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나무위키 프로젝트 관련 문서입니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무위키 프로젝트에 참가하여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참가자 분들은 나무위키:프로젝트 문서와 참가하는 프로젝트 문서에 있는 내용을 꼭 숙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프로젝트 목적
나무위키에 상당수 작성되지 않은 해군 제반에 관련된 문서들을 협력하여 작성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전투함이나 미사일, 어뢰등의 해군무기체계, 혹은 여러 해상전술등의 문서를 협력하여 작성해주십시오.2. 참가자 서명
(n)은 프로젝트에 기여한 문서갯수입니다.나무위키에 접속하지 않는 사용자가 많아 꾸준한 기여 내역이 있는 사용자는 밑줄로 표시합니다.
- 개설자 : nanosable (31)
- sungackja (5)
- torpedo4u
- jeongsu1231
akagi1942[영구차단]- Kaneumi (2)
- jinwoo2142
- dynamics (15)
- hasj1017
- 222.238.66.142
- Zisa (2)
- warspite38 (11)
- DonerKebap (1)
- Kevin03 (1)
- MyName (1)
- gungnir0130 (2)
- lusiyan
- mandegi1004 (25)
- VESPA (13)
- drake (1)
Pantyhose (2)[영구차단]- dt644 (7)
Missouri (0)[영구차단]- bk503 (7)
- ShapedCrafting (9)
- kkhz93
- weaponmaster (0)
3. 작성/보완이 필요한 문서
3.1. 전투함정
- 해상 병기/현대전, 해상 병기/세계 대전 - 함선 추가시 목록갱신 필요, 목록내 항목 링크 연결과 목록에 있지만 항목이 없는 경우 생성 필요.
- 전함/역사 - 되도록 전열함 시대부터 이어지도록 작성 부탁드립니다.
- 틀:1차 세계대전/영국 함선 - 제1차 세계 대전 중 가장 중요한 해군 세력이면서도 가장 문서가 없다시피함(1)
- 틀:1차 세계대전/일본 함선 - 제1차 세계 대전 중 가장 중요한 해군 세력이면서도 가장 문서가 없다시피함(2)
- 틀:2차 세계대전/오스트레일리아 함선
- 틀:2차 세계대전/캐나다 함선
- 틀:2차 세계대전/네덜란드 함선
- 틀:현대전/독일 함선
- 틀:현대전/이탈리아 함선
- 틀:현대전/북한 함선
- 틀:해상병기/독일의 잠수함 계보
- 틀:해상병기/미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보 - 구성 문서 작성 예정
- 틀:해상병기/영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보
- 틀:해상병기/미국의 전략 탄도미사일 원자력 잠수함 계보 - 구성문서 작성 필요
- 틀:해상병기/소련의 잠수함 계보 - 작성 예정
- 틀:해상병기/영국 항공모함의 계보 - 수정 및 보완 필요
- 틀:2차 세계대전/프랑스 함선 - 수정 및 보완 필요
- 001A형 항공모함 - 중국이 건조하고 있는 차기 항공모함
- 002형 항공모함 - 중국이 건조하고 있는 두번째 차기 항공모함
- 탕급 - 중국이 개발하고 있는 SSBN
- 095형 - 중국이 개발한 SSN
- 한국 해군 퇴역 초계함 목록
- 백두산(PC-461급)급 초계함 - 한국 최초의 군함(백두산함참고)
- 노량(PCE-842급)급 초계함 - 한국 2번째 보유급 초계함 초계함 여러급들 참고 자료
- 거진(Admirable)급 초계함 - 한국 3번째 보유급 초계함
- 신성(Auk)급 초계함 - 한국 4번째 보유급 초계함
- 두만(Tacoma)급 호위함 - 한국 최초 보유급 호위함 두만급 호위함 참고자료
- 청급 잠수함
- 새크라멘토급
- LPH - 보완 필요
- 계림호 독립군 비공식 4,500톤급 군수지원함
- 카와치급 전함
- 보클랭급 구축함
- 모가도르급 구축함
- 당통급 전함
- 쿠르베급 전함
- 브르타뉴급 전함
- 노르망디급 전함,
- 리옹급 전함
- 알자스급 전함
- 볼티모어급 중순양함 - 내용 보충 필요
- 렉싱턴급 순양전함 - 2차대전 미국 순양전함 부분. 내용 보충 필요.
