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관문화훈장 수훈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 1980 김정구 가수 | 1981 김충실[1] 무용가 | 1982 박시춘 작곡가 | 1984 이경순 영화인 | 1984 야나기 무네요시 미술사학자 |
1988 이재옥 바이올리니스트 | 1988 임옥인 소설가 | 1988 정비석 소설가 | 1992 김월하 국악인 | 1992 박경리 소설가 | |
1992 안비취 국악인 | 1992 이진무 화가 | 1992 임정수 음반제작자 | 1992 황금찬 시인 | 1992 황정순 영화배우 | |
1997 김명자[2] 배우 | 1999 강수진 발레리나 | 1999 이미자 가수 | 1999 조방원 미술가 | 2001 강숙자[3] 연극연출가 | |
2001 권오일 연출가 | 2001 김종래† 만화가 | 2001 윤형두 출판인 | 2001 이성천 국악인 | 2001 이우석 영화인 | |
2001 임원식 영화인 | 2001 정철호 국악인 | 2002 김광남† 문학평론가 | 2002 김성환 만화가 | 2002 김최연[4] 시나리오 작가 | |
2002 박수길 성악가 | 2002 이창민†[5] 가수 | 2002 손일근 언론인 | 2002 안휘준 미술사학자 | 2002 이순재 배우 | |
2002 이창동 영화감독 | 2003 강효 바이올리니스트 | 2003 길창덕 만화가 | 2003 김동현 공예가 | 2003 김병익 문학평론가 | |
2003 박외선 무용가 | 2003 손석우 작곡가 | 2003 심우성 민속학자 | 2003 전홍구[6] 배우 | 2003 조용필 가수 | |
2003 허만하 시인 | 2003 황적인 법학자 | 2004 김기덕 영화감독 | 2004 김문환 연극평론가 | 2004 김주연 문학평론가 | |
2004 김학자 무용가 | 2004 박기정 만화가 | 2004 박찬욱 영화감독 | 2004 이수덕 서예가 | 2004 임세순[7]† 시인 | |
2004 임영웅 연극연출가 | 2004 정영화 고고학자 | 2005 김병모 고고학자 | 2005 김남진[8] 가수 | 2005 안성기 배우 | |
2005 윤용하† 작곡가 | 2005 이복형 박물관장 | 2005 이봉순 이화여대도서관장 | 2005 이중한 -2언론인 | 2005 임종국† 문학평론가 | |
2005 헬렌 포스터 스노우† 저널리스트 | 2005 황용엽 화가 | 2006 김우옥 예술감독 | 2006 리재철 한국도서관협회장 | 2006 박정자[9] 국악인 | |
2006 백도웅 종교인 | 2006 변장호 영화감독 | 2006 윤석우 건축가 | 2006 이만희† 문화원장 | 2006 이흥구 무용가 | |
2006 정진규 시인 | 2007 김청만 국악인 | 2007 박정자 연극인 | 2007 육병일† 점자도서관장 | 2007 이건용 작곡가 | |
2007 이두호 만화가 | 2007 이형표 영화감독 | 2007 임석정 문화재연구원 | 2007 표재순 연출가 | 2008 권용태 시인 | |
2008 김봉남[10]† 패션디자이너 | 2008 김형표[11]† 무용가 | 2008 김월라 의상디자이너 | 2008 이만방 작곡가 | 2008 이종수 도예가 | |
2008 정재국 국악인 | 2008 차일혁† 경찰, 6.25전쟁기 화엄사 소각 명령 거부 | 2010 고은정 성우 | 2010 신순기[12] 배우 | 2010 임희춘 희극인 | |
2010 최승희 고문서학자 | 2011 신중현 가수 | 2011 오승룡† 성우 | 2011 유호 방송작가 | 2011 이호재 연극배우 | |
2011 홍숙호 화가 | 2011 배방원 무용가 | 2012 나경자[13] 배우 | 2012 송승환 배우 | 2012 송창식 가수 | |
2013 봉준호 영화감독 | 2013 김정수 드라마 작가 | 2013 이혜경 성우 | 2014 김수일 성우 | 2014 명국환 가수 | |
2014 신문수 만화가 | 2014 최은희 배우 | 2015 정태호[14] 가수 | 2015 노명자[15] 디자이너 | 2015 이희우 방송작가 | |
2016 배상태 작곡가 | 2016 임충희[16] 방송작가 | 2017 이금림 방송작가 | 2017 김지석† 부산국제영화제 수석프로그래머 | 2017 이경규 희극인 | |
2017 김영애† 배우 | 2018 김영옥 배우 | 2018 김옥영 작가 | 2018 김정택 작곡가 | 2019 김홍탁 가수 | |
2019 이태현 제작자 | 2020 임하룡 희극인 | 2020 권혁빈 기업인 | 2020 송도순 방송인, 성우 | 2020 송지나 드라마 작가 | |
2021 박인환 배우 | 2021 송재호† 배우 | 2021 노희경 드라마 작가 | 2022 허영만 만화가 | 2022 박진숙 극작가 | |
2022 송강호 배우 | 2023 이환경 드라마 작가 | 2024 김창완 가수 | |||
길창덕 吉昌悳 | |
| |
출생 | 1930년 1월 10일 |
평안북도 선천군[1] | |
사망 | 2010년 1월 30일 (향년 80세) |
경기도 안양시 | |
장지 | 국립대전현충원 유성구 현충원로 251 (장병3묘역 307호) |
자녀 | 딸 혜정(영주), 혜연, 혜경 사위 둘째 최준호[2] |
1. 개요
꺼벙이로 유명한 원로 만화가로 한국의 대표적인 1세대 만화가.
