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2 19:35:17

사미 스모딕스


1 A. 파머 · 2 클라크 · 3 데이비스 · 4 키프레 · 5 마투시와 · 7 번스 · 8 에겔리 · 9 허스트
11 제이든 · 12 카쥐스트 · 14 테일러 · 15 · 17 시런 · 18 존슨 · 19 펄롱
20 매카티어 · 22 타운젠드 · 23 스모딕스 · 24 그리브스 · 25 바곳 · 26 [[다라 오셰이|오셰이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b64a4; font-size: .8em"]]
27 버튼 · 28 월튼· 29 악폼 · 30 험프리스 · 31 아손 · 32 누녜스 · 47 J. 클라크
파일:UEFA EURO NIR.png 키어런 맥케나
{{{#fff {{{#!folding 스태프 더보기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사미 스모딕스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파일:EFL 챔피언십 로고.svg
파일:emirates-fa-cup-2020-logo.png
파일:블랙번 로버스 FC 로고.svg
베스트팀
[[PFA 올해의 팀|[[파일:PFA 심볼.svgheight=55]]]]
}}} ||
파일:2526 스모딕스(2).png
입스위치 타운 FC No. 23
사미 스모딕스
Sammie Szmodics
<colbgcolor=#3b64a4><colcolor=#fff> 본명 새뮤얼 조지프 스모딕스[1]
Samuel Joseph Szmodics
출생 1995년 9월 24일 ([age(1995-09-24)]세)
잉글랜드 콜체스터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일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일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잉글랜드|{{{#!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잉글랜드}}}{{{#!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헝가리|{{{#!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헝가리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헝가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68cm / 체중 67kg
포지션 공격형 미드필더, 중앙 공격수[2]
소속 <colbgcolor=#3b64a4><colcolor=#ffffff> 유스 콜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02~2013)
선수 콜체스터 유나이티드 FC (2013~2019)
브레인트리 타운 FC (2015 / 임대)
브리스톨 시티 FC (2019~2020)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 (2020 / 임대)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 (2020~2022)
블랙번 로버스 FC (2022~2024)
입스위치 타운 FC (2024~ )
국가대표 11경기[3] (아일랜드 / 2024~ )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3b64a4 {{{#!folding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3b64a4><colcolor=#ffffff> 응원가 Super Sammie Szmodics[4]
}}}}}}}}}}}} ||


1. 개요

헝가리계 및 아일랜드계 혈통을 지닌 잉글랜드 출신 축구선수. 현재 입스위치 타운 FC에서 뛰고 있다.

2. 클럽 경력

2.1. 콜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콜체스터 로컬 보이 출신으로, 7살에 유스팀에 입단하여 10년 넘게 지내면서 팀내 유망주로 성장해왔다. 그리고 2013-14 시즌 1군 선수들의 줄부상으로 기회를 잡아 18살의 나이에 프로에 데뷔했고, 다음 시즌에는 좀 더 많은 출전 기회를 부여받으며 35경기 5골을 기록하고 구단 올해의 영플레이어에 선정되었다.

2015-16 시즌에는 브레인트리 타운으로 임대를 다녀온 뒤 발목 부상을 당하면서 다음 시즌까지 고생했지만, 2017-18 시즌부터 부상을 털고 좋은 활약을 보여주기 시작했다. 그 결과 12월 한 달간 5경기 5골로 EFL 이 달의 선수에 선정되기도 했다. 또한, 프리미어 리그팀인 AFC 본머스와 이적 링크까지 뜨면서 최상위 리그에서도 주목하는 재능임을 보여주었다. 2018-19 시즌에도 팀내 최다 득점 2위에 빛나는 활약을 보여준 뒤 브리스톨 시티로 이적했다.

2.2. 브리스톨 시티 FC

16년간 정들었던 콜체스터에서의 생활을 마무리하고 브리스톨 시티와 3년 계약을 체결하면서 EFL 챔피언십에서 뛸 수 있는 기회를 잡게 되었다. 그러나 아직 챔피언십에서 자리 잡기에는 부족했던 모양인지 반 년간 5경기 출전에 그치면서 2020년 1월 16일 피터버러 유나이티드로 임대된다.

