레를 찾아보면 일본 천리교회에서 근행을 하느라 북을 치고 악기를 연주하는 게 시끄러워서 견딜 수가 없지만, 항의를 해도 고칠 생각을 안 한다는 불평도 꽤 나온다. 따로 건물을 짓거나, 혹은 적당한 건물을 구입할 만한 재력이 없는 소규모 천리교회에서 일반 저택에 자리잡고 의례를 거행하기 때문에 그런 것 같다. 병을 낫게 하는 수훈을 받게 할 때에도 돈을 받는데, 암환자 입장에서는 그 액수도 무시 못한다는 글 등도 일본 인터넷에서 나온다.

그 외에도 교단의 실권은 신바시라가 아니라 그 밑의 간부들이 쥐고 있다는 말도 있는데, 이것은 일본의 천리교 안티만이 아니라 천리교 신자 일부에서도 하는 말인 듯하다. 위에서 이야기한 천리교 토요후미 교회에서도 신바시라의 말을 간부들이 따라주지 않아서 그네들의 뜻대로 왜곡되었기 때문에 자신들이 부득이하게 독립했다고 설명한다.

11. 사건사고

원래는 천리교 본부 교조전에서 동쪽으로 60 m쯤 떨어진 곳에 미시마(三島) 신사가 있었다. 그 일대 미시마정, 쇼야시키촌을 지키는 신사인데, 미키 생전에는 이치모리(櫟森) 신사라고 불렀다. 고본 교조전에 따르면 미키가 이 신사에서 처음 신내림을 받았으므로 천리교 입장에서도 성지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신사가 나카야마 저택과 코앞에 있었기 때문에, 나카야마 저택이 천리교 본부가 되어 부지가 확대되자 신사가 그 안에 들어가버렸다.

1988년, 천리교 본부 건물을 신축하겠다고 미시마 신사 이전을 강행하자 신사의 신자들이 반발하였다. 비록 이전비용은 천리교단이 전부 부담했지만 신사 신자들 입장에서는 굴러온 돌이 박힌 돌을 빼낸다고 여겨, 이면에서는 상당한 갈등이 있었다. 현재에는 원래 자리에서 서북서 쪽으로 630 m 떨어진 곳에 자리를 잡았다.

'터전과 감로대' 항목에서 이야기한 대로, 천리교단은 "사방 8정이 집터."라는 미키의 말을 실현하고자 23만 4백 평 부지 경계를 건물로 둘러버리려고 한다. 그런데 미시마 신사의 새 위치를 지도에서 찾아보면, 천리교단이 확대할 부지 바로 옆에 있다.

그 외에도 미시마 신사의 옛 터 앞에는 카가미가 연못(鏡ヶ池)이 있었는데, 미키가 힘들어서 자살하려고 몇 번이고 연못까지 왔다가 그만 두었다는 일화가 전해진다. 교조전에서 동쪽으로 30 m 떨어진 곳에, 한 변이 10 m쯤 되는 정사각형 꼴을 한 연못이었는데, 천리교단이 1999년에 매워버리고 그 자리에 잔디를 심었다. 천리교 신자들 사이에서도 이 연못을 메워버린 일에 대해서는 상당한 반대가 있었다고 한다. 미시마 신사 이전, 카가미가 연못 매립은 일본의 천리교 안티들이 종종 까내리는 소재이다.
1986년에 있었던 교조 100년제를 준비하면서 상급교회장들이 압박하는 탓에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하급교회장들이 자살하는 사례들이 있었다.
1987년 8월 오대양 집단 자살사건이 터지자 사이비, 군소 종교단체들이 또 사고를 치지 않을까 하여 국민들의 감정이 상당히 안 좋아졌다. 오대양 사건이 알려진 지 얼마 안 되어 경남 김해시 대저동, 지금의 부산 3호선 대저역 역사 자리 근처에 있던 일본 천리교회에 경찰들이 방문했다. 신자 수가 200명 남짓이었는데 당시 한국 천리교계에서는 대형교회라 할 만하였다. 그 교회는 한국 천리교가 아닌 일본 천리교에 속한 교회였다. 재일교포들에게 우리의 것을 알아야 한다고 방과 후 교실도 없던 시대에 농악 놀이도 가르치고 신자 가족들이 모여서 시간을 보내고 하니, 그 동네에서는 제법 입지가 있는 일본풍 교회였다. 경찰들은 오대양 사건처럼 이 교회도 신자들 모아놓고 금전을 각출하고 엉뚱한 방향으로 사람들을 이끌지 않는가 확인한다는 명분을 내세웠다. 그 무렵은 공권력을 상당히 두려워하던 시절이고, 또 일본종교라고 주변에서 흰눈으로 바라보던 탓도 있어서 그 교회로 출석하던 신자들이 모두 자취를 감추었다. 텅 빈 교회는 한두 해쯤 겨우 외관만 유지되다가 결국 완전히 정리되어 사라졌다.
1993년 1월 20일(수) 천리대학교 조선학과 1학년으로 재학 중이던 재일교포(한국적) 학생이 같은 대학의 1학년 일본인 학생 11명에게 8시간에 걸쳐 집단폭행을 당하는 사건이 벌어졌다. 피해자는 전치 2주 진단을 받았다고 한다.