2. 약력
1930년 1월 10일 평안북도 선천군 동림면에서 개신교 장로[3]이자 양말 공장을 경영하던 아버지 길경춘(吉景春)과 어머니 서정희(徐廷熙) 사이 6남 2녀 중 넷째 아들로 태어났고[4], 코주부로 유명한 만화가인 김용환의 그림과 일본 만화 등을 통해 독학했다. 6.25 전쟁 당시 월남하면서 홀어머니를 놔두고 와야했던 게 한이었다고... 1975년 그의 꿈에서 어머니가 나타나 멀리 작별한 다음, 산으로 올라가는 걸 보았다고 어머니가 돌아가신 것 같다며 종일 울음을 터뜨렸다고 한다.1955년에 <야담과 실화>라는 잡지에 허 서방을 연재하며 만화가로 데뷔하여[5] 1970년부터 만화왕국에 2년간, 소년중앙에 4년간 꺼벙이를 연재하고 1971년부터 여성중앙에 순악질 여사를 18년 동안 연재하면서 명랑만화로 인기를 얻었다.
정의의 재동이, 꺼벙이, 순악질여사 등을 통해 4,800회로 국내 최장 연재기록을 세웠다. 순악질 여사는 후일 스핀 오프인 순악질 남편으로 재연재되기도 했으며 영화 및 코미디 프로그램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심지어 1983년부터 KBS2 <사랑방중계> 삽화에도 참여했다.
그의 작품 중 '순악질 여사'는 개그우먼 김미화가 쓰리랑 부부라는 개그코너를 할 때 활용한 것으로 유명하다. 김미화는 이 역할로 스타 개그우먼이 되자, 길창덕에게 직접 찾아가 감사인사를 했고, 그는 크게 기뻐하며 그녀에게 '순악질 여사'그림을 손수 직접 그려주고, 싸인까지 해줬다고 한다. 김미화 역시 이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지금까지도 이를 간직하고 있다고 한다.
이후 여러 매체에 어린이 만화와 시사만화 등을 연재했고, 명랑만화라는 새로운 장르를 개척한 만화가로 평가 받았다.
현대정공 사보에서 미스터 현정을 연재한 것을 마지막으로 1998년부터 폐암으로 인해 작품 활동을 중지했다. 2009년에 한국만화100주년위원회 고문으로 활동했고, 한국만화가협회 고문으로 재직했었다.
3. 사망
엄청난 골초였고, 그로 인해 폐암을 앓았으나 거의 나았고 노환으로 사망했다. 같은 실향민이라 친하게 지내던 후배인 윤승운이 회고하길...하루에 2, 3갑은 기본이고 심지어 하루에 5갑까지 피운 걸 봤다. 어이구, 선배님 피워도 너무 많이 피우시네. 너무 많이 한 번에 피우면 나쁘다고요! 라는 내 말에 그냥 웃으셨다...
그런데 술은 매우 꺼렸다고 한다. 만화가 모임에서도 한잔 마시고 그만두는 게 허다했다고...[6] 2010년 1월 30일 오후 12시 10분 ~ 오후 1시 사이, 폐암으로 12년간 투병 끝에 만 80세를 일기로 작고.
