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cc800><tablebgcolor=#fcc800>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25 시즌 코칭스태프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00000,#e5e5e5 | 감독 | 90 고쿠보 히로키 |
1군 | 92 나라하라 히로시(수석코치) · 94 쿠라노 신지(투수수석코치 겸 수석코디네이터) · 71 나카타 켄이치(투수코치) · 72 와카타베 켄이치(투수코치) · 78 무라카미 타카유키(타격코치) · 80 혼다 유이치(내야수비·주루·작전코치) · 79 오니시 타카유키(외야수비·주루·작전코치) · 84 타카야 히로아키(배터리코치) | |
2군 | 74 마츠야마 히데아키(2군 감독) · 73 오가사와라 타카시(투수수석코치) · 97 마키타 카즈히사(투수코치) · 93 무라마츠 아리히토(타격코치) · 82 타카타 토모키(내야수비·주루코치) · 96 키도코로 류마(외야수비·주루코치) · 87 호소카와 토오루(배터리코치) | |
3군 | 88 사이토 카즈미(3군 감독) · 76 테라하라 하야토(투수코치) · 86 오쿠무라 마사토(투수코치) · 75 오미치 노리요시(타격코치) · 91 카네코 케이스케(내야수비·주루코치) · 98 타카나미 후미카즈(외야수비·주루코치) · 83 시미즈 마사우미(배터리코치) | |
4군 | 011 오코시 모토이(4군 감독) · 012 카와고에 히데타카(투수수석코치) · 024 펠리페 나텔(투수코치) · 013 모리카사 시게루(타격코치) · 014 사사가와 타카시(내야수비·주루코치) · 015 카마모토 고(외야수비·주루코치) · 016 마토야마 테츠야(배터리코치) · 017 모리야마 료지(투수 재활코치) · 018 나카타니 마사히로(야수 재활코치) · 019 세키가와 코이치(야수 코디네이터) · 020 호시노 쥰(투수 코디네이터) · 021 이데 타츠야(야수 코디네이터) · 022 모리 히로유키(야수 코디네이터) · 023 아라카네 히사오(야수 총괄 겸 수비·주루 코디네이터) | |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육성선수 | ||
틀: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돌아가기 | ||
다른 NPB 팀 명단 보기 |
호소카와 토루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NPB 일본시리즈 우승반지 | |||||||||||||||||||||||||||||||||||||||||||||||||||||||||||||||||||||||||||||||||||||||||||||||||||||||||||||||||||||||||||||||||||||||||||||||||||||||||||||||
2004 | 2008 | 2014 | 2015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포수 베스트나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단일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1940년, 1947년 ~ 1949년 | ||||
<rowcolor=#ffffff> 1940 | 1947 | 1948 | 1949 | |||
타나카 요시오 한신군 | 도이가키 타케시 오사카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아라카와 쇼지 쇼치쿠 | 노구치 아키라 나고야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히로타 쥰 요미우리 | 후지오 시게루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도이 키요시 요미우리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모리 마사히코 요미우리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키마타 타츠히코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야에가시 유키오 야쿠르트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무라타 신이치 요미우리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타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 아이자와 츠바사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오오시로 타쿠미 요미우리 | 야마모토 유다이 DeNA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50 | 1951 | 1952 | 1953 | 1954 | |
도이가키 타케시 마이니치 | 마츠이 아츠시 난카이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
<rowcolor=#ffffff> 1955 | 1956 | 1957 | 1958 | 1959 | |
찰리 루이즈 마이니치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0 | 1961 | 1962 | 1963 | 196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
<rowcolor=#ffffff> 1965 | 1966 | 1967 | 1968 | 196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오카무라 코지 한큐 | ||||
<rowcolor=#ffffff> 1970 | 1971 | 1972 | 1973 | 1974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무라카미 키미야스 롯데 | ||||
<rowcolor=#ffffff> 1975 | 1976 | 1977 | 1978 | 1979 |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카토 토시오 닛폰햄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80 | 1981 | 1982 | 1983 | 1984 |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카가와 노부유키 난카이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