폭행당한 이유는 어처구니 없게도 건방지게 한국식 이름을 사용했다는 것이었다. 천리대학은 사건을 보고받고도 이를 은폐하여 사건이 언론에 보도된 때는 5월 상순, 상세사항이 언론에 알려진 때는 6월이 거의 다 되어서였다. 단순한 집단폭행을 넘어 민족차별 문제까지 겹쳐 사건이 심각했다. 전조교 오사카(全朝教大阪) 등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천리교단에 항의하는 공동투쟁회의가 구성되는 등 파장이 확대되자 5월 30일자로 천리시보에 하타바야시 키요쓰구(畑林清次) 표통령이 사과문을 올리고, 그 후로 천리대학교 학장이 사임하기에 이른다.

한국에서 유학 간 학생이었다면 한국에도 알려져 한국언론에도 크게 알려져야 했겠지만, 재일교포였기 때문인지 한국에서는 거의 보도되지 않았다. 1994년 11월 13일자 한겨레 신문에 단신으로 보도되었을 뿐이다. 한겨레 보도에서는 피해자가 조총련계 동포라고 했지만, 전조교 오사카의 당시 회장이 2001년에 쓴 글#에서는 한국 국적이라고 설명하였다.[99]

한겨레 신문의 보도에 따르면 당시 천리대에서는 본 사건만이 아니라 재일교포를 상대로 한 폭력이 여러 건 있었지만, 이에 동조하지 않는 일본인들도 따돌림받을까 봐 아무 말도 못하고 있었다고 한다.
2000년 6월 26일, 천리교 교회 본부 신전에서 월차제를 하는 중 웬 청년이 감로대에 달려들어, 신자들 눈 앞에서 나무 감로대가 쓰러지고 신자들은 난리가 나는 사고가 있었다. 사고를 일으킨 사람은 효고현 이쿠노(生野) 대교회 계통 신자였다고 하는데 왜 감로대를 넘어트렸는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천리교단은 새로 감로대를 설치하였다.
2000년대 중반, 나라현 텐리시에 있는 에키 크로사이언스(液クロサイエンス)[100]라는 작은 회사에서 신입사원들에게 강제로 천리교 수양과에 자비로 참가시키고, 참가하지 않으면 회사에서 짜른다고 한다는 인터넷 호소문이 올라온 적이 있다. 사실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그 외에도 천리교 신자가 사장인 회사에서 이런 식으로 강제로 수양과에 참석하게 한다는 비난도 일본 인터넷상에 있다.

참고로 수양과에 들어가면 3개월간 그곳에서 숙식하면서 교리를 공부하고, 비용은 보통 8만 이상이라고 한다. 이걸 강제로, 그것도 자기 돈으로 하라고 하면...
2012년 4월, 서울 용산경찰서는 신자들에게 금품을 취하고 돈을 빼돌린 혐의로 종교인 40대 문모씨(여)를 구속했다고 밝혔다.# 2008년에 피해자 A씨에게 아들이 귀신이 들렸으니 영제기도를 드려야 살 수 있다고 말하여 2500만 원을 받아 빼돌리는 등, 7명에게서 9억 원을 받아 가로챘다고 한다. 기사에서 교파명은 밝히지 않았으나, 경찰이 밝히기를 피해자들이 일본에서 온 신흥종교를 깊이 믿는 신자들이라고 했고, '영제'란 말이 천리교에서 조령을 모시는 단에 바치는 위령제를 말하기 때문에 천리교인들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2017년 7월 26일 오후 6시 20분, 교회 본부에서 웬 청년이 감로대에 달려들어 무너트렸다고 한다. 2000년에 있었던 사고가 또 발생한 것. 천리교 신자들 사이에서 떠도는 말에 따르면 해당인물에게 정신병 증세가 있었다고 하여, 이 소식을 접하고 천리교인들이 동요했다.

12. 한국의 천리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천리교/대한민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기타

  • 이 종교의 본산이 위치한 나라현 텐리시의 이름은 이 종교단체에서 유래했다.
  • 천리교 교단이 설립하여 운영하는 사립 고등학교 텐리고교는 나라현을 대표하는 야구명문학교로 고시엔 단골출전 팀이다.

