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리스트 == null
{{{#!html 2025년에 발매된 정규 8집}}}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 == null
[[Play(에드 시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Play(에드 시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Play(에드 시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2 == null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3 == null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4 == null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5 == null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6 == null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7 == null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8 == null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9 == null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if 같은문서10 == null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을}}}}}}
#!if 리스트 != null
한시적 넘겨주기로 연결되는 다른 문서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2025년에 발매된 정규 8집: }}}{{{#!if 같은문서1 == null
[[Play(에드 시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Play(에드 시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Play(에드 시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if 같은문서2 == null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if 같은문서3 == null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if 같은문서4 == null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if 같은문서5 == null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if 같은문서6 == null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if 같은문서7 == null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if 같은문서8 == null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if 같은문서9 == null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if 같은문서10 == null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 부분}}}}}}
[[에드 시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width=50%>
||<color=#fff,#fff>에드 시런
Ed Sheeran ||
]]Ed Sheeran ||
- [ 정규 앨범 ]
- ||<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노래 문서 ]
- ||<-5><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9b9b9b><bgcolor=#5a1b12>※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에드 시런의 노래||
<colbgcolor=#5a1b12><colcolor=#fff> 에드 시런 Ed Sheeran MBE[1] | |
| |
입스위치 타운 FC No. 17 | |
본명 | Edward Christopher Sheeran 에드워드 크리스토퍼 시런 |
출생 | 1991년 2월 17일 ([age(1991-02-17)]세) |
영국 잉글랜드 웨스트요크셔 주 핼리팩스 | |
국적 |
|
신체 | 172cm[2] |
가족 | 아버지 존 시런 어머니 이모겐 시런 형 매튜 시런 |
배우자 | 체리 시본(2019년 결혼~현재) |
자녀 | 장녀 라이라 안타르티카 시본 시런(2020년 8월생)[3] 차녀 주피터 시본 시런(2022년 5월생)[4] |
학력 | Thomas Mills High School |
직업 | 싱어송라이터, |
등번호 | 17 |
종교 | 기독교[6] |
활동 | 2011년 - 현재 |
데뷔 | 2011년 1집 '+' |
레이블 | 애틀랜틱 레코드 |
관련 링크 | |
음원사이트 링크 | |
서명 |
1. 개요
영국의 싱어송라이터.
뛰어난 작곡 능력, 아름다운 목소리, 중독성 있는 노래로 2010년대 이후 세계 대중음악계에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싱어송라이터 중 한 명으로, 노래를 들어보면 트레이드 마크나 다름 없는 어쿠스틱 기타를 기본 베이스로 깔고 팝 음악, 소프트 록, 발라드, R&B, 심지어는 힙합까지 다양한 장르를 소화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대표 앨범인 ÷만 들어봐도, 첫곡인 Eraser와 6번째 트랙 Galway Girl은 거의 80프로 이상 랩으로 채워져 있고, 메가히트를 친 4번째 트랙 Shape of You에서는 싱잉랩을 차용하기도 했다. 이런 능력은 그의 앨범 No.6 Collaborations Project에서 여실히 드러난다. 이 앨범에서 에드는 저스틴 비버, Khalid등의 팝, R&B 가수들과 협업을 하는가 하면, 에미넴, 50 Cent 등의 거물급 래퍼들, Travis Scott, Cardi B 등의 대세 래퍼들과 협업을 하기도 했다.
2025년 9월 기준 스포티파이에서 30억 스트리밍 곡을 3곡이나 보유한 유일한 가수이다.
유튜브에서 40억 조회수 이상 곡을 3개나 보유한 유일한 가수이기도 하다.
2. 활동 내역
2.1. 생애
예술가 집안 출신이다. 부친은 박물관 큐레이터로 현재는 대학에서 예술 관련 강의를 하고, 모친은 culture PR로 에드의 아버지와 아트 컨설팅 회사 Sheeran Lock을 설립했고 지금은 보석 디자이너로 활동 중이다. 형 Matthew는 TV와 영화 등에 사용되는 클래식 음악 작곡가이다. Ed 역시 어릴 적에 피아노와 첼로 등 클래식 음악을 배웠다.[7] 밥 딜런, 에릭 클랩튼[8] 등을 들으며 싱어송라이터의 꿈을 키웠다.어린 시절 에드 시런은 특이한 머리색, 의료사고로 인한 말더듬 때문에 학교폭력의 대상이었다고 한다. 이런 에드에게 아버지는 에미넴의 The Marshall Mathers LP를 사주고 듣게 했다고... 에미넴의 노래를 따라부르며 말더듬을 고쳤다고 한다. 이 부분은 2024년 1월 14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루었다. 그리고 12살 때 아버지와 더블린에서 데미안 라이스의 콘서트를 관람했는데 콘서트 아버지와 식사겸 방문한 식당에 데미안 라이스가 콘서트 후 같은 식당에 우연히 들렀는데, 이때 데미안이 에드에게 자신만의 음악을 하라고 조언을 해주었다고 한다. 13살 때부터 본격적으로 버스킹을 시작했다. 2008년에는 옷과 기타를 챙겨 집을 떠나 노숙생활을 하며 길거리 공연을 했다. 이때 버킹엄 궁전 밖의 아치형 공간에서 이틀 밤을 지내기도 했다. 2009년 메이저 레코드 회사와 접촉하여 계약 직전까지 갔으나 에드의 머리색을 바꾸고[9] 본인의 음악이 아닌 제임스 블런트[10]등의 잘 팔리는 음악을 따라 쓸 것을 강요하여 계약하지 않았다. 이 경험은 후에 "You Need Me, I Don't Need You"의 배경이 되었다.
어린 나이부터 기타와 작사를 시작해서 2005년에 녹음 작업을 시작하였고, 2008년부터 런던에서 지내면서 커리어를 쌓는다. 2010년에는 기타 하나만 들고 혈혈단신으로 미국으로 떠나 노래를 부르고 다니던 도중 제이미 폭스의 라디오 쇼에 나가게 되고 그의 눈에 띄어 그의 집에 있는 스튜디오에서 공짜로 녹음을 하는 등 많은 도움을 받는다. 이 일을 계기로 유튜브 등지에서 인지도를 쌓고 2011년 첫 메이저 싱글 'The A Team'을 발표한다.
2011년 The A Team이 히트를 치면서 성공 가도를 달렸고, 이어 낸 앨범들이 연달아 대박을 내 2010년대 아델과 함께 영국을 대표하는 솔로 가수이며 2개의 빌보드 1위 곡을 가지고 있다.[11]
2017년 6월 서훈 명단(2017 Birthday Honours)에서 5등급 대영제국 훈장(MBE) 수훈자로 선정되었다. 이에 따라 에드 시런의 이름 뒤에는 'MBE'가 붙게 되었다(관보링크).
2.2. 음악 활동
'The A Team'은 UK 차트 싱글부분 3위까지 기록[12]했고, 첫 정규 앨범인 '+'가 영국 내에서만 200만 장 이상 팔려 나가며 일약 스타덤에 오른다. 결국 2012 BRIT Award에서 영국 남자 솔로 아티스트 상과 올해의 영국 신인가수상의 2관왕을 차지하며 아델과 함께 주요 부분 2관왕에 올랐으며, 2013 그래미 어워드에서는 Song of the Year에 노미네이트되었다.[13]2014년 발매된 2집 'X'는 UK 앨범 차트에 1위로 데뷔하고 첫주에만 18만 장이 팔리는 등 큰 기대를 모았으며 평단과 대중 모두에게 긍정적인 평을 받고 있다. 발매 이후 빌보드 앨범 차트 1위를 기록하고, 첫 싱글 'Sing'은 UK 싱글 차트 1위에 오르는 등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했다. 후속 싱글 'Don't'도 히트했고 다음 싱글 'Thinking Out Loud' 빌보드에도 2위까지 올랐으나 마크 론슨과 브루노 마스의 Uptown Funk!가 14주나 1위를 하는 바람에 콩라인이 되었다[14]
2015 그래미 어워드에서 Album of the year 등 세 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지만 이번에도 수상에는 모두 실패했다. 대신 2월 말 열린 브릿 어워즈에서는 강력한 경쟁자 샘 스미스를 제치고 최우수 남자 솔로와 최우수 앨범상을 받았다. 앨범 판매량도 2015년 3월 현재 미국에서는 이미 전작의 성공을 넘어서고 영국에서도 전작의 판매량을 뛰어넘었다. 그리고 무려 2번째 투어만에 스타디움을 돌 정도로 투어 동원력까지 생겼다. 3일에 걸처 웸블리 스타디움에서 공연을 했는데[15] 모든 공연이 매진됐다. 이 X투어는 1억 5,000만달러라는 대성공을 거둔다.
2016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Thinking Out Loud가 올해의 노래 부문에 올랐고 수상까지 했다.