<rowcolor=#ffffff>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야마시타 카즈히코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타무라 후지오 닛폰햄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
<rowcolor=#ffffff>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
나카지마 사토시 오릭스 | 요시나가 코이치로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0 | 2001 | 2002 | 2003 | 2004 |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
죠지마 켄지 소프트뱅크 |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 호소카와 토오루 세이부 | 타노우에 히데노리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10 | 2011 | 2012 | 2013 | 2014 |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호소카와 토오루 소프트뱅크 | 츠루오카 신야 닛폰햄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이토 히카루 오릭스 | |
<rowcolor=#ffffff>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 타무라 타츠히로 롯데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
<rowcolor=#ffffff>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세이부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모리 토모야 오릭스 | 사토 토시야 롯데 | |
<rowcolor=#ffffff> 2025 | 2026 | 2027 | 2028 | 2029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91db><tablebgcolor=#0091db> | 일본프로야구 역대 포수 골든글러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센트럴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tablewidth=100%>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타부치 코이치 한신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와카나 요시하루 한신 | 오오야 아키히코 야쿠르트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키도 카츠히코 한신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야마쿠라 카즈히로 요미우리 | 타츠카와 미츠오 히로시마 | 나카오 타카요시 주니치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니시야마 슈지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타니시게 모토노부 요코하마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후루타 아츠야 야쿠르트 | 야노 아키히로 한신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죠지마 켄지 한신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타니시게 모토노부 주니치 | 아베 신노스케 요미우리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이시하라 요시유키 히로시마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코바야시 세이지 요미우리 | 우메노 류타로 한신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나카무라 유헤이 야쿠르트 | 사카모토 세이시로 한신 | 야마모토 유다이 DeNA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퍼시픽 리그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555555,#aaaaaa | | ||||
<rowcolor=#ffffff> 1972 | 1973 | 1974 | 1975 | 1976 | |
타네모 마사유키 한큐 | 노무라 카츠야 난카이 | 무라카미 키미야스 롯데 | 아리타 슈조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77 | 1978 | 1979 | 1980 | 1981 | |
카토 토시오 닛폰햄 | 나카자와 신지 한큐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
<rowcolor=#ffffff>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
오오미야 타츠오 닛폰햄 | 나시다 마사타카 킨테츠 | 후지타 히로마사 한큐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나카지마 사토시 오릭스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
<rowcolor=#ffffff>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타무라 후지오 닛폰햄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타카다 마코토 오릭스 | ||
<rowcolor=#ffffff> 1997 | 1998 | 1999 | 2000 | 2001 | |
이토 츠토무 세이부 | 죠지마 켄지 다이에 | ||||
<rowcolor=#ffffff>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
죠지마 켄지 다이에-소프트뱅크 |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 ||||
<rowcolor=#ffffff> 2007 | 2008 | 2009 | 2010 | 2011 | |
사토자키 토모야 롯데 | 호소카와 토오루 세이부 | 츠루오카 신야 닛폰햄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호소카와 토오루 오릭스 | |
<rowcolor=#ffffff>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 시마 모토히로 라쿠텐 | 이토 히카루 오릭스 | 스미타니 긴지로 세이부 | 오노 쇼타 닛폰햄 | |
