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3 12:13:24

SUT 중어뢰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SUT'''{{{#!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Sport Utility Truck인 자동차의 형식}}}에 대한 내용은 [[픽업트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픽업트럭#s-4.2.1|4.2.1]]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픽업트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KG모빌리티의 중형 픽업트럭인 무쏘 SUT}}}에 대한 내용은 [[쌍용 무쏘 스포츠]]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쌍용 무쏘 스포츠#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쌍용 무쏘 스포츠#|]]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Sport Utility Truck인 자동차의 형식: }}}[[픽업트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픽업트럭#s-4.2.1|4.2.1]]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픽업트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KG모빌리티의 중형 픽업트럭인 무쏘 SUT: }}}[[쌍용 무쏘 스포츠]]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쌍용 무쏘 스포츠#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쌍용 무쏘 스포츠#|]]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external/i652.photobucket.com/TorpedoSUT2.jpg

1. 개요2. 제원3. 특징4. 관련 문서5. 둘러보기

1. 개요

독일에서 개발한 533mm 중어뢰.

2. 제원

<colbgcolor=#CD3861><colcolor=#ffffff> SUT Torpedo
길이 6.15 m
지름 533 mm
무게 1,420 kg
탄두중량 260 kg
사정거리 28,000 m
속도 35 kt
최대심도 460 m
방식 유도 유선유도
추진 은-아연 배터리
발사플랫폼 함정/잠수함
개량형/기타 Mod 0 (1980)
Mod 1 (1981)
Mod 2 (1987)

3. 특징

1975년 무렵 진공 청소기와 드럼세탁기로 유명한 AEG[1]에서 개발을 시작하여 당시 열심히 팔아먹던 209급 잠수함에 패키지로 묶여 많은 제3세계 국가 해군에 판매되었고, 대한민국 해군 역시 운용하고 있다. 애초 1960년대 독일의 방산업체들은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최초로 개발하여 206급 잠수함에서 운용하던 대잠수함용 중어뢰 DM1 (Deutsches Modell 1)을 수출하려고 했으나 발트해의 환경에만 적합하게 설계된데다 독일 정부의 수출허가도 받지 못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1968년 잠수함의 이런저런 무장에 대한 수출이 승인됨과 함께 대함용 어뢰 라인업을 구축하기 위해 SST-4[2] (Special Surface Target)를 개발하긴 했지만, 1970년대 들어서 잠수함 발사 중어뢰의 트렌드가 다목적 용도[3]로 진화함에 따라 DM1과 SST-4를 적절하게 짬뽕 & 개량하여 자성근접신관을 지닌 SUT (Surface and Underwater Target)를 만들어냈다.

작전환경에 따라 6엽의 이중반전 프로펠러를 통해 무조건 최고속도로 항주하는 모드와 저소음 (Silent Running), 무항적 (Wakelessness)의 3가지 주행방식을 설정할 수 있으며, 2가닥의 와이어를 통한 유선유도 및 능동/수동[4] 유도기능을 지니고 있다. 수출용으로 개발된 만큼 대양과 얕은 수심에서 모두 원활하게 운용할 수 있는데, Mod 1은 Mod 0의 개량형이라기 보다는 각 국가의 해상작전 환경에 알맞게 유도장치를 살짝 변형시킨 것이라고 볼 수 있으며,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중인 Mod 2는 1987년 개발되어 어뢰가 목표물을 향해 항주하면서 발생하는 음향신호를 모함으로 전송시켜 상황에 따라 업데이트하는 기능이 담겨있다고 한다. Mod 2는 1990년대 초중반 무렵에 장보고급 잠수함을 도입하면서 주무장으로 채택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는데, 1999년 3월 26일 SS-062 이천함이 인근에서 있었던 Tandem Thrust 훈련에서 퇴역한 클리블랜드급 경순양함 CL-91 USS 오클라호마 시티를 한방에 격침시키는 위력을 드러냈다. 일반적인 평가는 어뢰 자체의 신뢰성은 출중하지만 속도와 기동성이 약간 둔한 편이라 고속으로 기동하는 함정이나 원자력 잠수함을 공격하기는 쉽지가 않다는 의견이 있고, 그래서 이를 보완하고 SUT를 대체하고자 범상어 중어뢰를 개발중에 있다.

