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8:18:50

부야딘 보슈코브

부야딘 보슈코브의 감독직 및 기타 직책
{{{#!folding ▼ 둘러보기 틀 모음
클럽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

31대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svg

29대
파일:AS 로마 로고.svg

47대
파일:SSC 나폴리 로고(1980~2002).svg

53대, 54대
}}} ||
세르비아의 前 축구선수
파일:부야딘 보슈코브.jpg
<colbgcolor=#eeeeee,#191919> 이름 부야딘 보슈코브
Вујадин Бошков | Vujadin Boškov
출생 1931년 5월 16일
유고슬라비아 왕국 베게치
사망 2014년 4월 27일 (향년 82세)
세르비아 노비사드
국적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포지션 측면 미드필더
신체조건 170cm
소속 <colbgcolor=#eeeeee,#191919><colcolor=#000000,#e5e5e5> 선수 FK 보이보디나 (1948~1960)
UC 삼프도리아 (1961~1962)
SC YF 유벤투스 (1962~1964)
감독 SC YF 유벤투스 (1962~1964 / 선수 겸 감독)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66 / 공동 감독)
SC YF 유벤투스 (1967~1968)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71~1973)
ADO 덴하흐 (1974~1976)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1976~1978)
레알 사라고사 (1978~1979)
레알 마드리드 CF (1979~1982)
스포르팅 히혼 (1982~1984)
아스콜리 칼초 (1984~1986)
UC 삼프도리아 (1986~1992)
AS 로마 (1992~1993)
SSC 나폴리 (1994~1996)
세르베트 FC (1996)
UC 삼프도리아 (1997~1998)
AC 페루자 칼초 (1999)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99~2000)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2001 / 공동 감독)
행정가 FK 보이보디나 (1964~1971 / 테크니컬 디렉터)
국가대표 57경기 (유고슬라비아 / 1951~1958)

1. 개요2. 생애3. 사망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의 전 축구 감독.

2. 생애

2.1. 선수 경력

2.1.1. 클럽

1948년 지역에서 인기있던 클럽인 FK 보이보디나에 입단하였다. 이후 1960년 이탈리아로 이주하기 전까지 팀에서 활약하였다. 1960년 이탈리아로 이주한 이후 1년간 UC 삼프도리아에서 활동하였고 1962년부터는 SC YF 유벤투스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활동하다 1964년 선수에서 완전히 은퇴하였다.

2.1.2. 국가대표

FK 보이보디나에서의 활약으로 1951년 대표팀에 승선하여 데뷔하였다. 국가대표로는 이 시기 출전한 모든 경기에서 선발 출전 및 풀타임 출전하였고 메이저 대회인 스위스 월드컵스웨덴 월드컵에서도 전 경기 선발 출전 및 풀타임 출전하였다.

2.2. 감독 경력

1962년 SC YF 유벤투스에서 선수 겸 감독으로 감독 커리어를 시작하였다. 1964년 FK 보이보디나의 테크니컬 디렉터로 선임되었는데 1967~1968년 SC YF 유벤투스FK 보이보디나의 몇몇 경기를 지휘하기도 하였다.

2.2.1. 유고슬라비아 대표팀

1971년 라이코 미티치 감독의 후임으로 유고슬라비아 대표팀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데뷔전이었던 루마니아를 상대로는 패배했지만 UEFA 유로 1972 예선에서는 남은 예선 3경기에서 1승 2무로 1위를 유지하고 8강 예선에 진출했으나 소련을 상대로 1무 1패를 기록하면서 본선 진출에는 실패하였다.

서독 월드컵 예선에서는 스페인을 상대로 플레이오프까지 가는 접전 끝에 스페인을 1-0으로 제압하며 본선 진출에 성공하지만 월드컵을 앞두고 축구 협회가 집단지도체제를 선택하면서 감독직에서 물러나게 되었다.[1]

2.2.2. 네덜란드 무대

대표팀 감독에서 물러난 이후 반년간의 휴식을 가진 뒤 ADO 덴하흐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첫 시즌 덴하흐를 이끌고 리그에서는 중위권인 10위의 성적을 거두지만 KNVB 베이커 우승을 차지하였다. 다음 시즌이었던 1975-76 시즌의 경우 KNVB 베이커에서는 16강에서 탈락했지만 UEFA 컵위너스컵 8강 진출과 리그 6위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성과로 페예노르트 로테르담의 감독으로 선임되지만 첫 시즌 KNVB 베이커 16강 탈락, UEFA컵 8강 탈락, 리그 4위라는 부진한 성적을 기록하였고 이어진 1977-78 시즌에는 리그 10위라는 최악의 성적을 거두면서 사임하였다.