2015년 12월, 핸드폰, 이메일, SNS 활동을 내년 가을까지 일절 중단하겠다는 글이 올라왔다. 여행을 다니며 지금까지 놓친 것들을 보겠다고 한다. 더불어 정규 3집이 현재 작업중이며 지금까지 만들었던 것 중 최고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전체적으로 어쿠스틱 사운드 위주의 감미로운 팝 발라드 음악을 하지만, 랩[16]이나 비트박스도 구사한다.[17] 곡 하나하나의 완성도도 상당히 탄탄하며 깊이있고 로맨틱한 가사 역시 그의 아이덴티티 중 하나이다. 게다가 2021년 기준으로 아직 30살밖에 되지 않았다. 포스트 데미안 라이스[18] 등으로까지 불리며 브릿팝의 현재이자 미래를 이끌어갈 인재로 평가받는다.
2017년 1월 6일 드디어 신곡을 공개했다. 두개의 싱글을 공개했는데 제목은 Shape of You[19], "Castle on the Hill". 새 앨범의 제목은 '÷(Divide)'라고 한다. 앨범 ÷의 영국 첫날 판매량이 23만장을 기록했다고 한다. 첫날 판매량으로 이미 전작의 첫주 판매량을 넘어섰다.
÷ 가 공개되면서 공개 첫날 전세계에서 Spotify 재생횟수만 5673만건이 뜨면서 기록 경신을 했다. 종전 기록은 2016년에 나온 위켄드의 2집 앨범의 2,900만여건. 다른 노래들도 주목받으면서 에드 시런의 노래만 하루종일 6 870만건 재생되었다는데, 역시 종전 기록은 위켄드의 4,030만건이다. 이제는 핫한 뮤지션에서 전세계의 슈퍼스타로 올라선 듯 하다.
영국에서 672,000장이라는 엄청난 판매량으로 역대 남자 솔로 아티스트 중 최고 초동 판매량[20]을 기록하고 1위를 차지했다. 게다가 영국 주간 싱글 차트에서는 대박 사건이 일어났는데...
그냥 100위 안에 수록곡을 전부 올린 것도 아니고, 무려 차트 20위 안에 수록곡 16곡을 죄다 넣어 버렸다. 이제는 아예 아델, 콜플 수준의 영국 국민 가수의 반열에 올랐다고 봐도 좋을 것이다.
빌보드 역시 322,200장이라는 압도적인 판매량으로 1위를 차지하고, 대부분의 수록곡을 차트인시켰다. Shape of You 발매 직후 TLC의 No Scrubs에 대한 표절의혹이 있었고, 이에 No Scrubs의 저작자들과의 합의 하에 Shape of You의 공동작곡자로 등재하였다.
2017년 전세계 최고 인기 아티스트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만 2018년 그래미 어워드에서 완전히 물을 먹었다.[21] 노미네이션 발표 직전에 언론들은 최다 노미네이션을 예측했지만 제너럴 필드에 단 한개의 후보에도 이름을 못 올렸다. 하지만 그 이후 빌보드 뮤직어워드에서 올해의 아티스트포함 6관왕을 거두며 자존심회복에 성공했다. ÷투어는 투어일정 250회를 넘길정도의 초대규모 투어이다. 현재까지 투어성적을 보면 역대 남자솔로가수 월드투어 최고수익 기록을 깰 수 있는 전망이다. 이 투어로 인해서 에드 시런은 U2와 콜드플레이에 이어서 3번째로 가장 많은 투어 성적을 올린 아티스트가 되었다.
2.3. 진저브레드 맨 레코드
2015년 8월, 에드 시런은 자신의 레코드 레이블 진저브레드 맨 레코드를 설립한다. 에드 시런은 레이블의 첫번째 소속가수로 제이미 로슨과 계약하여 2015년 10월 앨범을 발매했다. 제이미 로슨은 이후 영국 앨범 차트에서 1위를 했다. 같은 해 12월에는 포이 반스와 계약했다. 2021년에는 메이지 피터스와 계약하자마자 그녀가 앨범을 발매하며 성공적인 출발을 도왔다.2.4. 내한 공연
- 2017년 10월 내한이 확정됐다. 자세한 내용은 6월 8일에 공개될 예정이라고 한다.10월 29일(일) 공연으로 확정되었다. 최근 인스타그램에 자전거 사고로 인해 왼쪽 팔꿈치, 오른쪽 손목 부상을 당했다는 글을 게시했다. 이 부상으로 인해 차후 있을 아시아 투어(서울 포함) 일정을 잠정 연기한다고 밝혔다. # 내한 공연이 취소되었다. 한국뿐만 아니라, 홍콩, 대만, 자카르타의 공연도 취소되었다. 일본 오사카, 도쿄, 필리핀 공연 역시 2018년 4월로 연기됐다. 링크
- 2019년 4월 21일 내한이 확정되었다. 장소는 인천송도달빛축제공원이다.# 오프닝 무대 공연으로 ONE OK ROCK이 확정되었으며 공연을 진행하였다.2019년 셋리스트
- 2024 아시아 투어에 한국이 있을 예정이었으나 잠실주경기장의 리모델링으로 없던 일이 되었다.
- 2028년 아시아 투어 예정이나 내한 여부는 아직 불확실하다.
3. 음악 특징
3.1. 루프 스테이션
이렇게 루프 스테이션[22]을 이용한 라이브 퍼포먼스가 유명하다. 기타를 두들기거나 비트박스를 해서 드럼 소리를 만들고, 자기 목소리를 입력해서 코러스를 만들고, 그 외 여러 소리들을 루프에 끼워넣어 굉장히 다채로운 사운드를 만들어낸다. 여러 악기들이 들어가있는 앨범 버전 곡들과는 달리 라이브 공연은 대부분 에드 혼자서 연주하게 되는데, 통기타 하나로 이 모든것들을 다 커버할 수는 없다보니 루프 스테이션을 활용하는 듯 하다. 현재에 와서도 그 큰 무대를 루프스테이션 하나로 꽉 채우는 사운드는 그의 콘서트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4. 디스코그래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드 시런/음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에드 시런/음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필모그래피
5.1. 영화
- 2021년 레드 노티스 - 본인 역
- 2016년 브릿짓 존슨의 베이비 - 본인 역
- 2018년 송라이터 - 본인 역
- 2019년 예스터데이 - 본인 역
- 2023년 sumotherhood - 노숙자 역
6. 음원 성적
6.1. 음원 차트
역대 스튜디오 앨범 4장의 UK 차트, 빌보드 200 순위를 나타낸 자료이다.굵은 글씨는 각 차트에서 1위를 한 앨범 / 싱글이다.
| |||||
발매일 | 제목 | 리드 싱글 | UK 차트 | 빌보드 차트 | 총 판매량 |
2011.09.09. | + | The A Team | 1위[23] | 5위[24] | 770만장 |
2014.07.20. | x | Sing | 1위[25] | 1위[26] | 1,187만장 |
2017.03.03. | ÷ | Shape of You | 1위[27] | 1위[28] | 1,378만장 |
2019.07.12. | No.6 Collaborations Project | I Don't Care | 1위[29] | 1위[30] | 110만장 |
2021.09.29. | = | Bad Habits | 1위[31] | 1위[32] | 130만장 |
2023.05.05. | - | Eyes Closed | 1위[33] | 2위[34] | 만장 |
2023.09.29. | Autumn Variations | American Town | 1위[35] | 4위[36] | 만장 |
2025.09.12. | Play | Azizam | 1위[37] | 5위[38] | 만장 |
6.2. 싱글 차트
<rowcolor=#36525c> 연도 | 타이틀 | | | 수록 앨범 |
<colbgcolor=#fff><colcolor=#36525c> 2011 | Hush Little Baby[39] | 35위 | - | |
The A Team | 3위 | 16위 | + | |
You Need Me I Don't Need You | 4위 | - | ||
Lego House | 5위 | 42위 | ||
Drunk | 9위 | - | ||
Gold Rush | 81위 | |||
Autumn Leaves | 84위 | |||
2012 | Small Bump | 25위 | ||
Wish You Were Here | 34위 | |||
(All Along The) Watchtower[40] | 7위 | |||
Give Me Love | 18위 | + | ||
Everything Has Changed[41] | 7위 | 32위 | ||
2013 | Old School Love[42] | - | 93위 | |
I See Fire | 13위 | - | ||
2014 | Sing | 1위1주 | 13위 | × |
Don't | 8위 | 9위 | ||
Bloodstream | 2위 | - | ||
Thinking Out Loud | 1위2주 | 2위 | ||
I'm A Mess | 49위 | - | ||
Tenerife Sea | 62위 | |||
The Man | 82위 | |||
One | 18위 | 87위 | ||
Afire Love | 59위 | 37위 | ||
Nina | 57위 | - | ||
Runaway | 71위 | |||
Take It Back | 85위 | |||
All Of The Stars | 46위 | |||
Make It Rain | 38위 | 34위 | ||
2015 | I Will Take You Home | 69위 | - | |
All About It[43] | - | 71위 | ||
Photograph | 15위 | 10위 | × | |
Dark Times[44] | 92위 | 91위 | ||
Lay It All On Me[45] | 12위 | 48위 | ||
2017 | Shape of You | 1위14주 | 1위12주 | ÷ |
Castle On The Hill | 2위 | 6위 | ||
How Would You Feel (Paean) | 2위 | 41위 | ||
Perfect | 1위6주 | 1위6주 | ||
Galway Girl | 2위 | 53위 | ||
Dive | 8위 | 49위 | ||
Happier | 6위 | 59위 | ||
New Man | 5위 | 72위 | ||
Supermarket Flowers | 8위 | 75위 | ||
What Do I Know? | 9위 | 83위 | ||
Eraser | 14위 | 90위 | ||
Hearts Don't Break Around Here | 15위 | 93위 | ||
Barcelona | 12위 | 96위 | ||
Nancy Mulligan | 13위 | - | ||
Bibia Be Ye Ye | 18위 | |||
Save Myself | 19위 | |||
Boa Me | 52위 | |||
End Game[46] | 49위 | 18위 | ||
2018 | River[47] | 1위1주 | 11위 | |
2019 | I Don't Care | 1위8주 | 2위 | No.6 Collaborations Project |
Take Me Back To London | 1위5주 | - | ||
Cross Me | - | 25위 | ||
Beautiful People | 1위1주 | 13위 | ||
Antisocial | - | 37위 | ||
BLOW | 60위 | |||
South of the Border | 4위 | 49위 | ||
Remember The Name | - | 57위 | ||
Best Part Of Me | 99위 | |||
Own It[48] | 1위3주 | - | ||
2020 | Those Kinda Nights[49] | 12위 | 31위 | |
2021 | Afterglow | 2위 | 29위 | |
Bad Habits | 1위11주 | 2위 | = | |
Shivers | 1위4주 | 4위 | ||
Visiting Hours | 5위 | 75위 | ||
Overpass Graffiti | 4위 | 41위 | ||
Run (Taylor's Version)[50] | - | 47위 | ||
Everything Has Changed (Taylor's Version)[51] | 63위 | |||