14. 창작물

일본 애니메이션 신만이 아는 세계에 나오는 아유카와 텐리의 이름이 킨테츠의 이 텐리역, 다시 말해 천리교에서 유래했다.[101]

아베 야로(安倍夜郎)의 만화 ≪날 때부터 서툴렀다(生まれたときから下手くそ)≫(2016)에서 주인공 마코토의 할머니가 천리교 신자이다. 국내에도 2016년 5월 미우 출판사에서 번역 출판하였다.

사실 이 역보다 46년이나 앞서서 종교명을 딴 역명의 원조가 있기는 하다. 콘코역 문서 참고.

[1] 이름 표기에 혼란이 있어서 한자로 美支, 또는 美伎라고 쓰기도 한다. 현 천리교단은 히라가나로 みき라는 표기를 민다.[2] 일본에서 '신종교'라는 말은 대략 에도 막부 말기, 혹은 메이지 유신 이후에 창시된 종교를 가리킨다. 천리교는 신종교 중에서도 가장 초기에 속한다. 학자에 따라서는 1970년대 이후에 나온 종교를 '신신종교'라고 부르기도 한다.[3] 일본에서는 히라가나로 ぢば(지바)라고 쓰는 경우가 더 많다. 존칭으로 '오'를 붙여 '오지바'라고 부르기도 한다.[4] 이들은 길거리에서 박자목(拍子木)이라는 짧은 나무 막대기 두 개를 서로 맞부딪쳐 딱딱 소리를 내거나 손춤을 추는 특유의 포교로 눈길을 끌었다. 최근에도 서울과 부산 중심으로 눈에 띄는 특유의 복장으로 포교하거나 기도하는 신자들의 모습이 드물게 포착된다.[5] 여기서 고본(稿本)이란 '원고본'이란 뜻으로, 완성판이 아니라고 붙인 낱말이다. 1976년에는 천리교 본부에서 부록격인 일화편(逸話篇)을 발행하기도 하였다. 이런 식으로 책의 내용을 계속 덧붙이려고 '고본'이라고 명시한 듯하다.[6] 양력으로는 6월 2일. 미키가 태어난 1798년은 조선에서는 정조 22년, 청나라에서는 가경 3년, 일본의 연호로는 칸세이(寛政) 10년이었다.[7] 오늘날 나라현 텐리시 산마이정. 오늘날 천리교 산마이덴 분교회(三昧田分教会)가 미키의 생가 바로 옆에 있어서 생가를 보존하고 관리한다.[8] 미키 사후에도 미키의 손녀 타마에가 고종사촌 오빠 신노스케(미키의 외손자)와 결혼하는 등, 사촌간 족내혼(族內婚)하는 경향을 보인다.[9] 미키의 시댁, 현재의 천리교 교회본부 자리는 친정(산마이덴 분교회)에서 북쪽으로 직선거리 3 km에 약간 못 미친다. 오늘날에도 걸어서 40분쯤이면 충분히 갈 수 있다.[10] 현재도 텐리시 마가타정(勾田町)에 정토종 사찰로 남아 있다. 나카야마 저택 자리에서 남쪽으로 8백 미터쯤 떨어졌다. 이렇게 가까웠기 때문에 나카야마 집안 묘지도 원래는 여기에 있었고, 미키도 이곳에 다닐 수 있었을 것이다. 지금도 천리교 신자들이 순례 목적으로 이 사찰에 찾아온다.[11] 일본 불교에서는 장례식을 치르면서, 혹은 치른 후에 승려를 청하여 망자에게 계명(戒名)을 줌이 일반적인 풍습이다. 일본어 위키페디아에서는 '사람이 죽으면 누구나 부처가 된다.'는 일본적 관념에 근거하여 사후에 계명을 붙인다고 서술하였다. 현대 일본에서는 사후에 계명을 지어주면서 돈을 비싸게 받는 것, 부락민 장례식에서 모욕적인 계명을 지어준 일 등이 비판받는다. 한국 불교에서는 주로 법명(法名)이라고 부르는데, 보살계든 비구계든 계를 받아야만 법명을 얻는다. 한국 불교에서는 사후에 계명/법명을 주는 일이 없다.[12] 일본어식으로 읽으면 고쥬우소오덴(ごじゅうそうでん). 정토종 사이트에 따르면, 정토종의 염불 교리를 심층적으로 가르치는 비밀스러운 법회라고 한다. 이 법회를 다섯 번에 걸쳐서 하기 때문에 오중상전이라고 부른다.[13] 한국식 정자로는 蓮譽勝智岸寶禪定尼. 일본 정토종의 설명에 따르면, 오중상전에 참여함으로써 부처님의 제자가 되었기 때문에 계명을 준다고 한다.[14] 아마도 초대 신바시라 신노스케와 마찬가지로, 나라현이 주민들 이름에 에몬(衛門)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강제했기 때문에 개명했을 것이다.