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대한민국|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중화권 | 베트남 | 일본 | 필리핀 | ||||
| | | 백인 | 흑인 | ||||
| 몽골 | 프랑스 | ||||||
| | |
| 가수 전소미 | 세븐틴 버논 |
1. 개요
한백혼혈(韓白混血)은 한국인과 백인의 혼혈을 뜻하는 말이다. 유전적으로 딱 반반 나눠지는 한백혼혈이라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유전자 검사를 통해 과학적으로 증명되었지만, 여기서는 단순히 부모 중 한 명은 한국계 황인이고 다른 한 명은 서양계 백인이라는 정보를 알리기 위해 한백혼혈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2. 분포
실제 한국인과 결혼하는 배우자의 인종을 정확히 알 수는 없으나, 통계청의 2020년 외국인 배우자의 국적별 통계에서 백인의 비중이 유의미하게 있는 국가만 뽑아 합산해보면, 한국인 남성과 백인 여성의 결혼 건수는 1171쌍[1]이고, 한국인 여성과 백인 남성의 결혼 건수는 1837쌍[2]이다. 남녀 모두 미국인 배우자가 가장 많았고, 특히 한국인 여성과 미국인 남성의 결혼 건수는 1837쌍 중 1101쌍으로 상당히 치우쳐 있었다. 반면 한국인 남성과 미국인 여성의 결혼 건수는 1171쌍 중 432쌍으로 비교적 분산되어 있었다. 두 번째로 많은 외국인 배우자의 국적은 한국인 남편을 둔 러시아인 아내 275명이었고, 한국인 아내를 둔 캐나다인 남편 257명이었다.물론 어디까지나 국적별 통계인 것을 유념해야 한다. 대표적인 이민 국가인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 등지에는 백인만 사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미국에서 히스패닉을 제외한 백인 인구는 60~65% 정도이다. 바꿔 말하면 35~40%는 백인이 아니라는 뜻이다. 또한 한국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미국 시민권자는 상당히 많고, 혼인 통계에서 미국인의 비중이 가장 높은 것에 분명 큰 영향을 끼친다. 실제로 한국인 여성과 결혼하는 미국인 남성 중 일부는 재미교포(한국계 미국인)라고 한다.[3] 또한 중앙아시아 국가들도 백인보다 황백 혼혈이 많다.
그렇기에 소위 이민자가 세운 나라[4], 중앙아시아를 제외하고, 해당 통계청 자료에 명시되어 있는 유의미하게 백인이 있는 국가를 합산해 보면, 한국인 남성과 러시아 여성의 결혼 건수는 275명이고, 한국인 여성과 외국인 남성의 결혼 건수는 349쌍[5]이다. 경향성을 정리하자면 한국인 남성은 러시아를 중심으로 한 구소련과 동구권 출신 백인 배우자가 많고, 한국인 여성은 서유럽을 중심으로 한 서방 출신 백인 배우자가 많아 보인다.
한국계 혼혈 중에서 한국인과 외적으로 구분할 수 없는 한중혼혈, 한일혼혈, 한몽혼혈이나 매우 희귀한 한흑혼혈, 안 좋은 인식을 깔고 시작하는 동남아 혼혈을 제외하면 그나마 차별을 덜 받는다는 의견도 있다.[6] 그러나 실제 한백혼혈인 사람들이 어린 시절 차별받고 상처받았다는 경험담을 토로하는 것을 쉽게 찾아볼 수 있고,[7] 막장 교사들이 괜히 영어 콤플렉스를 가지고 괴롭히는 경우도 꽤 된다.기사 제목 : 이런 사람이 선생이라니…캐나다 출신 초교생에 '막말' SBS 기사 연합뉴스 기사
외모 때문에 외국인으로 받아들여지는 때가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스트레스가 될 수 있다. 또한 순혈주의 성향의 사람에게 안 좋은 시선으로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이다.
