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10:01:02

김영광(1983)

김영광(축구선수)에서 넘어옴

김영광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울산 HD FC 엠블럼.svg울산 HD FC
역대 주장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fff> 초대 2대 3대 4대 5대
허정무
(1984~1986)
최강희
(1987~1990)
최인영
(1991~1992)
최영일
(1993~1995)
김현석
(1996~1997)
<rowcolor=#ffffff> 6대 7대 8대 9대 10대
송주석
(1998)
박정배
(1998~1999)
김종건
(1999)
김상훈
(2000~2001)
정정수
(2001)
<rowcolor=#ffffff>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김도균
(2002)
유상철
(2003)
조세권
(2003)
박진섭
(2004)
현영민
(2005)
<rowcolor=#ffffff>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유경렬
(2006~2007)
박동혁
(2008)
유경렬
(2009)
오장은
(2010)
곽태휘
(2011~2012)
<rowcolor=#ffffff>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김영광
(2013)
김치곤
(2013~2015)
김태환
(2016)
김성환
(2017)
강민수
(2017~2018)
<rowcolor=#ffffff>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이근호
(2019)
신진호
(2020)
이청용
(2021~2022)
정승현
(2023)
김기희
(2023~2024)
<rowcolor=#ffffff> 31대
김영권
(2025~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0430><tablebgcolor=#000430> 파일:서울 이랜드 FC 로고.svg서울 이랜드 FC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00000,#e5e5e5
초대 2대 3대 4대 5대
김재성
(2015)
김동철
(2016)
김영광
(2017~2018)
안지호
(2019)
김민균
(2020~2021)
6대 7대 8대 9대 10대
김인성
(2022)
한용수
(2023)
이상민
(2023)
김영욱
(2024)
김오규
(2025~ )
}}}}}}}}}}}}}}} ||
김영광의 수상 이력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개인 수상
베스트팀
파일:K리그1 로고.svg
파일:K리그2 로고.svg
}}} ||
<colbgcolor=#000><colcolor=#fff> 김영광
金永光 | Kim Young-kwang
파일:김영광_새 프로필.jpg
출생 1983년 6월 28일 ([age(1983-06-28)]세)
전라남도 고흥군 과역면[1]
거주지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동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2] 184cm / 체중 86.4kg / A형[3]
직업 축구 선수 (골키퍼 / 은퇴)
방송인
프로 입단 2002년 전남 드래곤즈
소속 <colbgcolor=#000><colcolor=#fff> 선수 전남 드래곤즈 (2002~2006)
울산 현대 호랑이/울산 현대 (2007~2014)

경남 FC (2014 / 임대)
서울 이랜드 FC (2015~2019)
성남 FC (2020~2023)

광명 디 라이프 (2024~)
기타 광명 디 라이프 (2025~ / 단장)
국가대표 17경기 15실점 (대한민국 / 2004~2012)
경기 수 605경기
링크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4]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학력 해남동초등학교 (전학)
순천중앙초등학교 (졸업)
순천매산중학교 (졸업)
광양제철고등학교 (졸업)
가족 배우자 김은지(1986년생)
장녀 김가율(2011년생), 차녀 김가인
병역 전시근로역[5]
}}}}}}}}} ||

1. 개요2. 선수 경력3. 방송인 경력
3.1. 방송3.2. 라디오3.3. 유튜브
4. 플레이 스타일5. 대회 기록6. 서포트석 물병투척 보복 논란7. 여담8.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축구 선수. 현역 시절 포지션은 골키퍼였다. 한국프로축구연맹 주관 대회 역대 최다 출장(605경기), 클린시트(175경기) 2위 기록자이다.[6][7]

현역 은퇴 후에는 방송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2. 선수 경력

2.1. 클럽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영광(1983)/클럽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영광(1983)/클럽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영광(1983)/클럽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국가대표 경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영광(1983)/국가대표 경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영광(1983)/국가대표 경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영광(1983)/국가대표 경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방송인 경력

2023 시즌을 끝으로 현역에서 은퇴한 뒤 축구계가 아닌 방송 유망주라 자칭하며 스포테이너(스포츠+엔터테이너)의 길을 걷기 시작했다. 강한 인상과 달리 재치있는 입담으로 여러 유튜브 채널의 게스트로 섭외돼 모습을 드러내고 있으며, 조금씩 공중파 방송에도 출연하면서 점차 활동을 넓혀가고 있다.

