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9 12:22:05

김성환(만화가)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동명이인인 만화가}}}에 대한 내용은 [[귀귀]]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귀귀#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귀귀#|]]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동명이인인 만화가: }}}[[귀귀]]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귀귀#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귀귀#|]]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금관문화훈장 약장.png
금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1974
조택원
무용가
1975
안수길
소설가
1976
홍종인
언론인
1977
최석채
언론인
1978
방정환
독립운동가, 아동문학가
1979
고유섭
미술사학자
1980
전봉초
음악가
1981
김소월
시인
1982
이효석
소설가
1982
조지훈
시인
1983
홍승연
언론인
1983
천관우
언론인
1983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1984
이원수
아동문학가
1984
장발
미술가
1985
강소천
아동문학가
1986
홍진기
언론인
1987
김남중
언론인
1990
모윤숙
시인
1990
주시경
독립운동가, 국어학자
1994
김상만
언론인
1994
나운영
음악가
1994
이숭녕
국어학자
1995
공병우
한글연구가
1995
김소희
국악인
1995
문신
미술가
1995
정명훈
음악가
1995
이대원
미술가
1995
류경채
미술가
1996
송석하
민속학자
1996
신용호
기업인
1996
조병화
시인
1997
신순남
미술가
1997
홍두표
언론인
1997
최창봉
언론인
1997
정진숙
출판인
1997
고병익
역사학자
1998
방우영
언론인
1998
김연준
작곡가
1999
방일영
언론인
1999
방종현
국어학자
1999
김세형
음악가
1999
이유태
미술가
1999
김흥수
미술가
1999
장준하
독립운동가, 언론인
1999
송건호
언론인
2000
황순원
소설가
2000
백남준
미술가
2000
서정주
시인
2001
김기창
미술가
2001
김천흥
국악인
2001
장우성
미술가
2001
김수영
시인
2001
최영희
역사학자
2002
임권택
영화감독
2002
오지호
미술가
2003
박동진
국악인
2003
윤석중
아동문학가
2004
구상
시인
2004
이혜구
음악사학자
2005
박성용
기업인
2005
정세영
기업인
2006
신상옥
영화감독
2006
김동원
연극인
2006
차범석
극작가
2006
조남철
바둑기사
2007
송도균
언론인
2007
노성대
언론인
2007
송범
무용가
2008
박경리
소설가
2008
이청준
소설가
2008
김영랑
시인
2009
유현목
영화감독
2010
전숙희
수필가
2010
앙드레 김
패션 디자이너
2010
김영환
군인, 6.25전쟁기 해인사 폭격명령 거부
2011
박완서
소설가
2012
지관
해인사 주지
2012
이건희
기업인
2012
허동수
기업인
2012
김형규
국어학자
2013
이우환
미술가
2014
호머 헐버트
선교사, 한글 체계화 공헌 및 한글 보급·한글 홍보 공로
2014
전형필
문화재수집가
2014
이은관
국악인
2016
백성희
연극인
2016
임영웅
연극인
2017
박맹호
출판인
2018
최인훈
소설가
2018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2018
정지용
시인
2018
황병기
국악인
2020
서세옥
미술가
2019
김성환
시사만화가, 대표작《고바우 영감
2020
손창근
미술품소장가
2021
윤여정
영화배우
2021
이어령
문화부장관, 작가, 정치인 겸 문학평론가
2021
박서보
화가
2022
송기숙
작가
2022
송해
희극인
2022
김우창
문학평론가
2022
김지하
시인
2022
이정재
배우
2022
황동혁
감독
2023
이미자
대중음악인
2023
조수미
성악가
2023
이미경
기업인
2024
이문열
소설가
}}}}}}}}}