- 파고급 경순양함
- 주노급 경순양함
- 슈페크로이처 경순양함 참고
- M급 경순양함
- P급 장갑함
- D급 중순양함 참고
- 센다이급 경순양함
- 고틀란트급 항공순양함
- 팡타스크급 구축함
- 리데르급
- 오라이언급 전함 -
- 리나운급 순양전함 - 보완 필요
- 어드미럴급 순양전함 - 보완 필요
- K2/K3급 순양전함 - 보완 필요
- J3급 순양전함
- L급 전함
- M급 순양전함
- N3급 전함
- 가토급 잠수함, 가토급 잠수함/자매함 목록 및 전과 - 현재 대폭 수정 및 추가, 보완작업중.
- 발라오급 잠수함 - 대대적 보완 필요
- S급 잠수함(미국) - 2차대전 미국 잠수함 부분
- 텐치급 잠수함 - 2차대전 미국 잠수함 부분
- U급 잠수함 - 2차대전 영국 잠수함 부분
- V급 잠수함 - 2차대전 영국 잠수함 부분
- M급 잠수함(영국) - 2차대전 영국 잠수함 부분
- M급 잠수함(소련) - 2차대전 소련 잠수함 부분
- 스레드냐야급 잠수함 - 2차대전 소련 잠수함 부분
- 카츄샤급 잠수함 - 2차대전 소련 잠수함 부분
- 데카브리스트급 잠수함 - 2차대전 소련 잠수함 부분
- 슈츄카급 잠수함 - 2차대전 소련 잠수함 부분
- 나왈급 잠수함 - 2차대전 미 잠수함 부분
- 순잠형 잠수함 - 2차대전 일본 잠수함 부분
- 해중형 잠수함 - 2차대전 일본 잠수함 부분
- 해대형 잠수함 - 2차대전 일본 잠수함 부분
- 호킨스급 중순양함 - 2차대전 영국 중순양함 부분
- 프로젝트 중간 톤수 구축함 - 1차대전 러시아 구축함 부분 참조
- 노빅급 구축함 - 1차대전 러시아 구축함 부분 참조
- 데르즈키급 구축함 - 1차대전 러시아 구축함 부분 참조
- 이쟈슬라프급 구축함 - 1차대전 러시아 구축함 부분 참조
- 프로젝트 프로보스트형 구축함 - 1차대전 러시아 구축함 부분 참조
- 프로젝트 흑해 1929년형 구축함 - 참조
- 프로젝트 7U형 구축함 - 2차대전 소련 구축함 부분
- 프로젝트 7형 구축함 - 2차대전 소련 구축함 부분
- 프로젝트 1형 구축함 - 2차대전 소련 구축함 부분
- 프로젝트 35형 구축함 - 2차대전 소련 구축함 부분 참조
- 프로젝트 37형 구축함 - 2차대전 소련 구축함 부분 참조
- 프로젝트 40형 구축함 - 2차대전 소련 구축함 부분 참조
- 경항공모함 - 현재 항공모함으로 리다이렉트. 독립적 내용 추가 필요
- 장갑순양함
- 글리브스급 구축함 - 미국 구축함 부분
- 벤슨급 구축함
- 녹스급 - 미국 프리깃함 부분
- 전시 비상계획 구축함 - 제2차 세계 대전 영국 구축함 부분
- 우미카제급 구축함 구일본군 구축함 보완 필요
- 아크로열급 항공모함 보완 필요
- 임플래커블급 항공모함 보완 필요
- 커레이저스급 항공모함
- 오데이셔스급 항공모함[4]
- 하츠하루급 구축함 보완 필요
- 무츠키급 구축함 보완 빌요
- 아사시오급 구축함 보완 필요
- 1934년형 구축함 - 2차대전 독일 구축함, 보완바람
- 1936년형 구축함 - 2차대전 독일 구축함, 보완바람
- 1938년형 구축함 - 2차대전 독일 구축함, 작성바람
- 1942년형 구축함 - 2차대전 독일 구축함, 작성바람
- 1944년형 구축함 - 2차대전 독일 구축함, 보완바람
- 1945년형 구축함 - 2차대전 독일 구축함, 보완바람
- M급 구축함
- 메데아급 구축함 참조
- S급 구축함
- 탈리스만급 구축함
- 포크너급 구축함
- 마크맨급 구축함
- 파커급 구축함
- 스코트급 구축함
- 셰익스피어급 구축함
- A, B급 구축함 참조
- C, D급 구축함
- E, F급 구축함
- G, H급 구축함
- I급 구축함 참조
- 트라이벌급 구축함
- J, K, N급 구축함
- 헌트급 구축함
- L, M급 구축함 참조
- 배틀급 구축함
- 웨폰급 구축함
- 갤런트급 구축함
- 동음이의어 보완 필요
- 안드레아 도리아급 전함 - 구 안드레아 도리아급에서 항목 분리. 항목 내용 추가중.
