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05 10:53:35

리수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명칭의 근원이 된 중국의 도시에 대한 내용은 리수이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운용국 둘러보기 ▼
.            .
제1차 세계 대전의 독일 해군 군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2e2e2e> 연습함 <colbgcolor=#fefefe,#191919>드라헤급
건보트 일티스급, 파터란트, 그라프 폰 괴첸, 칭다오, 아터, 포어베르츠급
어뢰정 / 함
Torpedoboote
A급, 1898급, 1906급, 1906급, 1911급, 1913급, 1914급, 1916급, 1917급, 1918급, G101급
잠수함
U-Boote
U보트
항공모함 I
경순양함
Kleiner Kreuzer
코모란급, 클라스 플레밍급, 카이제린 아우구스타, 빅토리아 루이제급
헬라, 가젤급, 브레멘급, 쾨니히스베르크급(1905), 드레스덴급, 노틸러스급, 콜베르크급, 마그데부르크급, 카를스루에급, 그라우덴츠급, 필라우급, 비스바덴급, 쾨니히스베르크급(1915), 브루머급, 쾰른급
대형순양함
Großer Kreuzer
퓌르스트 비스마르크, 프린츠 하인리히, 프린츠 아달베르트급, 론급, 샤른호르스트급, 블뤼허
폰 데어 탄급, 몰트케급, 자이틀리츠급, 데어플링어급, 마켄젠급, 에르자츠 요르크급, 카이저리헤마리네 계획 순양전함, 카이저리헤마리네 계획 고속 순양전함
전열함/
대형전열함
Linienschiffe/
Großlinienschiffe
브란덴부르크급, 카이저 프리드리히 3세급, 비텔스바흐급, 브라운슈바이크급, 도이칠란트급
나사우급, 헬골란트급, 카이저급, 쾨니히급
바이에른급, L 20 α급
기타 지아들러
취소선: 건조 취소
}}}}}}}}}

중일전쟁 ~ 제2차 세계 대전의 국민혁명군 군함
파일:대만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경비정 <colbgcolor=#fefefe,#191919>이싱급, 하이옌급, 하이쿠급, 하이푸급, 하이하오급, 순싱급, 하이힝급
수뢰정 후핑급*
호위함 하이차우급*
해방함 융펑급, 융젠급
구축함 푸포급, 장펑급
비방호순양함 퉁치급
방호순양함 하이룽급, 하이치급, 자오허급
경순양함 이셴, 닝하이급
수상기모함 전하이, 웨이성, 더성
연습함 페이훙, 잉루이
건보트 전웨이급, 장위안급, 추급, 롄칭급, 우펑급, 융펑급, 융젠급, 시엔닝급, 융수이급, 밍천급, 이셴,
후유급*, 밍센급
건보트
(하천용)
지앙쿵급, 장히시급, 전충급, 리수이*, 충윤급, 천유급, 차이위급, 잉선*, 잉터*, 잉하오*, 메이위안급*
(*) 표기: 해외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제2차 세계 대전의 만주국 군함
파일:만주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Manchukuo_WarFlag_And_Naval_Ensign.svg.png 만주군해상병기
경비정 하이구앙급
초계함 하이왕, 하이룽급
구축함 모모급 카시*
수상기모함 웨이하이
건보트 지앙핑급, 리수이C, 타퉁C, 순티엔급, 딩비엔급
윗첨자C: 노획 함선
*: 일본군이 공여후 42년에 도로 회수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1. 제원2. 개요3. 함생
3.1. 독일 제국 소속(1903년~1917년)3.2. 중화민국 소속(1917년~1932년)3.3. 만주국 소속(1932년~1942년/1945년?)
4. 참고문헌