2.3. 피터버러 유나이티드 FC

2020년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피터보로에 합류한 뒤 후반기 동안 10경기 4골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시즌 종료 후 완전 이적을 체결하게 되었다.

피터보로로 완전 이적한 스모딕스는 2020-21 시즌에 팀의 에이스로 자리 잡으며 챔피언십 승격에 크게 일조했다.

2.4. 블랙번 로버스 FC

2022년 8월 1일, 블랙번 로버스와 3년 계약을 체결했다.

2.4.1. 2022-23 시즌

2022년 8월 6일, 스완지와의 원정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

첫 시즌, 좋은 활약을 보여주며 블랙번 올해의 영플레이어로 선정되었다.

2.4.2. 2023-24 시즌

본인의 커리어 하이 시즌

첫 달부터 뛰어난 활약으로 블랙번 8월 이달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9월 28일 기준, 리그 경기 5득점으로 팀에선 현 최다 득점자, 리그 내 현 공동 최다 득점자가 되었고, 블랙번 9월 이달의 선수로 선정되며 최고의 폼을 보여주고 있다.

11월 29일, 2026년까지 재계약하였다. 현재 팀에서의 폼은 완전한 에이스 그 자체로 급부상 중이다.

파일:우리 스모딕이가 또 일 냈어요.jpg

12월 8일, 4경기 6골을 기록하며 EFL 챔피언십 2023-24 시즌 11월 이달의 선수로 선정되었다.

현재 14골로 득점 순위에서 독보적 1위를 달리고 있다. 참고로 14번의 골들 중 페널티킥으로 넣은 골은 단 한번도 없었다.

이후 챔피언십에선 21골로 대회 득점 1위, FA컵에서는 해트트릭과 멀티골을 비롯해 3경기 6골로 브라이튼 앤 호브 알비온 FC주앙 페드루와 함께 대회 득점 공동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후반기에도 기복없는 경기력으로 꾸준히 득점을 해주었으며, 46R 리그 최종전 레스터 원정 경기에서 멀티골을 터트리며 2-0 승리를 이끌었다. 특히나 다른 잔류 경쟁팀들이 이기고 있던지라 더욱 값진 두 골이 되었다.

이로서 2023-24 시즌, 리그 27골로 리그 득점왕 등극과 함께 EFL 챔피언십 올해의 팀에 선정되면서 시즌을 아주 훌륭하게 마무리하였다. 하지만 팀은 강등권 직전까지 가는 등 영 좋지 못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활약에 힘입어 프리미어리그로 승격한 입스위치 타운으로의 이적이 유력해졌다.

2.5. 입스위치 타운 FC

2024년 8월 17일, 입스위치 타운 FC로 이적했다. 이적료는 £9M이며 계약 기간은 4년.

2.5.1. 2024-25 시즌

2라운드 맨체스터 시티 FC전에서 전반 7분만에 선제골이자 팀의 프리미어 리그 승격 첫골을 기록했다. 그러나 팀은 이후 내리실점해 1:4로 패배했다.

11라운드 토트넘 홋스퍼 FC와의 원정경기에서 오버헤드 킥으로 선제 득점을 해내며 팀의 2:1 승리이자 시즌 첫 승에 기여했다.

20라운드 풀럼 FC전 상대 수비수 칼빈 배시가 잘못 클리어한 볼을 그대로 슈팅으로 연결시켜 경기 선제골을 득점했다. 팀은 2:2 무승부.

3. 국가대표 경력

2021년 5월 28일, 칼럼 로빈슨아론 코널리가 부상으로 1군에서 제외된 이후 안도라헝가리와의 여름 친선경기를 앞두고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에 처음으로 소집되었다. 헝가리와의 경기는 잘 소화해내었으나 6월 2일, 안도라와의 경기를 앞두고 훈련에서 기존의 어깨 문제가 악화되며 명단에서 제외되었다.