- 쿤밍급 - 중국 해군 구축함[5]. 란저우급에 종속되어 있으며 항목 분리 필요.
- 조지 워싱턴급 잠수함 - 작성예정
- 이튼 앨런급 잠수함 - 작성예정
- 라피엣급 잠수함 - 작성예정
- 데르플링거급 순양전함 - 독일 제국 해군 함선 틀 제작 필요
- 사쿠라급 구축함
- 하시다테급 포함
- 카토리급 전함(香取型戦艦, Katori-class battleship)
- A-140 전함 - 야마토급 전함 3항목, 워쉽 일본 전함 2.7항목 참조 참고
- 1941년 갑형 순양함 참고
- 빅커스 설계 472형 순양전함 참고
- 이리급
- 계획 향도 구축함 참고1, 참고2
- 1920년대 라이히스마리네 계획 군함 참고1, 참고2
- 클로니얼 K급 포함 참고
- 노빅급 방호순양함 참고
- 바가티르급 방호순양함 참고
- 스베틀라나급 경순양함 참고
- 프로젝트 94형 순양함 참고
- 프로젝트 28형 순양함 참고
- 프로젝트 84형 순양함 참고
- 프로젝트 65형 순양함 참고
- 오세앙급 전열함 - 보완 필요
- 테메레르급 전열함 - 보완 필요
- 휴우가급, 이즈모급 - 이 두 함선급을 구축함에서 다룰지, 헬리콥터 모함에서 다룰지에 대한 논의 관련 토론
- 부갱빌급 포함 참고
- 쥐리엥 드 라 그라비에르 방호순양함 참고
- 프로젝트 171형 경순양함 참고1 참고2
- 뒤게-트루앵급 경순양함 참고
- 에밀 베르탱 경순양함 참고
- 드 그라스급 경순양함 참고
- 프로젝트 C5형 중순양함 참고1 참고2
- 생 루이급 중순양함 참고
- 프랑스 계획 순양전함 참고
- 블랙 스완급 포함 참고
- 타운급 방호순양함 참고
- C급 경순양함 참고
- 다나에급 경순양함 참고
- 에메랄드급 경순양함 참고
- 미노토어급 방호순양함 참고
- 미노토어급 경순양함 참고
- 참고
-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급 전함
- 프로젝트 21형 전함 참고
- 프로젝트 UP.41형 전함
- 프란체스코 카라치올로급 전함
- 프로젝트 페라리 전함
- 에르자츠 모나르히급 전함
- 테게토프급 전함
- 비리티스 유니부스급 전함
- 코네티컷급 전함
- 델라웨어급 전함
- 킹 에드워드 7세급 전함
- 인디패티거블급 순양전함
- 퀸 메리급 순양전함
- 타이거급 순양전함
- 세인트 빈센트급 전함
- 콜로서스급 전함
- 에린급 전함
- 항공모함 I 참조
- II(항공모함) 참조
- 클라이너(항공모함)
- 야드급 항공모함(그나이제나우(항공모함)) 참조
- 엘브급 항공모함(포츠담(항공모함)) 참조
- 드 그라스(항공모함)
3.2. 레이더
- AN/BPS 계열 레이더
- AN/SPG 계열 레이더
- AN/SPN 계열 레이더
- AN/SPQ 계열 레이더
- AN/SPS 계열 레이더
- AN/SPS-48
- AN/SPS-64V -포항급, 참수리급, 울산급 탑재 대함레이더
- SPS-540K - 윤영하급, 천왕봉급 탑재 3차원 대공레이더
- SPS-550K - 인천급, 남포급 탑재 3차원 대공레이더
- SPS-95K - 국산 대수상 레이더
- SPS-100K - 국산 대수상 레이더
- SPS-300K - 국산 대수상 레이더
- AN/SPW 계열 레이더
- AN/SPY 계열 레이더
- OPS-12
3.3. 소나(SONAR)[6]
- SQS-240K - 인천급, 남포급에 장착된 선저소나
- SQS-53C - 알레이 버크급에 장착된 함수소나
- ZQQ-6 - 오야시오급에 장착된 함수소나
- ZQQ-7 - 소류급에 장착된 함수소나
3.4. 함포
- 틀:해상병기/현대 함포 (추가 작성 및 미작성 문서 작성 필요)
- B-13 130mm 함포 제 2차 세계 대전 소련군의 함포
- 11년식 12cm 45구경장 함포
- 94식 40cm 45구경장 함포 - 실제 구경 46cm,야마토급 전함의 주포.
