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8 19:03:10

세미프레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2232C><colcolor=#fff> 빵류 피자(나폴리 피자 · 피자 마르게리타) · 브루스케타 · 칼조네 · 몽블랑 · 그리시니 · 포카치아 · 치아바타 · 판도로 · 파네토네 · 파니니 · 코르네토
면류 파스타(파스타/종류 · 스파게티 · 원팬 파스타) · 알리오 에 올리오 · 카르보나라 · 푸타네스카 · 카초 에 페페 · 봉골레 · 포모도로 · 아라비아타 · 아마트리치아나, 미네스트로네 · 라자냐 · 오븐 파스타 · 타야린
밥류 리조토 · 아란치니
고기류 코톨레타(밀라네제) · 스테이크(T본, 비스테카 알라 피오렌티나) · 관찰레 · 살라미 · 카르파초 · 카치아토레 · 판체타 · 포르케타 · 프로슈토
해산물 꼬제 · 아쿠아 파차
돌체 비스코티 · 젤라토 · 카놀리 · 카사타 · 티라미수 · 판나코타 · 그라니타 · 세미프레도 · 상귀나치오 돌체
액체/
소스류
토마토 소스 · 마리나라 소스 · 라구 소스(볼로네제) · 바질 페스토 · 올리브 오일 · 발사미코 · 포도주(키안티 · 프로세코 · 베르무트커피(에스프레소 · 아포가토 · 콘 판나 · 마키아토 · 카푸치노 · 카페 샤케라토 · 카페 로마노)
기타 인살라타 카프레제 · 뇨키 · 프로슈토 에 멜로네 · 마카롱
}}}}}}}}} ||


🍰 유럽의 디저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05em; word-break: keep-all; text-align:left"
<tablebgcolor=transparent><colbgcolor=#f9c><colcolor=#630>ㄱ갈레트 · 갸또 · 구겔후프 · 구디 · 그라니타
나폴레옹
다쿠아즈 · 담수가레 · 당근 케이크 · 돈두르마 · 드라제
랑그드샤 · 로쿰 · 뢰드그뢰드 메드 플뢰데 · 롤케이크
마들렌 · 마롱 글라세 · 마르지판 · 마카롱 · 말라사다 · 머랭쿠키 · 메도빅 · 모차르트 쿠겔 · 몽블랑 · 밀푀유
바바 오 럼 · 바바루아 · 바스크 치즈케이크 · 바움쿠헨 · 바클라바 · 버터 쿠키 · 베녜 · 뷔슈 드 노엘 · 블랑망제 · 비스코티 · 빅토리아 케이크
사바랭 · 사블레 · 살미아키 · 상귀나치오 돌체 · 샤를로트 · 셈라 · 세미프레도 · 쇼트브레드 쿠키 · 수플레 · 슈니발렌 · 슈바르츠발트 키르쉬토르테 · 슈크림 · 슈톨렌 · 슈트루델 · 스콘
아이스크림 · 아포가토 · 알파호르 · 애플 파이 · 에클레르 · 엔사이마다 · 오랑제뜨 · 오믈렛빵 · 오페라 · 와플 · 일 플로탕트
자허토르테 · 젤라토
추르치헬라 · 츄러스
카사타 · 카늘레 · 카놀리 · 퀸아망 · 크레이프 · 크렘 브륄레 · 크로캉부슈 · 크루아상 · 클라푸티
타르트 · 타르트 타탱 · 트라이플 · 트러플 · 티그레 · 티라미수
파네토네 · 파르페 · 파스텔 드 나타 · 파운드케이크 · 판나코타 · 판도로 · 퐁당 오 쇼콜라 · 푸딩 · 프랄린(벨기에) · 프랄린(프랑스) · 프린세스토르타 · 피낭시에 · 핑거 쿠키}}}}}}}}}
세미프레도
\textit{Semifreddo}
<nopad> 파일:Raspberry-Pistachio-Semifreddo_01_1290px.jpg

1. 개요2. 역사3. 만드는 방법4. 대중매체에서

1. 개요

세미프레도(Semifreddo)는 이탈리아에서 유래한 반쯤 얼린 형태의 디저트이다. 이름 자체가 이탈리아어로 '반쯤(semi) 차가운(freddo)'을 의미한다. 계란, 설탕, 크림을 주재료로 하여 공기를 주입한 뒤 얼려 만드는데, 아이스크림처럼 휘젓는 과정 없이 그대로 얼리는 것이 특징이다.

아이스크림보다는 가볍고 부드러우며 밀도 있고 단단한, 독특한 질감을 가진다. 마치 얼린 무스나 얼린 커스터드와 유사한 식감이다.

2. 역사

세미프레도의 정확한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그 역사는 그리 길지 않은 것으로 여겨진다. 19세기 말 이탈리아에서 처음 등장하여 20세기에 들어서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다.

프랑스의 파르페 글라세(Parfait glacé, 얼린 파르페)나 얼린 무스와 유사한 개념으로 이러한 냉동 디저트들이 이탈리아식으로 현지화된 형태로 발전했을 가능성이 있다.

3. 만드는 방법

먼저 계란 노른자와 설탕을 이용하여 베이스를 만든다. 이는 중탕으로 익히며 거품 내는 자바이오네(Zabaglione) 방식이나 우유, 크림을 넣어 끓이는 크렘 앙글레즈(Crème Anglaise) 방식으로 만들 수 있다. 여기에 녹인 초콜릿, 과일 퓌레, 견과류 페이스트, 커피, 리큐르 등을 섞어 원하는 풍미를 더한다. 반죽에 가벼움을 더하기 위해 계란 흰자와 설탕으로 만든 머랭을 준비하여 섞기도 하며 부드러움과 풍성함을 위해 부드럽게 휘핑한 생크림을 준비한다. 마지막으로 맛을 낸 베이스에 머랭과 휘핑한 크림을 거품이 꺼지지 않도록 조심스럽게 접듯이 혼합한 뒤 완성된 반죽을 틀에 붓고 냉동실에서 완전히 굳을 때까지 얼리면 완성된다.

4. 대중매체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