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광운초등학교 | 대광초등학교 | 매원초등학교 | 서울개운초등학교 |
서울길원초등학교 | 서울길음초등학교 | 서울돈암초등학교 | 서울동신초등학교 | |
서울미아초등학교 | 서울삼선초등학교 | 서울석계초등학교 | 서울석관초등학교 | |
서울성북초등학교 | 서울숭곡초등학교 | 서울숭덕초등학교 | 서울숭례초등학교 | |
서울숭인초등학교 | 서울안암초등학교 | 서울월곡초등학교 | 서울일신초등학교 | |
서울장곡초등학교 | 서울장월초등학교 | 서울장위초등학교 | 서울정덕초등학교 | |
서울정릉초등학교 | 서울정수초등학교 | 서울청덕초등학교 | 성신초등학교 | |
우촌초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e1932><bgcolor=#ae1932><tablebgcolor=#fff,#1c1d1f>
서울특별시의 사립초등학교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강북구 | 영훈초등학교 |
강서구 | 유석초등학교 | |
광진구 | 경복초등학교, 성동초등학교, 세종초등학교 | |
금천구 | 동광초등학교 | |
노원구 | 상명초등학교, 청원초등학교, 태강삼육초등학교, 화랑초등학교 | |
도봉구 | 동북초등학교, 한신초등학교 | |
동대문구 | 경희초등학교, 서울삼육초등학교, 은석초등학교 | |
동작구 | 중앙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 |
마포구 | 홍익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 |
서대문구 | 경기초등학교, 명지초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추계초등학교 | |
서초구 | 계성초등학교 | |
성동구 | 한양초등학교 | |
성북구 | 광운초등학교, 대광초등학교, 매원초등학교, 성신초등학교, 우촌초등학교 | |
용산구 | 신광초등학교 | |
은평구 | 선일초등학교, 예일초등학교, 충암초등학교 | |
종로구 | 상명대학교사범대학부속초등학교, 운현초등학교 | |
중구 | 동산초등학교, 리라초등학교, 숭의초등학교 | |
중랑구 | 금성초등학교 |
<colbgcolor=#f0e68c><colcolor=#000> 매원초등학교 梅園初等學校 Maewon Elementary School | |
| |
개교 | 1963년 5월 20일 |
성별 | 남녀공학 |
형태 | 사립 |
학교법인 | 고명학원 |
교장 | 최두섭 |
교감 | 이의섭 |
교화 | 매화 |
교목 | 은행나무 |
학생 수 | 503명[기준] |
교직원 수 | 41명[기준] |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성북강북교육지원청 |
주소 | 서울특별시 성북구 북악산로 870 (돈암동) |
홈페이지 | |
<nopad> |
[clearfix]
1. 개요
꿈과 사랑의 매원동산
Be a Global TALENT[3]
Go for Your Dreams at Maewon 과 Maewon P.R.I.D.E 라는 슬로건도 사용한다.매원초등학교는 학교법인 고명학원으로 설립된 사립초등학교이다. 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 북악산로 870에 위치해있으며, 1963년 5월 20일 개교하였다. 현재 교장은 최두섭이고, 교감은 이의섭이다. 2023년 기준, 초등 18학급을 운영 중이다.
사립초등학교 중에서도 학비가 높은 편이다.
2. 학교 연혁
- 1963년 12월 5일: 서울매원초등학교 설립인가, 초대 이사장 전병온 취임
- 1964년 1월 9일: 초대교장 권태각 선생 취임
- 1964년 3월 9일: 매원초등학교 개교식 및 입학식
- 1965년 1월 28일: 제1회 졸업식
- 1967년 11월 19일: 설립자 전병온 사망
- 1967년 11월 2일: 제2대 이사장 이덕선 취임
- 1968년 3월 5일: 소강원도 춘성군 남면 가정리 가정국민학교와 자매결연
- 1969년 8월 7일: 제3대 이사장 전병무 취임
- 1973년 10월 1일: 제2대 전청수 교장 취임
- 1974년 10월 2일: 학교운동장 확장공사
- 1976년 12월 26일: 제3대 한동인 교장 취임
- 1982년 8월 10일: 수세식 화장실 공사
- 1984년 2월 9일: 서울시 밝고 맑은 노래 부르기 대회 은상 수상, 제 4대 최용찬 교장 취임
- 1984년 7월 6일: 컴퓨터실 시설공사 완료
- 1986년 12월 18일: 병온관 준공
- 1987년 5월 12일: 제5대 이사장 최장자 취임
- 1989년 7월 8일: 제30회 소년한국일보 미술대회 단체 우수상 수상
- 1990년 11월 14일: 교사 신축 및 대강당 준공 이전