[15] 이 시점에서 미키는 정토종 신앙을 확실히 잃은 듯하다. 집에서 엎어지면 코 닿는 곳에 정토종 젠푸쿠사가 있는데도 미키는 화엄종 사찰 토다이사나, 쿠카이 대사를 모신 사당을 찾아갔다. 이렇게 찾아간 사찰 중 한 곳에는 천연두 치유에 영험이 있다는 속설이 있었다.[16] 4녀 쓰네가 태어난 해는 텐포 대기근이 시작된 해였다. 저 유명한 텐메이 대기근보다는 피해가 적었지만, 에도 막부 시절의 마지막 대기근으로 현대 일본에도 구전으로 흉악함이 전해진다. 텐포 대기근의 절정기를 1835-37년까지로 보므로, 1835년에 쓰네가 사망한 것도 기근 때문일 수 있다. 나카야마 집안이 부유한 지역유지였지만 대기근의 여파를 완전히 벗어날 수는 없었을 것이다.[17] 이름을 붙이기도 전에 죽었기 때문에 보통은 미키가 낳은 자식으로 셈하지 않는다.[18] 이세 신궁에 참배하는 대규모 유행. 종교적 흥분에 도취된 사람들이 일본 각지에서 이세 신궁으로 모여 참배하곤 하였다. 원래 일본에서는 허락을 받지 않으면 아랫사람들이 여행할 수 없었지만, 이세마이리 기간에는 무단으로 여행을 해도 묵인함이 관례였다. 이세 신궁 참배라고는 하지만 가는 길에 다른 명소에도 들러 관광을 하기 때문에, 일본의 여행문화가 이때 크게 발전했단 평도 있다. 이세마이리는 딱히 언제 한다고 정해진 것이 아니지만, 에도시대에 대략 60년에 한 번씩 있었다.[19] 원래 이름은 키미(きみ)였으나 후에 개명하였다.[20] 코칸의 생일이 음력으로는 텐포(天保) 8년(1837) 12월 15일이지만, 양력으로는 1838년 1월 10일이다. 그래서 생년을 1837년으로도 38년으로도 쓰지만, 여기서는 음력 날짜를 따라 1837년으로 표기하였다.[21] 한때 오사카 봉행소(奉行所) 관리였던 오시오 헤이하치로(大塩平八郎 1793-1837)라는 유학자가 대기근 와중에도 매점매석하는 상인들과 이들을 비호하는 벼슬아치들의 모습을 보고 분개하여 제자와 빈곤층을 이끌고 곡식을 빼앗아 나눠주고자 오사카에서 봉기한 사건. 오시오의 난 자체는 불과 하루도 안 되어 진압되었으나, 한때 관리였던 자가 이런 짓을 저질렀다는 사실에 막부 측은 큰 충격을 받았다. 진압과정에서 오사카 시내가 불타기도 했으나 다들 오시오의 대의에 깊이 공감했기 때문에 아무도 오시오를 원망하지 않았다. 오시오의 난은 다른 지방에도 비슷한 봉기가 일어나는 시발점이 되는 등, 막부 말기 사회 분위기에 큰 영향을 끼쳤다.[22] 학설에 따라선 1836년에 종료되었다고 보기도 한다.[23] 양력으로는 1838년 12월 10일 월요일[24] 일본어로 요세카지(寄加持)라고 부르는, 밀교에서 유래한 의례를 말한다. 슈겐도가 밀교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25] 트랜스 여부가 천리교 교조 미키와 오모토 교조 데구치 나오가 다른 점이다. 두 사람 다 19세기에 나이든 여자가 신들림 체험을 하여 종교 지도자가 되었다는 점이 같으므로 일본 종교학자들이 서로를 비교한다. 미키는 안 그런 경우도 많지만 종종 트랜스 상태에 빠져 자기 의지를 잃고 말한 반면, 데구치 나오는 트랜스 상태에 빠지지 않아서 정신을 잃지 않았다. 그래서 나오의 입을 통해서 신과 나오가 서로 대화할 수 있었다고 한다.[26] 양력으로는 1838년 12월 12일 수요일[27] 1838년은 조선은 헌종 4년, 청나라는 도광 18년, 일본은 텐포(天保) 9년이며 닌코 덴노가 재위하고 도쿠가와 이에나리에도 막부쇼군으로 있을 때였다.[28] 천리왕(天理王命) 등의 글귀가 씐 노보리 깃발을 들고 박자목을 두들기며 노래하는 식으로 하는 천리교식 길거리 선교. 우리나라에서도 가끔 천리교인들이 이렇게 길거리 선교를 하곤 한다. 천리왕의 이름을 사람들에게 들려주는 행위라서 '신의 이름을 (사람들에게) 흘리기'(神名流し)라고 표현한다.