2.2.3. 레알 사라고사

페예노르트에서 사임하고 스페인의 레알 사라고사의 감독으로 부임하여 잔류에 성공하였다. 시즌 후 레알 마드리드 CF와 접촉하면서 레알 마드리드 CF의 유력한 차기 감독 후보가 되었다.

2.2.4. 레알 마드리드 CF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알 마드리드 CF/보슈코브 체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79년 8월 3일 레알 마드리드 CF의 정식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2.2.5. 스포르팅 히혼

레알 마드리드에서 사직하고 스포르팅 히혼의 감독으로 부임해 2시즌간 지도하며 잔류에 성공하였다.

2.2.6. 아스콜리 칼초

스포르팅 히혼에서 물러나고 당시 10라운드까지 무승을 기록하며 세리에 A 강등권에 위치한 아스콜리 칼초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부임 이후 리그에서 4승 9무 7패를 기록하며 잔류에는 실패하였다. 하지만 강등된 세리에 B에서는 17승 16무 5패를 기록하며 1시즌만에 승격에 성공하였다.

2.2.7. UC 삼프도리아

1986년 당시 로베르토 만치니의 활약으로 중위권으로 도약한 UC 삼프도리아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부임 이후 리그에서는 상위권의 성적을 거두며 유럽 대항전 진출권을 확보하였고 1987-88 코파 이탈리아 우승을 차지하였다. 1988-89 시즌에는 UEFA 컵위너스컵 결승에 올랐으나 FC 바르셀로나에게 2:0으로 패배하면서 우승을 차지하지 못했지만 다음 시즌이었던 1989-90 시즌에는 RSC 안데를레흐트를 상대로는 반대로 2:0으로 승리하면서 구단 역사상 최초의 유럽 대항전 타이틀을 획득하였다.

1990-91 시즌에는 구단 역사상 최초로 세리에 A 우승을 기록하였다. 이어진 1991-92 시즌에는 유럽 대항전을 병행하면서 리그 6위로 부진한 성적을 기록했으나 유로피언컵 결승전 진출에 성공하였다. 결승 상대는 2년전 UEFA 컵위너스컵 결승전에서 패배를 안긴 FC 바르셀로나였다. 경기는 연장까지 가는 접전이었지만 연장 후반 로날드 쿠만이 골을 기록하면서 이번에도 바르셀로나에게 패배하면서 트로피를 획득하는데 실패하였다.

2.2.8. AS 로마

삼프도리아에서 물러나고 AS 로마의 감독으로 부임하였다. 첫 시즌 코파 이탈리아에서 우승을 차지하였지만 리그에서는 10위라는 부진한 성적을 거두면서 1시즌만에 감독직에서 물러났다.

2.2.9. SSC 나폴리

로마에서 물러난 뒤 보슈코브의 다음 행선지는 디에고 마라도나의 이탈 이후 중위권으로 추락한 SSC 나폴리였다. 1994-95 시즌 나폴리는 6라운드까지 1승만을 거두며 강등권으로 추락하자 빈첸초 게리니 감독을 경질하였다. 세리에 A 7라운드를 앞서고 선임되었다. UEFA컵코파 이탈리아에서는 빠르게 탈락했지만 팀을 빠르게 수습해 리그에서는 7위라는 호성적을 거두는데 성공하였다. 다음 시즌이었던 1995-96 시즌에는 코파 이탈리아 2라운드 탈락, 리그에서 부진하면서 12위를 기록하면서 감독에서 물러났다.

2.2.10. 이후 커리어

나폴리에서 물러나고 부임한 세르베트 FCUC 삼프도리아에서는 중위권의 성적을 거두었고 중도부임한 AC 페루자 칼초에서는 강등권 탈출에 성공하였다. 1999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의 감독으로 26년 만에 부임하였다. 부임 이후 UEFA 유로 2000 예선 남은 경기였던 5경기에서 2승 2무 1패를 기록하면서 16년 만에 본선 진출에 성공하였다.

