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월 5일에 진행 예정인 MBC 연기대상에 대한 내용은 2024 MBC 연기대상 문서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대한민국 지상파 3사의 연말 시상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 | |||
연기대상 | KBS 연기대상 | MBC 연기대상 | SBS 연기대상 | |
연예대상 | KBS 연예대상 | MBC 방송연예대상 | SBS 연예대상 | |
연말 가요제 | KBS 가요대축제 KBS 국악대상 | MBC 가요대제전 | SBS 가요대전 |
대한민국의 드라마 시상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한국방송대상 | 백상예술대상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letter-spacing: -0.3px" | }}} | |||||
한국PD대상 | ※숨피어워즈 | *서울 드라마 어워즈 | 코리아 드라마 어워즈 | 방송통신위원회 방송대상 | 아시아태평양 어워즈 | ※아시아 아티스트 어워즈 | *아시아콘텐츠어워즈 & 글로벌OTT어워즈 | 청룡시리즈어워즈 | 디렉터스컷 어워즈 | 벡델데이 | ||||||
일회성 폐지 | ||||||
* 국제 시상식, ※ 가요 시상식을 겸한다. |
MBC 연기대상 | |
<colbgcolor=#15183c><colcolor=#ffffff>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주최 | MBC 드라마본부 |
첫 시상년도 | 1974년([age(1974-01-01)]주년) |
대상 수상자 | 남궁민 (연인 / 2023년) |
링크 | | | | | | | |
[clearfix]
1. 개요
문화방송에서 연말에 진행하는 연기 시상식. 매년 12월 30일에 진행하는 전통이 있으며 1년의 마지막 날인 12월 31일에 진행하는 KBS, SBS 등보다 하루 빨리 연다.[1] MBC는 KBS, SBS 등과는 달리 12월 31일에는 제야의 종 타종식과 같이 이루어지는 연말 가요제인 MBC 가요대제전을 진행하기 때문이다.방송 3사 연기대상 중 가장 먼저 시작했다.[2]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MBC 탤런트 연기상'이라는 이름으로 배우들에게 문화방송-경향신문[3] 창사기념행사로 1974년부터 시상하기 시작했으나 처음에는 MBC 전속 탤런트들만이 수상 후보에 오를 수 있었다. 그리고는 드라마에 출연하는 탤런트뿐만 아니라 코미디언, 성우들(+MC, 라디오 DJ)까지 MBC 소속 전 연기자(연예인)가 함께 하는 시상식이 이어지다가 현재의 'MBC 연기대상'은 1983년에 처음 시작했다.[4] 그리고 2년 후인 1985년부터 대상을 시상하고 있다.[5] 그 이전에는 최우수상 내지는 주연상이 최고의 권위를 가진 상이었다. 그러다가 KBS에서도 1987년부터 연기대상을 개최했고 그보다 6년 늦은 1993년에 SBS에서도 연기대상을 개최한 이후로[6] 지금까지 연말 3사 연기대상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7] 여담으로 1990년부터 1994년까지는 코미디 부문까지 합친 방송대상이란 이름으로 시상했는데 1995년에 코미디 부문이 MBC 코미디대상이란 시상식으로 따로 독립하면서 다시 본래의 연기대상으로 돌아오기도 했다.
다만, 후술하듯이 방송 3사 연기대상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시상식인데도 공동 수상 남발과 같은 비판과 논란이 끊이질 않는 등[8] 같은 MBC의 방송연예대상과 가요대제전이 매년 호평 받는 것과는 달리 이 연기대상 쪽은 문제점이 다소 많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부분 참조.
일찍이 2003년 시상식부터 SBS와 함께 HD 방송으로 전환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고로 KBS는 2007년부터 HD 화질로 연기대상을 중계한다.
다른 2사와 달리 매년 12월 30일 MBC 연기대상 폰트를 자주 바꾼다.
