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구 소련에서 제작한 함포로 130mm 포를 2연장으로 탑재하였다. 현재 지구상에서 마지막으로 개발된 2연장 함포로 특이하게도 수랭식을 사용하고 있다. 전자동 레이더로 포를 조준한다2. 제원
포속 | 875m/s |
중량 | 90톤 |
구경 | 130mm |
앙각 | 80도 |
발사속도 | 분당 45발 2연장 모두사용시 90발 |
유효사거리 | 30km |
최대고도 | 20km |
지휘레이더 | MR-184 포조준 레이더 |
3. 상세
130mm라는 큰 구경과 빠른 발사속도로 인하여 엄청난 화력 투사가 가능하다. 다만 서구권 국가의 함포에 비해서 너무 무겁다는 단점이 있다.[1] 사실상 호위함급 이하에서 운용은 불가능하고 구축함급 이상에서만 운용중이다.다른 특징으로는 포탑의 주포 구동부가 80도라는 무시무시한 고각으로 포신을 올릴 수 있어 제한적으로나마 CIWS로도 사용 가능하다는 점이다.[2] 무게 문제를 제외하면 가히 현재 세계 최고의 함포로 인정받고 있다.
4. 탑재된 함
5. 대중매체
모던 워쉽에서 일반 버전이 3티어, 산탄 버전(벅샷)이 3티어 에픽등급 함포로 등장. 이 중 벅샷은 최강의 근접전 성능으로 인기가 많은 편이다.6. 둘러보기
현대 함포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구경 | 명칭 | |
30mm 미만 | <colbgcolor=#FFF,#121212>시벌컨(20mm, 한국) · 25mm Mk.38 기관포(25mm, 미국) · MLG-27 기관포(27mm, 독일) | ||
30mm | Mk.46 Mod.2 부시마스터-II 함포(미국) · 에머슨 30mm 쌍열포(미국) | ||
40mm | 노봉(한국) | ||
57mm | 보포스 57mm 함포(스웨덴) | ||
76mm | 오토멜라라 76mm 함포(이탈리아) · KP-76L/62 76mm 함포(한국) · AK-176 76mm 함포(러시아) · H/PJ-26 76mm 함포(중국) | ||
100mm | 79A식 100mm 2연장 함포(중국) · 210식 100mm 함포(중국) · 프랑스 100mm 함포(프랑스) · AK-100 100mm 함포(러시아) | ||
113mm | Mk.8 4.5인치 함포(영국) | ||
120mm | AMOS 지상 지원용 2연장 박격 함포 (스웨덴) | ||
127mm | Mk.45 5인치 함포(미국) · 오토멜라라 127mm 컴팩트 함포(이탈리아) · 오토멜라라 127mm 라이트웨잇 함포(이탈리아) | ||
130mm | H/PJ-38 130mm 함포(중국) · AK-130 130mm 2연장 함포(러시아) | ||
152mm | 칼리챠-F(러시아) | ||
155mm | AGS 155mm 함포(미국) | ||
※ 해상병기 둘러보기 틀 : 근접 방어 무기 체계 | }}}}}}}}} |
[1] 순수 포탑 무게만 94톤이다. 그 무겁다는 오토멜라라 127mm가 50톤 대이다.[2] Mk.45 5인치 함포도 가능하나 단장인데다 사속이 느리고(AK-130을 단장화한 ZIF-94-1보다도 느리다.) 고각이 60도밖에 되지 않아 머리 위로 급강하해 날아드는 탑어택 능력을 가진 미사일 등을 잡는 능력이 AK-130대비 낮다. 또한 사속이 느린것과 단장인것 때문에 포탑 1기당 가지는 시간당 투사량이 AK-130의 반절도 안 되는지라 사격범위내 화망 구성에서도 보다 더 불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