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6:01:43

마리옹 코티야르

마리옹 코티야르의 주요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oscar_logo.svg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자
'''[[틀: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자|Academy Award for Best Actres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e5e5e5
제1회
(1929년)
제2회
(1930년)
제3회
(1931년)
제4회
(1932년)
제5회
(1933년)
자넷 게이노
(선라이즈)
(제7의 천국)
(스트리트 엔젤)
메리 픽포드
(코퀘트)
노마 시어러
(이혼녀)
마리 드레슬러
(참극의 선착장)
헬렌 헤이스
(마델론의 비극)
제6회
(1934년)
제7회
(1935년)
제8회
(1936년)
제9회
(1937년)
제10회
(1938년)
캐서린 헵번
(아침의 영광)
클로데트 콜베르
(어느 날 밤에 생긴 일)
베티 데이비스
(댄저러스)
루이제 라이너
(위대한 지그펠드)
루이제 라이너
(대지)
제11회
(1939년)
제12회
(1940년)
제13회
(1941년)
제14회
(1942년)
제15회
(1943년)
베티 데이비스
(제저벨)
비비안 리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진저 로저스
(키티 포일)
조안 폰테인
(의혹)
그리어 가슨
(미니버 부인)
제16회
(1944년)
제17회
(1945년)
제18회
(1946년)
제19회
(1947년)
제20회
(1948년)
제니퍼 존스
(베르나데트의 노래)
잉그리드 버그만
(가스등)
조안 크로포드
(밀드레드 피어스)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투 이치, 히즈 온 스타일)
로레타 영
(농부의 딸)
제21회
(1949년)
제22회
(1950년)
제23회
(1951년)
제24회
(1952년)
제25회
(1953년)
제인 와이먼
(조니 벨린다)
올리비아 드 하빌랜드
(사랑아 나는 통곡한다)
주디 홀리데이
(빌리의 새아침)
비비안 리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셜리 부스
(사랑하는 시바여 돌아오라)
제26회
(1954년)
제27회
(1955년)
제28회
(1956년)
제29회
(1957년)
제30회
(1958년)
오드리 헵번
(로마의 휴일)
그레이스 켈리
(회상 속의 연인)
안나 마냐니
(장미 문신)
잉그리드 버그만
(아나스타샤)
조앤 우드워드
(이브의 세 얼굴)
제31회
(1959년)
제32회
(1960년)
제33회
(1961년)
제34회
(1962년)
제35회
(1963년)
수전 헤이워드
(나는 살고 싶다)
시몬 시뇨레
(꼭대기 방)
엘리자베스 테일러
(버터필드 8)
소피아 로렌
(두 여인)
앤 밴크로프트
(미라클 워커)
제36회
(1964년)
제37회
(1965년)
제38회
(1966년)
제39회
(1967년)
제40회
(1968년)
패트리샤 닐
(허드)
줄리 앤드류스
(메리 포핀스)
줄리 크리스티
(달링)
엘리자베스 테일러
(누가 버지니아 울프를 두려워하랴?)
캐서린 헵번
(초대받지 않은 손님)
제41회
(1969년)
제42회
(1970년)
제43회
(1971년)
제44회
(1972년)
제45회
(1973년)
캐서린 헵번
(겨울의 라이온)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화니 걸)
매기 스미스
(미스 진 브로디의 전성기)
글렌다 잭슨
(사랑하는 여인들)
제인 폰다
(콜걸)
라이자 미넬리
(카바레)
제46회
(1974년)
제47회
(1975년)
제48회
(1976년)
제49회
(1977년)
제50회
(1978년)
글렌다 잭슨
(주말의 사랑)
엘런 버스틴
(앨리스는 이제 여기 살지 않는다)
루이즈 플레쳐
(뻐꾸기 둥지 위로 날아간 새)
페이 더너웨이
(네트워크)
다이앤 키튼
(애니 홀)
제51회
(1979년)
제52회
(1980년)
제53회
(1981년)
제54회
(1982년)
제55회
(1983년)
제인 폰다
(귀향)
샐리 필드
(노마 레이)
씨씨 스페이식
(광부의 딸)
캐서린 헵번
(황금 연못)
메릴 스트립
(소피의 선택)
제56회
(1984년)
제57회
(1985년)
제58회
(1986년)
제59회
(1987년)
제60회
(1988년)
셜리 맥클레인
(애정의 조건)
샐리 필드
(마음의 고향)
제랄딘 페이지
(바운티풀 가는 길)
말리 매트린
(작은 신의 아이들)
셰어
(문스트럭)
제61회
(1989년)
제62회
(1990년)
제63회
(1991년)
제64회
(1992년)
제65회
(1993년)
조디 포스터
(피고인)
제시카 탠디
(드라이빙 미스 데이지)
캐시 베이츠
(미저리)
조디 포스터
(양들의 침묵)
엠마 톰슨
(하워즈 엔드)
제66회
(1994년)
제67회
(1995년)
제68회
(1996년)
제69회
(1997년)
제70회
(1998년)
홀리 헌터
(피아노)
제시카 랭
(블루 스카이)
수잔 서랜든
(데드 맨 워킹)
프란시스 맥도맨드
(파고)
헬렌 헌트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제71회
(1999년)
제72회
(2000년)
제73회
(2001년)
제74회
(2002년)
제75회
(2003년)
기네스 팰트로
(셰익스피어 인 러브)
힐러리 스왱크
(소년은 울지 않는다)
줄리아 로버츠
(에린 브로코비치)
할리 베리
(몬스터 볼)
니콜 키드먼
(디 아워스)
제76회
(2004년)
제77회
(2005년)
제78회
(2006년)
제79회
(2007년)
제80회
(2008년)
샤를리즈 테론
(몬스터)
힐러리 스왱크
(밀리언 달러 베이비)
리스 위더스푼
(앙코르)
헬렌 미렌
(더 퀸)
마리옹 코티야르
(라 비 앙 로즈)
제81회
(2009년)
제82회
(2010년)
제83회
(2011년)
제84회
(2012년)
제85회
(2013년)
케이트 윈슬렛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
산드라 블록
(블라인드 사이드)
나탈리 포트만
(블랙 스완)
메릴 스트립
(철의 여인)
제니퍼 로렌스
(실버라이닝 플레이북)
제86회
(2014년)
제87회
(2015년)
제88회
(2016년)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케이트 블란쳇
(블루 재스민)
줄리앤 무어
(스틸 앨리스)
브리 라슨
()
엠마 스톤
(라라랜드)
프란시스 맥도맨드
(쓰리 빌보드)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제94회
(2022년)
제95회
(2023년)
올리비아 콜먼
(더 페이버릿: 여왕의 여자)
르네 젤위거
(주디)
프란시스 맥도맨드
(노매드랜드)
제시카 차스테인
(타미 페이의 눈)
양자경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제96회
(2024년)
제97회
(2025년)
제98회
(2026년)
제99회
(2027년)
제100회
(2028년)
엠마 스톤
(가여운 것들)
----
}}}}}}}}}}}}}}} ||

