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26 19:36:07

타야린


🍝 파스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9AC52,#E9AC52><colcolor=#000,#E9AC52> 링귀네 · 마팔데 · 바베떼 · 부카티니 · 비골리 · 스트란고치 · 스파게티 · 카펠리니 · 타야린 · 탈리아텔레 · 파파르델레 · 페투치네 · 피치
가르가넬리 · 고미티 · 라디아토리 · 로텔레 · 리가토니 · 마카로니 · 말로레두스 · 말탈리아티 · 메체 마니케 · 세다니 · 스키아포니 · 스트로차프레티 · 오레키에테 · 제멜리 · 지티 · 카바타피 · 카사레체 · 카스카텔리 · 칼라마라타 · 캄파넬레 · 콘킬리에 · 키페리 · 토르틸리오니 · 투베티 · 트로피에 · 푸실리 · 파르팔레 · 파케리 · 파타토 · 펜네 · 필레야
파스티나
스텔레 · 스텔리니 · 아넬리 · 아넬리니 · 오르초 · 쿠스쿠수 · 트리폴리네 · 파르팔리네 · 파스티나 · 프레골라
리피에나 뇨키 · 라자냐 · 아뇰로티 · 카넬로니 · 토르텔리니 · 라비올리 · 루마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2232C><colcolor=#fff> 빵류 피자(나폴리 피자 · 피자 마르게리타) · 브루스케타 · 칼조네 · 몽블랑 · 그리시니 · 포카치아 · 치아바타 · 판도로 · 파네토네 · 파니니 · 코르네토
면류 파스타(파스타/종류 · 스파게티 · 원팬 파스타) · 알리오 에 올리오 · 카르보나라 · 푸타네스카 · 카초 에 페페 · 봉골레 · 포모도로 · 아라비아타 · 아마트리치아나, 미네스트로네 · 라자냐 · 오븐 파스타 · 타야린
밥류 리조토 · 아란치니
고기류 코톨레타(밀라네제) · 스테이크(T본, 비스테카 알라 피오렌티나) · 관찰레 · 살라미 · 카르파초 · 카치아토레 · 판체타 · 포르케타 · 프로슈토
해산물 꼬제 · 아쿠아 파차
돌체 비스코티 · 젤라토 · 카놀리 · 카사타 · 티라미수 · 판나코타 · 그라니타 · 세미프레도 · 상귀나치오 돌체
액체/
소스류
토마토 소스 · 마리나라 소스 · 라구 소스(볼로네제) · 바질 페스토 · 올리브 오일 · 발사미코 · 포도주(키안티 · 프로세코 · 베르무트커피(에스프레소 · 아포가토 · 콘 판나 · 마키아토 · 카푸치노 · 카페 샤케라토 · 카페 로마노)
기타 인살라타 카프레제 · 뇨키 · 프로슈토 에 멜로네 · 마카롱
}}}}}}}}} ||

파일:sfaw234r143f13f13.jpg
Tajarin
타야린

1. 개요2. 역사3. 맛과 특징4. 요리법

1. 개요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 지방의 전통 파스타다.

2. 역사

3. 맛과 특징

일반적인 건조 파스타를 세몰리나로 만드는 것과 달리, 보다 곱게 간 듀럼밀올리브 오일, 노른자을 넣고 즉석에서 반죽하여 요리에 투입한다. 그 때문에 부들부들하고 찐득한 식감이 특징이다.

4. 요리법

면 자체의 풍미가 강렬한 편이기 때문에, 반죽 자체와 잘 어우러질 수 있는 은은하고 부드러운 향을 가진 소스를 주로 사용한다.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은 버터와 세이지, 오일과 트러플 등이다. 거기에 우유 향을 증폭시키기 위해 그라나 파다노파르미지아노 레지아노를 갈아 뿌리기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