[29] 하지만 이 아이는 유아사망하였다. 미키는 아기가 자기 친정 아버지의 환생이라고 주장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신바시라 항목의 신노스케 참고.[30] 생몰: 1814-1883. 평생 동안 성과 이름을 여러 번 바꾸어 성명을 지칭하기가 어렵다. 일본에서 발행된 사전에도 카와테 분지(川手文治)나 카와테 분지로(川手文治郎), 아카자와 분지(赤沢文治) 등을 병용하여 표기한다. 생애 말년에 신탁을 받았다고 하며 이름을 콘코 다이진(金光大神)이라고 바꾸어 죽을 때까지 사용했으므로, 일본 위키백과 등은 표제어로 '콘코 다이진'을 사용한다.[31] 1827-1902. 야마나카가 살던 집은 오늘날 나라현 사쿠라이시(桜井市)에 있는 야마토마코토(大和眞) 분교회가 되었다. 지금도 그 후손이 교회장을 맡는다.[32] 원래 이름은 이마이 신지로(今井新治郎)라고 한다.[33] 오늘날 나라시 스케촌(都祁村)을 말한다.[34] 오늘날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大和郡山市) 코이즈미정(小泉町)에 있는 진언종 사찰. 천리교 본부에서 서쪽으로 직선거리 8.3 km 지점에 위치했다. 지금은 규모가 보잘것없지만 미키 생전에만 하더라도 위세가 상당했다고 한다. 이름으로 보아 부동명왕을 본존으로 모시는 듯하다.[35] 야마나카는 죽는 날까지 천리교인이었지만, 폭행당한 이후 대략 20년간 천리교와 거리를 두었다. 천리교가 교세가 더 커지고 어느 정도 법의 보호를 받게 되자 그제서야 다시 예전처럼 활동했다.[36] 일본 신토의 한 유파인 요시다 신토의 종주 가문. 요시다 카네토모(吉田兼倶 1435-1511)가 시조 격 인물이라 요시다 신토라고 불리는데 근대까지 일본 신토계의 주류였다. 그 종주인 요시다 가문은 메이지 정부가 부정하기 전까지는 일본 각지의 신사 관련직책을 임명하는 권한이 있었으므로 요시다 신토는 빠르게 일본 각지로 전파되었고, 17세기에는 요시다 가문이 신토계를 지배함을 인정받았다. 신토의 다른 유파인 이세 신토ㆍ스이카 신토 등이 대두되자 스이카 신토의 주장을 일부 수용하는 등 주도권을 놓지 않으려고 애썼으나, 1868년에 메이지 정부가 요시다 가문의 독점적 권한을 폐지함으로써 그 성세에 막을 내렸다.[37] 미키가 언급하는 여러 신들 중에는 일본 민속, 혹은 불교 등에서 말하는 존재들이 포함돼 있긴 했다. 그래서 학자들은 초창기에는 천리교도 다신교였으리라 본다. 하지만 천리왕 유일신으로 교리가 정립되어, 결국 미키가 언급했던 다른 존재들은 천리왕의 다른 이름, 혹은 비유에 불과하다고 해석했다.[38] 양력으로는 11월 9일부터 12월 8일 사이[39] 칠지도가 발견되고 소장 중인 곳으로도 유명하다.[40]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데 円照寺라고 쓰기도 한다. 미키가 살던 집터(오늘날 천리교 본부)에서 북쪽으로 4.7 km 거리에 있다. 1641년에 창건된 임제종 계열 비구니 사찰로 여의륜관음보살을 본존으로 모신다. 사건 불과 1년 전인 1873년까지 대대로 황녀나 세습친왕가의 여식이 문적(門跡 주지)이 되어 이어온, 격이 높은 사찰이다. 마지막 황족 문적은 후시미노미야 구니이에 친왕(伏見宮邦家親王)의 7녀 분슈(文秀).[41] 일본어로는 칸로다이(かんろだい)라고 읽는다. 우리나라에서는 台를 보통은 '별 태'라고 음과 뜻을 새기지만 '대'라고 읽을 수도 있는데, 이러면 대(臺)와 뜻이 같다.[42] 전륜왕은 전륜성왕을 가리키는데, 불교가 말하는 이상적인 성왕이다. 강사(講社)는 특정 신사나 사찰에 조직되어 종교생활을 하던 평신도 단체를 가리키는데, 스스로를 강사라고 칭하는 별개의 종교단체도 있었다. 그 대표가 후지산 신앙을 퍼트린 후지강이다. 