파일:보관문화훈장 약장.png
보관문화훈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1980
김정구
가수
1981
김충실[1]
무용가
1982
박시춘
작곡가
1984
이경순
영화인
1984
야나기 무네요시
미술사학자
1988
이재옥
바이올리니스트
1988
임옥인
소설가
1988
정비석
소설가
1992
김월하
국악인
1992
박경리
소설가
1992
안비취
국악인
1992
이진무
화가
1992
임정수
음반제작자
1992
황금찬
시인
1992
황정순
영화배우
1997
김명자[2]
배우
1999
강수진
발레리나
1999
이미자
가수
1999
조방원
미술가
2001
강숙자[3]
연극연출가
2001
권오일
연출가
2001
김종래
만화가
2001
윤형두
출판인
2001
이성천
국악인
2001
이우석
영화인
2001
임원식
영화인
2001
정철호
국악인
2002
김광남
문학평론가
2002
김성환
만화가
2002
김최연[4]
시나리오 작가
2002
박수길
성악가
2002
이창민[5]
가수
2002
손일근
언론인
2002
안휘준
미술사학자
2002
이순재
배우
2002
이창동
영화감독
2003
강효
바이올리니스트
2003
길창덕
만화가
2003
김동현
공예가
2003
김병익
문학평론가
2003
박외선
무용가
2003
손석우
작곡가
2003
심우성
민속학자
2003
전홍구[6]
배우
2003
조용필
가수
2003
허만하
시인
2003
황적인
법학자
2004
김기덕
영화감독
2004
김문환
연극평론가
2004
김주연
문학평론가
2004
김학자
무용가
2004
박기정
만화가
2004
박찬욱
영화감독
2004
이수덕
서예가
2004
임세순[7]
시인
2004
임영웅
연극연출가
2004
정영화
고고학자
2005
김병모
고고학자
2005
김남진[8]
가수
2005
안성기
배우
2005
윤용하†
작곡가
2005
이복형
박물관장
2005
이봉순
이화여대도서관장
2005
이중한
-2언론인
2005
임종국
문학평론가
2005
헬렌 포스터 스노우†
저널리스트
2005
황용엽
화가
2006
김우옥
예술감독
2006
리재철
한국도서관협회장
2006
박정자[9]
국악인
2006
백도웅
종교인
2006
변장호
영화감독
2006
윤석우
건축가
2006
이만희†
문화원장
2006
이흥구
무용가
2006
정진규
시인
2007
김청만
국악인
2007
박정자
연극인
2007
육병일†
점자도서관장
2007
이건용
작곡가
2007
이두호
만화가
2007
이형표
영화감독
2007
임석정
문화재연구원
2007
표재순
연출가
2008
권용태
시인
2008
김봉남[10]
패션디자이너
2008
김형표[11]
무용가
2008
김월라
의상디자이너
2008
이만방
작곡가
2008
이종수
도예가
2008
정재국
국악인
2008
차일혁
경찰, 6.25전쟁기 화엄사 소각 명령 거부
2010
고은정
성우
2010
신순기[12]
배우
2010
임희춘
희극인
2010
최승희
고문서학자
2011
신중현
가수
2011
오승룡
성우
2011
유호
방송작가
2011
이호재
연극배우
2011
홍숙호
화가
2011
배방원
무용가
2012
나경자[13]
배우
2012
송승환
배우
2012
송창식
가수
2013
봉준호
영화감독
2013
김정수
드라마 작가
2013
이혜경
성우
2014
김수일
성우
2014
명국환
가수
2014
신문수
만화가
2014
최은희
배우
2015
정태호[14]
가수
2015
노명자[15]
디자이너
2015
이희우
방송작가
2016
배상태
작곡가
2016
임충희[16]
방송작가
2017
이금림
방송작가
2017
김지석†
부산국제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2017
이경규
희극인
2017
김영애
배우
2018
김영옥
배우
2018
김옥영
작가
2018
김정택
작곡가
2019
김홍탁
가수
2019
이태현
제작자
2020
임하룡
희극인
2020
권혁빈
기업인
2020
송도순
방송인, 성우
2020
송지나
드라마 작가
2021
박인환
배우
2021
송재호
배우
2021
노희경
드라마 작가
2022
허영만
만화가
2022
박진숙
극작가
2022
송강호
배우
2023
이환경
드라마 작가
2024
김창완
가수
2025
장형두†
식물학자
2025
마크 피터슨
역사학자
2025
정동환
배우
2025
이병헌
배우