2. 역사
2.1. 1985~2000년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1985~2000년 문서 참고하십시오.2.2. 2001~2010년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2001~2010년 문서 참고하십시오.2.3. 2011~2015년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2011~2015년 문서 참고하십시오.2.4. 2016~2020년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2016~2020년 문서 참고하십시오.2.5. 2021~2025년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2021~2025년 문서 참고하십시오.3. 수상자
자세한 내용은 MBC 연기대상/수상자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역대 진행자
<rowcolor=#ffffff> 연도 | 진행자 |
1985년 | 변웅전 |
1986년 | 이덕화, 송옥숙 |
1987년 | 최불암 |
1988년 | 변웅전 |
1989년 | 변웅전, 백지연 |
1990년 | 변웅전, 정보영 |
1991년 | 한선교, 정보영 |
1992년 | 차인태, 김은주 |
1993년 | 한선교, 이경규 |
1994년 | 이문세, 박소현 |
1995년 | 이재룡, 신은경 |
1996년 | 이수만, 허수경 |
1997년 | 신동호, 채시라 |
1998년 | 신동호, 김지수 |
1999년 | 신동호, 김현주 |
2000년 | 신동호, 황수정 |
2001년 | 신동엽, 김남주 |
2002년 | 박수홍, 성유리 |
2003년 | 서경석, 성유리 |
2004년 | 유재석, 김제동, 성유리 |
2005년 | 박수홍, 정려원 |
2006년 | 유재석, 한예슬 |
2007년 | 신동엽, 현영 |
2008년 | 신동엽, 한지혜 |
2009년 | 이휘재, 박예진 |
2010년 | 김용만, 이소연 |
2011년 | 정준호, 이하늬 |
2012년 | 김재원, 손담비 |
2013년 | 이승기, 한지혜 |
2014년 | 신동엽, 수영 |
2015년 | 신동엽, 이성경 |
2016년 | 김국진, 유이 |
2017년 | 오상진, 김성령 |
2018년 | 김용만, 서현 |
2019년 | 김성주, 한혜진 |
2020년 | 김성주 |
2021년 | |
2022년 | 김성주, 수영 |
2023년 | 김성주, 박규영 |
2024년 | 김성주, 채수빈 |
5. 시청률
- 닐슨미디어코리아 전국 시청률 기준.
<rowcolor=#ffffff> 연도 | 1부 | 2부 |
1994년 | 35.9%[A] | |
1997년 | 34.9%[A] | |
1998년 | 30.7%[A] | |
2002년 | 20.3%[A][B] | |
2003년 | 31.0%[A][B] | |
2004년 | 23.1%[A] | |
2005년 | 20.9%[A] | |
2006년 | 13.0% | 21.8% |
2007년 | 24.8% | 27.5% |
2008년 | 17.8% | 28.0% |
2009년 | 16.3% | 24.4% |
2010년 | 13.0% | 17.7% |
2011년 | 12.5% | 15.0% |
2012년 | 10.5% | 13.2% |
2013년 | 11.3% | 12.5% |
2014년 | 14.9% | 15.3% |
2015년 | 12.8% | 14.7% |
2016년 | 12.7% | 11.9% |
2017년 | 8.8% | 7.3% |
2018년 | 6.7% | 10.2% |
2019년 | 7.1% | 8.6% |
2020년 | 3.8% | 4.5% |
2021년 | 4.9% | 7.0% |
2022년 | 3.3% | 5.2% |
2023년 | 3.7% | 5.1% |
2024년 | % | % |
6. 여담
- 두 지상파 방송사 연기대상들과 비교했을 때 가장 혹평과 비난을 많이 받고 있다. 2007년 이후로 2009년[18], 2014년[19], 2015년을 제외하면 가장 말이 많고 비난을 많이 받았다. 그나마 2018년에도 약간의 논란을 제외하면 MBC 연기대상 치고는 무난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물론 가장 최악은 2008년[20]2010년[21], 2012년[22], 2013년[23], 2017년[24], 2019년[25]이다. 사실 2008년도 욕을 많이 먹은 편이긴 하다. 그 유명한 강마에를 연기한 김명민을 송승헌과 함께 공동수상을 줘 버리다니... MBC는 물론이고 3사 연기대상 통틀어서도 역대 최악이라고 불릴 정도. 2016년부터는 사실상 동네 잔치보다 못한 취급으로 전락했다. 과거에는 상을 제대로 수여하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이 즐비했다면, 최근에는 과거 드라마왕국이라는 호칭이 무색하게 드라마들이 모조리 흥행 실패해 시상식을 하는 의미가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 그래도 2020년대부터는 흥행작이 차츰 나오기 시작하고[26] 공동수상을 줄이면서 SBS보다는 수상에 대해선 나아졌다는 평을 받고 있다. 다만 KBS보다는 평가가 좋지 못하다.