참고로 일본어로 전륜왕은 텐린오라고 발음하여 천리왕(텐리오)와 매우 흡사하다.[43] 당시 천리교인들이 천리교를 불교에 가깝게 인식했다는 증거이다.[44] 일본이 공식적으로 1873년 1월 1일부터 양력을 사용했는데도 신문에서는 아직도 음력을 주로 사용한 듯, 아비코 사건을 보도한 신문에서 음력으로 날짜를 썼다.[45] 현대의 주소로는 오사카부 이즈미오쓰시(泉大津市) 아비코(我孫子).[46] 사건을 보도한 신문에서는 이름을 이와키치(岩吉)라고 하였다.[47] 메이지 시절부터 패전 이전까지 일본의 신토 관련 단체를 관할하던 조직인데, 형식상으로는 민간조직이지만 반쯤은 국영단체였다. 오늘날에는 신도대교(神道大教)라고 조직명을 바꾸고 민간종교단체로 활동한다.[48] 일본의 연호로는 메이지 20년.[49] 미키가 사망한 날은 양력으로 따지면 얄궂게도 1년 전에 이치노모토 경찰분소에 끌려간 바로 그 날이다.[50] 1864년에 오야마토 신사에서 미키의 추종자들을 옥에 가둔 모리야 치쿠젠노카미의 아들이다.[51] 한국식 한자로 읽으면 진도미광언지여명(眞道彌廣言知女命)이다. 토요다산 묘지에 있는 비석에는 정자체와 일본식 간자체를 섞어 天理教祖 真道弥廣言知女命이라고 새겼다.[52] 사망 1년 뒤인 1888년에 교조 1년제를 지내고, 사망 4년 뒤인 1891년에 5년제를 치렀다. 사망한 해를 1년으로 간주하면 1891년이 5년째. 그 뒤로는 사망한 해를 1년으로 쳐서 10년째 되는 해마다 교조 XX년제를 거행한다.[53] 원문을 다르게 번역할 수도 있으나, 여기서는 한국 천리교가 사용하는 번역문을 인용하였다.[54] 데구치 나오는 차라리 금광교와 관계가 깊었지 천리교와는 별 관계가 없었다.[55] 천리교 역사에서 한자와 독음까지 똑같은 동명이인이 많지만, 여기서는 나카쓰(中津) 대교회의 창립자를 말한다.[56] 천리교에서는 스스로를 가리며 '이 길(この道 코노 미치)'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므로, 천리본도(텐리혼미치)란 이름은 자신들이 천리교의 진정한 길(진정한 천리교)라는 뜻으로 지은 이름일 것이다. 혼미치란 이름도 이와 같다.[57] 한국 천리교인들은 천리본도를 천리본길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혼미치라는 이름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58] 오모토신유도 원래는 역시 '오후데사키'라고 불렀다. 그래서 오니사부로는 거꾸로 천리교의 미키가 쓴 친필(오후데사키)를 천리교신유(天理敎神喩)라고 부르기도 하였다.[59] 일본 정부의 법에 순응해야 했다고 응법이라고 하는 듯하다. ‘길’ 혹은 ‘이 길’이라는 말은 천리교인들이 자기네 신앙을 가리키는 관용적 표현이다. 즉 응법의 길이란 '법에 순응해야 했던 천리교'란 뜻일 것이다.[60] 1974년, 84년에도 천리교 본부는 장애인 차별 문제로 홍역을 치르었다고 한다.[61] 미키가 마지막으로 유치장 신세를 진 그 경찰서 분소를 뜻한다.[62] 이때 천리교 본부는 야시마가 한국에까지 가서 자기 주장을 가르쳤다고 하였으나, 야시마는 자기는 적어도 10년간은 해외에 다녀온 적이 없다고 이를 부정하였다.[63] 여기서 혼쓰마하라ㆍ혼아즈마처럼 本(혼)+지명 형태로 된 교회명이 자주 나오는데, 해당 지역의 근본(本)이 되라는 뜻에서 붙이는 천리교 토혼(東本) 대교회식 작명이라고 한다.[64] 고사기일본서기의 창세 부분에서 '이런 신들도 있었다' 하면서 한 줄 언급되고 마는 신이지만, 그 이름이 국토의 영원한 존립을 뜻하기 때문인지 일본 근대의 종교가들이 중요하게 여겼다. 천리교보다 수십 년 늦게 시작한 오모토에서도 교조 데구치 나오에게 계시를 내린 신이 쿠니노코타치라고 해석한다.