Merry Christmas[52] | 1위3주 | 21위 | ||
Sausage Rolls For Everyone[53] | 1위1주 | - | ||
2022 | Peru[54] | 2위 | 53위 | |
The Joker And The Queen | 2위 | 21위 | = | |
Sigue[55] | 96위 | 89위 | ||
Bam Bam[56] | 7위 | 21위 | ||
2step | 9위 | 48위 | = | |
2023 | Eyes Closed | 1위1주 | 19위 | - |
Boat | 15위 | - | ||
Life Goes On | 29위 | 66위 | ||
Curtains | 16위 | 97위 | ||
American Town | 27위 | - | ||
2025 | Azizam | 3위 | 28위 | Play |
Old Phone | 17위 | 89위 | ||
Sapphire | 5위 | 74위 | ||
A Little More | 18위 | - | ||
Camera | 16위 |
7. 뮤직비디오
"The A Team"
"You Need Me, I Don't Need You"
"Small Bump"
"Sing"
"Don't"
"Thinking Out Loud"
"Castle On The Hill"
"Perfect"
"Shape of You"
이 노래는 현재까지 에드 시런의 생애 최고의 히트곡으로 조회수 무려 60억을 넘은 뮤직비디오다. 30억뷰를 넘긴 뮤직비디오가 3개나 있는 유일한 가수다. [57] 심지어 국내 음원차트인 멜론에서 6월 월간차트 5위를 차지했을 정도로 한국에도 많이 알려졌다.[58] 거기에다 팝송 한정 노래방 인기곡 차트에서는 무려 She's Gone의 인기를 가볍게 압살하며 독보적 2위에 오른 상태다.[59] 그리고 2017년 42주차에 국내에서 1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팝송이 되었다. 이전까지 한국에서 1억 스트리밍을 달성한 팝송은 애덤 러빈의 Lost Stars와 샘 스미스의 I'm Not the Only One이 전부였다.
또한 이 곡은 빌보드 핫 100 Top 10에 33주 머물렀다. 즉, 첫 주 1위로 핫샷 데뷔한 이래로 33주동안 단 한 차례도 Top 10 밖으로 떨어진 적이 없다는 뜻이다.
Galway Girl
Happier
I Don't Care
Bad Habits
Shivers
Eyes Closed
8. 수상 목록
괄호 안의 숫자는 수상 또는 후보 부문 개수연도 | 수상 | 후보 | |||
<colbgcolor=#5a1b12> 2011 | 4Music Video Honours BT Digital Music Awards MOBO Awards Q Awards (2) | ||||
2012 | BRIT Awards (2) Ivor Novello Awards | Aria music Awards BRIT Awards (2) MOBO Awards (3) MTV 어워즈 Pollstar Awards | |||
2013 | BMI Awards | ARIA Music Awards 그래미 어워드 Houston Film Critics Society Awards iHeartRadio Much Music Video Awards JIM Awards MTV Video Music Awards NME Awards | |||
2014 | BBC Music Awards BMI Awards MTV Video Music Awards Premios 40 Principales Q Awards Radio Disney Music Awards | 4Music Video Honours Aria Music Awards BBC Music Awards 그래미 어워드 (2) iHeartRadio Much Music Video Awards JIM Awards MOBO Awards MTV 어워즈 (2) NRJ Music Awards | |||
2015 | American Music Awards BRIT Awards (2) Echo iHeartRadio Much Music Awards (2) Ivor Novello Awards JIM Awards (3) MTV 어워즈 (2) NRJ Music Awards People’s Choice Awards (2) Radio Disney Music Awards | American Music Awards (4) ARIA Music Awards BBC Music Awards (2) 빌보드 뮤직 어워드 (5) BRIT Awards 그래미 어워드 (3) iHeartRadio Much Music Awards iHeartRadio Music Awards (2) JIM Awards MTV 어워즈 MTV Italian Music Awards (3) MTV Video Music Awards (6) Premios 40 Principales (2) Premios Juventud | |||
2016 | Echo 그래미 어워드 (2) People’s Choice Awards Radio Disney Music Awards | Billboard Latin Music Awards 빌보드 뮤직 어워드 (3) BRIT Awards (2) 그래미 어워드 (2) iHeartRadio Music Awards (4) Nickelodeon Kid’s Choice Awards (2) People’s Choice Awards | |||
2017 | Goldene Kamera iHeartRadio Much Music Video Awards | iHeartRadio Much Music Video Awards (2) 그래미 어워드 | |||
2022 | 빌보드 뮤직 어워드 (1) | 빌보드 뮤직 어워드 (5) |
9. 작사, 작곡
연도 | 아티스트 | 곡명 | 수록 앨범 |
2010 | 올리 머스 | Love Shine Down | Olly Murs |
2011 | 원디렉션 | Moments | Up All Night |
2012 | Little Things | Take Me Home | |
Over Again | |||
2014 | 제시 웨어 | Say You Love Me | Tough Love |
원디렉션 | 18 | Four(원디렉션) | |
2015 | 릭스턴 | Hotel Ceiling | Let The Road |
힐러리 더프 | Tattoo | Breathe In. Breathe Out. | |
저스틴 비버 | Love Yourself | Purpose | |
2016 | 메이저 레이저 | Cold Water[60] | Major Lazer Essentials |
로비 윌리엄스 | Pretty Woman | The Heavy Entertainment Show | |
맷 테리 | When Christmas Comes Around | ||
2017 | 제임스 블런트 | Time Of Our Lives | The Afterlove |
Make Me Better | |||
자라 라슨 | Don't Let Me Be Yours | So Good | |
리암 페인 | Strip That Down[61] | LP1 | |
리타 오라 | Your Song | Phoenix | |
DJ 스네이크 | A Different Way[62] | ||
팀 맥그러 | The Rest of Our Life[63] | The Rest of Our Life | |
제시 웨어 | Sam | Glasshouse | |
제이미 로슨 | Can't See Straight | Happy Accidents | |
2018 | 키스 어번 | Parallel Line | Graffiti U |
와이 돈 위 | Trust Fund Baby | 8 Letters | |
숀 멘데스 | Fallin' All In You | Shawn Mendes | |
앤더슨 이스트 | All On My Mind | Encore | |
보이존 | Because | Thank You & Goodnight | |
베니 블랑코, 할시, 칼리드 | Eastside | FRIENDS KEEP SECRETS | |
앤 마리' | '2002 | Speak Your Mind | |
제스 글린 | Thursday | Always In Between | |
리틀 믹스 | Woman Like Me[64] | LM5 | |
올리 머스 | Moves[65] | You Know I Know | |
프리티머치 | Summer on You | ||
2019 | 웨스트라이프 | Hello My Love | Spectrum |
브라이언 아담스 | Shine a Light | Shine a Light | |
웨스트라이프 | Better Man | Spectrum | |
방탄소년단 | Make It Right[66] | MAP OF THE SOUL : PERSONA | |
웨스트라이프 | Dynamite | Spectrum | |
리암 페인 | Stack It Up[67] | LP1 | |
와이 돈 위 | What Am I | ||
웨스트라이프 | My Blood | Spectrum | |
One Last Time | |||
후티 & 더 블로우피시 | Wild Fire Love | Imperfect Circle | |
조엘 크루즈 | On My Way | ||
케니 체스니 | Tip Of My Tongue | Here And Now | |
퓨즈 ODG | Lazy Day[68] | ||
2020 | 할시 | Still Learning | Manic |
앨리샤 키스 | Underdog | Alicia | |
켈시 발레리니 | Love And Hate | Kelsea | |
2021 | 리타 오라, 이만벡, 데이비드 게타 | Big | Bang |
에이미 샤크 | Love Songs Ain't For Us[69] | Cry Forever | |
원 오크 록 | Renegades | ||
메이지 피터스 | Pyscho | You Signed Up For This | |
방탄소년단 | Permission to Dance | ||
앤 마리 | Beautiful | Therapy | |
JLS | Eternal Love | 2.0 | |
2022 | 루이스 카팔디 | "'pointless''' | |
포켓몬 | Celestial | ||
2023 | 에드 시런 | "'F64"' | |
2024 | 페리 에드워즈 | Forget About Us |
10. 평가
그의 가장 큰 특징은 어쿠스틱 기타와 힙합이라는, 서로 상극일 법한 악기와 장르를 접목시킨 스타일이라 할 수 있다. 1집 +부터 The A Team, Lego House와 같은 서정적인 어쿠스틱 노래를 하면서도, You Need Me, I Don't Need You와 U.N.I에서 속사포 랩 역시 소화했었다. Sing, Don't, Shape of You, Galway Girl의 흥행으로 이렇게 랩과 기타를 섞은 스타일은 에드의 시그니처 스타일이 되었다. 그리고 사칙연산기호를 쓴 앨범 제목들과 싱글 커버 등에서 드러나는 고양이 발자국, 앙증맞은 글씨체 등 유아틱한 요소들을 적절하게 활용한 것도 포인트.[70]타 가수의 곡을 본인의 색으로 바꿔 커버를 잘하는 가수로 유명하다. 본인의 스타일과 비슷한 Bon Iver의 Skinny Love, Coldplay의 Yellow 등 뿐만 아니라 소울, 그리고 힙합 역시 자유자재로 커버한다 [71]. 워낙 힙합을 좋아하기도 하고 랩과 비트박스를 능수능란하게 하기에 더 위화감이 없기도 하다. 비욘세의 Drunk in Love를 혼자서 커버했는데 그게 유명해져서 나중엔 결국 비욘세의 콘서트에서 콜라보레이션을 했다. 스티비 원더의 I Was Made to Love Her 커버 역시 매우 훌륭하다고 평가받는다.