3. 유명 인물
| 나무위키에 등재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3.1. 한국인
| 한국 국적을 포함한 복수국적자의 경우에는 한국인 항목에 포함하고, 복수국적임을 표시합니다. |
- 과로사 & 전수진 남매 - 아버지가 한국으로 귀화한 파키스탄인이다. 파키스탄을 구성하는 민족들 대부분이 아리아계, 즉 백인이므로 이쪽도 한백혼혈이 맞다.
- 곽민재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김동광 - 아버지가 미국인, 어머니가 한국인이다.
- 김로만 - 한국, 러시아 복수국적.
- 김마그너스 - 한국, 노르웨이 복수국적.
- 김민수 - 한국, 아르헨티나 복수국적.
- 김소니아 - 한국, 루마니아 복수국적.
- 김수정 & 김민준 남매 - 외할머니가 러시아인이다.
- 낸시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니나 - 한국, 호주 복수국적.
- 니카 - 아버지가 독일인, 어머니가 한국인이다.
- 릴리 - 한국, 호주 복수국적.
- 마야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마틴 - 한국, 캐나다 복수국적.
- 멜라니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문메이슨 - 한국, 캐나다 복수국적.
- 문샤넬 - 한국, 미국 복수국적. 첫째 동생은 한국 국적을 이탈했다.
- 버논 & 최한결 남매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복대니얼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빅터 한 - 한국, 브라질 복수국적.
- 샤넌 - 한국, 영국 복수국적.
- 엘라 그로스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올리비아 마쉬 & 다니엘 자매 - 한국, 호주 복수국적.
- 윌리엄 해밍턴 & 벤틀리 해밍턴 형제 - 샘 해밍턴의 아들이며, 한국 출생인 관계로 호주 국적이 없는 대신 뉴질랜드 국적을 이어받아 한국, 뉴질랜드 복수국적이다.
- 유주용 - 아버지가 한국인, 어머니가 독일인이다.
- 윤수일 - 아버지가 미국인, 어머니가 한국인이다.
- 이승준 & 이동준 형제 - 아버지가 미국인, 어머니가 한국인인 전 농구선수. 현재 둘 다 한국으로 귀화했다.
- 이유진 - 아버지가 미국인, 어머니가 한국인이다.
- 장유나 - 아버지가 한국인, 어머니가 우즈베키스탄인이다.
- 전소미 - 한국, 캐나다, 네덜란드 삼중국적.
- 정리아 - 한국, 미국 복수국적. 동생들은 미국 단독 국적이다.
- 줄리앤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최진주 & 최민주 자매 - 아버지가 스위스인, 어머니가 한국인이다. 언니 최진주는 국적법 개정 전에 태어나 스위스 단독 국적이었다가 대한민국으로 귀화했고, 동생 최민주는 개정 이후에 태어나 한국과 스위스의 복수국적을 보유하고 있다.
- 체리 그랜트 & 스카이 그랜트 자매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하재익 - 원래 미국 단독 국적이었지만 아버지가 한국으로 귀화하며 수반 취득을 통해 후천적으로 이중국적자가 되었다. 한국, 미국 복수국적.
- 황티아 - 한국, 미국 복수국적.
- 힘의길 - 아버지가 미국인, 어머니가 한국인이다.
3.2. 외국인
- AleXa - 미국 국적.
- BJ 펜 - 미국 국적.
- Markiplier - 미국 국적.
- 기성 앤더슨 - 미국 국적.
- 김성욱 - 미국 국적의 전직 농구 선수. 국민대학교를 졸업하고 '대전 현대'에서 활약했었다. 국가대표로도 발탁되었으나 주한미군 장병이었던 부친을 찾게 되면서 미국 시민권을 취득하여 국가대표 자격을 반납했고, 은퇴 후 미국으로 건너갔다.