3.1. 방송

<rowcolor=#FFFFFF> 날짜 방송사 방송명 역할
2024년
2월 14일 파일:SBS 로고.svg 골 때리는 그녀들 시즌 5 130회 게스트
6월 9일 파일:MBC 로고.svg 미스터리 음악쇼 복면가왕 454회 게스트
10월 2일 짠남자 2회 게스트
파일:SBS 로고.svg 골 때리는 그녀들 시즌 6 11회 게스트
11월 15일
~ 2025년 1월 17일
파일:wavve 로고.svg 피의 게임 3 참가자
11월 22일
~ 2025년 1월 24일
파일:쿠팡플레이 로고.svg 슈팅스타 고정
12월 14일 파일:MBN 로고.svg 속풀이쇼 동치미 629회 게스트
12월 28일 631회 게스트
2025년
1월 27일 ~ 1월 28일[8] 파일:KBS 2TV 로고.svg 뽈룬티어 고정
4월 5일[9] ~ 5월 24일
3월 8일 파일:MBN 로고.svg 속풀이쇼 동치미 641회 게스트
3월 31일 ~ 6월 2일 파일:KBS 2TV 로고.svg 공부와 놀부 패널
8월 3일 ~ 9월 22일 파일:tvN 로고.svg 진짜 괜찮은 사람 고정
9월 22일 파일:SBS 로고.svg 동상이몽2 - 너는 내 운명

3.1.1. 피의 게임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김영광(1983)/피의 게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영광(1983)/피의 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영광(1983)/피의 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라디오

<rowcolor=#FFFFFF> 날짜 방송사 방송명 역할
2024년 7월 8일 파일:SBS 파워FM 로고.svg 두시탈출 컬투쇼 게스트[10]
2025년 1월 24일 파일:KBS 2FM 로고.svg 박명수의 라디오쇼 게스트[11]

3.3. 유튜브

나 김영광이오
파일:나김영광이오_배너.jpg
<colbgcolor=#000><colcolor=#FFFFFF>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개설일 2024년 6월 20일
[dday(2024-06-20)]일째
콘텐츠 축구
구독자 수 6.91만 명[기준]
조회수 13,071,543회[기준]

2024년 6월 20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을 개설했다.

4. 플레이 스타일

골키퍼로서 전반적인 플레이 스타일은 스페인의 이케르 카시야스를 떠올리게 한다. 당시 올리버 칸도플갱어로 불린 까닭에 별명이 '리틀 칸'으로 불리기도 했다.

신장이 골키퍼로서는 작은 편이었지만, 뛰어난 반사신경과 판단력을 바탕에 둔 슈퍼 세이브를 여러 차례 구사했다. 반사신경으로만 놓고 보면 이운재김병지 이후 최고의 반사신경을 갖췄던 골키퍼로 평가받았을 정도. 선방할 때의 기본기가 상당히 좋았던 골키퍼였으며, 골문 앞에서 적절한 위치 선점을 통한 1대1 선방에서도 듬직한 모습을 보여줬다. 또한, 골키퍼로서 롱 킥이나 패싱력도 꽤나 정확했다. 골 킥과 펀트 킥, 수비수나 자기 진영에서 내려오는 백패스를 다시 센터 아크 넘어 상대 진영에 우군에게 넘겨주는 정확도가 꽤 쓸만했다.

그러나, 국가대표 주전 골키퍼의 자리는 정성룡에게 밀렸는데, 특히나 기복과 잔실수가 심했던 정성룡이었기에 선방 능력과 안정감을 주 무기로 삼으며 정성룡보다 뛰어난 모습을 보였던 김영광이 그를 주전에서 밀어낸 게 미스터리라고 말하는 팬들도 있었다. 사실 김영광은 정성룡에 비해 나은 장점이 반사신경과 이에 비롯되는 슈퍼세이브 능력 하나 밖에 없었다. 정성룡은 김영광에 비해 반사신경은 떨어지지만, 킥과 수비조율, 판단력, 선방 후 볼처리 등 슈퍼세이브 보다는 안정감을 실어주는 능력이 탁월했다.[14]