싱어송라이터 답게 작곡 능력마저 출중하다. 한 예로 저스틴 비버와도 친한데, 그의 히트곡 Love Yourself[72]와 Cold Water[73]를 작곡했다.
11. 여담
싸이의 팬이라고 한다. 싸이 가면을 쓰고 나오는 모습이 포착됐고, 결국 싸이를 직접 만났다.
이후 싸이의 7집 앨범에도 참여했다! 자신의 싱글 'Sing'이 싸이 식으로 재구성된 일명 Sing(PSYmix)란 명칭으로 리믹스되어 수록되었다. 시런의 목소리는 하이라이트에 등장한다.
- 국내에서 유독 외모로 밈 반 진심 반으로 자주 까이는 가수다. Bad Habits의 싱글커버와 뮤직비디오가 공개됐을 때 불호가 압도적이었다. 실제로 이런 편지를 한국인 팬한테 받기도 했다.
- 저스틴 비버랑도 절친이다. 그를 음악적으로 예토전생시켜준 'Love Yourself'를 작사 작곡 해 주었으며[74] 콜라보곡인 I Don't Care 공개 전 인스타에 둘이서 손 잡고 있는 사진을 공개하기도 했다.
- 내한 당시 한국 팬에게 받은 팬레터를 인스타그램에 올렸는데, 여기서 주목할 부분은 "You are a little ugly but I love you." 결국 해외에서도 기사화 되었다. 투나잇 쇼에 출연해서 지미 팰런과 함께 직접 언급한 영상도 있다.
- 고양이를 매우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기묘 보호소에서 데려온 고양이 '그레이엄'을 키우고 있다. 그레이엄은 트위터 계정도 가지고 있는데, 팔로워 수가 6만명이 넘는다고. 시런은 이에 대해서 "내 고양이가 6만 3000명의 팔로워를 보유하고 있는 세상에 살고 있어서 기쁘다"라고 트윗을 남기기도 했다. 그레이엄은 에드 시런의 노래 "Drunk"의 뮤비에 출연하기도 했다. #
- 2016년 개봉한 영화 브리짓 존스의 베이비에 본인 역으로 잠깐 등장한다.
- 2017년 콜드플레이 내한 때 진행된 인터뷰에서 기타리스트 조니 버클랜드가 영국의 음악이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이유에 대해 질문받자 "에드 시런과 에드 시런"이라고 대답했다.
- 가장 좋아하는 아티스트로 폴 매카트니를 자주 언급했다 그래서 그런지 2019년 영화 예스터데이(영국 영화)에 에드 시런 본인으로 출연하며 Hey Jude를 Hey Dude로 바꿔버리는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비틀즈 헌정 무대에서 In My Life를 공연했다.
- 해리 스타일스와 꽤 친한 사이다. 둘이 레고를 하느라 밤을 세운 적도 있다고 한다.[75] 또한 현재 와이프인 체리와 사귈 적에, 체리네 집에서 혼자 캐리비안의 해적 레고를 완성한 후 그대로 집에 들고 가버렸다고 한다.
- 도미노 피자도 굉장히 좋아한다. 트위터에다가 'Om-nom-nom 익스프레스 디럭스 에디션' 피자를 만들어달라고 했는데 도미노 피자가 진짜로 만들었다. 안에는 고기, 올리브, 할라페뇨 고추, 모짜렐라 등이 들어 있다고 한다. 별칭으로는 에드 시런 스페셜이라고 불렸고 30% 세일도 했다고 한다.
- 평소에 에미넴의 엄청난 팬임을 자주 밝히고 다니는[76] 자타공인 에미넴빠이다. 밥 딜런과 비교를 하기도 할 정도로 우상처럼 여기고 있는 듯. 그 이유인 즉슨, 선술했듯이 본인이 어릴 때 에미넴의 MMLP가 나왔고 그 앨범이 자신의 어린 시절을 보내는데 큰 도움이 되었다고 밝혔다. 어렸을 때 말더듬이 있었는데, 에미넴의 랩을 따라하며 고쳐졌다고. 새 앨범이 나올 때마다 에미넴과의 콜라보가 있는지 화제가 되기도 하였는데 드디어 에미넴의 새 앨범 'Revival'에 <River>라는 곡으로 피처링에 참여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Revival은 12월 15일 발매 예정이며 앨리샤 키스, 비욘세 등 어마무시한 Revival의 피처링진 중 에드 시런의 이름이 가장 주목 받고 있다.[77]
- 2017년 릭 애슬리와 젠가 배틀에서 졌다.
- 심슨 시즌 29 10화에 피아노 치는 소년으로 출연하였다.
- 넷플릭스의 마피아 실화 영화 아이리시맨에 나오는 주인공 프랭크 시런의 먼 친척이라고 한다. 당연히 에드 시런은 마피아와 아무 관계가 없다.
- Thinking out loud 뮤비 촬영을 위해 살을 빼려고 맥주 대신 보드카를 마셨다고 한다.
- Don't 의 가사가 전 여자친구 엘리 굴딩에 관한 것이라는 얘기가 있다.
- 집을 떠나 뉴욕에 가서 공연을 할 때, 잘 곳이 없던 에드는 긴 시간 동안 버스킹과 노숙을 이어가며 생활했지만, 제이미 폭스의 라디오 쇼에 신청을 해서 나간 후 재능을 알아본 제이미가 자신의 집 소파에서 잘 수 있게 해줬으며, 소규모 공연에서도 음악을 할 수 있게 해주며 에드를 물심양면 도왔다.
- 휴대폰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한때 트위터를 자주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이제 더 이상 휴대폰을 쓰지 않으며, 아이패드 미니로 간단한 음악 작업이나 사진을 찍을 때 쓴다. 연락은 이메일로 주고받는다고 한다. #
- 시력 교정 수술을 받아서 더 이상 안경을 끼지 않는다.
- 가장 좋아하는 맥주는 '빅토리아 비터' 라고 한다.
- 자신이 만든 가장 최고의 레고는 자이언트 밀레니엄 팔콘과 자이언트 데스 스타(Death Star)라고 한다.
- 에드가 쓰는 글들을 보면 항상 키스를 의미하는 x를 붙이곤 하는데 끝에 x를 붙이는 것은 키스 표시라기 보다는 그냥 습관이라고 한다.
- 플러스 앨범의 U.N.I를 라이브로 부르는데 팬들이 자기보다 랩 파트를 더 잘 아는 걸 보고 부담을 느꼈다고 한다.
- 기타를 배울 때 자신이 배우고 싶어하는 곡으로 연습하라는 조언을 했다. 보통 남들이 배우는 곡으로 연습하면 열정을 잃을 수 있기 때문이다.
- 도시를 떠나 본인의 고향인 서퍽으로 가족과 함께 완전히 이사했다고 한다.
- 가장 좋아하는 색깔은 파란색이다.
- 가장 오랜 시간을 들여 완성한 곡은 You need me, I don't need you와 Photograph이며 Equals 앨범 중에서는 Shivers라고.
- 인내심이 없다고 한다. 노래 작업을 할 때 마저도 인내심이 없어 레고를 가져다 주지 않으면 계속 움직인다고 한다.