유족으론 부인과 4녀, 사위 최준호 공연예술감독이 있다. 경기도 평촌신도시 한림대학교성심병원 특1호실에 빈소가 마련됐고, 2010년 2월 1일 오전 9시에 발인. 장지는 국립대전현충원이다.[7]
인터넷 상에서는 추모 이미지로 아래의 꺼벙이 마지막화 장면이 업로드 되기도 했다.
해당 장면은 꺼벙이의 아빠가 중동 지사로 발령나서 가족과 함께 고국을 떠나 사우디아라비아로 가는 꺼벙이 남매의 마지막 장면이기도 하다. 당시의 시대상을 대변해 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흔히 만화가로 알려졌지만 6.25 전쟁에 참전한 군인이기도 했고, 더불어 화랑무공훈장까지 받았다. 그래서인지 무덤에는 만화가 길창덕이 아닌 하사 길창덕이라는 이름으로 묘비가 세워졌는데 생전에 문화훈장까지 수훈했으나 국립묘지의 안장 원칙에 문화훈장 수훈자 자격은 포함되어있지 않아 하는 수 없이 화랑무공훈장을 받은 참전군인 신분으로 안장될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길창덕은 닥치고 정부에 아부하는 게 아니었다. 중앙일보 편집위원으로 신문만화를 연재하던 시절, 정부를 비판한 작품으로 중앙정보부에 불려갔다가 사흘만에 풀려난 일도 있었다. 이북 출신 만화가인 신동우와 확실히 달랐다. 신동우는 반공 뿐 아니라 유신 시대부터 여러 내용으로 적극적으로 정부 시책에 찬동하는 작품을 그린, 전무후무한 어용 만화가였기에 항목에서 나오듯이 죽은 뒤에 이런 점 때문에 더 묻혀졌다.
정확히는 전투를 한 게 아니라 홍보 만화, 도면을 그리는 형식으로 참전했었다. 대담집에도 나온다. 사실 비단 길창덕 뿐만 아니라 전쟁때 참전한 만화가들 대다수가 소위 삐라 그리는 작업에 동원됐다. 대표적으로 고바우 영감의 작가 김성환이 있다.
참고로 60~80년대 만화에 대한 국내의 시선은 아주 나뻤다. 정병섭군 자살사건을 계기로 만화에 대해 거의 탄압하는 분위기가 이뤄졌으며 국민들도 이에 수긍해 만화에 대한 시선이 싸늘해지는 경우가 늘어났었다. 더구나 작가들의 활동에 대한 검열이 심해지면서 2020년대 시점에선 말도 안 되는 수준의 검열 내용도 존재했었는데 이 문서를 참고하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이런 와중에 만화가들이 살아남으려면 당시 정부에 밉보이는 걸 피했어야 하는 입장이라 당시 반공 분위기에 편승한 건 어쩔 수 없는 부분이기도 했다. 물론 당시 활동하던 작가들의 다수는 6.25 전쟁의 직간접적인 피해자 입장이었던 점도 생각해야 할 부분.
4. 작품
- 거북이
- 꺼벙이 - 이 꺼벙이의 그림체가 지강민의 와라! 편의점 웹툰 78화에도 등장하였다.
- 고집세
- 꼴뚜기
- 나원참여사
- 덜렁이
- 돌석이
- 딸딸이
- 뚝백이
- 뜸북이
- 마음의 소리 - 전래동화 모음집. 김형배, 백성민 화백과 공동작업했고 길창덕 화백은 앞부분 나레이션을 그렸다.
- 만복이
- 멀건이
- 선달이 여행기 - 대한민국 유람 이야기. 전라도를 끝으로 1부 종결 후 영원히 나오지 못했다.
- 순악질남편
- 순악질 여사 - 1980년에 동명으로 영화화. 주연 장미희.
- 신판보물섬 - 모험+교훈+명랑을 조합한 만화. 2010년에 박스 세트로 복간되었다.
- 온달 일등병
- 여사원 미쓰 희 - 한국화장품 쥬단학 화장품 사보 만화.
- 이웃집돌네 - 명랑만화와는 약간 거리가 있다.
- 정의의 재동이 - 후에 만화일기 시리즈로도 나온 바 있음.
- 다부지
- 쭉쟁이
- 코미디 홍길동 - 소년중앙 마지막 작품.