역대 영국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BAFTA 로고.svg
여우주연상
제60회
(2007년)
제61회
(2008년)
제62회
(2009년)
헬렌 미렌
(더 퀸)
마리옹 코티야르
(라 비 앙 로즈)
케이트 윈슬렛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

역대 세자르 시상식
파일:cesarawards.png
여우주연상
제32회
(2007년)
제33회
(2008년)
제34회
(2009년)
마리나 핸즈
(레이디 채털리)
마리옹 코티야르
(라 비 앙 로즈)
욜랭드 모로
(세라핀)
여우조연상
제29회
(2004년)
제30회
(2005년)
제31회
(2006년)
줄리 드빠르디유
(우리의 릴리)
마리옹 코티야르
(인게이지먼트)
세실 드 프랑스
(사랑은 타이밍!)

역대 골든 글로브 시상식
파일:goldenglobe.png
여우주연상 - 뮤지컬 및 코미디(영화)
제64회
(2007년)
제65회
(2008년)
제66회
(2009년)
메릴 스트립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
마리옹 코티야르
(라 비 앙 로즈)
샐리 호킨스
(해피 고 럭키)

}}} ||
<colbgcolor=#071d59><colcolor=#ffffff>
마리옹 코티야르[1]
Marion Cotillard
파일:138D8A66-611F-463A-BDD1-269D6E588384.jpg
출생 1975년 9월 30일 ([age(1975-09-30)]세)
프랑스 일드프랑스 파리 12구
국적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직업 배우, 가수
신장 169cm
학력 오를레앙 고등 연극원[2]
활동 1982년 – 현재
파트너 기욤 카네(2007년~현재)
자녀 아들 마르셀 카네(2011년생)
딸 루이스 카네(2017년생)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사생활4. 기타5. 작품 활동
5.1. 영화5.2. TV

[clearfix]

1. 개요

파일:441764093afe3f7533c21799a013b2c4.gif
프랑스, 할리우드에서 활동하는 프랑스인 배우.