- 41식 15cm 50구경장 함포 - 콩고급 부포
- 41식 36cm 연장포
- 3년식 41cm 45구경장 함포
- 3년식 20cm 50구경장 함포
- 14cm 40구경장 단장포 - 잠수함용 함포
- 3년식 14cm 50구경장 함포
- 3년식 15.5cm 60구경장 함포
- 3년식 12.7cm 50구경장 함포
- 3년식 12cm 45구경장 함포
- 3년식 8cm 40구경 단장 고각포
- 98식 10cm 65구경장 함포
- Mark 7 16인치 50구경장 함포
- Mark 6 16인치 45구경장 함포
- 5인치 38구경장 양용포
- Mark 15 8인치 55구경장 함포
- Mark 16 8인치 55구경장 함포
- Mark 17 8인치 55구경장 함포
3.5. 근접무기체계(CIWS)
※ 근접무기체계는 높은 연사력 및 요격 알고리즘을 탑재한 체계만 아래에 목록으로 작성할 것.- 틀:해상병기/CIWS - 혹시 추가할 목록 있을 경우 작성 바랍니다.
3.6. 어뢰
※ 추후 상당수의 어뢰 문서가 작성되면 틀을 작성할 예정.- 초공동 어뢰
- 65형 중어뢰
- 53형 중어뢰[7]
- 40형 경어뢰
- A184 중어뢰
- 바라쿠다 초공동어뢰
- DM2A4 중어뢰
- 후트 초공동어뢰
- F17 중어뢰
- Mk.45 어뢰
- Mk.48 중어뢰
- Mk.44 경어뢰 (K-744 경어뢰[8])
- 93식 어뢰[9]
- 95식 어뢰[10]
- T-5 어뢰
- T-15 어뢰
- 범상어 중어뢰
- 블랙샤크 중어뢰
- CHT-02D
- PT-97W
3.7. 유도탄
3.7.1. 함대함/잠대함 유도탄
- 90식 함대함 미사일 - 보완할 내용이 있으면 추가바람.
- NSM 대함미사일-토막글
- 하푼
- 해성 대함미사일
- 스틱스 대함 미사일
- 슝펑
- P-270 모스킷
- P-700 그라니트
- 80식 함대함 미사일 또는 ASM-1 (동일 명칭)
3.7.2. 함대잠 유도탄
3.7.3. 함대공 유도탄
3.7.4. 함대지 유도탄
3.7.5. 잠대잠 유도탄
3.7.6. 잠대공 미사일
- IDAS 잠대공 미사일 - 실전 배치 등 갱신되는 내용의 작성 필요.
3.8. 해군 항공대 관련
3.9. 해상전술
3.10. 해군 전략
해군 전략 목록 | |||
해상 거부 | 통상파괴전 | 현존함대전략 | |
제해권 장악 | 점감요격작전 | 함대결전사상 | 기지 타격 |
제해권 장악
3.11. 작전
※ 영문표기로 Operation XXX등의 문서를 작성해주시기 바랍니다.3.12. 함대
3.12.1. 현존하는 함대
3.12.2. 역사속의 함대
3.13. 조약, 계획
- 2차 런던 해군 군축조약 - 파토났지만...