본선에서는 슬로베니아를 상대로 3-0으로 벌어진 상황에서 퇴장까지 겹치며 수적 열세에 빠진 상황에서 10분 사이에 3골을 넣으며 극적인 무승부를 기록하였고 이어진 노르웨이를 상대로 승리하면서 UEFA 유로 1968 이후 최초로 승리를 기록하였다. 마지막 경기였던 스페인을 상대로 후반 90+3분까지 리드를 유지했으나 2분 사이에 2골을 먹히며 패배하였고 조 2위로 8강에 진출하였다. 그렇게 UEFA 유로 1976 이후 최초로 진출한 토너먼트였지만 8강 상대였던 네덜란드에게 6:1 대패를 기록하며 대회를 마감하였다. 대회가 끝나고 2001년까지 공동 감독직책을 유지하다 사임하였고 이후 감독직에서 은퇴하였다.

2.3. 행정가 경력

1964년 FK 보이보디나의 테크니컬 디렉터로 부임하였다. 부임 이후 1966-67 시즌 팀의 첫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 우승을 안겼다.

3. 사망

2014년 4월 27일 8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4. 여담

  • 사망 이후 2022년 이탈리아 축구 명예의 전당에 입성하였다.
  • 선수 시절 활약했고 테크니컬 디렉터로 팀의 첫 우승을 안긴 FK 보이보디나의 훈련장의 이름은 그의 이름을 딴 FC 부자딘 보슈코프이다.
  • 유머스러운 성격의 소유자로 인기가 많았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 파일:페예노르트 로테르담 로고.svg페예노르트 로테르담
감독(초대~40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e3001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aaa
1921년 ~ 1989년
초대
줄리언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2대
웨이츠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3대(대행)
게누겔라이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4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5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6대(대행)
크루이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7대
도너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8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9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0대
코엘만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1대(대행)
카우프만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2대
휴제나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3대
반 다이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4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5대
쿠닝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6대
토핑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7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18대(대행)
드 볼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9대
반 데 렉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대(대행)
드 볼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1대
소보트카
파일:체코 국기.svg
22대
푹스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23대
회플링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24대
크멘트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25대
피터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6대
하펠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27대(대행)
존더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8대
코어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9대
브제잔치크
파일:폴란드 국기.svg
30대(대행)
존더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1대
보슈코브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32대
예제크
파일:체코 국기.svg
33대
웨스터호프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4대
예제크
파일:체코 국기.svg
35대
크레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6대(대행)
파피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7대
리브레츠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8대
파피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9대
이스라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40대
제이콥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페예노르트 로테르담 감독(41대 이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레알 마드리드 CF 로고(1941~1997).svg레알 마드리드 CF
감독 (초대~40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caf17,#e89b0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55555,#aaaaaa
1910 ~ 1994
초대
존슨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2대
카르세르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3대
요렌테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4대
베르나베우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5대
베라온도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6대
퀴란테
파일:스페인 국기(1785–1873, 1875–1931).svg
7대
헤르츠카
파일:헝가리 국기.svg
8대
퍼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9대
브루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10대
아르메트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
11대
엔시나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
12대
킨코세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38-1945).svg
13대
알베니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4대
킨코세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5대
키핑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6대
알베니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7대
스카로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8대
이피냐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대
페르난데스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20대
비야롱아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1대
카르닐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2대
무뇨스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3대
카르닐리아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24대
플레이타스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25대
무뇨스
(무뇨스 체제)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6대
몰로니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27대
밀랴니치
(밀랴니치 체제)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28대
몰로니
(몰로니(2기))
파일:스페인 국기(1977-1981).svg
29대
보슈코브
(보슈코브 체제)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30대
몰로니
(몰로니(3기))
파일:스페인 국기.svg
31대
디 스테파노
(디 스테파노(1기))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32대
아마로
(아마로 체제)
파일:스페인 국기.svg
33대
몰로니
(몰로니(4기))
파일:스페인 국기.svg
34대
베인하커르
(베인하커르(1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5대
토샥
파일:웨일스 국기.svg
36대
디 스테파노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37대
안티치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38대
베인하커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39대
플로로
파일:스페인 국기.svg
40대
델 보스케
파일:스페인 국기.svg
▶ 레알 마드리드 CF 감독(41대 이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990a2c><tablebgcolor=#990a2c> 파일:AS 로마 로고.svgAS 로마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84년 ~ 현재
41대
에릭손
파일:UEFA EURO SWE.png