할리우드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는 프랑스 배우들 중 하나로, 《라 비 앙 로즈》, 《택시》, 《퓨리아》, 《러브 미 이프 유 데어》, 《빅 피쉬》, 《미드나잇 인 파리》, 《인셉션》, 《다크 나이트 라이즈》 등에 출연했다.

2. 생애

1975년 9월 30일 파리에서 태어나 오를레앙에서 자랐다. 1982년에 TV영화 Le Monde des tout petits》으로 데뷔했으며 1993년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데뷔를 했으며 국내외의 텔레비전에서 다양한 주연과 조연을 맡았다. 영화 《내가 싸우듯이》를 계기로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렸다.

프랑스의 전설적인 가수 에디트 피아프의 일생을 그린 영화 《라 비 앙 로즈》에서 주연을 맡아 아카데미상, 영국 아카데미상, 세자르상, 골든글로브상의 여우주연상을 휩쓸었다. 이 중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은 프랑스어로 연기한 영화 배우에게 처음으로 주어진 상이었다.

영미권, 특히 프랑스인 배우들 중에서 쥘리에트 비노슈, 에바 그린과 함께 할리우드에 성공적으로 정착했다는 평을 듣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코티야르가 가장 성공했다는 평을 듣는다. 최근에는 같은 프랑스 출신인 멜라니 로랑레아 세두도 2000년대 후반부터 할리우드 영화에 등장하기 시작했으며 2024년 현재 레아 세두는 코티야르 못지않게 할리우드에서 왕성하게 활동중이고 멜라니 로랑은 프랑스와 미국을 오가면서 감독으로 활동중이다.[3]

할리우드에 정착한 뒤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과의 협업으로 국제적인 스타가 되었지만, 프랑스 영화계를 떠난 것은 아니라서 다르덴 형제자크 오디아르 같은 유명 프랑스 감독들과도 작업을 하고 있다. 이땐 주로 화장기 없고 털털한 역을 맡는 편. 특히, 액션 영화였던 《택시》에서는 4성 장군의 딸이지만 엄청난 왈가닥 포스를 보여 줬다.

2014년엔 비영어권(벨기에) 영화인 《내일을 위한 시간》에서 직장에서 해고된 여성이 복직하기 위해 노력하는 산드라 역을 맡아 뛰어난 연기력을 보여 줬다. 제87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여우주연상에 노미네이트되었다.

2010년대 중반부터 한 해 3~4편의 작품에 참여하는 은근한 다작 배우. 블록버스터 영화에서 저예산 영화에 이르기까지 작품 선택 폭도 넓은 편이다. 한국의 경우에는 2016년 12월 아브릴과 조작된 세계(목소리연기), 2017년 1월 어쌔신 크리드 - 얼라이드 - 단지 세상의 끝으로, 동 시기에 4편의 주연작이 개봉되는 진기한 기록의 소유자가 되었다.

2021년 애덤 드라이버와 함께 레오스 카락스 감독의 뮤지컬 영화 아네트에 출연했다. 이 영화로 제79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 뮤지컬/코미디 부문 여우주연상 후보에 올랐다.

3. 사생활

1990년대에는 프랑스의 배우 쥘리앵 라삼과 사귀었으며, 2000년부터 2005년까지 프랑스의 배우 겸 영화 감독 스테판 게랭 틸리에와 5년간 사귀었다. 2005년부터 2007년까지는 프랑스의 가수 싱클레어와 사귀었다. 《러브 미 이프 유 데어》에 함께 출연했던 프랑스의 배우 및 감독인 기욤 카네와 2007년부터 사귀기 시작해 동거하고 있으며, 2011년에 아들 마르셀을 낳았다.[4]

페미니즘에 대해 평등이 아닌 분쟁을 야기시킨다는 이유로 꽤 비판적이다. 영화 평론가나 영화 감독 등이 대부분 남성인 것은 성차별적이라는 주장이 나오자, 2015년 9월에 이에 대해 반박하며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영화제작 산업은 성별의 문제로 볼 수 없다. 예를 들어 칸 영화제 집행위원장에게 남자감독과 여자감독의 영화 수를 똑같이 맞춰 달라고 요구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 내가 보기엔 (페미니즘은) 평등이 아닌 분리를 야기하는 것으로 보인다. 난 자신을 페미니스트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우린 여성의 권리에 대해 싸워야 하는 건 맞지만 난 여성이 남성으로부터 구분되어 나오는 건 원하지 않는다. 남성과 여성은 이미 다른 존재이다. 남성과 여성은 다르게 태어나지만 서로간의 다름이 창조사랑의 원천이라 할 수 있다. 어떤 때 보면 페미니즘이라는 단어가 지나치게 남녀를 더욱 구분짓는 것처럼 보인다."
(Film-making is not about gender. You cannot ask a president in a film festival like Cannes to have, like, five movies directed by women and five by men. She told Porter magazine. 'For me, it doesn't create equality, it creates separation. I mean, I don't qualify myself as a feminist. We need to fight for wome's rights, but I don't want to separate women from men. We're separated already but we're not made the same and it's the difference that creates this energy in creation and love. Sometimes in the word feminism there is too much seperation.)