5. 대회 기록

6. 서포트석 물병투척 보복 논란

파일:htm_200710211834260110000001100200-001.jpg



2007년 10월 21일 대전 시티즌과의 K리그 플레이오프 경기서 대전 관중이 던진 물병을 대전 관중을 향해 던지면서 논란이 일었다. 이에 흥분한 대전 팬들은 물병을 계속 그라운드로 던졌고, 일부 팬은 그라운드로 난입하려고 했으며, 경호원들의 제지로 최악의 상황은 피했지만 5분여동안 경기는 중단됐다. 결국 김영광은 이날 경기에서 퇴장을 당하는 것은 물론 6경기 출장 정지와 벌금 600만원의 징계를 받았다. 링크

물론 먼저 대전 팬이 물병을 던져 시비를 건 것은 잘못된 행동이다.
한편 이 사건으로 김영광은 대전 팬들에게 완전히 찍혀버렸고 대전과의 경기 때마다 강한 야유를 들었다.

김영광 본인이 이천수의 유튜브에서 이 당시 썰을 풀었는데, 플레이오프라는 중요한 경기에 대전 공격수 슈바의 머리를 경합과정에서 충돌하고[15], 그 상황에서 이기고 있으니 일부러 골킥을 늦게 하거나 시간을 끌자 대전 팬들이 비매너 라고 물병을 던져댔다고 한다. 그 중에 하나를 맞자 순간적으로 열받아 던졌는데, 골대를 튕겨서 대전 서포터 한 명이 맞았다고 한다. 본인 말로도 스트레이트로 맞았다면 다신 이 자리에 없었을거라고 하면서도 그 어린마음에 자신이 훌리건들에게 당한 피해자라고 억울하게 생각했다고 한다.

7. 여담

  • 골키퍼치고 단신에 속하지만 팔 길이는 길다. 키를 키우려고 우유를 매일 2000ml를 마시고 척추를 늘리기 위해 매일 철봉에 3~40분씩 매달려 있었다고 한다.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팔 길이만 길어졌다고 한다. 본인의 언급으로는 키퍼는 공을 손으로 잡기 때문에 팔이 2cm 늘어나면 키가 2cm 늘어나는 것과 같다고 한다.
  • 일찍이 국가대표팀 주전 골키퍼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최종 예선에서 5차전에 일찌감치 월드컵 본선 진출을 확정 지은 뒤 자신에게도 출전 기회가 올 것이라 기대했지만 조 본프레레 감독이 통역을 대동하고 김영광에게 직접 6차전이 자신에게 굉장히 중요한 경기라 출전 기회를 주지 못해 미안해했다고 한다. 다만 본선에 진출하면 꼭 기용할 것이라 약속을 했는데 최종 예선 6차전에서 패배한 뒤로 본프레레는 경질 당했고 후임 감독인 딕 아드보카트는 월드컵 본선에서 기존 주전인 이운재를 계속 기용하였다. 이후로 허정무 감독 체제에서 이운재가 음주 파동으로 잠시 대표팀에 뽑히지 않았을 때 기회를 잡지 못했고 이 시기에 이운재에서 정성룡으로 주전이 바뀌었다. 김영광에겐 아쉬운 시기가 될 듯하다.
  • 프리커버리라는 회사에서 김영광을 위한 전용 골키퍼 장갑을 제작하는데 나이키 베이퍼그립 RS와 매우 유사하다.
  • 팬 서비스가 매우 좋다. 경기가 끝나고 팬들에게 일일이 사진과 사인을 해준다. 에펨코리아 등의 축구 커뮤니티에 '가자매아빠'라는 닉네임으로 활동하며 팬들에게 일일이 댓글을 달아준다. 그 외에 SNS나 다른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도 팬들과 친근하게 소통하는 모습을 보인다. 때문에 국축 팬 대다수가 좋아하는 호감형이다. 서울 이랜드 소속이던 2018년 5월, 보배드림에 직접 글을 올려 직관을 부탁하였고, 이는 많은 유저의 호응을 이끌어 내었다. 성남 이적 후 코로나19로 직접 사인은 못해주지만, 골키퍼 장갑을 블랙존 팬들에게 선물하거나 인스타그램에 남긴 댓글에 일일이 호응해주는 걸로 대체한다.
  • 고등학교 축구부 시절, 선후배간에 부조리가 상당히 많았다고 한다. 하지만, 김영광 본인은 단 한 번도 후배들에게 부당하게 집합을 걸고 폭행이나 가혹행위를 전혀 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천수의 유투브 채널에서 스스로 자신감있게 "난 절대로 그렇게 한 적이 없다" 라고 이야기를 했을 정도였는데, 실제로 축구부 후배들 사이에서 알려진 미담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았다고...