1. 제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MS_Vaterland.jpg
파터란트(Vaterland)->리수이(利綏)
건조 엘빙-슈츠하우 조선소(Elbing-Schichau-Werft)[1]
주문 1902년
시공 1903년
진수 1903년 8월 26일
시운전 1904년 5월 28일, 상하이
중화민국 입수 1917년 3월 20일
일본군 노획 1932년 2월 15일
만주국 운용시작 1932년 4월 15일
제적 1942년
소련 노획? 1945년 8월 22일?
파터란트 승무원 장교 3명, 일반병 및 부사관 44명, 중국인 조작원 11명
전장 48m, 50.1m
전폭 8m
흘수선 0.94m
배수량 223t(만재 배수량 280t)
최대속도 13노트
파터란트 무장 8.8cm SK L/30 해군용 기관포 1문, 5cm L/40 Sk 기관포 1문, 기관총 2~3정
리수이 무장 5.7cm 포 1문, 기관총 2정. 이외 불명

2. 개요

본래 이름은 '파터란트'(Vaterland)로, 독일 제국청나라 양쯔강에서 운용했으나, 제1차 세계대전중화민국이 접수한 건보트. 중화민국에 소속된 이후의 이름이 리수이(利綏)[2] 이며, 이후 일본 제국에 노획되어 만주국에 넘겨졌고, 만주국 붕괴이후 소련이 접수했다는 기록이 마지막이다.

자매함으로는 함께 양쯔강에 배치되었던 칭다오(Tsingtau)가 있는데, 칭다오는 1917년 3월 21일 양쯔강에 자침되었다.

3. 함생

3.1. 독일 제국 소속(1903년~1917년)

포함외교의 일환으로 독일 제국의 힘을 과시하기위해 독일 동양함대(Ostasiengeschwader)에 소속되어 청나라 양쯔강에 배치되어있는 동안 파터란트는 둥팅호(洞庭湖)와 포양호(鄱阳湖)까지 항해했다.
제1차 세계대전난징에 계류되어 있는 상태에서 교전국의 접근을 막기위해 독일 제국의 페이퍼 컴퍼니에 매각시킨 뒤 란데스파터(Landesvater)로 개명해 군함이 아닌 것처럼 위장시켰으며, 이후 중국군[3] 이 입수하여 리수이(利綏)로 개명되었다.

3.2. 중화민국 소속(1917년~1932년)

파일:external/60-250-180-26.hinet-ip.hinet.net/29-606.jpg
리수이와 함께 송화강에 배치되었던 건보트 리지에.

리수이로 개명된 파터란트는 함께 중국에 접수되어 리지에(利捷)로 개명된 건보트 아터(Otter)와 함께 만주 송화강에서 주둔하다 적백내전 중인 1920년 3월 13일, 하바롭스크 지방 니콜라옙스크나아무레(Никола́евск-на-Аму́ре)에서 발발한 니콜라옙스크 사건당시 적군에 가담하여 해당 지역에 주둔중인 일본군을 향해 함포사격을 가해 일본군의 병영파괴했다.

이후 만주사변이 일어난 1932년 2월 15일, 리수이는 하얼빈에서 일본군에게 노획되었다.

3.3. 만주국 소속(1932년~1942년/1945년?)

일본군에 노획된 이후 1932년, 만주국이 건국되자 리수이는 만주국 해군의 함선이 되었다. 만주국 소속 시기에는 육전대 병력을 싣고 아무르 강 일대를 순찰하며 비적들과 교전을 벌이는 등의 활동을 하였고, 1941년에는 연습함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이후 1942년 제적되었다고 하나, 만주국 붕괴 이후인 1945년 8월 22일에 소련군노획되어 페킨(Pekin)으로 개명된 뒤 연습함으로 사용되었다는 기록도 있다. 그러나 이후의 자료가 부족하여 실제로 소련군에 노획되었는지는 불명이다.

4. 참고문헌


[1] 엘빙(Elbing)은 현재 폴란드의 항구도시 엘블롱크(Elbląg)시의 독일식 이름이다.[2] 리수이(丽水) 시는 중국 저장 성에 있는 도시이다.[3] 일본측 자료와 독일 자료 모두에서 "중국군"이라고만 언급되나 시기상 중화민국 북양정부에 입수된 것으로 추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