- 부모님, 와이프, 자식, 시부모 등 모두가 서퍽에 살고 있어 영원한 고향으로 여길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 에드 시런이 말하길 자신의 4집 앨범 리드 싱글 Bad Habits는 어느 사람하고와도 매치가 되며 자신과 같은 상황에도 매치가 될 수 있지만 중독에서 벗어나오지 못하는 마약 중독자들에게서도 매치가 가능하다고 말했다.
- 처음 3집 앨범을 준비할 때 리드 싱글을 Shape Of You와 Castle On The Hill을 내보내는 것을 굉장히 두려워 하였다고 한다. 에드 시런은 Castle on the Hill이 더 히트할 것이라 생각하여 Castle on the Hill을 단독 싱글로 내려 했으나 주위 사람들은 Shape of You를 추천했고 어느 곡이 이기나 두고 보자며 더블 싱글을 냈다고 한다. 그러나 결과는 Shape of You 문서 참고]
- 가장 좋아하는 곡은 Castle On The Hill이며 이유는 자신의 경험을 솔직하게 담아 내었기 때문에 정말 너무나 좋은 곡이라 말했고 부가적으로 또 좋아하는 곡은 The A Team이라 답했다. 이유는 자신이 고등학교 때 만든 곡이었고, 이 곡이 없었다면 지금의 자신은 없었을 것이라서 그만큼 고마운 곡이라고 말했다.
- 2021년 영화 레드 노티스에 출연하여 이집트 억만장자의 딸 결혼식에서 축가를 부르는 장면으로 특별출연하는데, 결혼 장물로 문제가 된 클레오파트라의 알 때문에 인터폴이 들이닥쳐서 저항하다가 얼떨결에 같이 체포되는 코믹한 장면을 보여줬다.
- 2023년 영국에서 가장 부유한 35세 이하 가수로 꼽혔다. #
- 13살 때 만든 음반 데모 CD가 경매에서 8천 파운드(약 1300만원)에 팔렸다.#
- 세금만 400억을 납부했다고 전해진다.
- 1월 19일 방영된 신비한 TV 서프라이즈 에서 <에드 시런의 구원자>라는 코너로 시런의 이야기가 나왔다.
- 시랜드 공국 남작(Baron) 작위가 있다.
- 스케줄 상 전용기 이용이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투어 중에도 기차나 일반 비행기를 이용한다고 한다.
11.1. 축구 사랑
열렬한 축구팬으로도 유명하다. 첼시 FC와 입스위치 타운 FC의 팬이라고 하는데, 첼시는 아버지의 영향으로 팬이 되어서 20년 넘게 응원 중이고, 입스위치 타운은 본인의 고향을 연고지로 하기에 어릴 적부터 응원해 왔다고 한다. 실제로 에드의 인스타그램에는 부인과 함께 입스위치 타운의 경기를 관람하는 사진이 업로드 된 적도 있다.2021년 9월 프랑스 파리에서 파리 생제르맹 FC의 경기를 보고 리오넬 메시와 마우리시오 포체티노를 만났다. 그 후 메시는 가족들과 함께 에드의 마이애미 공연을 보러갔다. #
잉글랜드의 축구선수 해리 케인과 아는 사이이며 몇 번 만난 적이 있다고 한다. 즐라탄 이브라히모비치와도 인연이 있는데, 즐라탄이 에드의 공연을 보러간 적이 있다. # 유로 2020때 데클란 라이스가 훈련에 5분정도 지각을 했을 때 벌칙으로 부른 노래 중 하나가 에드의 곡이었다. 다른 노래는 오아시스의 Wonderwall.
2024-25 시즌 입스위치가 2001-02시즌 이후 무려 23년만에 프리미어리그 승격에 성공하고 2024년 8월 17일 리버풀과의 홈 개막전에서 직관을 온 장면이 포착되었다.
11.2. 사생활
- 2018년 1월 약혼 사실을 발표했다. 여자친구 체리 시본은 영국 출신의 하키 선수이다. 에드 시런과 체리 시본은 같은 고등학교를 다녔지만, 교제를 시작한 것은 2015년 무렵부터였다. 에드 시런이 1년동안 쉴 때 체리 시본과 함께 여행을 다녔고, 그 무렵부터 같이 살기 시작했다고 알려져 있다. 에드 시런은 인터뷰에서 빨리 아빠가 되고 싶다고 말하기도 했다.
- 2020년 9월 1일, 출산 소식을 밝혔다. 여자아이이고, 이름은 Lyra Antarctica Seaborn Sheeran(라이라 안타티카 시본 시런)이라고 한다. 이후 에드시런은 자신의 첫째 딸인 라이라 안타르티카 시본 시런의 이름을 밝힌 것을 후회한다고 했다. 에드시런은 평소에도 자신의 사생활을 숨기기보다는 밝히지 않는 편이며, 그것을 싫어한다고 한다. 그래서 실제로도 핸드폰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도 그것 때문이라고 한다.
- 와이프인 체리 시본은 남편과 상관없이 자신의 사업을 꾸준히 추진하겠다 밝혔다. (임산부를 위한 의류 사업이다.)
- 테일러 스위프트의 절친이다. 에드시런이 Everything Has Changed, End Game, Run(Taylor's Version) 피처링을 해줬으며, 테일러도 에드시런의 The Joker And The Queen 피처링에 참여했다. 테일러 앨범 리마스터링 작업에 참여하기도 하였고, 테일러의 The Eras Tour 런던 공연에서 깜짝 게스트로 참여하여, 둘이 콜라보한 곡을 불렀다.
12. 논란 및 사건 사고
12.1. 레이디 가가 디스 사건
에드 시런은 2017년 7월경, 레이디 가가 팬덤인 '리틀 몬스터'에게 사이버 불링을 당한 후 트위터를 끊겠다고 선언한 적이 있었다.그런데 이런 사건이 있기 전에, 에드는 사실 한 인터뷰에서 레이디 가가를 저격하는 듯한 발언을 한 적이 있었다. "정규 앨범 2개만 히트시키고는 자기가 넘사벽이라고 믿는 아티스트는 되고 싶지 않다, 마치 절정을 찍고는 자기가 아직 건재하다는 걸 증명하려는 듯 슈퍼볼에 오르는 것처럼." 같은 발언이었는데, 당시 2017년 슈퍼볼 헤드라이너가 정규 앨범 2개를 성공시켰다가 3번째 앨범이 부진했던 가수였기 때문이다.[79]
다만 에드가 가가를 저격한 게 아니라는 의견도 존재한다. '정규 앨범 2개만 히트시키고 자기가 넘사벽이라고 믿고 싶지 않다'라는 부분은 에드 자신을 가리키는 것으로, 1, 2집을 히트 시켰지만 넘사벽이라며 자만하고 싶지 않다는 의미라는 것. 후에 따라오는 슈퍼볼 이야기는 미국에서조차 리스너들이 흔히 말하는 내용이고, 한동안 슈퍼볼 하프타임쇼가 그런 뉘앙스를 풍기는 헤드라이너를 섭외한 전적도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터뷰 타이밍 상 당시 1, 2집을 메가히트시킨 뒤 3집이 부진한 뒤로 파워가 떨어진 레이디 가가한테도 절묘하게 맞아떨어진 얘기라 가가의 팬덤인 릴몬들이 격노했었다. 결국 생각하기 나름.
아무튼 에드가 이런 릴몬들을 저격하는 인터뷰를 한 뒤로 다시 엄청난 비난에 휩싸이게 되자 레이디 가가가 에드 시런과 함께 찍은 사진을 인스타에 올리며, 에드에 대한 공격을 멈추라고 하기까지 할 정도였다. 이에 대해 에드는 별다른 서포트를 하지 않았다. 애초에 레이디 가가와 에드 시런이 불화가 있을 건덕지조차 없고 둘 사이는 당시에도, 그리고 현재까지도 좋다고 알려져있다.
12.2. 표절 논란
Shape of You는 표절로 알려져 있지만 표절이 아니다.[80]Photograph가 표절 논란을 일으켜 합의를 한 적이 있다. 그런데, Photograph의 합의 전 소송의 보상금 요구는 '200억' 규모의 소송이었다. 이길 수 없었고 합의를 안 할 수가 없는 상황. 에드는 Shape of You 표절 소송에서 승리한 뒤 뉴욕 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이때는 투어를 다니느라 시간도 없었고 그래서 합의를 했고 후회된다고 밝혔다.