42대
소르마니
파일:UEFA EURO ITA.png
43대
리드홀름
파일:UEFA EURO SWE.png
44대
스피노시
파일:UEFA EURO ITA.png
45대
라디체
파일:UEFA EURO ITA.png
46대
비안키

파일:UEFA EURO ITA.png
47대
보슈코브
파일:UEFA EURO SRB.png
48대
마초네
파일:UEFA EURO ITA.png
49대
비안치
파일:KissARG.png
50대
리드홀름
파일:UEFA EURO SWE.png
51대
셀라
파일:UEFA EURO ITA.png
52대
제만
파일:UEFA EURO CZE.png
53대
카펠로
파일:UEFA EURO ITA.png

54대
프란델리
파일:UEFA EURO ITA.png
55대
푈러
파일:UEFA EURO GER.png
56대
델네리
파일:UEFA EURO ITA.png
57대
콘티
파일:UEFA EURO ITA.png
58대
스팔레티
파일:UEFA EURO ITA.png
☆☆
59대
라니에리
파일:UEFA EURO ITA.png
60대
몬텔라
파일:UEFA EURO ITA.png
61대
엔리케
파일:UEFA EURO ESP.png
62대
제만
파일:UEFA EURO CZE.png
63대
안드레아촐리
파일:UEFA EURO ITA.png
64대
가르시아
파일:UEFA EURO FRA.png
65대
스팔레티
파일:UEFA EURO ITA.png
66대
디프란체스코
파일:UEFA EURO ITA.png
67대
라니에리
파일:UEFA EURO ITA.png
68대
폰세카
파일:UEFA EURO POR.png
69대
무리뉴
(AS 로마/무리뉴 체제)
파일:UEFA EURO POR.png
70대
데 로시
(AS 로마/데 로시 체제)
파일:UEFA EURO ITA.png
71대
유리치
파일:UEFA EURO CRO.png
72대
라니에리
(AS 로마/라니에리 체제)
파일:UEFA EURO ITA.png
◀ AS 로마 역대 감독(초대~40대)
:세리에 A / :코파 이탈리아 / : 수페르코파 이탈리아나 / :UEFA 컨퍼런스 리그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192cc><tablebgcolor=#2192cc> 파일:SSC 나폴리 로고(1980~2002).svgSSC 나폴리
감독(초대 ~ 70대)
}}} ||
{{{#!wiki style="margin: 0 -10px;"
{{{#000000,#e5e5e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1926년 ~ 2003년
초대
크로이저
파일:UEFA EURO AUT.png
2대
스카자
파일:UEFA EURO AUT.png
3대
기술위원회
파일:SSC 나폴리 로고(1980~2002).svg
4대
피셔
파일:UEFA EURO AUT.png
5대
테릴레
파일:UEFA EURO ITA.png
6대
가버트
파일:UEFA EURO ENG.png
7대
차프카이
파일:UEFA EURO HUN.png
8대
마테아
파일:UEFA EURO ITA.png
9대
파예르
파일:UEFA EURO HUN.png
10대
기술위원회
파일:SSC 나폴리 로고(1980~2002).svg
11대
발론체리
파일:UEFA EURO ITA.png
12대
보야크
파일:UEFA EURO ITA.png
13대
이노센치
파일:UEFA EURO ITA.png
14대
산소네
파일:CA2021 Uruguay.png
15대
베키나
파일:UEFA EURO ITA.png
16대
센티멘티
파일:UEFA EURO ITA.png
17대
보렐
파일:UEFA EURO ITA.png
18대
데 마네스
파일:UEFA EURO ITA.png
19대
모젤레
파일:UEFA EURO ITA.png
20대
몬첼리오
파일:UEFA EURO ITA.png
21대
아마데이
파일:UEFA EURO ITA.png
22대
프로시
파일:UEFA EURO ITA.png
23대
아마데이
파일:UEFA EURO ITA.png
24대
아마데이/체사리니
파일:UEFA EURO ITA.png/파일:UEFA EURO ITA.png
25대
살루스트로
파일:UEFA EURO ITA.png
26대
발디
파일:UEFA EURO ITA.png
27대
페사올라
파일:CA2021 Argentina.png
-
28대
페사올라/몬첼리오
파일:CA2021 Argentina.png/파일:UEFA EURO ITA.png
-
29대
레리치
파일:UEFA EURO ITA.png
-
30대
몰리노
파일:UEFA EURO ITA.png
-
31대
페사올라
파일:CA2021 Argentina.png
-
32대
키아펠라
파일:UEFA EURO ITA.png
-
33대
디 코스탄초
파일:UEFA EURO ITA.png
-
34대
키아펠라
파일:UEFA EURO ITA.png
-
35대
비니시우
파일:CA2021 Brazil.png
36대
델프라티/리벨리노
파일:UEFA EURO ITA.png/파일:UEFA EURO ITA.png
37대
페사올라
파일:CA2021 Argentina.png
38대
리벨리노
파일:UEFA EURO ITA.png
39대
디 마르치오
파일:UEFA EURO ITA.png
40대
비니시우
파일:CA2021 Brazil.png
41대
소르마니
파일:UEFA EURO ITA.png
42대
마르케지
파일:UEFA EURO ITA.png
43대
자코미니
파일:UEFA EURO ITA.png
44대
페사올라
파일:CA2021 Argentina.png
45대
산티
파일:UEFA EURO ITA.png
46대
마르케지
파일:UEFA EURO ITA.png
-
47대
비안키
파일:UEFA EURO ITA.png
48대
비곤
파일:UEFA EURO ITA.png
49대
라니에리
파일:UEFA EURO ITA.png
-
50대
비안키
파일:UEFA EURO ITA.png
-
51대
리피
파일:UEFA EURO ITA.png
52대
게리니
파일:UEFA EURO ITA.png
53대
보슈코프/카네
파일:UEFA EURO YUG.png/파일:CA2021 Brazil.png
54대
보슈코브/센시빌레
파일:UEFA EURO YUG.png/파일:UEFA EURO ITA.png
55대
시모니
파일:UEFA EURO ITA.png
56대
몬테푸스코
파일:UEFA EURO ITA.png
57대
무티
파일:UEFA EURO ITA.png
38대
마초네
파일:UEFA EURO ITA.png
59대
갈레오네
파일:UEFA EURO ITA.png
60대
몬테푸스코
파일:UEFA EURO ITA.png
61대
울리비에리
파일:UEFA EURO ITA.png
62대
몬테푸스코
파일:UEFA EURO ITA.png
63대
노벨리노
파일:UEFA EURO ITA.png
64대
제만
파일:UEFA EURO CZE.png
65대
몬도니코
파일:UEFA EURO ITA.png
66대
데 카니오
파일:UEFA EURO ITA.png
67대
콜롬바
파일:UEFA EURO ITA.png
68대
부소
파일:UEFA EURO ITA.png
69대
스콜리오
파일:UEFA EURO ITA.png
70대
콜롬바
파일:UEFA EURO ITA.png
▶ SSC 나폴리 역대 감독(71대~ )
:UEFA컵 우승 :리그 우승 :코파 우승
}}}}}}}}}}}}}}} ||