- 1991년 7월 20일: 급식실 준공
- 1991년 11월 2일: 제15회 전국초등학교 독서감상문쓰기대회 단체상 수상
- 1993년 7월 1일: 소녀한국일보그리기대회 전국 단체상 수상
- 1995년 11월 11일: PC통신 개설
- 1995년 12월 21일: 제4대 박정웅 교장 취임
- 1996년 4월 1일: 학교버스 3대 구입
- 1996년 10월 20일: 성북교육청 합창대회 최우수상 수상
- 1996년 11월 18일: 각 교실 난방공사 완공
- 1996년 12월 30일: 환경교육 우수교 표창(성북교육장)
- 1997년 7월 28일: 컴퓨터실 586 컴퓨터로 교체
- 1998년 2월 12일: 학교경영 우수학교 표창(성북교육장)
- 1999년 2월 21일: 제5대 전신자 교장 취임
- 1999년 3월 2일: 서울교육시책구현 표창(서울특별시교육감)
- 2000년 2월 4일: 전교실 에어컨 설치[4]
- 2000년 7월 10일: 예절실[5] 개관
- 2000년 12월 28일: 감사결과우수교 표창(서울특별시교육감)
- 2001년 6월 12일: 성북2지구 밝고맑은 노래부르기 대회 최우수상 수상
- 2004년 2월 25일: 교사 주변 CCTV설치 공사
- 2005년 11월 4일: 매원역사관 개관
- 2005년 11월 5일: 학교숲 정원공사
- 2006년 3월 1일: 이머젼 영어교육 실시
- 2006년 8월 19일: 제8회 서울특별시 119소방동요경연대회 중창부분 금상
- 2006년 11월 27일: 학교도서실(글담터) 개관
- 2006년 12월 28일: 학교교육목표 구현 우수교 표창(성북교육장)
- 2007년 2월 12일: 학교경영 우수학교 표창(성북교육장)
- 2008년 12월 26일: 서울교육시책구현 표창(서울특별시교육감)
- 2008년 12월 29일: 학교경영우수 표창(영어교육분야, 성북교육장)
- 2009년 1월 9일: 강당 리모델링 공사
- 2009년 1월 9일: 교실 냉/난방기 시설 및 천장
- 2011년 1월 30일: 학교도서관(글담터) 이전 및 환경개선 공사
- 2011년 2월 28일: 병온관 리모델링 공사
- 2011년 11월 22일: 병온관과 본관 연결통로 설치공사
- 2011년 12월 15일: 미술실 환경개선 공사
- 2012년 8월 17일: 급식실 리모델링 공사
- 2013년 1월 21일: 병온관 CCTV설치 및 시청각실 바닥교체 공사
- 2013년 8월 19일: 방송실 리모델링 공사 및 장비 정비
- 2013년 9월 1일: 제6대 구채경 교장 취임
- 2014년 2월 17일: 각 교실 공기청정기 설치 및 화장실 비데 설치
- 2014년 11월 21일: 제1회 오케스트라 재능나눔 정기연주회
- 2014년 12월 30일: 청렴우수학교 표창(성북교육지원청)
- 2015년 2월 28일: 방화문 설치
- 2016년 12월 23일: 작은운동장, 특별교실 및 병온관 화장실 준공
- 2017년 9월 1일: 제7대 최두섭 교장 취임
3. 교훈 및 상징
3.1. 교표
3.2. 교훈
매원초등학교의 교훈인 '스스로 바르게 꾸준히'는 스스로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공부하고, 바르게 인성교육을 하여 더불어 살아가는 바른 가치관과 이를 실천하는 의지를 심어주고, 꾸준히 자신이 그동안 해 왔던 자신의 역할을 하는 바른 매원 어린이의 모습을 담고 있다3.3. 교표
매원초등학교의 교표는 크게 작은 원, 그리고 큰 원으로 구분되는데, 작은 원 안에 그려져 있는 'ㅁ'과 'ㅇ'은 각각 '매원'의 닿소리 모음 'ㅁ'과 'ㅇ'을 뜻한다. 또 모난 돌(ㅁ)이 갈고 닦여 둥글고 좋은 돌(ㅇ)이 된다는 뜻이 담겨 있다. 바깥 큰 원에 있는 위 쪽 문구는 '스스로 바르게 꾸준히' 라는 매원초등학교의 교훈이고, 밑에있는 날짜는 매원초등학교의 설립 날짜이다.3.4. 교화
위에서 말했듯이 설립자이시자 제1대 이사장 전병온이 매화꽃을 좋아하해서 매화가 매원초등학교의 교화가 됐다.3.5. 교목
교목은 은행나무인데, 자세한 뜻은 홈페이지참조3.6. 교가
위 이미지에서 본 듯 작사는 전병온이, 작곡 나인용이 하였다. 1절에서는 학생들의 단합으로 매원초등학교가 이루어진 것과, '잘 배우고 잘 자라자
3.7. 슬로건
위의 인용문에 있듯이 Be a Global T A L E N T 가 슬로건이다. 첫 번째 T는 Technology, A는 Application, L은 Leadership, E는 English and ethic, N은 Network, 마지막으로 T는 Thinking skills을 의미한다.
4. 학교 특징
4.1. 학교명의 유래
'매원초등학교'라는 학교명의 의미는 설립자이시자 제 1대 이사장 전병온이 매화꽃을 좋아했기에 '매화꽃 언덕'이라는 의미로 '매화 매' 자에 '언덕 원'자를 써서 '매원'이라고 칭하게 되었다고 한다.4.2. 교복
- 오리털 잠바는 교복, 체육복 모두 착용 가능하다.