이후 2023년 10월 8일, 날개 돋친 듯 챔피언십 최다 득점 순위에 단독 선두를 달리던 쉬모딕스가 드디어 유로 2024 예선 대비 대표팀에 다시 소집되었다. 다른 팀원들과는 다르게 살짝 늦게 소집된 건 덤. 쓸데 없는 얘기지만 이번에도 아론 코널리가 부상으로 1군에서 제외되며 소집된 것이다.

그러나 개인적 이유로 대표팀에서 하차했고 가족과 함께 영국으로 귀국하여 팀에서 훈련을 진행하게 되었다.

3월 17일, 다시 아일랜드 국가대표팀에 소집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172cm의 비교적 작은 체구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민첩성과 짧은 거리에서의 스텝워크, 회전 반경을 활용해 박스 근처에서 위협적인 움직임을 자주 보여준다. 특히 박스 바깥에서 하프스페이스로 파고드는 움직임이 날카롭고, 상대 수비 사이의 공간을 파악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활동량이 많은 스타일로, 경기 내내 쉼 없이 움직이며 팀의 공격 흐름에 적극적으로 관여한다.

블랙번 로버스에서 본격적으로 득점력이 만개하였는데, 특히 2023-24 시즌에는 챔피언십 득점왕에 오르며 본인의 커리어에서 정점을 찍었다. 단순히 문전 앞에서의 마무리뿐만 아니라 중거리 슛, 세컨볼, 역습 상황에서의 빠른 침투 등 다양한 방식으로 득점 루트를 창출해내는 것이 특징이다. 슈팅 타이밍을 빠르게 잡고, 백리프트 없이 감아차는 스타일이라 상대 입장에서는 예측이 어렵다.

공을 오래 끌지 않고 빠르게 처리하는 성향이라 전환 상황에서 특히 위력을 발휘한다. 볼을 잡으면 직접 치고 나가기보다는 원터치 패스나 짧은 연계로 공간을 벌리고, 다시 침투하는 루틴이 반복된다. 자신이 만든 공간을 다시 활용하는 구조를 통해 수비 라인 사이를 파고들고, 기회가 오면 과감히 슈팅을 시도한다. 주발은 오른발이지만 왼발도 어느 정도 활용 가능해, 커트인 혹은 역방향 전개 모두 가능하다는 점이 공격 전개의 다양성을 높여준다.

또한 압박에 대한 반응 속도도 빠른 편이며, 수비 상황에서 전방 압박에 적극적으로 가담하는 스타일이다. 역습 전개 시 세컨드볼을 따내는 집중력도 좋고, 본인이 직접 박스로 침투하거나, 혹은 침투하는 동료에게 결정적인 패스를 내주는 2차 플레이메이킹 역할도 수행한다. 이처럼 전방에서부터 수비까지 폭넓게 움직이는 다재다능한 공격형 미드필더로 평가받는다.

하지만 단점 역시 명확하다. 우선 피지컬적인 한계가 가장 크다. 수비적 압박을 받는 상황에서 버티는 능력은 다소 부족하고, 등지고 공을 받거나 압박을 견디면서 전개하는 유형은 아니다. 상대가 몸싸움이 강한 미드필더나 피지컬 수비수를 붙이면 고립되는 경우도 종종 발생한다. 또한 3선까지 내려와 빌드업에 관여할 때는 볼터치나 시야, 템포 조절 능력이 다소 평이한 수준이라 볼을 오래 잡거나 후방에서 템포를 이끄는 플레이는 어려운 편이다.

수비 전환 시에도 집중력이 다소 떨어지는 모습을 자주 보이며, 본인의 위치를 정리하지 못한 채 전방에 남아있는 경우가 잦다. 전방 압박에는 적극적이지만, 본격적인 수비 블록을 형성해야 할 상황에서는 이탈된 포지션이 오히려 팀 수비 전환을 방해하는 구조가 되는 경우가 있다. 즉, 하프라인 아래로 내려올수록 기여도가 떨어지는 전형적인 공격형 미드필더.