<rowcolor=#ffffff>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
<rowcolor=#ffffff> 2022 | 2023 | 2024 | 2025 | 2026 |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와카츠키 켄야 오릭스 | 카이 타쿠야 소프트뱅크 |
}}}}}}}}}}}} ||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47번 | ||||
테라모토 히로후미 (1995~2001) | → | 호소카와 토루 (2002-2005) | → | 호아시 카즈유키 (2006~2011) |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30번 | ||||
사토 토모아키 (2001~2005) | → | 호소카와 토루 (2006) | → | 마이켈 존슨 (2007) |
{{{#ffffff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등번호 27번}}} | ||||
이토 츠토무 (1982-2003) | → | 호소카와 토루 (2007-2010) | → | 스미타니 긴지로 (2012~2018) |
{{{#ffffff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등번호 27번}}} | ||||
나카니시 켄타 (2005~2010) | → | 호소카와 토루 (2011-2016) | → | 카일 젠슨 (2017) |
{{{#ffffff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등번호 68번}}} | ||||
카와모토 료헤이 (2016) | → | 호소카와 토루 (2017~2018) | → | 테라오카 칸지 (2019~2022) |
치바 롯데 마린즈 등번호 55번 | ||||
오토나리 켄지 (2018) | → | 호소카와 토루 (2019~2020) | → | 아데이니 에체바리아 (2021~2022) |
| |
<colbgcolor=#fcc800><colcolor=#00000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No.87 | |
호소카와 토루 [ruby(細川, ruby=ほそかわ)] [ruby(亨, ruby=とおる)] | Toru Hosokawa | |
출생 | 1980년 1월 4일 ([age(1980-01-04)]세) |
아오모리현 히가시츠가루군 히라나이장 | |
국적 |
|
학력 | 아오모리 대학 |
신체 | 183cm | 103kg |
포지션 | 포수 |
투타 | 우투우타 |
프로입단 | 2001년 희망 입단 프레임(세이부) |
소속팀 |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2002~2010)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011~2016)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2017~2018) 치바 롯데 마린즈 (2019~2020) |
지도자 |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2군 배터리 코치 (2025~) |
등장곡 | サザンオールスターズ - 東京VICTORY |
응원가 |
1. 개요
일본프로야구 치바 롯데 마린즈의 야구선수. 포지션은 포수.2. 선수 경력
고등학교 2학년 때 내야수에서 포수로 전향, 어깨가 강하고 장타력을 가진 포수로 평가받았으나 코시엔 출전은 없었다.아오모리 대학 진학 이후 특이하게 1번 타자로 자주 나왔다. 2학년 때는 유격수 전향을 했으나 3학년 때 다시 포수로 돌아왔고, 북토호쿠대학야구 베스트 나인에도 선발된 적이 있다.[1] 또한 2학년 때는 전일본 대학야구선수권 준결승에 진출하였으나 와세다 대학에 패했고, 3학년 때는 같은 대회에서 8강까지 진출했다. 4학년 때 가을리그에서는 1번타자로 나와 타율 .333에 7타점으로 준수한 타격을 보여주고 팀은 우승하였다. 본인은 MVP와 베스트나인까지 수상.
2.1.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시절
2002년에는 주로 2군에서 지내면서 65경기에서 타율 .230에 6홈런으로 컨택은 떨어지지만 일발장타를 가진 포수로 활약하고 2003년부터 1군에서 고정적으로 출전하기 시작했다. 그 후로 부상을 입은 2009년을 제외하고 7년동안 주전포수로 활약했는데 도루저지율 1위를 세 번이나 차지하는 등 수비에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으나 타격이 좋지 못했다. 힘은 좋았기 때문에 종종 홈런을 쳐주기는 했으나 컨택과 선구안 모두 프로에서 먹히지 않았기에 커리어하이는 2008년에 기록한 타율 .238에 16홈런 OPS .674. 시즌 100안타를 기록한 해는 한 해도 없었다.그래도 수비력이 좋은 포수였기에 WBC 예비명단까지는 오른 적도 있었고 공갈포긴 해도 간간히 터지는 홈런 덕에 괜찮은 평가를 받았다. 커리어하이인 2008년에는 골든글러브와 베스트나인도 수상. 2010년 시즌 이후 FA를 선언하고 DeNA랑 소프트뱅크 두구단이 호소카와 획득에 참전했고 결국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로 이적했다. 4년 총액 보장금액 2억 5천만엔에 옵션 최대 8억엔.
2.2. 후쿠오카 소프트뱅크 호크스 시절
타자 친화인 메트라이프 돔에서 투수 친화인 야후돔[2]으로 간 후 홈런마저 급감하면서 FA 이적 이후에는 타격성적이 더 안 좋아졌다. 이적 첫 해에 골든글러브와 베스트나인을 수상하기는 했으나 예전에 비해 확연히 떨어진 성적.[3]2014년에 FA였으나 이적 없이 소프트뱅크에 잔류하면서 2년 계약을 맺었다. 그러나 백업으로 추락하면서 먹튀가 되었고, 2년 계약기간이 끝나자 구단에서는 배터리 코치직을 제안하였다. 하지만 코치직을 거부하고 현역 연장 의지를 보였기에 방출당했다.
2.3. 도호쿠 라쿠텐 골든이글스 시절
방출 이후 고향팀인 라쿠텐과 계약하며 현역 연장에 성공, 백업포수로 2017년 개막 로스터에 들어갔다. 타율은 .100으로 좋지 못했지만 그럭저럭 정신적 지주 겸 백업포수 역할을 하면서 클라이맥스 시리즈까지 출장하였다. 고향인 아오모리에서 열린 경기에서는 특별히 선발로 출장하여 안타까지 쳤다. 이날 경기는 29년만에 아오모리에서 열린 프로야구 1군 경기였으며 호소카와의 온 친척이 모두 직관을 하러 왔다.그러나 2018년에는 1군에 2경기밖에 나오지 못하면서 라쿠텐에서도 방출당했다. 라쿠텐에서는 코치 자리를 제의했으나 호소카와가 또 현역 연장을 선언하는 바람에 자유계약으로 풀렸다.