[65] 한국에서는 같은 뜻으로 심주(心柱) 혹은 찰주(擦柱ㆍ刹柱)라는 말을 사용한다.[66] 야마자와의 아내 히사(ひさ)는 신노스케의 누나이다. 그러므로 쇼젠에게 야마자와는 고모부로 꽤 가까운 친척이다.[67] 음력으로는 1833년생[68] 한자로는 上田奈良糸라고 쓰지만, 보통은 이름 부분을 가타가나로 쓴다.[69] 다만 수훈의 리가 한때 나라이토에게 있었다는 사실은 인정한다. 나라이토가 2대 혼세키였다는 사실을 모르면, 이부리 이조 사후에 왜 수훈의 리가 뜬금없이 나라이토에게 넘어갔는지 의아하게 생각할 수밖에 없다.[70] 원래는 신토에서 의례 중 부르는 노래를 가리킨다.[71] 일본어로는 '쓰키히'라고 읽는데, 일본의 옛 민간신앙에서 말하는 천신(天神)이다. 천리교에서는 쓰키히도 천리왕의 다른 호칭으로 여긴다. 이런 이해를 따른다면, 아래 이야기에서 이자나기와 이자나미에게 달과 해가 깃들었다는 말은 천리왕이 음과 양으로 나뉘어 각각 깃들었다는 식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하지만 천리교의 신앙을 빼고 보면, 월일은 월신(月神)과 일신(日神)이라는 별개의 신을 동시에 일컫는 말인 듯하다.[72] 일본 전통에서는 음양도의 영향으로, 북동쪽을 귀문(鬼門)이라 하여, 귀신이 드나드는 매우 불길한 방위로 여긴다. 사실여부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그래서 미키는 북동쪽에 사람이 잘못 먹으면 북을 수도 있는 복어를 배치했을지도 모른다.[73] 국협퇴존. 완전히 일본어식으로 읽으면 '쿠니노사쓰치노미코토'. 원래 일본서기 신대기 본문 첫장에서 신세칠대(神世七代)의 두 번째 신으로 (저절로 나왔다고) 설명하며, 고사기에서는 이자나미이자나기가 낳은 두 신, 오야마쓰미 신(大山津見神)과 노즈치 신(野椎神) 사이에서 태어났다고 설명한다. . 이 신의 이름은 '나라의 최초의 토지' '나라의 갓 만들어진 토지'를 뜻한다. '나라의 신성한 토지' 혹은 '나라의 벼(쌀)의 토지'라는 해석도 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남신이라고 하지만, 미키는 이 신의 이름을 암원숭이에 붙였다.[74] 이 이야기를 토대로 계산기를 두드려보면, 미키가 처음 신내림을 받은 해가 1838년이므로, 천리왕이 인류를 만들기로 정한 첫해는 서력기원전 9억 9만 8161년, 혹은 62년이란 소리가 된다. 시작이 되는 해를 0년으로 보는가 1년으로 보는가에 차이가 생긴다. 실제 지구의 역사에서는 선캄브리아대의 신원생대 초반으로, 초대륙 로디니아가 갈라지고 다세포 생물이 막 나타나기 시작한 무렵이다.[75] 이 이야기에 따르면 인간은 불과 만 년 전까지만 해도 물 속에서 살았다. 한국 천리교인들이 쓴 글을 보면 이 부분을 문자 그대로 믿는 모양이다.[76] 뜻을 풀이하면 '여자추형묘상의 리'는 '여자의 모형인 못자리(볍씨를 뿌려 모를 기르는 곳)의 이치', '남자추형종자의 리'는 '남자의 모형인 종자 씨의 이치'란 뜻이다. 여자를 못자리에, 남자를 씨앗에 비유하였다. 천리교에서는 각각의 교리를 리(理 이치)라는 단어로 표현하며 매우 자주 사용한다.[77] 으뜸인 리에서는 묘사가 없지만 다른 데에서는 대룡(큰 용)으로 표현한다. 월일에 해당하지만, 감로대 근행에서는 사자로 표현하여 충돌한다.[78] 기기신화에서 이 이름은 ‘오모다루’라고 읽지만, 천리교에서는 오모타리라고 읽는다. 오모타리로 읽을 경우 기존에 이야기된 적이 없는 신명(神名)이라, 신세7대가 아니라 기존에 존재하지 않은 신명으로 분류하는 사람도 있다.[79] 으뜸인 리에서는 묘사가 없지만 다른 데에서는 대사(큰 뱀)로 표현한다. 월일에 해당하지만, 감로대 근행에서는 사자로 표현하여 충돌한다.[80] 기기신화에서 이 이름은 쓰쿠요미라고 읽지만, 천리교는 쓰키요미라고 읽는다.