그 외에도 마빈 게이의 곡 Let's get it on 을 표절했다는 가벼운 해프닝으로 끝이 난 Thinking Out Loud가 있다. 이것도 재판이 진행되었다. 이번 재판에서는 ‘이 재판이 자신의 음악을 창작하는 모든 뮤지션에게 위협이 된다’고 분노의 목소리로 주장하기도 하면서, 너무 억울한 나머지 재판 과정에서 직접 어쿠스틱 기타를 들고 손수 시연까지 보이기도 했다고 한다. 2023년 5월 4일(현지 시각) 배심원단은 표절하지 않은 것으로 결론내렸다. 재판 직후 이에 대해 에드 시런은 이전에 공약했던 은퇴 공약을 따를 필요가 없어졌다는 농담과 함께, 이러한 (근거 없는) 사건이 법정에까지 갈 수 있다는 사실이 믿기지 않는다는 성명을 냈다. 또한 재판 때문에 아일랜드에서 할머니의 장례식을 놓쳤다며 “그 시간을 되돌릴 수 없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판결 직후 소송 상대방 중 한 사람이었던 그리핀(공동 작곡)과는 대화를 나누고 미소를 지으며 포옹을 했다고 한다. AP 연합뉴스
12.3. SNS 썬버스트 게시 논란
2018년 2월 12일 조지 에즈라의 팟캐스트에 게스트로 출연하게 되면서 조지 에즈라의 인스타그램과 에드 시런의 인스타그램에, 썬버스트가 나오는 동영상이 게시되었다. 영상 효과라는 의견도 있다.인스타 게시물은 삭제되었지만, 노란 바탕에 뻗어 나가는 빨간 빛줄기 중앙에 빨간 원이 자리 잡은 사진이었다. 다만 본인이 아닌 관리자가 올린 게시물이다. 싸이의 팬이기까지 한데다가 논란 이후에 내한 이력도 있고, 또한 일본의 전쟁범죄를 찬양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올린 것은 아니므로 한국 내에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았다.
13. 둘러보기
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 '''[[틀:그래미 어워드 올해의 노래상 수상자(2000년~2019년)|Grammy Award for Song of the Year]]'''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rowcolor=#b69858>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 | | | |
Smooth | Beautiful Day | Fallin' | Don't Know Why | Dance with My Father | |
Supernatural | All That You Can't Leave Behind | Songs In A Minor | Come Away With Me | Dance with My Father | |
산타나 Feat. 롭 토마스 | U2 | 앨리샤 키스 | 노라 존스 | 루더 밴드로스 | |
<rowcolor=#b69858>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 | | | | |
Daughters | Sometimes You Can't Make It on Your Own | Not Ready to Make Nice | Rehab | Viva la Vida | |
Heavier Things | How to Dismantle an Atomic Bomb | Taking the Long Way | Back to Black | Viva la Vida or Death and All His Friends | |
존 메이어 | U2 | 딕시 칙스 | 에이미 와인하우스 | 콜드플레이 | |
<rowcolor=#b69858>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 | | | | |
Single Ladies (Put a Ring on It) | Need You Now | Rolling in the Deep | We Are Young | Royals | |
I AM...SASHA FIERCE | Need You Now | 21 | Some Nights | The Love Club EP, Pure Heroine | |
비욘세 | 레이디 에이 | 아델 | FUN. feat. 자넬 모네 | 로드 | |
<rowcolor=#b69858>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 | | | | |
Stay with Me (Darkchild Version) | Thinking Out Loud | Hello | That's What I Like | This Is America | |
In the Lonely Hour | x | 25 | 24K Magic | 싱글 | |
샘 스미스 | 에드 시런 | 아델 | 브루노 마스 | 차일디쉬 감비노 | |
'''' ← '''' → '''' | }}}}}}}}} |
| 그래미 어워드 4회 수상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최우수 팝 솔로 퍼포먼스상 | |||||
제59회 (2017년) | → | 제60회 (2018년) | → | 제61회 (2019년) | ||
Hello 아델 | → | Shape of You 에드 시런 | → | Joanne (Where Do You Think You're Goin'?) 레이디 가가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25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2000년 ~ 2024년을 통틀어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빌보드 핫 100과 빌보드 200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테일러 스위프트 | 드레이크 | 리한나 | 포스트 말론 | 에미넴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위켄드 | 비욘세 | 저스틴 비버 | 브루노 마스 | 어셔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마룬 5 | 아델 | 모건 월렌 | 에드 시런 | 케이티 페리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레이디 가가 | P!nk | 크리스 브라운 | 아리아나 그란데 | 칸예 웨스트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마일리 사이러스 | 앨리샤 키스 | 블랙 아이드 피스 | 저스틴 팀버레이크 | 넬리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니켈백 | 켈리 클락슨 | 머라이어 캐리 | JAY-Z | 릴 웨인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50 센트 | 켄드릭 라마 | 캐리 언더우드 | 브리트니 스피어스 | 빌리 아일리시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니키 미나즈 | 린킨 파크 | 이매진 드래곤스 | 루다크리스 | 루크 콤즈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Destiny's Child | 케니 체스니 | Future | Juice WRLD | T.I.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SZA | 에이브릴 라빈 | 래스컬 플래츠 | 크리스티나 아길레라 | 올리비아 로드리고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트래비스 스캇 | 릴 베이비 | 콜드플레이 | 제니퍼 로페즈 | 배드 버니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플로 라이다 | Akon | 루크 브라이언 | 토비 키스 | 팀 맥그로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제이슨 알딘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해리 스타일스 | 레이디 에이 | 도자 캣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Creed | 마이클 부블레 | 두아 리파 | 샘 스미스 | 니요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아웃캐스트 | 케샤 | 카디 비 | R. 켈리 | 퍼기 | |||||
<rowcolor=#fff>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3 Doors Down | 원디렉션 | 아샨티 | 셀레나 고메즈 | 블레이크 쉘튼 | |||||
<rowcolor=#fff>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Ja Rule | Pitbull | Kid Rock | 트웬티 원 파일럿츠 | 제이 콜 | |||||
<rowcolor=#fff>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플로리다 조지아 라인 | 칼리드 | 션 폴 | Daughtry | *NSYNC | |||||
<rowcolor=#fff>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숀 멘데스 | 키스 어번 | 제이슨 데룰로 | 노라 존스 | 티페인 | |||||
<rowcolor=#fff>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조쉬 그로반 | 그웬 스테파니 | 산타나 | 앨런 잭슨 | Fall Out Boy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위 – 25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24년 빌보드에서 21세기 역사상 최고의 팝스타를 선정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와, 수상실적, 커리어, 뮤직비디오, SNS 화제성, 팬덤을 종합하여 산정한 리스트이다. #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욘세 | 테일러 스위프트 | 리한나 | 드레이크 | 레이디 가가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브리트니 스피어스 | 칸예 웨스트 | 저스틴 비버 | 아리아나 그란데 | 아델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어셔 | 에미넴 | 니키 미나즈 | 저스틴 팀버레이크 | 마일리 사이러스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JAY-Z | 샤키라 | 위켄드 | 방탄소년단 | 브루노 마스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릴 웨인 | 원디렉션 | 배드 버니 | 에드 시런 | 케이티 페리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위 – 125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19년 빌보드에서 빌보드 창간 125년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를 공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과 앨범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엘튼 존 | 머라이어 캐리 | 마돈나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마이클 잭슨 | 테일러 스위프트 | 스티비 원더 | 시카고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휘트니 휴스턴 | 폴 매카트니 | 엘비스 프레슬리 | 자넷 잭슨 | 로드 스튜어트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드레이크 | 프린스 | 리한나 | 빌리 조엘 | 가스 브룩스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허브 앨퍼트 | 에미넴 | 어셔 |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 닐 다이아몬드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슈프림즈 | 이글스 | 비 지스 | 비치 보이스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산타나 | 템테이션스 | 셀린 디옹 | 아레사 프랭클린 | 홀 앤 오츠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아델 | 비욘세 | 에릭 클랩튼 | 라이오넬 리치 | 레드 제플린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브루노 마스 | 존 덴버 | 마룬 5 | 올리비아 뉴튼 존 | 본 조비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필 콜린스 | 다이애나 로스 | 밥 딜런 | 존 멜렌캠프 | JAY-Z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도나 서머 | 니켈백 | 보이즈 투 멘 | 카펜터즈 | 저스틴 비버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레이디 가가 | 포리너 | 브리트니 스피어스 | 핑크 | 앨리샤 키스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케이티 페리 | 마일리 사이러스 | 잭슨 파이브 | 어스 윈드 앤 파이어 | 마빈 게이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U2 | 린다 론스태드 | 밴 헤일런 | 밥 시거 | 에어로스미스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블랙 아이드 피스 | 넬리 | 캐롤 킹 | 저스틴 팀버레이크 | 몽키즈 | |||||
<rowcolor=#fff> 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케니 로저스 | 하트 | 팀 맥그로 | 배리 매닐로 | R. 켈리 | |||||
<rowcolor=#fff> 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저니 | 사이먼 앤 가펑클 | 마이클 볼튼 | 에드 시런 | 켈리 클락슨 | |||||
<rowcolor=#fff> 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핑크 플로이드 | 퀸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칸예 웨스트 | 쓰리 도그 나이트 | |||||