  • 그런데 고등학교 시절 전라남도 일대에서는 주먹으로 최강자라고, 감히 누가 싸움을 걸지도 못했다고 한다. 본인도 이천수 유튜브 등이나 썰을 풀기로는 다른 지역에서 전학온 짱이 가오를 부리니 그냥 다가가서 말만 걸어도 설설 긴다했고, 실제 주먹싸움도 상당해서 현역 시절 PC방에서 게임 하다가[16], 데이트 폭력 현장을 보고서 바로 남자를 끌고 가서 두들겨 패버렸다고도 이야기했다.[17]
  • 성남 FC에 입단 후에는 등번호 41번을 사용했다. 데뷔할 때 썼던 등번호로초심을 이어가기 위해서라고 한다.
  • 선수 경력 중에서 현역 입대 자원으로 군경 구단이나 사회복무요원으로 세미프로 구단에 소속된 적이 없어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을 통해 병역특례를 획득한 것으로 오해받곤 한다. 실제로는 후방 십자인대 부상을 입어 5급을 받아 전시근로역 처분을 받았다.[18]
  • 2005년에 맥도날드 명예 홍보 대사로 위촉되어 건강 캠페인을 함께 진행한 적이 있다.
  • 어린 시절부터 레귤러를 해왔기에 아무리 골키퍼가 선수 생명이 긴 포지션이라지만 많은 경기 출장에 손가락 부상도 꽤 많이 당해왔고 이 부상을 안고 무리하게 출장하느라 결국 김영광의 왼쪽 4번째 손가락은 옆으로 휘어진 채로 붙어서 평생 결혼 반지를 못끼게 되었다는 사연이 있다.
  • 재미있게도 데뷔 시절부터 지금까지 유니폼 뒤에 적힌 이름은 영어식 표기인 young-kwang이 아닌 자신의 이름 '영광'을 그대로 영어로 바꾼 glory다.김글로리
  • 축구 해설위원인 이황재를 닮았다.
  • 라이브에서 생각보다 크리스천이라고 밝혔다.
  • 전남 고흥 출신에, 순천과 광양 등에 살면서, 호남에 대한 지역 사랑이 각별하다. 유튜브 방송에서도 썰을 풀면서 걸걸한 사투리를 보여주거나, 자신은 딱 생긴것 부터가 호남형의 전라도상이다. 라고 말하고, 호남 맛집 등을 홍보하고, 고향인 고흥이 원래 장사들이 많은 동네라면서 방송 내에서 호남 이야기를 많이 하는 편이다. 이름이 영광이다
  • 여담으로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월드컵 명단에 2회 승선하고도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한 유일한 선수다. 이랜드 사절인 2018 러시아 월드컵 직전 스포츠니어스와의 인터뷰에서 이때의 심경을 밝혔고, 은퇴 후에도 월드컵을 뛰어보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여러 번 언급했다.

8. 둘러보기

1 김영광 · 2 조원희 · 3 김진규 · 4 김동진 [[와일드카드(스포츠)|
W
]] · 5 김치우 · 6 이호
VC
· 7 백지훈
8 김두현 [[와일드카드(스포츠)|
W
]] · 9 정조국 · 10 이천수 [[와일드카드(스포츠)|
W
]]
C
· 11 최성국 · 12 김치곤 · 13 정인환 · 14 이종민
15 오범석 · 16 오장은 · 17 김동현 · 18 박주영 · 19 염기훈 · 20 정성룡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핌 베어벡
코치
파일:미국 국기.svg 압신 고트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명보 · 파일:브라질 국기.svg 코사

1 이운재
C
· 2 김영철 · 3 김동진 · 4 최진철 · 5 김남일 · 6 김진규 · 7 박지성 · 8 김두현
9 안정환 · 10 박주영 · 11 설기현 · 12 이영표 · 13 이을용 · 14 이천수 · 15 백지훈 · 16 정경호
17 이호 · 18 김상식 · 19 조재진 · 20 김용대 · 21 김영광 · 22 송종국 · 23 조원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딕 아드보카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핌 베어벡
스태프
파일:미국 국기.svg 압신 고트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홍명보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기동