2.4. 치바 롯데 마린즈 시절
2.4.1. 2019년
2018년 12월 6일 치바 롯데 마린즈 입단이 발표되었다. 1년 1500만엔. 치바 롯데는 포수진이 전원 20대라 2군에서 선수들의 멘토가 되어줄 베테랑 포수를 원해서 영입한 것으로 보인다.[4]2군에서 주로 백업포수로 나오다가 5월 21일 오릭스 버팔로즈 원정경기 때 콜업되었다. 그러나 대수비로 딱 한 경기 나오고 카키누마 토모야가 콜업되면서 2군행.
6월 8일 요시다 유타 대신 1군 복귀. 주로 경기 후반에 대수비로 나오지만 롯데가 맨날 9회에 지고 있다 보니 보통 1-2이닝 정도 수비를 보고 대타로 교체되어 내려가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그런데 수비력 자체는 카키누마 토모야보다 훨씬 나아서 역시 베테랑임을 보여주고 있다.
8월 14일 시즌 첫 적시타를 쳤다.[5] 덕아웃의 선수단과 팬들마저도 호소카와가 적시타를 칠 줄 몰랐는지 단체로 폭소.
안타는 2안타로 끝났지만 대수비로 그럭저럭 활약하면서 현역을 연장했다.
2.4.2. 2020년
1군 기록이 없다. 어차피 정신적 지주를 할 베테랑도 토리타니 타카시가 영입됐으니 은퇴를 준비해야 할 듯.예상대로 방출 통보를 받고 그대로 현역 은퇴를 선언했다. 1군 기록 없이 2군에서 12경기 출장에 그쳤으며 1타석도 못 선 걸 보면 전부 대수비였던 듯.
바로 은퇴를 선언해서 그런지 클라이맥스 시리즈 진출을 확정짓고 소화시합으로 남은 1경기를 앞두고 1군에 콜업되었다. 은퇴특례 콜업이라 사실상 은퇴경기로 해 주는 듯.[6]
이날 8회 말 대타로 나왔고 결과는 삼진. 이후에는 9회 초에 1이닝 포수 수비까지 보았다. 팀은 아쉽게도 패배하였지만 이미 CS진출이 확정되었으니 상관 없던 상황. 경기 후에 시즌 종료 세레모니와 함께 은퇴식을 하였다.
3. 은퇴 후
큐슈 쪽 독립리그 팀의 감독을 맡게 되었다. 이후 2024년 11월 선수시절 fa로 이적한 팀인 소프트뱅크 배터리코치로 취임했다.4. 플레이 스타일
컨택과 선구안이 좋지 않다. 타율은 2할 안팎으로 컨디션이 좋으면 2할대 초반, 컨디션이 나쁘면 1할대 중후반 정도의 타율을 기록한다. 그러나 힘이 좋아서 제대로 맞으면 홈런이 꽤 잘 나오는 편으로[7] 타격만 보면 전형적인 공갈포다. 커리어 하이가 2008년의 16홈런이며, 통산 홈런은 84개.또 다른 특징으로는 당겨치기 위주의 타격을 하는 극단적인 풀 히터이며, 번트 능력이 좋아서 작전에 쓰이기에도 능한 타자이다. 통산 296희생타로 희생번트 역대 9위를 기록했는데, 통산 20위권 선수들(전원 250개 이상의 희생타를 기록했다.) 중 유일하게 통산 안타가 1천개 미만이다. 컨택은 매우 나빴지만 작전 수행 능력만큼은 괜찮았던 선수.
타격만 보면 간간히 터지는 일발장타와 번트를 잘 대는 것 외에는 장점이 없기 때문에 꾸준히 주전으로 나오기에는 어려워 보이지만 수비력이 굉장히 좋다. 타자의 약점을 잘 분석할 줄 알며, 공격적으로 던지게 하다보다는 타자가 약한 부분에 주구장창 던지게 하는 신중한 리드를 선호한다. 노무라 카츠야는 "퍼시픽 리그에서 가장 포수다운 포수."라고 했으며, 죠지마 켄지보다 호소카와가 더 수비가 뛰어나다고 평가했었다.[8] 그 외에 블로킹도 뛰어나며 어깨도 강했다. 또한 굉장히 학구적인 포수라서 경기를 위해서 적은 메모가 전화번호부 두께를 넘을 정도로 많다고 한다.