이로 인해 특정 팀 전술에 따라 활용도가 갈릴 수밖에 없는 선수다. 4-2-3-1에서 공격형 미드필더로 놓고 골 결정력에 집중시킨다면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지만, 4-3-3에서 자유도가 줄어들거나, 후방 빌드업을 요구하는 역할을 맡기게 되면 단점이 도드라진다. 또한 수비적 책임이 많은 구조에서는 오히려 약점이 부각되는 경우도 많다.

정리하자면 공간 감각과 공격 센스를 겸비한 득점형 미드필더로, 빠른 템포의 공격 전환과 영리한 박스 침투, 그리고 짧은 패스를 통한 연계 플레이에서 강점을 가진 선수이다. 반면 빌드업과 수비 기여, 피지컬 싸움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으며, 장점을 극대화하기 위해선 자유도를 주는 전술 설계가 필수적이다.

5. 기록

5.1. 개인 수상

6. 여담

파일:귀염둥이_사미 1.jpg 파일:귀염둥이_사미 2.jpg
<rowcolor=#fff>
바닥을 바라보는 사미[5]
다들 바지를 이상하게 입는다고 말하는 사미[6]
파일:귀염둥이_사미 3.jpg 파일:귀염둥이_사미 4.jpg
<rowcolor=#fff>
귀염둥이 사미[7]
  • 미남인데 동시에 귀염둥이 짓을 많이 한다. 입단한지 얼마 안되었음에도 팬들에게 상당한 인기를 받는 중이다.
  • 2023-24 시즌 써드 키트 광고 영상의 메인 모델을 맡았는데, 꽤나 연기를 잘한다.
  • 키가 굉장히 작다. 키가 작기로 유명한 171cm의 은골로 캉테보다 3cm나 작은 무려 168cm이다! 194cm의 장신 동료인 샘 갤러거와 같이 서서 있으면 꼬맹이 같아 보일 정도이다.
[youtube(AGUk9rhsiSc, start=5])]
슈퍼 사미 스모딕스

6.1. 경례 세리머니

파일:쉬모딕스-1.gif 파일:쉬모딕스-5.gif
<rowcolor=#fff>
2022-23 FA컵 16강 Vs. 레스터 시티 FC 0:'2'
2023-24 EFL 챔피언십 9R Vs. 레스터 시티 FC '1':1
파일:쉬모딕스-3.gif 파일:쉬모딕스-4.gif
<rowcolor=#fff>
2022-23 FA컵 8강 Vs. 셰필드 유나이티드 FC 1:'2'
2023-24 EFL 챔피언십 6R Vs. 미들즈브러 FC '2':0

특유의 경례로 유명하다. 팬들이 있는 쪽으로 가서 경례를 하는데 추격골이나 만회골이 아닌 이상 무조건 해주는 세레모니.

가끔 무릎 슬라이딩이나 다른 세레모니에 곁들이기도 한다. 역시나 간지는 철철 흐른다.

그 상징성을 인정받아 FIFA 23에도 추가되었다. 사람들은 대부분 이게 스모딕스의 세리머니인줄 모르지만 멋있고 간지난다는 평.

7.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입스위치 타운 FC 2025-26 시즌 스쿼드
파일:2526 파머.png
파일:2526 해리 클라크.png
파일:2526 데이비스.png
파일:2526 키프레.png
파일:2526 마투시와.png
1 2 3 4 5
알렉스 파머
Alex Palmer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6.08.10
2025~2028
해리 클라크
Harry Clark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1.03.02
2023~2026
리프 데이비스
Leif Davi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9.12.31
2022~2028
세드릭 키프레
Cédric Kipré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 DF
1996.12.09
2025~2026
[1]
아조르 마투시와
Azor Matusiwa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MF
1998.04.28
2025~2029
파일:2526 번스.png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파일:2526 허스트.png
파일:2526 제이든.png
파일:2526 카쥐스트.png
7 8 9 11 12
웨스 번스
Wes Burns

