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8 21:46:06

비룡 유도로켓

국산 미사일 및 국산 어뢰 전력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white> 대공 미사일 <colbgcolor=#fffefc,#303030>신궁 맨패즈 | 천마 단거리 미사일 | 해궁 대공 미사일 | 천궁 Block-I 중거리 미사일 | 천궁 Block-II 중거리 미사일 | L-SAM | LAMD | 한국형 중거리 공대공 유도탄 | 한국형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 함대공 유도탄-II
대지 미사일 현궁 대전차 미사일 | 천검 공대지 미사일 | 239mm 유도로켓 | 우레(KTSSM) | 현무-II(2021년 개량형[HP]) | 현무-III | 해성-II | 해룡 전술함대지 유도탄 | 천룡 공대지 미사일 | 현무-IV[HP] | 현무-IV-4 SLBM | 현무-V[HP] | 한국형 극초음속 미사일
[HP]: 통칭 (초)고위력 현무 탄도 미사일
대함 미사일 비궁 유도 로켓 | 비룡 유도로켓 | 해성 아음속 대함 미사일 |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 해성-V | 공대함-II 유도탄
어뢰 청상어 어뢰 | 백상어 어뢰 | 범상어 어뢰 | 홍상어 대잠 로켓 | 경어뢰-II
퇴역 및
시제품
KT-75 상어 경어뢰 | K-744 경어뢰 | 해룡 단거리 대함 미사일 | 현무-I 전술 탄도 미사일 | 백곰 탄도 미사일
}}}}}}}}}
파일:2016072801765_3.jpg
PKMR 130mm 유도로켓
1. 개요2. 성능3. 기타4. 130mm 유도로켓-Ⅱ5. 관련 문서6. 둘러보기

1. 개요

130mm 유도로켓은 대한민국 해군PKMR에 탑재된 130mm 함대함 유도로켓체계이다. 기반이 된 것은 K-136 다연장로켓의 130mm 로켓탄으로, 본래 유도 기능이 없는 무유도로켓이었던 130mm 로켓탄에 유도 기능을 부여하여 유도로켓 즉 미사일로 개량한 것이라 할 수 있다. 태생적으로 유도 기능을 넣고 개발한 것은 미사일, 기존의 무유도 로켓을 개량해 유도 기능을 넣어 미사일화한 것을 유도로켓으로 구분한다.

130mm 유도로켓 체계는 연평도 포격전 이후 급격하게 소요제기되어 나온 번개사업 개발목록 중 하나로, 지대지 유도로켓 플랫폼으로 개발하려 했지만 이후 번개사업이 정치적인 진행 탓에 실패하게 된다. 하지만 탐색개발과정 중 130mm 유도로켓 체계의 효용성이 입증된 바, 마침 대함미사일 해성으로 북한고속정을 타격하기엔 비싼 가격과 과무장이라는 고민이 맞물려 지대지 플랫폼에서 함대함 플랫폼으로 공개사업 전환후 지속적인 개발을 하기로 결정한다. 해성과 같은 중거리 대함미사일은 가격이 20억 원에 달하여 소형함에 쓰기는 아까운 점이 있고, 탑재량도 1척 8발에 불과해 집중적인 고속정 러쉬에는 부족한 탓이다.

개발사업은 2013년부터 시작하였고, 개발 사업비는 76억원으로 편성되었다. 이러한 해군의 단거리 대함미사일 사업의 성능적 요구는 전장 10m이하, 40노트 이상으로 회피기동하는 침투정에 대한 지속유도와 정밀유도가 가능한 스파이크 NLOS급 대함미사일 수준을 요구하였다.

사실 대부분의 기술이 미사일중 중거리 공대공 미사일의 기술들을 많이 채용하여 로켓과 미사일의 경계를 허무는 물건이 되었다. 시커를 교체하면 대공미사일 체계로도 활용이 가능한 멀티 플랫폼의 무기이다. 심지어 KVLS에서 파생한 캐니스터에 장착하여 교체의 편의성까지 제공하고 있다. (한국판 미카?)

2. 성능

파일:130mm유도로켓.jpg
초창기 130mm 유도로켓 구상도
파일:/image/5291/2015/10/20/353263_206096_388_99_20151020175816.jpg
2015년 ADEX 130mm 유도로켓 발사기 모형
파일:oeRyRy9FYoNtk.webp
함대함 버전 130mm급 로켓은 지상표적이 아니라 해상표적 공격용인 만큼 탐색기를 간소화했다. 육상에 비해 해상 표적은 주변과 확연히 온도차이가 나서 탐색기들이 쉽게 구분해낼 수 있고, 소형 고속정이라 해도 대형 전차보다 몇 배는 거대해 효율이 좋다. LOGIR의 열영상 장비 등을 그대로 활용했고. 중간유도 과정의 명중률을 높이기 위해 관성항법과 표적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미사일에 전송해주는 지령유도 방식이 추가됐다. 관성항법 장치도 더 정교한 것을 사용했다. 언론에 공개된 바로는 사거리 20km 이상이다.

130mm 대함유도로켓의 속도는 마하 2이며, 반철갑형 탄두와 지연신관으로 인하여 1발의 명중으로도 200톤급 이하는 전투불능 수준의 피해를 입힐 수 있다. GPS/IMU가 장착되어 해안포 등 제한적인 대지공격이 가능하다.
  • 사거리: 20km
  • 탄두중량: 8kg
  • 유도: 중간유도 GNSS+INS+무선링크/ 종말유도: 적외선 homing
  • 시커: 비냉각 적외선 센서
  • 동시교전 수: 3
  • 크기: 130mm x 3500mm
  • 무게: 80kg 내외

3. 기타

2013년 12월 130mm 유도로켓 개발업체로 LIG넥스원이 선정되었다.#

2016년 7월 28일 130mm 유도로켓 발사대를 장착한 PKMR 1번정 '참수리-211'이 진수되었다.