- 봄/여름이 바뀌는 시기에 하복/춘추복 혼용기간이 있는데, 체육복은 혼용이 되지만 교복은 혼용이 안된다.
ex. 반팔 체육복 + 긴 체육복 바지 = OK!, 반팔 교복 + 긴 교복 바지 = NO! - 가끔씩 같은 교복사(신생교복)을 쓰는 리라초등학교의 체육복이 오는 경우가(...) 있다.
4.2.1. 교복
- <남자>
- 춘추복: 흰 와이셔츠에 체크무늬 바지를 입고, 짙은 빨강색 넥타이와 회색 조끼[6], 가디건(선택),그리고 검은색 점퍼를 입는다. 점퍼를 안 입는 경우도 있다.
- 하복: 깃이 있는 흰 반팔 티셔츠에 회색 반바지를 입는다. 춥다면 가디건을 입는다.
- 동복: 춘추복 위에 코트나 오리털 잠바[7]를 입는다. 춘추복 와이셔츠 대신에 폴라티를 입을 수 도 있다.
- <여자>
- 춘추복: 흰 블라우스에 체크무늬 치마를 입고, 짙은 빨강색 나비 넥타이와 가디건(선택),그리고 검은색 점퍼를 입는다. 점퍼를 안 입는 경우도 있다.
- 하복: 깃이 있는 흰 반팔 티셔츠에 짙은 빨강색 나비 넥타이와 체크무늬, 혹은 회색 원피스를 입는다. 남자보다 덥다.
- 동복: 남자와 같다.
4.2.2. 체육복
- 춘추복: 검은색 깃이 있는 노란색 긴팔 티셔츠에 검은색 긴바지를 입고, 그 위에 회색 후드티나 노란색 바람막이를 착용 할 수 있다.[8]
- 하복: 검은색 깃이 있는 노란색 반팔 티셔츠에 검은색 반바지를 입고, 그 위에 노란색 바람막이를 착용할 수 있다.[9]
- 동복: 춘추복 위에 노란 잠바나 오리털 잠바를 입을 수 있다.
5. 학교 시설
매원초등학교는 설립자 전병온이 학교법인 고명학원을 세운 후 고명외식고등학교, 고명중학교를 세우고 세 번째로 세운 학교이다. 그리고 두 번의 리모델링을 거쳐 지금의 모습을 가지게 되었다. 두 번째 리모델링 공사를 하기 전까지는 현재 '매원초등학교' 라고 쓰인 간판에 '꿈과 사랑의 매원동산' 이라고 씌여져 있었고, 학교 건물 옆에 매원초등학교라는 문구가 교표와 함께 씌여있었다고 한다. 2017년 작은운동장 공사를 진행하면서 야외학습장이 없어지고 작은운동장이 생기면서 지금과 조금 다른 형태의 학교 전경이 생기게 되었다. 몇몇 졸업생들은 나름 추억이 깃든 곳이었는데 없어져서 좀 아쉽다고 했다.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시기"로 추가해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6.2. 학교 일과
6.2.1. 방과후학교
학교 끝나는 시간인 3시 30분부터 5시까지 월, 수, 금에는 한국방과후학교만, 화, 목에는 영어 방과후학교를 한다.스쿨버스는 등교시간, 하교시간, 그리고 방과후학교 끝나는 시간에 한번 더 온다. 그러나 담당 교사가 방과후학교를 늦게 끝내시면 버스를 못 탄다고.
자세한 사항은 다음 문단 참조.
6.2.2. 스쿨버스
스쿨버스는 1호차부터 10호차까지 있다. 크기는 1호차가 맥시멈, 10호차가 가장 미니멈이다. 스쿨버스 출발 시각은 등교시간은 7시 ~ 7시 15분 쯤.7. 운동부
8. 출신 인물
가나다순으로 정렬해주시기 바랍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10] |
미아리고개.미아리예술극장 | 100,102,103,104,107,109, 140,142,143,150,151,152, 160,171,172,710,8112 |
고명중고교 | 성북20 |
9.2. 철도
10. 기타
등교시간은 8시 30분까지, 하교시간은 3시 30분이다. 방과후학교를 하는 학생들은 위에 기재했듯이 5시에 하교한다.특이하게도 다른 학교처럼 (3학년의 예를 들어보겠다) '3-1반, 3-2반, 3-3반'... 이렇게 반 이름을 매기는 것이 아니라 '3매화, 3난초, 3국화'처럼 반 이름을 사군자화의 매화, 난초, 국화를 따서 매긴다고 한다. 한 학년 당 3반이 있어서 총 3*6=18학급이 있다. 타 공립에 비해서 반 수가 조금 적은 편이다.
고명중학교, 고명외식고등학교와 운동장을 같이 쓴다. 그래서인지 옛날부터 운동장을 넓히자는 학생자치회의 의견이 많았다. 결국 나름 추억의 장소였던 야외학습장이 없어지고 작은운동장이 생기게 되었다.
11. 둘러보기
학교법인 고명학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고등학교 | 고명외식고등학교 |
중학교 | 고명중학교 | |
초등학교 | 매원초등학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