정작 제조국 독일은 사용하지 않지만 209급 잠수함을 운용하는 국가라면 웬만해서는 SUT나 SST-4를 사용하고 있는데, 유일하게 브라질 해군만이 독일제가 아닌 Mk.48을 사용하고 있다. 한편 대만 해군도 SUT를 사용하고 있기는 하지만 중국이 독일에 압력을 넣는 바람에 직도입을 못하게 되자 인도네시아의 국영 방산업체 IPTN (Industri Pesawat Terbang Nusantara)[5]에서 라이센스 생산한 물량들을 도입해서 배치했다. 결국 인도네시아 해군은 자국에서 생산한 SUT를 사용하고 있기는 한데 잠수함 자체는 대우조선해양과 계약을 맺어 그 물량을 도입할 예정에 있다.[6]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파일:그리스 국기.svg 현대 그리스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그리스군|
그리스군 (1945~현재)
Ελληνικές Ένοπλες Δυνάμεις
]]'''
<colbgcolor=#0D5EAF><colcolor=#FFF><colbgcolor=#0D5EAF><colcolor=#FFF>BGM-71E TOW-2A | 밀란 (F1/F2) | 9K111 파곳
탑재형
기갑차량
스파이크 NLOS | 9K135F 코넷-E | BGM-71C I-TOW
소형함선
스파이크 NLOS | SS.12
공대지
회전익기
스파이크 NLOS | AGM-114(F/K/L/M) 헬파이어 | AS.12
고정익기
AGM-65(A/B/G2) 매버릭 | AGM-12B 불펍
'''[[지능탄|
유도포탄
]]'''
지대지
SMArt 155 (155mm, PzH2000)
공대지 (ALCM)
SCALP-EG
함대지 (LACM)
{SCALP-나발}
MGM-140A ATACMS 블록 I
함대함
MM40 블록 II/III 엑조세 | RGM-84(A/D/G) 하푼 블록 1(A/C/G) | MM38 엑조세 | 펭귄 Mk.2 Mod 3
잠대함
UGM-84D 하푼 블록 1C
공대함
AM39 블록 II 엑조세 | AGM-119 펭귄 Mk.2
지대함
MM40BC 블록 II 엑조세
대잠 미사일 RUR-5A Mod 4 ASROC
어뢰
경어뢰
{MU90 임팩트} | Mk.46 Mod (2/5) | Mk.44 Mod 1
중어뢰
SUT Mod (0/4) | SST-4 Mod 0 제알 | Mk.37 Mod 3
보병
FIM-92(A/C/E) 스팅어 | FIM-43 레드아이
차량
FIM-92E (험비 ASRAD)
단거리
9K331 토르-M1 | 9K33M2 오사-AK | RIM-7M (스카이가드) | 크로탈 NG
중거리
MIM-23(B/C/E) I-호크
장거리
MIM-104E PAC-2 GEM | MIM-104F PAC-3 CRI | S-300PMU1 (48N6E) | MIM-14B 나이키 허큘리스
'''
CIWS
'''
RIM-116(B/C) RAM 블록 1/2
'''
개함방공
'''
RIM-162C ESSM | RIM-66E SM-1MR 블록 VI | RIM-7(P/M) 시스패로우 | 아스피데
'''
함대방공
'''
{아스터 30 블록 1 NT}
단거리
IRIS-T | AIM-9(F/P-4/J/L/M) 사이드와인더 | R.550 매직 II
'''
중장거리
'''
미티어 | AIM-120(A/B/C-5/C-7) AMRAAM | MICA-(IR/EM) | 쉬페르 530D | AIM-7(E/M) 스패로우 | AIM-4C 팰콘
{AGM-88E AARGM} | AGM-88B HARM
유도폭탄 AGM-154C JSOW | SPICE (1000/2000) | GBU-31 JDAM | GBU-(48/49/50) 인핸스드 페이브웨이 | GBU-(24/27) 페이브웨이 III | GBU-(10/12/16) 페이브웨이 II | GBU-8 HOBOS
갈색 글자: 퇴역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대표 발사 플랫폼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1948~현재)
大韓民國 國軍 |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
<colbgcolor=#407FBF><colbgcolor=#407FBF>현궁 | 9K115-2 메티스-M
탑재형
기갑차량
BGM-71 TOW | 스파이크 NLOS
포발사
9K119M 리플렉스-M (125mm, T-80U)
공대지
회전익기
{천검} | AGM-114 헬파이어 | BGM-71E TOW-2A
고정익기
AGM-65 매버릭
유도포탄
지대지
{GGAM} | KSTAM
함대지
{GGNM}
유도로켓
지대지
239mm 유도로켓 (239mm, K-239 천무)
지대함
비궁 (70mm)
함대함
{130mm 유도로켓-II} | 비룡 (130mm, PKMR)
배회탄약
지대지
KUS-LM | 천뢰-2 | WB 워메이트 | 로템-L | 하피
공대지 (ALCM)
{천룡} | {한국형 극초음속 미사일} | AGM-84H SLAM-ER | 타우러스 KEPD 350 | AGM-142 팝아이
지대지 (GLCM)
현무-III
함대지 (LACM)
해룡 | 해성-II
잠대지 (SLCM)
해성-II
우레 | MGM-140 ATACMS | 현무-I | 백곰
단거리 (SRBM)
현무-II | 현무-IV | 현무-V
현무-IV-4
함대함
SSM-700K 해성 | RGM-84 하푼 | RGM-78 스탠다드 암 | MM38 엑조세 | 해룡
잠대함
UGM-84L 하푼 블록2
지대함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 RGM-84 하푼
공대함
{공대함-II 유도탄} | AGM-84 하푼 | 시스쿠아
대잠 미사일홍상어
어뢰
경어뢰
{경어뢰-II} | K-745 청상어 | Mk.44 | K-744 | KT-75 상어
중어뢰
K-761 범상어 | K-731 백상어 | SUT Mod2
신궁 | FIM-92 스팅어 | 9K38 이글라 | 미스트랄 | 재블린 | FIM-43 레드아이
단거리
{LAMD} | K-31 천마
중거리
{천궁-III} | 천궁 | 천궁-II | MIM-23 호크
장거리
{L-SAM} | {L-SAM II} | MIM-104F PAC-3 CRI/MSE | MIM-104E PAC-2 GEM-T | MIM-14 나이키 허큘리스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RIM-116 RAM
개함방공 해궁 | RIM-7 시스패로우
함대방공 {RIM-174 SM-6} | {함대공 유도탄-II} | RIM-66 SM-2MR
대탄도탄 {RIM-161 SM-3}
단거리
{IRIS-T} | {한국형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 AIM-9 사이드와인더 | AIM-92 스팅어
중장거리 {미티어} | {한국형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 | AIM-120 AMRAAM | AIM-7 스패로우
{한국형 대레이더 미사일} | AGM-88B HARM
유도폭탄 KGGB | GBU-39 SDB | GBU-54 LJDAM | GBU-(31/38) JDAM | GBU-(10/12) 페이브웨이 II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28 | SPICE 2000
갈색 글자: 퇴역 무장
취소선: 개발 취소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도무기|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유도무기|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
[[틀:현대전/알바니아 유도무기|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
[[틀:현대전/키프로스 유도무기|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유도무기|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