1 이운재 · 2 오범석 · 3 김형일 · 4 조용형 · 5 김남일 · 6 김보경 · 7 박지성
C
· 8 김정우
9 안정환 · 10 박주영 · 11 이승렬 · 12 이영표 · 13 김재성 · 14 이정수 · 15 김동진 · 16 기성용
17 이청용 · 18 정성룡 · 19 염기훈 · 20 이동국 · 21 김영광 · 22 차두리 · 23 강민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허정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해성
스태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태하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현태



[[피의 게임3|
파일:피의게임3 로고1.png
]]
[ 시즌 목록 ]
||<tablewidth=100%><tablebgcolor=#222><width=1000><nopad><-3> [[피의 게임(시즌 1)|
파일:피의게임1 로고 화이트.png

피의 게임]] ||<width=33.3%> [[피의 게임2|
파일:피의게임2 로고 화이트.png

피의 게임2]] ||<width=33.3%> [[피의 게임3|
파일:피의게임3 로고1.png

피의 게임3]] ||
[ 플레이어 ]
||<tablewidth=100%><tablebgcolor=#222><nopad>파일:피의게임3프로필김경란.jpg||<nopad>파일:피의게임3프로필김민아.jpg||<nopad>파일:피의게임3프로필김영광.jpg||<nopad>파일:피의게임3프로필빠니보틀.jpg||<nopad>파일:피의게임3프로필서출구.jpg||<nopad>파일:피의게임3프로필스티브예.jpg||
김경란김민아김영광빠니보틀서출구스티브예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시윤.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엠제이킴.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악어.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유리사.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이지나.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임현서.jpg
시윤엠제이킴악어유리사이지나임현서
파일:피의게임3프로필장동민.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주언규.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최혜선.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김선태.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허성범.jpg파일:피의게임3프로필홍진호.jpg
장동민주언규최혜선충주맨허성범홍진호
사진 클릭 시 행적 문서로, 이름 클릭 시 해당 인물 문서로 이동합니다.
[ 에피소드 ]
||<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222> 1일차 · 2일차 · 3일차 · 4일차 · 5-6일차 · 7일차 · 8일차 · 9일차 · 10일차 · 11-12일차 ||
[ 관련 문서 ]

[1] 자란 곳은 해남군순천시다.[2] 슈팅스타 기준[3] #[4] 김영광 생일 기념으로 나 김영광이오라는 채널을 오후 6시에 오픈했다. #[5] 2008년 오른쪽 무릎 후방 십자인대 파열[6] 두 기록 모두 1위는 김병지.[7] 해당 기록은 K리그2도 포함된 기록이며, K리그1 한정으로는 클린시트 103경기로 역대 6위.[8] KBS 스포츠 유튜브 채널을 통해 최초 공개 후 설특집으로 TV 방영[9] 정규편성[10] 이은형, 홍윤화와 함께 출연[11] 이영표, 설기현과 함께 출연[기준] 2025년 3월 28일[기준] 2025년 3월 28일[14] 정성룡이 슈퍼세이브 능력의 부재로 팬들에게 저평가 받지만, 한때는 국내 골키퍼 중 가장 압도적인 실력의 골키퍼였음은 절대로 부정할 수 없다.[15] 김영광 말로는 공을 쳐내야 하는데, 삭발한 슈바의 머리를 쳐 버린 실수였다고 한다.[16] 총 쏘는 게임에 빠져서 PC방 죽돌이였다고 하는데, 서든어택이었다고 한다.[17] 본인 말로는 당시에 총 쏘는 게임 서든어택에 빠져서 PC방 죽돌이었다고 하는데 남녀커플이 와서 워낙 시끄럽길래 조용히좀 해달라고 말하니, 남자가 고분고분해졌다고한다. 근데 이후에 갑자기 둘이 싸우다가 남자가 여자를 때리고 있으니 열받아서 나와보라고 한다음에 본인이 끌고가서 패버렸다고 한다. 현역시절 나온 이야기라 논란이 있었지만, 상황도 커플 여자가 일방적으로 맞는 상황이어서 본인도 그냥 빡쳐서 때렸다고 하고, 이후 고소나 그런것도 없이 넘어갔다고 한다.[18] 부상을 당하기 전에 올림픽과 아시안 게임을 통해 병역특례를 노려볼 기회는 있었다. 그러나 동메달까지 예술체육요원 자격이 부여되는 2004 아테네 올림픽은 8강에서 탈락했고 오직 금메달만 예술체육요원 자격이 부여되는 2006 도하 아시안 게임은 준결승에서 탈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