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함대 [ruby(自衛艦隊, ruby=じえいかんたい)] JMSDF Self Defense Fleet | |
창설년도 | 1954년 7월 1일 |
국가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명령체계 | 방위성 방위대신 직할 통합막료감부 해상막료감부 |
주임무 | 일본주변해역 해상방위, 항로호위 |
소속 | 해상자위대 |
군종/편성 | 해군/함대 |
상급단위 | 해상자위대 |
직속단위 | 소해대군, 해양업무・대잠지원군, 함대정보군 개발대군, 특별경비대 |
예하단위 | 호위함대, 항공집단, 잠수함대 |
본부 | 일본 가나가와현 요코스카시 요코스카 기지 |
전신 | 해상보안청 해상경비대 > 보안청 경비대 |
지휘 | |
자위함대사령관 | 유아사 히데키(湯浅秀樹) 해장(중장) |
막료장 | 이치다 아키라(市田章) 해장보(소장) |
외부링크 | |
자위함대공식홈페이지(JPN) |
[clearfix]
1. 개요
해상자위대의 기동운용을 수행하는 부대로 지방대의 보조를 받는다. 대한민국 해군의 해군작전사령부에 상당하며 자위함대사령관은 해군작전사령관에 상당한다. 자위함대사령관 출신들은 덕분에 해상막료장으로 영전하는 경우가 많았을 것 같지만 사실 나가타 히로시 이후에 25년 동안 자위함대사령관 출신 해상막료장이 없었다.[1] 스기모토 마사히코가 해상막료장이 되면서 25년 만에 나오긴 했지만 타치카제 은폐사건[2]으로 곧 사임했다. 뒤를 이은 가와노 가쓰토시도 자위함대사령관 출신이긴 하지만 생각보다 많지는 않다.연합함대처럼 자위함대도 많은 함정들을 보유하고 있다.
관함식 등의 행사도 자위함대사령관이 집행자(執行者)가 된다. 자위함대사령관은 해장(중장)이다.
2. 역사
1953년에 경찰예비대가 제1, 2, 3 함대군(船隊群)[3]을 만들었고 1954년에 해상자위대가 발족하면서 자위함대로 개칭되었다. 휘하 함대군은 호위대군(護衛隊群)으로 바뀌었다.3. 구성
자위함대사령부가 있으며 그 휘하에 주요 함대, 전단급 부대들이 위치한다.[4]함대[5]는 한국의 함대와 같은 급이며 대군(隊群)은 어감과는 달리 대군(大軍)이 아니라 대(隊, Squadron)의 군(群, 집단)이란 뜻으로, 전단급 부대(Flotilla)를 말한다. 요코스카, 구레, 마이즈루, 사세보에 총 4개의 호위대군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준장이 존재하지 않는 자위대의 특성상 함대사령에 해장(중장), 대군사령에 해장보(소장)가 보임된다.
3.1. 직속부대
3.1.1. 소해대군
3.1.2. 정보업무군
3.1.3. 해양업무・대잠지원군
해상자위대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각종 자료와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화 하는 부대. 이들이 보유한 해양관측함 중 각종 최신첨단 설비가 들어간 대형함은 이지스함에 버금가는 가격을 가지고 있다.
이런 비싼 배로 해양업무군이 하는 일을 알고 싶다면 옆의 링크 클릭##
해양관측함 | AGS-5106 쇼난 | AGS-5105 니치난 | AGS-5104 와카사 | AGS-5103 스마 | ||
음향측정함 | AOS-5201 히비키 | AOS-5202 하리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