[1] 예명 김백봉[2] 예명 김지미[3] 예명 강유정[4] 필명 김지헌[5] 예명 백년설[6] 예명 황해[7] 필명 임영조[8] 예명 남진[9] 예명 박송희[10] 예명 앙드레 김[11] 예명 김진걸[12] 예명 신구[13] 예명 나문희[14] 예명 남일해[15] 예명 노라노[16] 예명 임충
}}}}}}}}} ||
<colbgcolor=#3c2133><colcolor=#fff> 대한민국의 만화가
김성환
金星煥 | Kim Sung-hwan
파일:김성환 화백.jpg
출생 1932년 10월 8일
경기도 개성부 (현 개성시)
사망 2019년 9월 8일 (향년 86세)
가족 부인 허금자
아들 김규정, 장녀 김규희, 차녀 김규연
학력 경복중학교[6년제] (졸업)
경희대학교 문리과대학 (국문학 / 수료)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수료)
서훈 보관문화훈장 수훈
금관문화훈장 추서

1. 개요2. 생애
2.1. 사망
3. 기타4. 작품5. 수상

1. 개요

대한민국만화가. 만화 고바우 영감을 그린 화백이다.

1950년 12월 30일 전쟁 와중에 고바우 영감을 처음 그렸으며 이후로 전쟁과 여러 문제로 연재와 휴재를 되풀이하다가 1955년 2월 1일부터 동아일보에서 첫 연재를 시작하여 문화일보로 옮겨가면서 2000년까지 4컷 만화를 연재한 이 기록은 기네스북에도 등록되어 있다.

시사만화를 그리다 보니 참으로 우여곡절이 많았다. 젊은 시절에는 6.25 전쟁에 참전했고, 사회풍자 만화가라는 신분이었기에 벌금형에서 금고형까지 질리게 겪었다. 경무대 똥통 사건이 대표적인 예. 그럼에도 권위주의 시절에도 날카로운 만화를 계속 그렸다. 다른 에피소드 내용은 고바우 영감을 참고할 것.

2. 생애

파일:멍텅구리씨.png

연합신문 1949년 4월 2일에 실린 멍텅구리씨 1화[2]

일제강점기 경기도 개성부 출생. 독립운동가였던 아버지를 따라 중국 만주에서 돈화국민우급학교[3]를 거쳐 길림6고(지금의 중학교) 다니다가 8.15 해방 이후 서울특별시로 내려와 경복중학교[6년제]에 진학하였는데 당시부터 학교의 미술부장을 지내는 들 그림에 소질에 보였던터라 '멍텅구리'라는 네 칸의 만화를 그려서 연합신문에 보냈다. 당시 외국신문에 있는 만화란이 한국의 신문에는 없는 것을 보고 "아무리 보아도 창문이 없는 집 같아 보였다"고 회고했다. 1949년 열일곱에 만화계에 데뷔하여 만화로 가족의 생계를 책임지게 됐다. 이후 경희대학교를 다녔고 중앙대학교 대학원을 다녔다. 시사만화가로서 거의 평생에 걸쳐 고바우 영감을 연재했다.

한국전쟁 당시 주한미군 부대 바로 곁에 주둔한 부대에서 군복무를 했다고 한다. 이 때 미군들의 행패 등 문제를 많이 보았다고. 한국군들이 죽어라 훈련할 때 미군들은 느긋하게 노는 걸 보면서 "저들도 어디까지나 외국인이구나", "하긴 다른 나라 전쟁와서 미쳤다고 기꺼이 죽어 줄까"는 생각이 들었다고. 그래서인지 그의 만화에서 주한미군에 대하여 좀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그들의 범죄를 비판하는 것도 그려 논란을 빚기도 했다.

거듭된 시사만화로 정부를 까다 보니 벌금이니 일시적인 투옥이 아니라 아예 박정희 정권 시절에는 중앙정보부로 끌고와 정말로 호되게 된통 먹일까 논의가 되었는데 우습게도 6.25 당시 미군이던(당시 미군은 징병제) 신문사 간부가 김성환과 그나마 어찌 알던 사이라서 한국이 시사만화가까지 부조리를 비난한다고 쓴소리를 하여 이게 미국에 보도된 탓에 미국에게 찍히는 거 아닌가? 해서 없던 일로 되었다고 한다. 김성환 화백은 웃으면서 이 때 내가 끌려가서 호되게 고문당했더라면 미국 쪽에서 보도하여 정권은 어찌되었을지도 모르지라는 말을 한 일화가 있다고 한다.