파일:UEFA 유로 2000 로고 가로형.svg
UEFA 유로 2000 참가 감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colbgcolor=#E42127> A조 파일:UEFA EURO GER.png
에리히
리베크
파일:UEFA EURO ROU.png
에메릭
제네이
파일:UEFA EURO POR.png
움베르투
코엘류
파일:UEFA EURO ENG.png
케빈
키건
B조 파일:UEFA EURO BEL.png
로베르
와세주


파일:UEFA EURO SWE.png
라르스
라예르베크

토미
쇠데르베리


파일:UEFA EURO ITA.png
디노
조프

파일:UEFA EURO TUR.png
무스타파
데니즐리


C조 파일:UEFA EURO ESP.png
호세 A.
카마초
파일:UEFA EURO NOR.png
닐스 J.
셈브
파일:UEFA EURO SCG.png
부야딘
보슈코브
파일:UEFA EURO SVN.png
스레츠코
카타네츠
D조 파일:UEFA EURO NED.png
프랑크
레이카르트


파일:UEFA EURO CZE.png
요제프
호바네츠


파일:UEFA EURO FRA.png
로저
르메르

파일:UEFA EURO DEN.png

요한손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19641968197219761980
198419881992199620002004
20082012201620202024
}}}}}}}}}}}} ||



[1] 당시 유고슬라비아는 메이저 대회를 앞두고 1인 감독체제에서 집단지도체제로 바꾸는 경향이 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