- 다니엘 헤니 - 아버지가 아일랜드계 미국인, 어머니가 한국계 미국인으로 미국 국적이다.
- 데니스 강 & 줄리엔 강 형제 - 캐나다, 프랑스 국적.
- 디아 프램튼 - 어머니가 한국인 출신이고 미국 국적이다.
- 리아 톰슨 - 미국 국적.
- 마카야 - 호주 국적.
- 미즈하라 키코 - 아버지가 미국 백인, 어머니가 재일한국인이며, 미국 국적이다.
- 미치 화이트 - LA 다저스, 토론토 블루제이스, SSG 랜더스 경력의 야구선수. 미국 국적.
- 박칼린 - 아버지가 한국인, 어머니가 리투아니아계 미국인. 미국 국적.
- 박나은 & 박건후 & 박진우 남매 - 축구 선수 박주호와 안나 박의 자녀이다. 단독 스위스 국적이었다가 2023년 말에 대한민국 국적을 취득했는데, 스위스 국적을 포기하지 않아 국적을 상실하여 현재는 모두 외국인 신분이다.
- 빅토르 초이 - 아버지가 고려인, 어머니가 우크라이나계 러시아인. 소련 국적.
- 사무엘 - 아버지가 하프(half) 히스패닉이며, 어머니는 한국인이고 본인은 미국 국적이다.
- 세나 바야만 - 아버지가 독일인. 독일 국적.
- 션 리차드 - 아버지가 영국인, 어머니가 한국인. 미국 국적.
- 알렉산더 - 아버지가 포르투갈계+중국계 혼혈 마카오인, 어머니가 한국인. 홍콩, 마카오 국적.
- 알렉스 - 독일 국적.
- 알렉스 맞추켈리 - 어머니가 한국인이고 아버지가 스위스인이다. 스위스 단독 국적이다.
- 이삭 - 미국 국적.
- 장민 - 스페인 국적.
- 제이든 마텔 - 외할머니가 한국인. 미국 국적.
- 조엘(방송인) - 미국 국적.
- 토미 에드먼 - LA 다저스 야구선수. 미국 국적으로 WBC의 국적 선택법에 따라 한국 팀으로 참가하기도 했다.
- 카일라 - 미국 국적.
- 폼 클레멘티에프 - 프랑스 국적자로, 아버지가 러시아계 프랑스인이고 어머니가 한국인이다.
- 피터 빈트 - 영국 국적자로, 어머니가 한국인이고 아버지가 영국인이다.
- 휴닝카이 & 휴닝바히에 - 첫째 정리아는 복수국적인데 동생들은 미국 국적이다.
4. 관련 문서
[1] 미국 아내 432명, 러시아 아내 275명, 캐나다 아내 159명, 우즈베키스탄 아내 133명, 카자흐스탄 아내 79명, 호주 아내 47명, 키르기스스탄 아내 24명, 뉴질랜드 아내 22명.[2] 미국 남편 1101명, 캐나다 남편 257명, 영국 남편 146명, 프랑스 남편 93명, 호주 남편 82명, 독일 남편 54명, 뉴질랜드 남편 48명, 이탈리아 남편 22명, 네덜란드 남편 19명, 스위스 남편 15명.[3] 교포男+국내女 국제결혼 붐[4] 미국, 캐나다, 호주, 뉴질랜드[5] 영국 남편 146명, 프랑스 남편 93명, 독일 남편 54명, 이탈리아 남편 22명, 네덜란드 남편 19명, 스위스 남편 15명.[6] 한국 쪽에서 외국인들 중 백인에 대한 시선이 긍정적인 이유는 그들이 외국인 노동자가 아닌 화이트 칼라로 입국하는 경우가 많고, 소위 부유하고 선진국으로 분류되는 국가의 주류층이 백인이라는 인식 탓에 나온 의견으로 보인다.[7] 당장 전소미만 해도 초등학생 시절 잡종 소리까지 들으며 자랐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