파일:웨일스 국기.svg | MF
1994.11.23
2021~2026
신드레 발레 에겔리
Sindre Walle Egeli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FW
2006.06.21
2025~2030
조지 허스트
George Hirst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FW
1995.02.15
2023~2029
제이든 필로진비데이스
Jaden Philogene-Bidac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2.02.08
2025~2029
옌스 카쥐스트
Jens Cajuste

파일:스웨덴 국기.svg | MF
1999.08.10
2025~2026
[2]
파일:2526 테일러.png
파일:2526 영.png
파일:입스위치 에드시런.jpg
파일:2526 존슨.png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14 15 17 18 19
잭 테일러
Jack Taylor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MF
1998.06.23
2023~2026
애슐리 영
Ashley You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85.07.09
2025~2026
에드 시런
Ed Sheeran

파일:영국 국기.svg | -
1991.02.17
-
[3]
벤 존슨
Ben Johns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0.01.24
2024~2028
다넬 펄롱
Darnell Furlo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5.10.31
2025~2028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파일:2526 타운젠드.png
파일:2526 스모딕스(2).png
파일:2526 그리브스.png
파일:2526 바곳.png
20 22 23 24 25
케이시 매카티어
Kasey McAteer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MF
2001.11.22
2025~2029
코너 타운젠드
Conor Townsend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1993.04.03
2024~2026
사미 스모딕스
Sammie Szmodics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FW
1995.09.24
2024~2028
제이콥 그리브스
Jacob Greave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DF
2000.09.12
2024~2029
엘칸 바곳
Elkan Baggott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 DF
2002.10.23
2020~2028
파일:2526 오셰이.png
파일:2526 버튼.png
파일:2526 월튼.png
파일:Chuba Akpom (IPS).png
파일:2526 험프리스.png
26 (C) 27 28 29 30
다라 오셰이
Dara O'shea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DF
1999.03.04
2024~2029
데이비드 버튼
David Butt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89.02.27
2025~2026
크리스찬 월튼
Christian Walto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GK
1995.11.09
2022~2025
추바 악폼
Chuba Akpom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5.10.09
2025~2026
[4]
캐머런 험프리스
Cameron Humphreys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MF
2003.10.30
2021~2026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파일:2526 잭 클라크(2).png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파일:입스위치 타운 FC 로고.svg
31 32 47 - -
이반 아손
Iván Azón

파일:스페인 국기.svg | FW
2002.12.24
2025~2026
[5]
마르셀리노 누녜스
Marcelino Núñez

파일:칠레 국기.svg | MF
2000.03.01
2025~2029
잭 클라크
Jack Clarke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2000.11.23
2024~2029
입스위치 타운 FC 2025-26 시즌 임대 선수
파일:2526 슬리커.png
파일:2526 무리치.png
파일:2526 채플린.png
파일:2526 알하마디.png
파일:2526 오그베네.png
29 49 36 12 19
시어런 슬리커
Cieran Slicker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GK
2002.09.15
2023~2026
[6]
아랴네트 무리치
Arijanet Murić

파일:코소보 국기.svg | GK
1998.11.07
2024~2028
[7]
코너 채플린
Conor Chaplin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FW
1997.02.16
2021~2026
[8]
알리 알하마디
Ali Al-Hamadi

파일:이라크 국기.svg | FW
2002.03.01
2023~2028
[9]
치에도지 오그베네
Chiedozie Ogbene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MF
1997.05.01
2024~2028
[10]
<colbgcolor=#3b64a4> 구단 정보
구단주: 에드 슈와츠 / 감독: 키어런 맥케나 / 홈구장: 포트먼 로드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9월 6일

[1] 스타드 드 랭스에서 임대.[2] SSC 나폴리에서 임대.[3] 스폰서이자 열렬한 서포터인 에드 시런을 위해 헌정된 등번호. 2023-24 시즌에는 선수 명단에 포함되기까지 해서 실제로 경기를 뛰는 것도 가능하다.[4] AFC 아약스에서 임대.[5] 코모 1907에서 임대.[6] 바닛 FC로 임대.[7] US 사수올로 칼초로 임대.[8] 포츠머스 FC로 임대.[9] 루턴 타운 FC로 임대.[10] 셰필드 유나이티드 FC로 임대.