그러나 이는 영화제작의 범위에서 허락되는 여성의 비율에 대해 말했을 뿐, 페미니즘 전체를 비판한다고 보기는 힘들다. 여러번 공식 석상에서 모두는 여성의 권리를 위해 싸워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으며, 2018년 1월 르 몽드에서 캐서린 드뇌브가 미투 운동을 비판하는 성명서를 비판하며 미투 반발 심리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바 있다.[5]

2017년 2월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인스타그램에 뻐큐를 화려하게 날려 화제가 되기도 했다.

파일:external/68.media.tumblr.com/tumblr_ol4m04XcQZ1w4ixk0o1_1280.jpg

해당 인스타그램 사진은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키스톤 XL 송유관'과 '다코타 대형 송유관'등 2대 송유관 신설을 가능하게 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는 모습이다. 이는 기후변화와 환경보호 등의 이유로 전임 오바마 대통령이 잠정 중단했던 사업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환경보호국(EPA) 해체에 무게를 두고 있는 데다 백악관 에너지 정책 보좌관으로 관련업계 로비스트인 마이클 카탄자로를 임명할 것으로 알려지면서 환경 단체가 반발하고 있다. 반면 에너지 기업들의 주가는 치솟는 상황이다. 이에 대해 자세한 것은 도널드 트럼프/논란 문서 '환경정책 관련 논란' 목차 참고바람.

이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의 환경 정책 관련 논란으로 인해 불만을 품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인셉션에서 부부역으로 나왔으며, 같은 아카데미 시상식을 수상한 바 있는 할리우드 배우인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도 트럼프 대통령의 환경 정책 논란을 비판하며 대통령 자격이 없는 사람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뻐큐를 하고있는 이모티콘을 다양한 색상으로 했는데 이는 인종의 다양성을 표방하기 위함인 듯 보인다.[6] 트럼프 대통령이 지속적으로 보여 준 미국우선주의 성향에 대한 반발적 의도라는 해석도 있다.

4. 기타

  • 미국에서 활동하는 프랑스 배우지만, 평소에 영국 영어를 사용한다. 그렇다고 완벽한 영국식 발음을 구사하는 것은 아니고 프랑스 악센트가 강하다. 할리우드 진출 이전 데뷔 초창기때부터 영어 연기를 하는 경우가 의외로 많았는데, 이때나 다크나이트나 어쌔신크리드 등 할리우드 영화에서 구사하는 영어가 대부분 영국식 영어이다. 이는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은 영어를 배울 때 미국식이 아닌 영국식 영어를 배우기 때문이다.[7] 이는 같은 프랑스 출신인 에바 그린도 마찬가지로 평소에 영국식 영어를 사용한다.
  • 2008년 쓰여진 기사들에 따르면 마리옹 코티야르는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타기 1년 전인 2007년, 한 프로그램에 출연해 9.11 테러에 관한 미국정보의 음모론을 주장했다고 한다. # # # # 이에 대해 2011년 코티야르는 자신이 한 적 없는 발언이 왜곡되어 사실처럼 퍼졌다고 주장했다. 당시 완전히 다른 주제에 대해 얘기하고 있었으며, 9.11 테러가 조작되었다고 말한 적이 없다고 한다. #
  • 기욤 카네와 사귀기 시작하면서 한국 한정으로 불륜설이 휩싸였는데 이는 사실이 아니다. <러브 미 이프 유 데어>를 찍을 때 카네는 당시 아내였던 독일의 여배우 겸 패션모델인 다이앤 크루거와 결혼생활을 잘 유지하고 있었으며, 코티야르 역시 당시 남자친구였던 스테판 게랭 틸리에와 잘 사귀고 있었다. 카네와 크루거는 1999년에 결혼했고 2005년부터 별거하기 시작해 2006년이혼했는데, 카네는 크루거와 이혼하고 코티야르와 사귀기 전에 몇 여성들과 만난 적이 있었다. 오히려 해외에서는 크루거가 캐나다의 배우 조슈아 잭슨과 사랑에 빠지면서 카네와 이혼한 게 아니냐는 설이 많다.
  • 이마 부분에 상당히 눈에 띄는 이 있다.
  • 몸매가 상당히 좋은 편이다. # 이미 데뷔 시기인 1996년 《나의 성생활》(My Sex Life) 에서 잘 드러난다.링크[8]
  • 프랑스 배우답게 노출을 꺼리지 않는다. 헐리우드 진출 후에는 다소 줄었지만, 자국 영화에서는 가슴 노출은 기본이고 음모 노출, 올 누드도 마다하지 않는 스타일. 워낙에 몸매가 좋아 영상이 아름답게 나온다. <러브 미 이프 유 데어>가 대표적.
  • 활발한 환경주의자이며, 드레스를 매우 잘 입어서 패셔니스타로서의 인지도도 꽤 높다. 2008년 레이디 디올 백의 광고 캠페인을 시작으로 디올의 뮤즈로 활동하고 있다. 인셉션에 같이 출연한 디카프리오처럼 환경운동가의 면모를 보이는데, 트럼프에게 엿을 날리는 트윗이 화제가 되었다.[9]
  • 2019년 7월에 패션쇼에서 썼던 욱일기 무늬의 모자를 썼던 것을 자신이 꼬띠아르의 매니저이자 친구인 엘리엇 블리스에게 이 모자에 관한 DM(다이렉트 메시지)을 보냈다며 그와 주고 받은 것을 공개하였다. # # 자신은 욱일기의 의미를 몰랐으며, 그 모자는 버렸다고 한다. 한 달 뒤에 있던 존 레논의 아들 션 레논의 욱일기 옹호 발언과 비교해서 평가가 더 좋아진 상태이다