임무에 따라 발사관 수를 6발로도 변경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130mm 유도로켓-Ⅱ

2023년 6월 28일, 방위사업청은 LIG 넥스원과 1,222억원 규모의 130mm 유도로켓-Ⅱ 체계개발 사업 계약을 체결했다. 본 사업은 동·서해 접적해역의 적 해안포 및 기습상륙세력을 타격하기 위한 대지·대함 겸용 유도무기를 업체 주관으로 국내 연구개발하는 사업으로 LIG 넥스원이 2027년까지 본 사업을 주관하여 수행할 예정이다.

130mm 유도로켓-Ⅱ는 기존의 비룡 유도로켓을 기반으로 탐색기의 성능을 대폭 향상시키고 차량 플랫폼에 탑재해 대지·대함 표적을 정밀타격 할 수 있는 유도무기다. 특히, 130mm 유도로켓-Ⅱ는 현재 군이 운용중인 비궁 유도로켓과 비교해 사거리가 대폭 증가하고, 본격적으로 대지 표적을 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

==# 관련 영상 #==


5. 관련 문서

6.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현대 대한민국 국군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 (1948~현재)
大韓民國 國軍 | Republic of Korea Armed Forces
]]'''
<colbgcolor=#407FBF><colbgcolor=#407FBF>현궁 | 9K115-2 메티스-M
탑재형
기갑차량
BGM-71 TOW | 스파이크 NLOS
포발사
9K119M 리플렉스-M (125mm, T-80U)
공대지
회전익기
{천검} | AGM-114 헬파이어 | BGM-71E TOW-2A
고정익기
AGM-65 매버릭
유도포탄
지대지
{GGAM} | KSTAM
함대지
{GGNM}
유도로켓
지대지
239mm 유도로켓 (239mm, K-239 천무)
지대함
비궁 (70mm)
함대함
{130mm 유도로켓-II} | 비룡 (130mm, PKMR)
배회탄약
지대지
KUS-LM | 천뢰-2 | WB 워메이트 | 로템-L | 하피
공대지 (ALCM)
{천룡} | {한국형 극초음속 미사일} | AGM-84H SLAM-ER | 타우러스 KEPD 350 | AGM-142 팝아이
지대지 (GLCM)
현무-III
함대지 (LACM)
해룡 | 해성-II
잠대지 (SLCM)
해성-II
우레 | MGM-140 ATACMS | 현무-I | 백곰
단거리 (SRBM)
현무-II | 현무-IV | 현무-V
현무-IV-4
함대함
SSM-700K 해성 | RGM-84 하푼 | RGM-78 스탠다드 암 | MM38 엑조세 | 해룡
잠대함
UGM-84L 하푼 블록2
지대함
한국형 초음속 대함미사일 | RGM-84 하푼
공대함
{공대함-II 유도탄} | AGM-84 하푼 | 시스쿠아
대잠 미사일홍상어
어뢰
경어뢰
{경어뢰-II} | K-745 청상어 | Mk.44 | K-744 | KT-75 상어
중어뢰
K-761 범상어 | K-731 백상어 | SUT Mod2
신궁 | FIM-92 스팅어 | 9K38 이글라 | 미스트랄 | 재블린 | FIM-43 레드아이
단거리
{LAMD} | K-31 천마
중거리
{천궁-III} | 천궁 | 천궁-II | MIM-23 호크
장거리
{L-SAM} | {L-SAM II} | MIM-104F PAC-3 CRI/MSE | MIM-104E PAC-2 GEM-T | MIM-14 나이키 허큘리스
'''[[근접 방어 무기 체계|
CIWS
]]'''
RIM-116 RAM
개함방공 해궁 | RIM-7 시스패로우
함대방공 {RIM-174 SM-6} | {함대공 유도탄-II} | RIM-66 SM-2MR
대탄도탄 {RIM-161 SM-3}
단거리
{IRIS-T} | {한국형 단거리 공대공 유도탄} | AIM-9 사이드와인더 | AIM-92 스팅어
중장거리 {미티어} | {한국형 장거리 공대공 유도탄} | AIM-120 AMRAAM | AIM-7 스패로우
{한국형 대레이더 미사일} | AGM-88B HARM
유도폭탄 KGGB | GBU-39 SDB | GBU-54 LJDAM | GBU-(31/38) JDAM | GBU-(10/12) 페이브웨이 II | GBU-24 페이브웨이 III | GBU-28 | SPICE 2000
갈색 글자: 퇴역 무장
취소선: 개발 취소 무장
※ {중괄호}: 도입 예정 무장
※ 아랫첨자(괄호): 포탄 구경 또는 대표 발사 플랫폼
}}}}}}}}}


🚀 유도무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현대 1991~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685050><colcolor=white>북미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남미
서유럽
'''
중부유럽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틀:현대전/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유도무기|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틀:현대전/북마케도니아 유도무기|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
[[틀:현대전/알바니아 유도무기|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
[[틀:현대전/키프로스 유도무기|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
북유럽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동유럽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틀:현대전/아제르바이잔 유도무기|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
동아시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동남아시아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남아시아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중앙아시아
'''
서아시아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오세아니아
'''
아프리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