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23:26:11

라스트 디너 파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 bordercolor=#fff,#ccc> 파일:브릿 어워드 로고.png브릿 어워드 최우수 신인상 수상자
Brit Award for Best New Artist (1977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77년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그레이엄 파커 (남성)
줄리 코빙턴 (여성)
휴먼 리그 야주 폴 영 프랭키 고즈 투 할리우드
<rowcolor=#fff>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고 웨스트 하우스마틴스 웻 웻 웻 브로스 리사 스탠스필드
<rowcolor=#fff>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베티 부 비벌리 크레이븐 타스민 아처 개브리엘 오아시스
<rowcolor=#fff>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슈퍼그래스 쿨라 쉐이커 스테레오포닉스 벨 앤 세바스찬 S Club 7
<rowcolor=#fff>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A1 블루 윌 영 버스티드
<rowcolor=#fff>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악틱 몽키즈 프라텔리스 미카 더피 JLS
<rowcolor=#fff>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타이니 템파 에드 시런 벤 하워드 바스틸 샘 스미스
<rowcolor=#fff>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캣피쉬 앤 더 보틀맨 레그 앤 본 맨 두아 리파 톰 워커 루이스 카팔디
<rowcolor=#fff>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알로 파크스 리틀 심즈 웻 레그 RAYE 라스트 디너 파티
같이보기 : 영국 - 앨범, 싱글, 남성, 여성, 그룹, 신인 }}}}}}}}}
<colbgcolor=#333f3f,#333f3f><colcolor=#ffffff,#ffffff> 라스트 디너 파티
The Last Dinner Party
파일:the_last_dinner_party.jpg
활동 시기 2021년 ~ 현재
활동 지점 영국 런던
장르 인디 록, 바로크 팝, 글램 록, 아트 록
레이블 아일랜드 레코드
멤버 애비게일 모리스 (Abigail Morris)
에밀리 로버츠 (Emily Roberts)
리지 메이랜드 (Lizzie Mayland)
조지아 데이비스 (Georgia Davies)
오로라 니셰브치 (Aurora Nishevci)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멤버4. 음악적 성향5. 디스코그래피

1. 개요

영국 런던을 기반으로 하는 인디 록 밴드.

2. 상세

애비게일 모리스, 리지 메일랜드, 조지아 데이비스는 대학 진학 이전 부터 친구 사이였으며, 라스트 디너 파티에 대한 구상은 2020년 부터 시작했다고 한다. 2021년 부터 본격적인 밴드 결성이 되었으며, 후에 밴드원 각자의 추천으로 에밀리 로버츠와 오로라 니셰브치가 합류했다.

결성 당시 처음 밴드명은 디너 파티 (The Dinner Party)였으며, "쾌락에 빠진 큰 규모의 저녁 연회장 분위기"의 밴드를 만들기 위해 밴드명을 결정했다고 이야기 한 바 있다. 이후 카마시 워싱턴, 로버트 글래스퍼, 테라스 마틴, 9th 원더가 결성한 미국의 재즈/힙합 슈퍼 그룹 디너 파티(Dinner Party)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밴드명을 라스트 디너 파티로 바꿨다.

이후 아일랜드 레코드와 계약한 그들은 2023년 첫 싱글 Nothing Matters를 발매했으며, 이 싱글이 EA 스포츠 FC 24의 사운드 트랙에 들어가면서 큰 주목을 받게 된다. 영국 인디 차트에서 상위권을 기록함은 물론, 평론가들에게 좋은 평가를 받으면서 성공적으로 데뷔를 가진다.

이후 플로렌스 앤 더 머신의 투어를 서포트 하는가 하면, 글래스톤베리 페스티벌에서 공연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가져갔으며, 2024년 2월 2일 첫 정규 음반 Prelude to Ecstasy를 발매했다.

2024년 12월에는 브릿 어워드 라이징 스타 상을 수상했으며, BBC Sound of 2024에서 1위를 차지해 큰 화제를 가져왔다. Prelude to Ecstasy는 2024년 머큐리 프라이즈 후보에 이름을 올렸다.

2025년 10월 17일 두 번째 정규 앨범 From The Pyre을 발매했다.