[81] 한국인 신자들은 한자를 한국식으로 읽어 '출직'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한국어 출직(出直)은 숙직/당직 등을 마치고 나온다는 뜻이라 일본어 '데나오시(出直し)와 차이가 있으므로 좋은 번역이 아니다. 일본어 '데나오시'는 우리나라 건설현장에서도 재시공을 가리키는 현장용어로 쓰인다.[82] 창가학회의 시조인 니치렌은 이미 12세기에 말세가 시작했다고 주장했다.[83] 하지만 작정하고 달려드는 사람은 막지 못하기 때문에, 감로대가 넘어지는 사건이 몇 번 일어났다.[84] 표현은 감로라고 하는데, 한국인 천리교 신자들이 설명하는 것을 보면 액체가 아니라 다른 무언가인 듯하다.[85] 지금도 그런지는 알 수 없으나, 과거 한국 천리교에서는 비가 와도 감로대에는 빗물이 떨어지지 않는다고 신자들에게 말했다고 한다. 물론 사실이 아니다.[86] 현재는 상승기류로 인해서 가랑비 정도는 안 떨어진다고 한다. 실제로도 그런지는 모르겠다.[87] 그래서 교조전 자리가 미키가 사망한 곳이라고 착각하기 쉬우나, 미키가 사망한 장소는 휴식소라고 해서 따로 있다.[88] 이때 시중드는 사람들은 실제로 노인을 모시고 다니는 듯이 행동한다고 한다.[89] 망자의 이름, 본적 등을 적은 문서[90] 일본식 위패.[91] 일본 천리교에서는 목표 님(메도우 사마 目標様)라고 높여 부른다. 하지만 한국에서는 물건에 존칭을 붙이기가 어색하므로 이렇게 부르는 사람이 거의 없는 듯하다.[92] 일본어로는 쓰토메(つとめ), 또는 즈토메(づとめ)라고 한다.[93] 월차제는 딱히 천리교만의 용어가 아니다. 매월 한 번씩 하는 큰 제례를 일본에서는 흔히 쓰키나미노 마쓰리(月次祭)라 부른다. 일반적인 신토는 물론, 오모토 등에서도 사용하는 일반적인 종교용어이다. '월차제'란 그저 '쓰키나미노 마쓰리'를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었을 뿐이다. 대한천리교에서는 단어를 한국식으로 바꾸어 월례제라고 부른다.[94] 우연히 미키가 은신(사망)한 날도 1887년 (음)1월 26일이라 둘 다 날짜는 26일이기 때문에 착각할 수가 있으나, 미키가 살아있을 때부터 26일마다 제례를 지냈으므로 입교 기념제가 맞다.[95] 히라가나로 はっぴ, 가타카나로 ハッピ라고 쓰기도 한다. 한자로 쓰는 경우가 가나 문자로 쓰는 경우보다 조금 더 많다.[96] 일본 천리교에서 신상은 남다르게 '미조'라고 읽어도, 사정은 평범하게 '지조'라고 읽는다.[97] 사정교회는 정상적으로 운영할 수 없는 모든 교회를 가리킨다. 그래서 신단에 모신 목표가 사라졌다거나 교회장이 없다거나 하는 경우에도 사정교회로 분류한다.[98] 미키가 사망한 1887년을 1년으로 헤아려 100년이 되는 해에 거행한 대체. 그래서 1987년이 아니라 1986년에 거행한 것이다. 2016년에는 교조 130년제가 있었다.[99] 전조교 오사카의 당시 회장이 쓴 웹 게시물은 한번 주소가 바뀌었는데, 바뀌기 전 글에서는 피해자가 정진일(丁眞一)이라고 설명하였으나, 주소가 바뀐 뒤로는 C군이라고만 쓴다.[100] 액체(에키) 크로마토그래피와 사이언스를 합친 사명으로, 이름대로 크로마토그래피용품과 기타 과학 관련 기자재를 만드는 소규모 회사. 현재는 사명을 엘씨 사이언스로 바꾸었다.[101] 그런 이유로 2014년의 킨테츠-신만세 콜라보레이션 기획에 해당하는 14역 중 하나로 선정되어 기념권을 발매했다. 여담이지만 인근의 쿠죠역과 니카이도역이 각각 반무인역 내지 무인역 형태로 운영하는 탓에 원래 이 역에서 발매하는 텐리의 기념권 외에도 앞의 2역에서 담당할 예정이었던 쿠죠 츠키요와 니카이도 유리의 기념권까지 함께 취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