<rowcolor=#fff> 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코모도스 | 폴라 압둘 | 브라이언 아담스 | 크리스 브라운 | 건즈 앤 로지스 | |||||
<rowcolor=#fff> 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데프 레파드 |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 린킨 파크 | 제임스 테일러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
<rowcolor=#fff> 101위 | 102위 | 103위 | 104위 | 105위 | |||||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 폴 사이먼 | 백스트리트 보이즈 | 릴 웨인 | 캐리 언더우드 | |||||
<rowcolor=#fff> 106위 | 107위 | 108위 | 109위 | 110위 | |||||
앤디 윌리엄스 | 스틱스 | 조지 마이클 | 셰어 | TLC | |||||
<rowcolor=#fff> 111위 | 112위 | 113위 | 114위 | 115위 | |||||
샤니아 트웨인 | 두비 브라더스 | 포 시즌스 | 피터 폴 앤 메리 | 케니 체스니 | |||||
<rowcolor=#fff> 116위 | 117위 | 118위 | 119위 | 120위 | |||||
데스티니스 차일드 | 50 센트 | 레이 찰스 | 제네시스 | 더 폴리스 | |||||
<rowcolor=#fff> 121위 | 122위 | 123위 | 124위 | 125위 | |||||
래스컬 플래츠 | 루다크리스 | 글로리아 에스테판 | 조지 해리슨 | 앨런 잭슨 | |||||
출처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마돈나 | 엘튼 존 | 엘비스 프레슬리 | 머라이어 캐리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스티비 원더 | 자넷 잭슨 | 마이클 잭슨 | 휘트니 휴스턴 | 리한나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드레이크 | 롤링 스톤스 | 폴 매카트니 | 비 지스 | 어셔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시카고 | 슈프림즈 | 프린스 | 홀 앤 오츠 | 로드 스튜어트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테일러 스위프트 | 올리비아 뉴튼 존 | 아레사 프랭클린 | 마룬 5 | 마빈 게이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케이티 페리 | 필 콜린스 | 빌리 조엘 | 브루노 마스 | 다이애나 로스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포 시즌스 | 템테이션스 | 도나 서머 | 비치 보이스 | 라이오넬 리치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닐 다이아몬드 | 카펜터즈 | 저스틴 비버 | 잭슨 파이브 | 보이즈 투 멘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코니 프랜시스 | 브렌다 리 | 더 위켄드 | 비욘세 | 크리스 브라운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케니 로저스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브라이언 아담스 | 셰어 | 블랙 아이드 피스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조지 마이클 | 핑크 | 바비 빈튼 | 존 멜렌캠프 | 레이디 가가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쓰리 도그 나이트 |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 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 본 조비 | 처비 체커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레이 찰스 | 포리너 | 쿨 & 더 갱 |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 리키 넬슨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듀란 듀란 | 저스틴 팀버레이크 | 코모도스 | 이글스 | TLC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폴 앵카 | 에미넴 | 배리 매닐로 | 디안 워윅 | 넬리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하트 | 포스트 말론 | 아리아나 그란데 | 에벌리 브라더스 | 칸예 웨스트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바비 다린 | R. 켈리 | 제임스 브라운 | 폴라 압둘 | 켈리 클락슨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앨리샤 키스 | 에드 시런 | 린다 론스태드 | 리처드 막스 | 데스티니스 차일드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셀린 디옹 | JAY-Z | 미라클스 | 디온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 | 닐 세다카 |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 포인터 시스터스 | 존 덴버 | |
출처 | }}}}}}}}} |
| 스포티파이 역사상 가장 많이 재생된 가수 6위 |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 ||||
| ||||
톱 아티스트상 | ||||
2017년 | → | 2018년 | → | 2019년 |
Drake | → | 에드 시런 | → | Drake |
역대 브릿 시상식 | ||||
| ||||
올해의 영국 앨범상 | ||||
제34회 (2014년) | → | 제35회 (2015년) | → | 제36회 (2016년) |
AM 악틱 몽키스 | → | x 에드 시런 | → | 25 아델 |
영국 남성 솔로 아티스트상 | ||||
제31회 (2011년) | → | 제32회 (2012년) | → | 제33회 (2013년) |
플랜 비 | → | 에드 시런 | → | 벤 하워드 |
제34회 (2014년) | → | 제35회 (2015년) | → | 제36회 (2016년) |
데이비드 보위 | → | 에드 시런 | → | 제임스 베이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ccc> | 브릿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 Brit Award for Best New Artist (1977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977년 | 1982년 | 1983년 | 1984년 | 1985년 |
그레이엄 파커 (남성) 줄리 코빙턴 (여성) | 휴먼 리그 | 야주 | 폴 영 | 프랭키 고즈 투 할리우드 | |
<rowcolor=#fff> 1986년 | 1987년 | 1988년 | 1989년 | 1990년 | |
고 웨스트 | 하우스마틴스 | 웻 웻 웻 | 브로스 | 리사 스탠스필드 | |
<rowcolor=#fff> 1991년 | 1992년 | 1993년 | 1994년 | 1995년 | |
베티 부 | 비벌리 크레이븐 | 타스민 아처 | 개브리엘 | 오아시스 | |
<rowcolor=#fff> 1996년 | 1997년 | 1998년 | 1999년 | 2000년 | |
슈퍼그래스 | 쿨라 쉐이커 | 스테레오포닉스 | 벨 앤 세바스찬 | S Club 7 | |
<rowcolor=#fff>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
A1 | 블루 | 윌 영 | 버스티드 | 킨 | |
<rowcolor=#fff>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악틱 몽키즈 | 프라텔리스 | 미카 | 더피 | JLS | |
<rowcolor=#fff>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타이니 템파 | 에드 시런 | 벤 하워드 | 바스틸 | 샘 스미스 | |
<rowcolor=#fff>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캣피쉬 앤 더 보틀맨 | 레그 앤 본 맨 | 두아 리파 | 톰 워커 | 루이스 카팔디 | |
<rowcolor=#fff>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알로 파크스 | 리틀 심즈 | 웻 레그 | RAYE | 라스트 디너 파티 | |
같이보기 : 영국 - 앨범, 싱글, 남성, 여성, 그룹, 신인 | }}}}}}}}} |
{{{#!wiki style="display:none;display:2015"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rowcolor=#1ed760> | 올해의 아티스트 (2013 ~ 2023)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rowcolor=#fff>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맥클모어 & 라이언 루이스 | 에드 시런 | 드레이크 | 에드 시런 | 드레이크 | |||
<rowcolor=#fff>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포스트 말론 | 배드 버니 | 테일러 스위프트 | |||||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ff,#ddd> | 2017년 최다 재생 아티스트 | }}} |
|
1 A. 파머 · 2 클라크 · 3 데이비스 · 4 키프레 · 5 마투시와 · 7 번스 · 8 에겔리 · 9 허스트 11 제이든 · 12 카쥐스트 · 14 테일러 · 15 영 · 17 시런 · 18 존슨 · 19 펄롱 20 매카티어 · 22 타운젠드 · 23 스모딕스 · 24 그리브스 · 25 바곳 · 26 [[다라 오셰이|오셰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b64a4; font-size: .8em"]] 27 버튼 · 28 월튼· 29 악폼 · 30 험프리스 · 31 아손 · 32 누녜스 · 47 J. 클라크 |
{{{#fff {{{#!folding 스태프 더보기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입스위치 타운 FC 2025-26 시즌 스쿼드 | ||||
1 | 2 | 3 | 4 | 5 | |
알렉스 파머 Alex Palmer 1996.08.10 2025~2028 | 해리 클라크 Harry Clarke 2001.03.02 2023~2026 | 리프 데이비스 Leif Davis 1999.12.31 2022~2028 | 세드릭 키프레 Cédric Kipré 1996.12.09 2025~2026 [1] | 아조르 마투시와 Azor Matusiwa 1998.04.28 2025~2029 | |
7 | 8 | 9 | 11 | 12 | |
웨스 번스 Wes Burns 1994.11.23 2021~2026 | 신드레 발레 에겔리 Sindre Walle Egeli 2006.06.21 2025~2030 | 조지 허스트 George Hirst 1995.02.15 2023~2029 | 제이든 필로진비데이스 Jaden Philogene-Bidace 2002.02.08 2025~2029 | 옌스 카쥐스트 Jens Cajuste 1999.08.10 2025~2026 [2] | |
14 | 15 | 17 | 18 | 19 | |
잭 테일러 Jack Taylor 1998.06.23 2023~2026 | 애슐리 영 Ashley Young 1985.07.09 2025~2026 | 에드 시런 Ed Sheeran 1991.02.17 - [3] | 벤 존슨 Ben Johnson 2000.01.24 2024~2028 | 다넬 펄롱 Darnell Furlong 1995.10.31 2025~2028 | |
20 | 22 | 23 | 24 | 25 | |
케이시 매카티어 Kasey McAteer 2001.11.22 2025~2029 | 코너 타운젠드 Conor Townsend 1993.04.03 2024~2026 | 사미 스모딕스 Sammie Szmodics 1995.09.24 2024~2028 | 제이콥 그리브스 Jacob Greaves 2000.09.12 2024~2029 | 엘칸 바곳 Elkan Baggott 2002.10.23 2020~2028 | |
26 (C) | 27 | 28 | 29 | 30 | |
다라 오셰이 Dara O'shea 1999.03.04 2024~2029 | 데이비드 버튼 David Button 1989.02.27 2025~2026 | 크리스찬 월튼 Christian Walton 1995.11.09 2022~2025 | 추바 악폼 Chuba Akpom 1995.10.09 2025~2026 [4] | 캐머런 험프리스 Cameron Humphreys 2003.10.30 2021~2026 | |
| | ||||
31 | 32 | 47 | - | - | |
이반 아손 Iván Azón 2002.12.24 2025~2026 [5] | 마르셀리노 누녜스 Marcelino Núñez 2000.03.01 2025~2029 | 잭 클라크 Jack Clarke 2000.11.23 2024~2029 | |||
입스위치 타운 FC 2025-26 시즌 임대 선수 | |||||
29 | 49 | 36 | 12 | 19 | |
시어런 슬리커 Cieran Slicker 2002.09.15 2023~2026 [6] | 아랴네트 무리치 Arijanet Murić 1998.11.07 2024~2028 [7] | 코너 채플린 Conor Chaplin 1997.02.16 2021~2026 [8] | 알리 알하마디 Ali Al-Hamadi 2002.03.01 2023~2028 [9] | 치에도지 오그베네 Chiedozie Ogbene 1997.05.01 2024~2028 [10] | |
<colbgcolor=#3b64a4> 구단 정보 | |||||
구단주: 에드 슈와츠 / 감독: 키어런 맥케나 / 홈구장: 포트먼 로드 |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6일 |
[1] 스타드 드 랭스에서 임대.[2] SSC 나폴리에서 임대.[3] 스폰서이자 열렬한 서포터인 에드 시런을 위해 헌정된 등번호. 2023-24 시즌에는 선수 명단에 포함되기까지 해서 실제로 경기를 뛰는 것도 가능하다.[4] AFC 아약스에서 임대.[5] 코모 1907에서 임대.[6] 바닛 FC로 임대.[7] US 사수올로 칼초로 임대.[8] 포츠머스 FC로 임대.[9] 루턴 타운 FC로 임대.[10] 셰필드 유나이티드 FC로 임대.