}}}}}}}}} ||

{{{#!wiki style="color: #373a3c,#ddd; 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or: #555555"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클럽
GK 개빈 바주누
(Gavin Bazunu)
2002년 2월 20일 22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사우스햄튼 FC
마크 트래버스
(Mark Travers)
1999년 5월 18일 4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에버튼 FC
퀴빈 켈러허
(Caoimhín Kelleher)
1998년 11월 28일 23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브렌트포드 FC
DF 네이선 콜린스
(Nathan Collins)
2001년 4월 30일 29 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브렌트포드 FC
다라 오셰이
(Dara O'Shea)
1999년 4월 4일 35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입스위치 타운 FC
라이언 매닝
(Ryan Manning)
1995년 6월 14일 17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사우스햄튼 FC
리암 스케일스
(Liam Scales)
1998년 8월 8일 10 1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셀틱 FC
맷 도허티
(Matt Doherty)
1992년 1월 16일 52 3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울버햄튼 원더러스 FC
보선 라왈
(Bosun Lawal)
2003년 5월 30일 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스토크 시티 FC
제이크 오브라이언
(Jake O'Brien)
2001년 5월 15일 7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에버튼 FC
지미 던
(Jimmy Dunne)
1997년 10월 19일 1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퀸즈 파크 레인저스 FC
MF 잭 테일러
(Jack Taylor)
1998년 6월 23일 5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입스위치 타운 FC
제이슨 나이트
(Jason Knight)
2001년 2월 13일 39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브리스톨 시티 FC
조쉬 컬렌
(Josh Cullen)
1996년 4월 7일 42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번리 FC
킬리언 필립스
(Killian Phillips)
2002년 3월 20일 2 0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세인트 미렌 FC
핀 아자즈
(Finn Azaz)
2000년 9월 7일 7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사우스햄튼 FC
FW 마이키 존스턴
(Mikey Johnston)
1999년 4월 19일 15 2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웨스트 브롬위치 알비온 FC
사미 스모딕스
(Sammie Szmodics)
1995년 11월 22일 10 0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입스위치 타운 FC
아담 이다
(Adam Idah)
2001년 2월 11일 32 5 [[웨일스|
파일:웨일스 국기.svg
]] 스완지 시티 AFC
에반 퍼거슨
(Evan Ferguson)
2004년 10월 19일 22 5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AS 로마
조니 케니
(Johnny Kenny)
2003년 6월 6일 0 0 [[스코틀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 셀틱 FC
치에도지 오그베네
(Chiedozie Ogbene)
1997년 5월 1일 24 4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입스위치 타운 FC
케이시 매카티어
(Kasey McAteer)
2001년 11월 22일 6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입스위치 타운 FC
일정 2026 월드컵 지역예선 2025년 9월 7일(일)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 헝가리
2025년 9월 10일(수) 원정 [[아르메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 아르메니아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9월 2일
}}}}}}}}} ||

[1] 성인 Szmodics는 헝가리 출신의 증조할아버지로부터 물려받았다고 한다. 헝가리어의 sz와 cs는 각각 영어의 s와 ch에 대응하므로 원음은 '스모디치'에 가깝겠으나, ch로 읽기에 이질감이 있는 cs 부분은 영어식으로 읽어 '스모딕스'로 발음한다.[2] 폴스 나인. 2023-24 시즌 리그 6라운드 미들즈브러전에서 폴스 나인으로 활약하며 팀의 2:1 승리에 크게 기여했고, 이후로도 자주 그렇게 기용되고 있다.[3] 2025년 9월 7일 기준[4] 콜체스터 유나이티드 FC 시절부터 쓰여온 응원가인데, 간단하면서도 반복되는 비트가 귓가에 맴돌게 한다.[5] 무엇을 하고 있는 건지는 알 수 없다. 구단 공식 트위터에서도 사미가 뭐하길래 저러는 거냐 했으니 사미 본인만 알 듯. #[6] 정작 본인도 똑같이 접어서 입고 있다.[7] 단체사진을 찍을 때마다 이상한 표정을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