- 방송 3사 중 SBS와 같이 유난히 공동수상이 많은 편에 속한다. 다른 2곳은 막강한 후보들이 널려 있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면 공동 수상은 별로 없는데 반하여, MBC는 대상을 뺀 각종 시상에 무작정 퍼주기를 지나치게 난무하여 시청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다. 그리고 공교롭게도 공동수상 당시 수상자의 성별이 모두 동성이다. 다만 SBS도 이상한 상을 많이 만들어서 퍼주기 때문에 최근에는 거의 취급이 비슷해졌다. 그래도 2020년대에 들어서 SBS보다 더 공동수상이 차츰 없어진 추세이며, 이는 아마 최근 엄청 큰 대히트작이 없어서 그렇거나 규모가 작아져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대상을 공동수상한 경우는 3사 중 가장 적다.[27]
- 1997년부터 2000년까지는 두 명의 대상후보를 남겨두고, 그 중 대상 수상자 한 명을 최종적으로 호명하는 방식이었다. 1997년의 경우 그대 그리고 나에서 고부간으로 나왔던 최진실과 최불암의 경쟁이었고, 결국 최진실이 대상 수상자로 결정되었다. 그 결과
잔인하게도최불암은 대상 후보에까지 오르고서 무관에 그쳤다.[28] 이러한 아쉬움과 반발 때문인지 1998년부터 2000년까지는 두 명의 후보 중 대상 수상자가 호명되면 한 명은 자동적으로 최우수상 수상자가 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9] 1998년에는 김지수와 손창민의 대결이었고, 1999년에는 김혜자와 김혜수, 2000년에는 전광렬과 황수정의 대결이었다.[30] 하지만 이미 호명되어 수상소감을 마친 다른 최우수상 수상자들과 달리 대상 수상자 호명 후에 자동적으로 최우수상 수상자가 된 배우는 상대적으로 소외되는 분위기였고 최우수상 수상자가 한 명도 아닌데 이러한 방식은 불합리하다고 판단했는지 2001년부터는 최우수상 수상자 네 명 중 대상 수상자가 배출되는 방식으로 바뀌어 2003년과 2004년을 제외하고, 2006년까지 지속되었다.
- 1996년에 방송사 연기대상 최초로 베스트커플상을 수여하여 짝에서 호흡을 맞춘 김혜수 - 이종원이 수상하였다. 그 이후로도 수상받는 커플은 줄곧 1팀 만을 유지하고 있다. SBS의 경우는 1팀~4팀 정도이며, KBS는 최소 3팀 최대 7팀까지도 수여한 적 있는데 비해 경쟁이 엄청나게 빡센 편. 베스트커플상이 최우수상을 넘어 대상급으로 빡센 MBC 연기대상 클라스.
- 대상 수상자가 다른 방송사에 비해서 여자 비율이 높다. 특히 1985년부터 1999년까지의 대상 수상자는 87년의 이덕화를 제외하면 전부 수상자가 여자였던 엄청난 기록이 있었다. 2000년 연기대상에서 사회자에 의해 언급되었을 정도. 이 기록을 깬 사람이 2000년 역대급 시청률과 연기력을 보여주었던 허준의 전광렬이었다. 뿐만 아니라 여자 수상자 중에서는 김혜자, 고두심, 김희애, 채시라가 2회 이상 대상을 거머쥔 반면에 남배우 중에서는 아직까지 2회 이상 MBC에서 대상을 수상한 사람이 없다가 2022년 이종석이 6년만에 대상을 수상하게 되면서 남자 배우 최초로 2회 이상 수상자에 명단을 올렸으며 그의 뒤를 이어 남궁민도 명단에 올라갔다.
- 타사 연기대상의 경우 보통 3명이 MC를 보는 경우가 많은데, MBC 연기대상은 일관되게 2MC 체제를 고수했었다가 2020년~2021년 2년 연속 코로나 여파로 김성주의 단독 진행이 결정되었다. 3MC 체제였던 적은 유재석, 김제동, 성유리가 함께 진행한 2004년 말고는 없다.