- 허 서방
- 0점도사
5. 표절 논란
70-80년대 연재 당시엔 일본 문화의 수입이 전면 금지되어 있었기에 알려져 있지 않았지만,덕분에 이런 것 무수한 것들이 지금은 표절로 얽히니 묻혀져버린 게 한가득이다. 하지만 이런 표절은 먼 이야기도 아닌 90년대까지도 당당하게 벌어진 일이다. 당시 일간스포츠로 연재하던 작품 투가리는 우에다 마사시가 그린 일본 만화 카리아게군에서 이거저거 줄거리를 베끼고 심지어 장면까지 트레이싱한 수준으로 표절했는데, 98년에 서울문화사를 통해 카리아게군이 정발되었음에도 투가리를 2001년까지 10년동안 꾹 연재를 했었다. 더 엽기적인 건 해당 만화가 이해광은 연재 끝나고 얼마 안돼 청주대학교 교수를 역임했고 이후로도 상명대학교 교수를 지냈다. 2021년에는 한국만화웹툰학회 초대 회장이 되었다! 카리아게군이 한국에서 인지도가 없기에 이런 사실은 알려지지 않았다...
길창덕도 말년에 가족들에게 순악질 여사 단행본은 재출간하지 말 것을 당부하였고[8] 가족들도 그의 유지를 받들어 이행하였다. 하지만, 작가의 양심으로는 옳지 않은 일이라는 것을 당연히 알고 있었는데도 본인이 생전에 그에 대해 공식적으로는 한 마디도 말한 적이 없었던 것은 아쉬운 일이라는 이들도 있다. 실은 그 당시 만화가들의 의식은 그 정도였다. 이두호 항목 참조.
예외로 2세대인 황미나는 생계, 강압 때문이었지만 그런 일을 했다는 것을 부끄럽게 여긴다는 말을 한 적이 있고, 김수정은 베껴 그리라는 출판사/신문사의 압력에 한동안 만화를 때려치운 적이 있다. 김수정 항목에 나오지만 길창덕은 생전에 이에 대한 죄책감은 있어서인지 김수정의 그림이 일본 것을 베낀 게 아니냐고 떠 보았고, 아니라고 하자 잘했다며 격려해 주었다고 한다.
6. 수상 경력
- 1981년 색동회상
- 1999년 '꺼벙이' 부천만화정보센터 명예의 전당 헌액
- 2001년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공로상
- 2001년 정보통신부 꺼벙이 만화우표발행
- 2002년 출판만화대상 공로상
- 2003년 보관문화훈장
- 2006년 제4회 서울국제만화애니메이션페스티벌(SICAF) 어워드 코믹부문 대상
- 2021년 한국만화가협회 공로상
7. 활동
- 1955년 만화가로 데뷔
- 1961년 5월 25일 ~ 6월 28일 : 대한일보에 '꼴뚜기' 연재
- 1973년 1월1일 ~ 1974년 7월 1일 : 중앙일보에 '나원참 여사' 연재
- 1984년 1월 17일 ~ 1984년 2월 25일 : 경향신문에 '거북이' 연재
- 학원에 '돌석이' 10년 연재
- 주부생활에 '순악질 남편' 10년 연재
- 한국만화100주년위원회 고문
- 한국만화가협회 고문
- 중앙일보 편집위원
8. 외부 링크
- 네이버 카페 '길창덕화백 팬카페': 2003년 개설.
[1] 해평 길씨 집성촌이다.[2] 주프랑스 한국문화원장[3] 하지만 길창덕 본인은 개신교 신앙에 대해 얘기한 적이 전혀 없는 것으로 보아 무종교인인 것으로 보인다. 아니면 한때는 아버지를 따라 개신교를 믿었지만, 이후로는 교회에 출석하지 않는 냉담자가 되었거나...[4] #[5] 위키백과에서는 1955년 서울신문에 《머지않은 장래의 남녀상》으로 데뷔했다고 나온다.[6] 이런 길창덕을 꼭 술자리에 부른게 고우영이라고 한다. 친분이 두터워서 자기 만화에도 길씨 성을 가진 캐릭터가 나오면 길씨 성 가진 모 만화가는 슬퍼하겠지만.이라고 길창덕을 언급했다.[7] 6.25 전쟁에 참여하여 화랑무공훈장을 수여받았기 때문에 현충원 안장 자격을 갖춰 대전현충원에 안장되었다. 이 이유로 그의 묘비에 육군 하사 길창덕으로 세겨져 있다.[8] 이미 저작권법이 발효된 후라서 문제가 생길 수 있었기에 그런 것일 수도 있다. 순악질 여사는 영화화가 되었고 그 캐릭터 그대로 김한국- 김미화 콤비가 쓰리랑 부부라는 코미디로 만들어 큰 인기를 끌었다. 그것을 막지 않은 것을 보면 정말로 부끄러워했는지는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