사실 고바우 영감 단 하나만 그린 것은 아니고, 소케트 군, 꺼꾸리군 장다리꾼 등 어린이 만화도 그렸지만 고바우 영감이 워낙 오래 연재된 작품인데다가 소케트 군이 그리 유명한 만화는 아니다 보니 잘 알려지지는 않았다. 그래도 꺼꾸리군 장다리군은 고교얄개를 연출한 석래명 감독에 의해 1977년 고교 꺼꾸리군 장다리군이란 영화로 제작되었고 동양방송 드라마로도 만들어졌으며, 소케트 군은 만화일기 시리즈로 나오긴 했다.

만화 창작 외적으로 1996년에 원화 등 소장품 376점을 국립중앙도서관에 기증했고,[5] 1997년 이후 한국만화가협회 고문과 한국시사만화가회 명예회장에 위촉되었다. 5.16 이전에는 현대만화가협회라는 단체에서 회장직을 지냈는데 현대 만화가 협회가 5.16 이후 강제해산당하고 1968년 한국만화가협회가 창설된 다음에 소속되었고 거기서도 회장을 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김성환에게 2002년 보관문화훈장을 수훈하였고, 2019년 사후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했다.

참고로 국립중앙도서관엔 김성환의 양초탑이라는 물건이 전시되어 있는데, 전기가 안 들어올때 빈 깡통에 양초를 켜두고 작업을 했었다고 한다. 근데 그게 초를 다 쓰면 다시 그 위에 초를 올려서 켜놓는 식으로 계속 촛농이 쌓이고 쌓여서 높아진 것. 어느 날 여름 너무 더워서 촛농이 녹는 바람에 3등분으로 쪼개졌는데 그걸 보관하고 있다가 기념품으로 기증했다고 한다.

2.1. 사망

2019년 9월 8일에 향년 86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는 소식이 전해졌다. # 장례식은 만화인장으로 치러졌다.

3. 기타

  • 청렴하고 깔끔해보이는 시사풍자 만화가 이미지에 걸맞지 않게 작업실을 너저분하게 하고 그림을 그려야 진도가 잘 나가는 징크스가 있었다고 한다.

4. 작품

  • 멍텅구리씨 (1949년)
  • 고바우 영감 (1955년~2000년)
  • 꽁생원
  • 미스 꾀꼬리
  • 맹랑선생
  • 만난이의 모험 : 만난이라는 여자 아이가 다용도 특수 차량(드릴로 지하 운행, 날개를 이용한 잠수함, 비행기,자동차)를 타고 세계를 여행 하는 내용이다. 당시 공산국가였던 몽골도 갔다.
  • 도토리용사
  • 역사 만화
  • 빅토리조절구
  • 만화로 보는 역사
  • 소케트군
  • 콩이와 들개
  • 차돌이 - 작품의 시대 배경이 5.16 군사정변 초기로 추정된다. 작중 대사 중 "사이공에선 내란이 일어나선 안 되지..."
  • 무언극 고바우
  • 고바우 세계 방랑기
  • 고바우와 함께 산 반생
  • 꺼꾸리군 장다리군
  • 세모돌이 네모돌이

5. 수상

  • 동아대상 (1973년)
  • 소파상 (1974년) - (소케트군) (소년동아일보)
  • 서울언론인클럽 신문만화상 (1988년)
  • 언론학회 언론상 (1990년)
  • 한국만화문화상 (1997년)
  • 보관문화훈장 (2002년)

[6년제] 당시 학제는 고등학교가 없고 6년제 구제중학교였다. 1953년 5월 25일 경복중학교(3년제)와 경복고등학교(3년제)로 분리됐고 이후 경복중학교는 폐교됐다.[2] 맨 아래 '경복중학 2년생'이라고 적혀 있는데 이는 착오다. 2주 후 4월 16일에 실린 9화에서 '경복중학 4년생'으로 정정되었다.[3] 당시 만주국 신학제에 따르면 국민학교는 4년제, 국민우급학교(國民優級學校)는 6년제였다.[6년제] [5] 개인문고명은 '고바우 문고'이며, 장서 십진분류번호 앞에 '고바우'가 붙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