}}}}}}}}} ||
[1] 2017년 6월 서훈 명단(2017 Birthday Honours)에서 5등급 대영제국 훈장(MBE) 수훈자로 선정되었다. 에드 시런이 받은 훈장은 기사작위가 아니라 일반 5등급 훈장이다. 물론 훈장은 승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커리어를 잘 쌓아간다면 언젠가 기사가 될 수도 있다. 3, 4, 5등급 훈장만 받은 사람에게는 Sir나 Dame이 붙지 않는다.[2] #[3] 에드 시런이 9월 1일 인스타그램에 직접 딸 출산 소식을 알렸다. '지난 주에 출산했다'고만 말해서 정확한 출생일은 알 수 없지만 8월 28일로 팬들 사이에서 추정된다.[4] 에드 시런이 5월 20일 인스타그램에 직접 딸 출산 소식을 알렸다. '아름다운 아이를 가지게 됐다.' 라고만 말해서 정확한 출생일은 알 수 없지만 5월 18~19일 정도로 팬들은 추측하고 있다.[5] 입스위치 타운에서 팀의 광팬인 에드를 위해 등번호 17번을 헌정했으며 정식적으로 선수단 등록도 되어있다.[6] 영국인인걸 감안해 성공회로 추정된다.[7] Photograph 뮤직비디오에서 자세하게 확인할 수 있다.[8] 처음 기타를 배우며 연주한 곡은 로리갤러거의 곡이다. 출처 : https://musicfeeds.com.au/features/ed-sheerans-10-songs-that-shaped-defined-me/[9] Ginger가 일단 영국 내에서도 흔하지 않은 머리색이라 무척 눈에 띈다. 에드도 학창 시절 머리색 덕분에 놀림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유독 뜬금없는 괴담이 많기도 하지만 물론 사실이 아니다. 에드 팬들이 "Gingers don't have souls apart from Ed Sheeran!'이라고 하기도 한다.[10] 그 당시 영국에서 가장 잘 팔리고 인기가 많았다.[11] Shape of You(12주) Perfect(6주)[12] #[13] 아쉽게 상은 FUN.에게 돌아갔다.[14] 빌보드 8주째 2위를 기록했다. 심지어 연말차트에서도 마크 론슨과 브루노 마스에 막혀서 2위가 되었다.[15] 한 공연당 90,000명을 수용하는 공연장이다.[16] "I'm not a rapper I'm a singer with a flow", 2집 앨범 X의 수록곡 take it back 중에서[17] 어릴 때 부터 길거리에서 음악을 하며 배우고, 그것의 영향 덕에 여러 음악적인 능력들을 습득하였다.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면 지금의 다재다능한 에드는 없었을 것이다.[18] 상업적 성공은 데미안 라이스를 이미 훨씬 뛰어넘었다.[19] 현재 표절 관련 합의가 이루어진 상태.[20] 모든 가수 중에서는 3위. 1위는 80만장의 아델의 25, 2위는 76만장을 기록한 오아시스의 Be Here Now.[21] 물론 그래미는 인기만 보고 상을 주는 시상식이 절대 아니고, Divide가 음악적으로는 혹평을 받았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22] 소리를 입력하면 그걸 녹음해서 일정 간격으로 계속해서 재생하는 이펙터의 일종이다.[23] 영국 판매량 2,180,000장[24] 미국 판매량 1,335,000장[25] 영국 판매량 2,945,000장[26] 미국 판매량 2,385,000장[27] 영국 판매량 2,440,000장[28] 미국 판매량 1,535,000장[29] 영국 판매량 600,000장[30] 미국 판매량 250,000장[31] 영국 판매량 장[32] 미국 판매량 장[33] 영국 판매량 장[34] 미국 판매량 장[35] 영국 판매량 장[36] 미국 판매량 장[37] 영국 판매량 장[38] 미국 판매량 장[39] Wretch 32의 싱글을 피쳐링[40] Devline의 싱글을 피쳐링[41] Taylor Swift의 싱글을 피쳐링[42] Lupe Fiasco의 싱글을 피쳐링[43] Hoodie Allen의 싱글을 피쳐링[44] The Weeknd의 싱글을 피쳐링[45] Rudimental의 싱글을 피쳐링[46] Taylor Swift의 싱글을 Future와 함께 피쳐링[47] Eminem의 싱글을 피쳐링[48] Stormzy, Burna Boy와 합작[49] Eminem의 싱글을 피쳐링[50] Taylor Swift의 싱글을 피쳐링[51] Taylor Swift의 싱글을 피쳐링[52] Elton John과 합작[53] LadBaby의 싱글을 Elton John과 함께 피쳐링[54] Fireboy DML과 합작[55] J Balvin과 합작[56] Camila Cabello의 싱글을 피쳐링[57] Despacito, See You Again, 강남스타일 다음으로 조회수가 높다. 이제는 강남스타일, See You Again마저 넘어서고 2위에 등극했다.[58] 발매 후 몇 달이나 지나 프로듀스 101 시즌2 미션 곡으로 쓰이고 나서 히트를 친 것으로 보아 이 프로그램 덕이 큰 듯하다. Jessie J의 Bang Bang도 이런 식으로 1년이나 지나서 뒷북으로 국내 차트에 올랐다. 한국은 자국 음악시장이 유난히 발달해서 세계적으로 초대박친 노래도 멜론차트에서 찬밥 신세를 많이 받는다. 오디션 프로그램 파워가 있는 경우나 아델, 샘 스미스와 같이 이례적인 우리나라 고정 팝가수 몇 명빼고는 웬만해선 빌보드 인기곡을 국내 차트에서 보기는 어렵다.[59] 이 노래조차 제치지 못하고 있는 국내 노래방 인기 팝송 1위곡은 바로 Let It Go다.[60] 저스틴 비버, 뫼 피처링[61] 퀘이보 피처링[62] 라우브 피처링[63] 페이스 힐 피처링[64] 니키 미나즈 피처링[65] 스눕 독 피처링[66] 라우브 피처링[67] 에이 부기 윗 다 후디 피처링[68] 대니 오션 피처링[69] 키스 어번 피처링[70] 3집 Divide 이후로는 이런 요소들이 잘 부각되지 않는다.[71] 50 Cent - In Da Club, Blackstreet - No Diggity[72] 코러스를 에드가 직접 불렀다.[73] 자신의 앨범에 쓰려고 했다가 잊고 있었는데 갑자기 비버 측에서 사용하겠다고 하고 그게 빌보드 2위까지 하자 깜짝 놀랐다고 한다.[74] 원래는 F**k Yourself였다고 한다.[75] 2년 전 쯤 해리와 에드가 같이 곡을 쓴 적도 있다. 에드는 해리의 음악 스타일이 그때와 많이 다르기 때문에 이 곡을 발표할 계획은 없다고 한다.[76] 방송 중 에미넴의 노래인 The Real Slim Shady를 부르기도 하였다.[77] 참고로 에드 시런은 "에미넴이 자신을 만나고 싶어할 때까지 엠과 만나지 않겠다. 그가 에드 시런이 누군지 알았을 때, 나를 초대했을 때 만나겠다"고 얘기한 적이 있었다. 아무래도 엠이 에드 시런에게 제의를 먼저 한 것으로 보인다.[78] 물론 실제로 경기에 나서지는 않았으나 공식적으로는 입스위치 타운의 '선수' 신분인 셈.[79] 비욘세를 저격한 게 아니냐는 의견도 있었지만 히트작 2개라는 키워드에 맞지 않았다.[80] Shape of You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