5. 작품 활동

5.1. 영화

<rowcolor=#ffffff> 연도 작품 배역 비고
1998 택시 릴리
1999 퓨리아 엘리아
2000 택시 2 릴리
2001 리자 리자 (젊은 시절)
아름다운 기억 마리/루시
2003 택시 3 릴리
빅 피쉬 조세핀
러브 미 이프 유 데어 소피
2004 인게이지먼트 티나 롬바르디
2005 검은 상자 이자벨
2006 어느 멋진 순간 패니
2007 라 비 앙 로즈 에디트 피아프
2009 퍼블릭 에너미 블리 프레쳇
나인 루이사
2010 인셉션
2011 컨테이젼 리어노러 오랑테스 박사
미드나잇 인 파리 아드리아나
2012 다크 나이트 라이즈 미란다 테이트
러스트 앤 본 스테파니
2013 이민자 에바
2014 내일을 위한 시간 산드라
2015 어린 왕자 장미
맥베스 맥베스 부인
아브릴과 조작된 세계 아브릴
2016 달나라에 사는 여인 가브리엘
얼라이드 마리안 부세주르
어쌔신 크리드 소피아 리킨
단지 세상의 끝 캐서린
2020 닥터 두리틀 투투
2021 아네트

5.2. TV

연도 작품 배역 비고
2023 2050: 벼랑 끝 인류


[1] 실제 발음은 '마히용 꼬티야흐'에 가깝다.# 표준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마리옹 코티야르'를 표준으로 정했다.[2] Conservatoire d'art dramatique d'Orléans. 전체 1등으로 졸업했다고 한다.[3] 여담으로 이 둘은 타란티노 감독의 바스터즈에 출연했으며, 대표작으로 꼽힌다.[4] 이 영화에서 연인으로 나왔기 때문에, 영화로 맺어진 인연이라는 식으로 기사들이 나왔지만 《러브 미 이프 유 데어》는 2003년에 개봉한 영화다. 즉, 영화 출연 당시 연인이었던 것은 아니나 공교롭게도 극중에서의 인연이 현실이 된 셈.[5] 게다가 프랑스를 포함한 서유럽은 개방적인 사회이며 영화계 역시 페미니즘같은 진보주의적 가치에 우호적이다.[6] 모든 인종이 엿을 날리고 있다는 해석도 가능하다.[7] 사실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국가들은 영어를 영국식으로 가르친다. 사실 미국의 영향이 강한 일본 조차도 50%는 영국식으로 가르칠 정도. 그나마 대만, 한국, 필리핀, 일부 오세아니아 섬나라들이나 완전히 미국식으로 가르친다.[8] 제목과 달리 야한 영화는 아니고 오히려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에서 모티브를 빌려와 지적인 토론을 거치며 지식인의 성장을 다루는 영화다. 비단 이 영화뿐 아니고 아르노 데스플레샹 영화 대부분이 그렇다. 마티유 아말릭이 주연을 맡았다. 참고로 여기서 코티야르의 배역은 학생1 정도.[9] 디카프리오도 트럼프를 비판하는 글을 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