[1] AEG의 방산관련 사업부문은 STN 아틀라스로 넘어갔다가 현재는 BAE 시스템스의 자회사인 아틀라스 일렉트로닉에 인수되어 있다.[2] 수출에 실패해서 망해먹은 어뢰는 아니고 튀르키예 해군그리스 해군, 아르헨티나 해군 등에 대략 300여기 가량이 수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데 포클랜드 전쟁에서 아르헨티나 해군의 209급 잠수함 산루이스는 영국 해군 함정을 때려잡으려고 은밀하게 진입하여 총 3번의 기회를 잡아 SST-4를 발사했지만 모두 실패하고 말았는데, 두발은 기동중 유도 와이어가 끊어져 하나는 닉시 기만기에 속았고 다른 하나는 어디론가 사라져 영영 잃어버리고 말았다. 한 발은 아예 발사조차 되지 않았다. 추후 독일의 기술진들이 원인을 분석해보니 어뢰의 문제가 아닌 부실한 정비와 운용미숙이었다며 정비담당 장교가 사격통제장치의 배선을 엉뚱하게 꼽은 것이었다고 주장했는데, 문제는 이게 제조사측의 언플이었다는 것.[3] 1960년대 까지만 해도 미국은 대함/대잠수함 전용의 어뢰를 같이 탑재하고 다니던 상황이라 작전/군수지원 및 비좁은 잠수함의 공간활용에 있어 많은 애로사항이 있었으나, 1970년대 들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 두 가지 용도의 어뢰가 하나로 통합되기 시작했다. 많은 개량을 거듭하여 현재도 사용중인 Mk.48 중어뢰가 대표적인 물건이고 소련 역시 1980년 USET-80 계열을 개발하면서 최초의 다목적 어뢰를 실전배치하기 시작했다.[4] 각각 2~5 km 가량의 탐지거리를 지니는 것으로 추정된다.[5] 현재는 Indonesian Aerospace (IAe)로 명칭이 바뀌었다.[6] 독일에서 직도입한 209급 잠수함 2척이 있기는 한데 둘다 1981년에 들여온 노후 함정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