- 최우수상과 대상을 함께 수상할 때가 있다.[31]
- 차인표는 기타부문을 제외한 본상인 신인상(1994년)-우수연기상(1997년, 1999년)-최우수연기상(2001년)-대상(2001년)을 트리플크라운을 달성하였다.[32][33]
- 화제성이 큰 드라마가 나올 경우 너무 그 드라마에만 상을 몰아준다는 지적도 있다. 대표적으로 내 이름은 김삼순/주몽/에덴의 동쪽/선덕여왕/해를 품은 달/기황후, 연인 등이 있다. 의외로 허준과 대장금은 그렇게까지 몰아준 편은 아니었으니 2000년대 중반부터 심해졌다고 봐도 될 것이다.[34] 그로 인해 다른 드라마팬들 입장에서는 불만스러운 반응이 많은 편이다. 사실 SBS도 만만치 않은 편이고, KBS만 유일하게 대박 드라마가 나온다고 너무 그 쪽에만 몰아주지 않는 편이다.
- 수상한 연기자들에게 수여되는 상패의 디자인이 초기 연기대상의 상패와 바뀐 것이 없다. 타 사의 연기대상 상패가 몇 년에 한 번 정도의 주기로는 바뀐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제법 특이한 부분. 어찌 보면 상패 디자인에 대한 MBC의 자부심이라고 볼 수도 있겠다. 이에 대해서 역대 대상 수상자 중 한 명인 채시라와 MBC에서 신인상부터 우수상, 최우수상을 차곡차곡 받아온 소유진이 2018년 최우수상을 수상하며 언급하기도 했다.
- 현재는 연예대상에서 수상하는 진행자(MC)상은 2005년까지 연기대상에서 수상했고, 라디오 부문 수상 역시 2010년까지 연기대상에서 수여했다.
- KBS 가요대상, KBS 가요대축제가 12월 30일에 방송되었을 때 동시간대에 방송되었기 때문에 축하무대는 가요대상 후보에 선정되지 못해 출연하지 못한 가수나 신인 가수가 출연했다. 예외가 있다면 1999년 H.O.T.가 출연했는데, 당시 KBS에서 당시 두발 규제로 출연 정지를 당해 가요제가 아닌 연기대상 초대 가수로 출연할 수 있었다.
- 2009 - 2015년, 2017년, 그리고 작년 2023년에 SBS 연예대상과 동시간대 시청률 경쟁을 한 바가 있었다. 그 중에 3번[35]을 이기고, 4번[36]을 졌으며, 2번[37] 비긴 경험이 있었다.
[1] 이 때문에 SBS 연예대상이 12월 30일에 함께 방영하기 전에는 MBC 연기대상 시청률이 KBS와 SBS를 대부분 이겼다.[2] 통폐합 전 동양방송(TBC)가 1970년부터 연기대상을 최초로 개최했다. 역사 속으로 사라졌으니 현재 남아있는 지상파 3사 기준으로는 MBC가 가장 먼저 시작한 것이 맞다.[3] 1974년에 통합된 적이 있음[4] 2년 연속 12월 30일[5] 1988~1989년 1993년부터 12월 30일에 개최를 하고있다. 그 밖에는 1985~1987년에는 마지막 일요일에 개최를 했고, 1990~1992년에는 마지막 토요일에 개최를 했다.[6] 정확히는 1993년~1995년까지는 SBS 스타상으로 드라마부문과 예능부문을 함께 묶어 시상했다. 연기대상으로 개칭한 건 1996년이다. 그리고 예능 부문은 2005년까지 연기대상 MC부문, 라디오 부문 특별상으로 대체되다 2006년에 코미디대상을 거쳐 2007년에서야 현재의 연예대상을 신설했다.[7] 단, 유일하게 1997년에는 예외. SBS에서만 1997 연기대상 시상식은 열지 않았다. 1997년 외환 위기 때문에 시상식을 취소했기 때문이다.[8] 근데 요즘은 3사의 연기대상이 다 함께 맛이 간 덕에 가끔은 오히려 MBC가 SBS보다는 그나마 나아 보일 때가 있다.근데 SBS는 연예대상과 가요대전도 문제가 많다.[A] 1,2부 나누지 않고 2시간 여동안 연속 방영.