3. 멤버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0000,#000000> 파일:Abigail_Morris.webp
이름 애비게일 모리스 (Abigail Morris)
생년월일 1999년 10월 19일
포지션 메인 보컬, 리더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0000,#000000> 파일:Emily_Roberts.webp
이름 에밀리 로버츠 (Emily Roberts)
생년월일 1998년 2월 5일
포지션 리드 기타, 만돌린, 플루트, 보컬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0000,#000000> 파일:Lizzie_Mayland.webp
이름 리지 메이랜드 (Lizzie Mayland)
생년월일 1999년 1월 31일
포지션 리듬 기타, 플루트, 보컬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0000,#000000> 파일:Georgia_Davies.webp
이름 조지아 데이비스 (Georgia Davies)
생년월일 1999년 5월 6일
포지션 베이스, 보컬
<colbgcolor=#ffffff,#ffffff><colcolor=#000000,#000000> 파일:Aurora_Nishevci.webp
이름 오로라 니셰브치 (Aurora Nishevci)
생년월일 1996년 8월 26일
포지션 키보드, 오르간, 피아노, 신디사이저, 기타, 보컬

4. 음악적 성향

바로크 팝아트 록, 글램 록을 결합한 스타일을 선보인다. 밴드 멤버가 클래식 전공자와 얼터너티브 뮤지션으로 구성되어 클래식 음악의 서사성과 드라마틱한 구조를 현대 인디 록의 문법으로 재해석한 독창적인 사운드를 선보인다. 스트링, 브라스, 하프시코드 등 웅장한 오케스트라적 편곡, 화려한 코드 진행, 극적인 구성으로 음악이 드라마틱하고 화려한 면이 강하며 리드 싱어 애비게일 모리스의 오페라적인 보컬과 퍼포먼스로 뮤지컬의 한 장면을 듣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연극적이고 화려한 감성으로 인해 플로렌스 앤 더 머신을 연상시킨다는 평을 받으며,[1] 명확하고 즉각적인 멜로디 라인에서는 ABBA의 영향이 보인다. 기발하고 괴짜스러운 감각 때문에 70년대 글램 록 밴드 Sparks와 자주 비교되기도 한다. 현대 록신에서 드물게 데이비드 보위, 록시 뮤직, 티렉스 등을 위시한 글램 록의 미학과 정신을 계승하고 있는 밴드이기도 하다. 대부분의 현대 록이 포스트 펑크, 개러지 록, 슈게이징, 드림 팝 계열이 주류를 이루는 가운데 글램의 과장된 감정과 연극성을 부활시킨 거의 유일한 신예 밴드다.

미니멀한 인디 밴드 스타일과 반대로 과장되고 화려한 디테일과 색채를 전면으로 내새우며 여성적인 강렬함을 부각시키는 것도 특징이다. 음악 몫지않게 시각적 미학도 밴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핵심으로 17~18세기 바로크와 로코코 시대, 19세기 빅토리아 시대 미학이 담긴 드레스, 코르셋, 스커트 등을 입고 화려한 장신구, 리본, 모자를 착용한 패션 스타일을 선보인다. 이러한 미학으로 남성 중심의 록 무대에서 '쎈 여성성'을 보여주는 대신 여성적인 화려함과 과잉을 전면에 내세우며 그룹의 독특한 정체성으로 확립했다.

가사적으로도 여성의 욕망, 자아, 사랑, 권력관계 등을 주제로 다루며 이를 종교적, 바로크적인 고전적 이미지와 결합시켜서 표현한다. 예를 들어 "Nothing Matters"는 여성의 성적 욕망을 과감하게 표현하고, "My Lady of Mercy"는 여성 화자의 퀴어적 욕망과 종교적 죄의식을, "The Feminine Urge"는 모녀간의 관계와 세대적 트라우마를, "Caesar on a TV Screen"는 고대 로마의 카이사르 이미지를 활용해 남성적 힘과 권력에 대한 환상과 갈망을 다룬다.

비주류 감성의 복원과 강력한 비주얼 아이덴티티, 데뷔 직후부터 비평적 지지와 상업적 반응을 모두 확보하며 플로렌스 앤 더 머신 이후 강렬한 록 아이콘이 될 잠재력이 있는 밴드로 평가받고 있다.

5. 디스코그래피

음반
<rowcolor=#ffffff,#ffffff> 커버 제목 발매
파일:Prelude to Ecstasy.jpg Prelude to Ecstasy 2024
파일:from-the-pyre_cover.jpg From The Pyre 2025

[1] 플로렌스 앤 더 머신의 신화적이고 낭만적인 감성을 공유하면서도, 더 도발적이고 세속적인 바로크적 미학을 내세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