거기에 현역 시절 거쳐간 팀들 전부 함께 주전 경쟁을 벌였던 포수들이 호소카와와 별 다를 바 없는 타격을 보여준 덕에 선수로써의 기량이 한계에 달한 30대 이후에도 어느 정도 출장기회를 확보할 수 있었고, 육성이 제일 힘든 포수 포지션이라는 점까지 겹치면서 결론적으로는 부족한 컨택과 선구안으로 인한 낮은 타율, 출루율 등의 타격 생산성은 부족했지만 출중한 수비력과 작전 수행력, 간간히 터지는 일발장타 덕에 한국 나이로 40세가 되도록 선수생활을 할 수 있었다.
5. 여담
- 엔카 가수 히카와 키요시와 닮아서 별명이 키요시였다. 세이부 시절에는 히카와 키요시의 노래를 등장곡으로 썼을 정도.
- 2018년에 롯데에서 입단 제의가 왔을 때 장녀가 도쿄 디즈니랜드가 가까워진다며 좋아했던 것이 롯데 입단의 계기 중 하나였다고 한다.
- FA 당시 요코하마랑 협상당시 요코하마에 있는 고급 중식당에서 풀코스만찬을 대접하면서 협상에 임했었으나 정작 호소카와는 소프트뱅크로 갔으며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암흑기시절 주요 일화중 하나로 유명하다.
- 치바롯데 팬들이 가장 싫어했던 선수 중 나카지마 히로유키와 함께 대표적으로 뽑혔다. 이유는 NPB에서 벤치 클리어링을 많이 일으키는게 롯데가 라이벌시하는 옆동네 사이타마의 세이부 라이온즈이고, 성깔 있는 나카지마와 빈볼을 지시한다 여겨진 주전 포수 호소카와가 분노를 많이 샀기 때문이다. 바비 발렌타인 감독 시절 있던 유명한 벤치 클리어링 사건 중 세이부 배터리의 3타자 연속 데드볼 후 분개한 롯데 타자 베니 아그바야니가 포수를 메친 적이 있었는데, 그 때 메쳐진 세이부 포수가 호소카와였다. 이제는 롯데맨이라 벤클이 일어나는 일은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 2020년 롯데 선수단 중 유일하게 사이클링 히트를 기록한 경험이 있다. 다만 이 사이클링 히트는 세이부 시절 친 것이라 롯데 소속으로 친 것은 아니다. 참고로 롯데는 1976년 이후 토종 선수가 사이클링 히트를 친 적이 없고, 2007년의 즈레타가 용병까지 따져도 유일하다.
- 2020년 초 아내의 불륜 의혹 기사가 나왔다. 다만 본인은 어떤 말도 하지 않았다.
- 장녀가 탤런트 겸 모델 호소카와 아이린이다.
6. 관련 문서
[1] 3학년 봄 시즌, 4학년 봄 시즌.[2] 2014년까지만 투고타저 구장이었고 2015년부터는 타자친화 구장이 되었다.[3] 세이부 때는 그래도 2할 정도는 쳐 줬는데 소프트뱅크 시절에는 2011년을 제외하면 1할 대 중후반 타격이었다.[4] 2018년까지만 해도 카나자와 타케시가 있었는데 은퇴하고 코치가 되었다.[5] 1사 3루 상황에서 3유간 안타.[6] 롯데가 만약 전날 경기에서 패했으면 이날도 총력전을 해야 했기 때문에 아마 1군에 올라오지 못했을 것이다. 그야말로 기적의 콜업.[7] 혹자는 힘만 갖고 보면 거포들 사이에서도 최고수준이라고 평가했다. 그런데 제대로 맞추지를 못 하니 홈런 갯수에서 엄청 손해를 본 케이스.[8] 단 노무라 카츠야는 조지마 켄지와 서로 증오하는 수준의 악연이기 때문에 조지마를 폄하하기 위해서 호소카와를 띄워줬을 수도 있다. 당장에 호소카와는 올림픽이나 WBC에 뽑히지도 못했다. 호소카와와 거의 동년배(3년 선배)고 플레이 스타일도 비슷한 사토자키 토모야만 해도 2006년 WBC와 베이징 올림픽에 국가대표로 뽑혔다.(수비력은 둘 다 좋았고 둘 다 15홈런 정도의 장타력을 가지고 있었는데 타율은 사토자키가 3~4푼 이상 더 좋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