- 건함계획 - 본 항목 및 하위 항목 작성 필요
3.14. 관련 인물
- 앤드류 커닝햄 - 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영국 해군 소속의 제독
- 알프레드 새이어 머핸 - 전 세계의 해군전략에 엄청난 영향을 준 미국 해군 소속의 제독.
- 어니스트 킹 - 미국 해군에서 4명의 원수 계급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이자 미국 역사상 가장 강력한 권력을 가졌던 군인.
- 윌리엄 리히 - 미국 해군에서 4명의 원수 계급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이자 태평양 전쟁 때 합동참모의장을 맡았던 리더.
- 체스터 니미츠 - 미국 해군에서 4명의 원수 계급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이자 명장.
- 윌리엄 홀시 - 미국 해군에서 4명의 원수 계급을 받은 사람 중 한 명이자 황소같은 성격을 가졌던 사람.[14]
- 레이먼드 스프루언스 - 미 해군에서 원수는 되지 못했으나 전술이 뛰어났던 불패의 명장.
- 도고 헤이하치로 - 일본에서 러일 전쟁 때 러시아의 발틱함대를 격파했던 제독.
- 칼 빈슨 - 제독은 아니나 연방 하원의원으로서 미 해군에 어마어마한 도움을 주었던 미 해군의 대부.[15]
3.15. 기타
4. 프로젝트 성과
생성되었거나 보완된 문서는 날짜와 함께 아래에 적어주세요.[16]4.1. 프로젝트 시작 후 생성된 문서
※ 가나다, ABC, 숫자 순으로 정렬- 가디르급 잠수정
- 가토급 잠수함
- 나왈급 잠수함
- 글리브스급 구축함
- 넵튠급 순양함
- 노르망디급 전함
- 녹스급 호위함 - 내용 보충 필요
- 대잠삼각측량
- 대한민국의 항공모함 계획
- 데르즈키급 구축함
- 델라웨어급 전함
- 다나에급 경순양함
- 단종진
- 당통급 전함
- 드 그라스급 경순양함
- 뒤게-트루앵급 경순양함
- 라파예트급 잠수함
- 리수이
- 미노토어급 순양함
- 메데아급 구축함
- 바가티르급 방호순양함
- 범상어 중어뢰
- 빅커스 설계 472형 순양전함
- 브르타뉴급 전함
- 블랙 스완급 포함
- 부갱빌급 포함
- 사쿠라급 구축함
- 생 루이급 중순양함
- 스베틀라나급 경순양함
- 스케이트급 잠수함
- 스킵잭급 잠수함
- 스터전급 잠수함
- 스코리급 구축함
- 스탈린그라드급 순양전함
- 알자스급 전함
- 이쟈슬라프급 구축함
- 이튼 앨런급 잠수함
- 자바급 경순양함
- 전함/역사 내용 보충 필요
- 조지 워싱턴급 잠수함
- 전시 비상계획 구축함
- 중산(해방함)
- 쥐리엥 드 라 그라비에르 방호순양함
- 차라급 중순양함 - 항목 내용 추가중.
- 타운급 방호순양함
- 타코마급 호위함 내용 보충 필요
- 틀:해상병기/독일의 잠수함 계보
- Type I 유보트
- Type II 유보트
- Type VII 유보트
- Type IX 유보트
- Type X 유보트
- Type XIV 유보트
- Type XVII 유보트
- Type XXI 유보트
- Type XXIII 유보트
- 201급 잠수함
- 205급 잠수함
- 206급 잠수함
- 212급 잠수함
- 틀:해상병기/미국의 원자력 잠수함 계보
- 틀:해상병기/미국의 함대공미사일 계보
- 틀:2차 세계대전/만주국 함선
- 틀:2차 세계대전/이탈리아 함선 - 항목 생성 완료. 수정중.