[A] [A] [A] [B] TNMS 기준[A] [B] [A] [A] [18] 사실 2009년도 말이 많았는데 특정 드라마(내조의 여왕, 선덕여왕)에 상을 몰아 주면서 형평성 논란이 있었다.[19] 논란이 아예 없는 건 아니었지만, 그나마 비교적 적었다.[20] 베토벤 바이러스의 이지아의 무관.[21] 파스타의 이선균의 버럭상.[22] 빛과 그림자의 안재욱, 골든 타임의 이선균, 더킹 투하츠의 이승기, 하지원, 조정석의 무관.[23] 백년의 유산의 박원숙의 공로상, 투윅스의 배우들 무관[24] 역적 : 백성을 훔친 도적의 윤균상, 죽어야 사는 남자의 최민수의 무관.[25] 검법남녀 시즌2의 정재영과 더 뱅커의 김상중, 채시라의 무관.[26] 대표적으로 2021년에는 검은태양, 옷소매 붉은 끝동이 있고, 2022년에는 트레이서, 닥터로이어, 빅마우스, 금수저, 2023년에는 연인, 열녀박씨 계약결혼뎐이 꽤 히트를 쳤다. 연인의 경우 MBC 금토 드라마 최초이자 해를 품은 달 이후로 12년 만에 백상예술대상 TV부문 작품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27] KBS 5회, SBS 5회, MBC 2회.[28] 이 장면은 2018 MBC 방송연예대상에서 이영자 vs 박나래의 빅매치로 재현된다.[29] 즉, 다른 최우수상 수상자 발표 후에 두 명만 남겨두고 대상 수상을 기다리는 방식. 미스코리아 선발 대회에서 진과 선의 발표 방식과 똑같다고 보면 된다. '진'이 호명되면 나머지는 자동으로 '선'으로 확정.[30] 모두 앞에 서술된 배우들이 대상 수상.[31] 차인표(2001), 장서희(2002), 김선아(2005), 송일국(2006), 조승우(2012), 소지섭(2018), 김동욱(2019)이 이 경우에 해당된다. 그리고 투표로 대상을 수상한 지성(2015), 이종석(2016)도 마찬가지. 사실 2001 ~ 2002, 2005 ~ 2006년의 경우에는 아예 최우수상 수상자들 중에서 대상을 수상하는 방식을 미리 공지한 터라 공정성 문제는 없었지만, 2012년도에는 정말 답이 없는 행동을 저질렀다. 정확한 것은 역사 문서로 들어가서 상세 항목의 2012년 부분을 참조할 것.[32] 유사한 케이스가 SBS 연기대상의 지성이 있다.[33] 2001년도에는 시상식에 불참하는 대신 전화상으로 수상소감을 전했다.[34] 예외적으로 MBC 드라마 침체기였던 2004년에는 크게 호응이 없었던 당시 방영 중이던 주말 드라마 한강수타령에 상을 왕창 몰아주어 많은 비판을 받았다.[35] 2013년 : 1부 11.3%, 2부 12.5%, SBS 연예대상 - 1부 10.5%, 2부 12.2%, 2014년 : 1부 14.9%, 2부 15.3%, SBS 연예대상 - 1부 9.2%, 2부 11.5%, 2015년 : 1부 12.8%, 2부 14.7%, SBS 연예대상 - 1부 9.2%, 2부 10.6%[36] 2010년 : 1부 13.0%, 2부 17.7%, SBS 연예대상 - 1부 17.9%, 2부 19.6%, 2011년 : 1부 12.5%, 2부 15.0%, SBS 연예대상 - 1부 13.4%, 2부 15.6%, 2017년 : 1부 8.8%, 2부 7.3%, SBS 연예대상 - 1부 13.1%, 2부 13.8%, 2023년 : 1부 3.7%, 2부 5.1%, SBS 연예대상 - 1부 6.0%, 2부 7.5%, 3부 6.3%[37] 2009년 : 1부 16.3%, 2부 24.4%, SBS 연예대상 - 1부 19.3%, 2부 21.1%, 2012년 : 1부 10.5%, 2부 13.2%, SBS 연예대상 - 1부 8.5%, 2부 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