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地官
풍수지리에 따라 집터나 묏자리를 봐주는 일을 하는 사람.2. 指貫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골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골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紙貫
두루마리 휴지의 중심에 두꺼운 종이로 만든 원통 모양의 심. 보통 휴지심이라고도 한다.#4. 인명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224, #ff8224 20%, #ff8224 80%, #ff8224);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권상로 | 제2대 백성욱 | 제3대 정두석 | 제4대 김법린 | 제5대 조명기 |
제6대 김동익 | 제7대 서돈각 | 제8대 이선근 | 제9대 정재각 | 제10대 황수영 | |
제11대 이지관 | 제12대 민병천 | 제13·14대 송석구 | 제15대 홍기삼 | 제16대 오영교 | |
제17대 김희옥 | 제18대 한태식 | 제19대 윤성이 | 제20대 윤재웅 |
대한불교조계종 총무원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B9A26A>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rowcolor=#231916,#FFF> 석진 | 법룡 | 경산 | 임성 | |
<rowcolor=#B9A26A> 제5대 | 제6·7대 | 제8대 | 제9대 | |
<rowcolor=#231916,#FFF> 월산 | 순호* | 정일 | 경산 | |
<rowcolor=#B9A26A>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
<rowcolor=#231916,#FFF> 홍근 | 임성 | 경덕 | 성우 | |
<rowcolor=#B9A26A>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제17대 | |
<rowcolor=#231916,#FFF> 혜정 | 정일 | 명근 | 월주 | |
<rowcolor=#B9A26A> 권한대행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rowcolor=#231916,#FFF> 탄성 | 성수 | 덕진 | 법전 | |
<rowcolor=#B9A26A>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rowcolor=#231916,#FFF> 진경 | 서운 | 정일 | 녹원 | |
<rowcolor=#B9A26A> 제25·26대 | 제27대 | 제28대 | 권한대행 | |
<rowcolor=#231916,#FFF> 의현 | 탄성 | 월주 | 도법 | |
<rowcolor=#B9A26A> 제29대 | 권한대행 | 제30대 | 권한대행 | |
<rowcolor=#231916,#FFF> 혜원 | 원택 | 정대 | 선용 | |
<rowcolor=#B9A26A> 제31대 | 권한대행 | 제32대 | 제33·34대 | |
<rowcolor=#231916,#FFF> 법장 | 현고 | 지관 | 자승 | |
<rowcolor=#B9A26A> 제35대 | 권한대행 | 제36대 | 제37대 | |
<rowcolor=#231916,#FFF> 설정** | 진우 | 원행 | 진우 | |
* 2대종정이었던 청담의 비구계명. ** 중앙종회의 불신임안 가결로 퇴출되었다. | ||||
대한불교조계종 종정 |
금관문화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1974 조택원 무용가 | 1975 안수길 소설가 | 1976 홍종인 언론인 | 1977 최석채 언론인 | 1978 방정환 독립운동가, 아동문학가 |
1979 고유섭 미술사학자 | 1980 전봉초 음악가 | 1981 김소월 시인 | 1982 이효석 소설가 | 1982 조지훈 시인 | |
1983 홍승연 언론인 | 1983 천관우 언론인 | 1983 이육사 독립운동가, 시인 | 1984 이원수 아동문학가 | 1984 장발 미술가 | |
1985 강소천 아동문학가 | 1986 홍진기 언론인 | 1987 김남중 언론인 | 1990 모윤숙 시인 | 1990 주시경 독립운동가, 국어학자 | |
1994 김상만 언론인 | 1994 나운영 음악가 | 1994 이숭녕 국어학자 | 1995 공병우 한글연구가 | 1995 김소희 국악인 | |
1995 문신 미술가 | 1995 정명훈 음악가 | 1995 이대원 미술가 | 1995 류경채 미술가 | 1996 송석하 민속학자 | |
1996 신용호 기업인 | 1996 조병화 시인 | 1997 신순남 미술가 | 1997 홍두표 언론인 | 1997 최창봉 언론인 | |
1997 정진숙 출판인 | 1997 고병익 역사학자 | 1998 방우영 언론인 | 1998 김연준 작곡가 | 1999 방일영 언론인 | |
1999 방종현 국어학자 | 1999 김세형 음악가 | 1999 이유태 미술가 | 1999 김흥수 미술가 | 1999 장준하 독립운동가, 언론인 | |
1999 송건호 언론인 | 2000 황순원 소설가 | 2000 백남준 미술가 | 2000 서정주 시인 | 2001 김기창 미술가 | |
2001 김천흥 국악인 | 2001 장우성 미술가 | 2001 김수영 시인 | 2001 최영희 역사학자 | 2002 임권택 영화감독 | |
2002 오지호 미술가 | 2003 박동진 국악인 | 2003 윤석중 아동문학가 | 2004 구상 시인 | 2004 이혜구 음악사학자 | |
2005 박성용 기업인 | 2005 정세영 기업인 | 2006 신상옥 영화감독 | 2006 김동원 연극인 | 2006 차범석 극작가 | |
2006 조남철 바둑기사 | 2007 송도균 언론인 | 2007 노성대 언론인 | 2007 송범 무용가 | 2008 박경리 소설가 | |
2008 이청준 소설가 | 2008 김영랑 시인 | 2009 유현목 영화감독 | 2010 전숙희 수필가 | 2010 앙드레 김 패션 디자이너 | |
2010 김영환 군인, 6.25전쟁기 해인사 폭격명령 거부 | 2011 박완서 소설가 | 2012 지관 해인사 주지 | 2012 이건희 기업인 | 2012 허동수 기업인 | |
2012 김형규 국어학자 | 2013 이우환 미술가 | 2014 호머 헐버트 선교사, 한글 체계화 공헌 및 한글 보급·한글 홍보 공로 | 2014 전형필 문화재수집가 | 2014 이은관 국악인 | |
2016 백성희 연극인 | 2016 임영웅 연극인 | 2017 박맹호 출판인 | 2018 최인훈 소설가 | 2018 이영희 한복 디자이너 | |
2018 정지용 시인 | 2018 황병기 국악인 | 2020 서세옥 미술가 | 2019 김성환 시사만화가, 대표작《고바우 영감》 | 2020 손창근 미술품소장가 | |
2021 윤여정 영화배우 | 2021 이어령 문화부장관, 작가, 정치인 겸 문학평론가 | 2021 박서보 화가 | 2022 송기숙 작가 | 2022 송해 희극인 | |
2022 김우창 문학평론가 | 2022 김지하 시인 | 2022 이정재 배우 | 2022 황동혁 감독 | 2023 이미자 대중음악인 | |
2023 조수미 성악가 | 2023 이미경 기업인 | 2024 이문열 소설가 | }}}}}}}}} |
한국의 승려로 현대불교의 대표적 학승으로 꼽힌다. 해인사 강원 강주, 해인사 주지, 동국대학교 선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총장을 거쳐 대한불교조계종 제32대 총무원장을 역임했다. 1991년에는 가산불교문화연구원을 설립하여 불교대사전인 가산불교대사림을 편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