- 틀:2차 세계대전/중화민국 함선
- 스레드냐야급 잠수함
- 양양해군법 내용 보충 필요
- 이즈마일급 순양전함
- 임페라토르 니콜라이 1세급 전함
- 오라이언급 전함
- 융펑급 해방함
- 융지엔
- 이셴
- 에메랄드급 경순양함
- 에밀 베르탱 경순양함
- 카츄샤급 잠수함
- 카토리급 전함
- 칼레돈급 경순양함
- 킨다급 미사일순양함
- 킬딘급 구축함
- 킹 에드워드 7세급 전함
- 클로니얼 K급 포함
- 코네티컷급 전함
- 콘도티에리급 경순양함
- 쿠르베급 전함
- 타슈켄트급
- 트라이벌급 구축함
- 퍼밋급 잠수함
- 프로젝트 1형 구축함
- 프로젝트 7형 구축함
- 프로젝트 7U형 구축함
- 프로젝트 35형 구축함
- 프로젝트 37형 구축함
- 프로젝트 40형 구축함
- 프로젝트 28형 순양함
- 프로젝트 94형 순양함
- 프로젝트 21형 전함
- 프로젝트 171형 경순양함
- 프로젝트 C5형 중순양함
- 프로젝트 UP.41형 전함
- 프로젝트 중간 톤수 구축함
- 프로젝트 페라리 전함
- 프로젝트 흑해 1929년형 구축함
- 한국 해군 퇴역 초계함 목록
- 함급 분류 기호
- 함대방공
- A, B급 구축함
- A244-S 경어뢰
- AK-130 130mm 2연장 함포
- DM2A4 중어뢰
- G, H급 구축함
- I급 구축함
- SUT 중어뢰
- H/PJ38 130mm 함포
- IDAS 잠대공 미사일
- J, K, N급 구축함
- L, M급 구축함
- Mk.48 중어뢰
- Operation Deadlight
- U급 잠수함
- V급 잠수함
- VA-111 쉬크발
- Mk.37 중어뢰
- Mk.46 경어뢰
- Mk.50 경어뢰
- Mk.54 경어뢰
- UGM-27 폴라리스
- UGM-73 포세이돈
- T-2 벅아이
- 1936년형 구축함
- 1944년형 구축함
- 1945년형 구축함 - 2차대전 독일 구축함, 작성바람
- 88함대 보완 필요(중요!)'
- 90식 함대함 미사일
- 98식 10cm 65구경장 함포
- 존 C. 버틀러급 호위구축함 - 보충 필요
- UGM-96 트라이던트 I
- UGM-133 트라이던트 II
- Mk.45 중어뢰
4.2. 프로젝트 시작 후 보완된 문서
[영구차단] [영구차단] [영구차단] [4] 어데이셔스급으로 더 잘 알려져있으나 영국식 발음으로는 오데이셔스가 맞다고 한다.[5] NATO 코드 루양-III, 052D식.[6] 수중청음기. 잠수함, 기뢰, 어뢰를 탐지하는 탐지장비. 자세한 내용은 해당 항목 참조.[7] 53-65, SAET-60, SET-65, TEST-71 등등 종류가 너무 많아서 하나의 명칭에 싹 몰아넣어 추가바람[8] Mk.44의 개량 국산화버전이지만 몇몇 부분에서는 Mk.46보다 띄어 났다.[9] 산소어뢰로 리다이렉트 처리되어있음, 산소어뢰의 내용에서 분리, 수정이 필요.[10] 산소어뢰로 리다이렉트 처리되어있음, 산소어뢰의 내용에서 분리, 수정이 필요.[11] B,C 버전 해당[12] 그 함대원형진이다.[13] 자위함대는 한국으로 치면 작전사령부급이다.[14] 실제로 별명 중 하나가 황소....! 자세한 건 문서 참조.[15] 그리고 미 의회는 칼 빈슨이 96세가 되던 1980년에 살아있는 사람의 이름을 명명하지 않는 전통과 관례를 깨고(!)새로 진수하는 핵 항공모함을 칼 빈슨호라 명명하고 진수식에 그를 초대해 감사를 표했다.[16] 프로젝트가 시작되고 첫 기여자가 첫 문서를 생성 및 보완 할때 부터 왠지 날짜 표기를 처음부터 안 적는 바람에 이 프로젝트만의 전례가 되어 지금까지 표기를 안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