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30 08:42:08

티페레트(블루 아카이브)

{{{#!wiki style="margin: -10px"<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128afa,#2c4c72> 파일:blue-archive-alt-ko.svg블루 아카이브
제약해제결전 보스
}}}
파일:BA_세트의분노배너.png
{{{#!wiki style="width: 5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65,65,65,0.2) solid 1px;"
만신의 성좌
세트의 분노
파일:BA_호크마배너.png
{{{#!wiki style="width: 5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65,65,65,0.2) solid 1px;"
파일:BA_티페레트배너.png
{{{#!wiki style="width: 50%; max-width: 150px; 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border: rgba(65,65,65,0.2) solid 1px;"
※ 방어 타입은 최초 출시 당시의 방어 타입입니다.
※ 세트의 분노와 티페레트는 50층 이상, 호크마는 75층 이상에서만 공격 타입을 가지며, 49층 (세트의 분노, 티페레트), 74층 (호크마) 이하에서의 공격 타입은 일반입니다.

파일:데카그라마톤로고.png [ruby(데카그라마톤, ruby=ΔεχαΓραμματον)]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데카그라마톤의 예언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케테르(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Collection_Portrait_Kether.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KETHER
{{{#!wiki style="margin-top: -5px"
}}}}}}}}}]][[호크마(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BA_호크마배너2.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width=100%>
CHOKMAH
{{{#!wiki style="margin-top: -5px"
}}}}}}}}}]][[비나(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Boss_Portrait_Binah_Lobby.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width=100%>
BINAH
{{{#!wiki style="margin-top: -5px"
}}}}}}}}}]][[헤세드(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Boss_Portrait_Chesed_Lobby.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width=100%>
CHESED
{{{#!wiki style="margin-top: -5px"
}}}}}}}}}]][[게부라(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Boss_Portrait_Geburah_Lobby.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width=100%>
GEBURAH
{{{#!wiki style="margin-top: -5px"
}}}}}}}}}]][[티페레트(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BA_티페레트배너2.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width=100%>
TIPHARETH
{{{#!wiki style="margin-top: -5px"
}}}}}}}}}]][[네차흐(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빈 Portrait 가로 이미지.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width=100%>
NETZACH
{{{#!wiki style="margin-top: -5px"
}}}}}}}}}]][[호드(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Boss_Portrait_Hod_Lobby.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width=100%>
HOD
{{{#!wiki style="margin-top: -5px"
}}}}}}}}}]][[예소드(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빈 Portrait 가로 이미지.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width=100%>
YESOD
{{{#!wiki style="margin-top: -5px"
}}}}}}}}}]][[말쿠트(블루 아카이브)|{{{#!wiki style="width: calc(100% / 5); display:inline-block; 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 top;"
{{{#ddd,#383b40
파일:말쿠트프로필2.png
{{{#!wiki style="margin: -10px 0px;"
<tablewidth=100%>
MALKUTH
{{{#!wiki style="margin-top: -5px"
}}}}}}}}}]]
}}}
아인 & 소프 & 오르
[[아인 & 소프 & 오르#아인|
파일:charactor-container-background.png
파일:아인프로필.png

아인
]][[아인 & 소프 & 오르#소프|
파일:charactor-container-background.png
파일:소프프로필.png

소프
]][[아인 & 소프 & 오르#오르|
파일:charactor-container-background.png
파일:오르프로필.png

오르
]]
}}}}}}}}} ||
고난을 기리는 아름다운 숙죄자
파일:BA_티페레트KR.jpg
vs. TIPHARETH PHASE 1 -
vs. TIPHARETH PHASE 2 -
방 세부 정보
데카그라마톤의 여섯 번째 예언자. 극지 지역에 건설된 종자 보관소의 AI가, 데카그라마톤에 의해 해킹되어 탄생한 것으로 보인다.

1. 개요2. 특징3. 스킬4. 공략
4.1. 보스 스펙
4.1.1. 탄력장갑4.1.2. 중장갑
5. 역대 시즌
5.1. 일본 서비스5.2. 한국&글로벌 서비스
6. 추천 학생
6.1. 스트라이커
6.1.1. 딜러(진동)6.1.2. 딜러(관통)6.1.3. 탱커 및 서포터(공통)6.1.4. 탱커 및 서포터(진동)6.1.5. 탱커 및 서포터(관통)
6.2. 스페셜
7. 추천 편성8. 작중 행적9. 기타10. 둘러보기

1. 개요

파일:BA_티페레트등장.gif
블루 아카이브제약해제결전 세 번째 보스로 데카그라마톤 소속 6번째 예언자이다.

2. 특징

과거 붉은겨울 연방학원이 극지방에 제작한 것으로 확인되는 종자 보관소의 AI였으나 데카그라마톤에 의해 감화되었다. 다만 다른 데카그라마톤 개체들과는 달리 본래 목적인 종자 보관에도 리소스를 할당하고 있다.

3. 스킬

1. 층수에 따라 패턴이 다른 경우 다음과 같은 색으로 표기한다.
  • 25층 이상에서 바뀌는 점은 오렌지색
  • 50층 이상에서 바뀌는 점은 초록색
  • 75층 이상에서 바뀌는 점은 보라색
  • 100층 이상에서 바뀌는 점은 자두색

2. 49층 이하에서는 공격속성이 일반이며, 50층 이상에서는 공격속성이 관통이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EXSKILL01.webp<rowcolor=white> 아름다움의 제물 - EX 스킬
티페레트가 코어 3개 중 2개를 활성화시키고, 그 주변에 레이버를 4체 소환. 희생의 치유자 사용 전까지 받는 대미지량 50% 감소. (레이버는 처치되면 티페레트 최대 체력의 1%만큼 피해를 주고 그로기 게이지를 누적시킵니다.)
티페레트의 첫 번째 최중요 기믹이다. 코어 중 일부를 활성화시키면서 레이버를 소환, 코어에 걸려있던 받는 대미지를 절반으로 하는 주황색 보호막을 해제하고, 반대로 본체에 동일한 주황색 보호막을 활성화시킨다. 따라서 이 때는 본체를 공격하지 말고 활성화된 코어와 레이버를 공격해야 한다. 참고로 코어가 활성화 될 때 스트라이커 학생들을 맵 중앙으로 강제로 이동시킨다.

티페레트는 같은 난이도의 다른 제약해제결전 보스에 비하면 거의 2배에 달하는 체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이 기믹을 통해 깎을 수 있는 체력이 절반 가량이기 때문이다. 레이버는 코어 2개 활성화마다 8마리×3회 활성화, 코어 3개 활성화마다 12마리×2회 활성화, 최후반부에 6마리로 총 54마리가 나온다. 최후반부는 본체 극딜을 우선시하여 잡지 않더라도, 1~2페이즈의 레이버만으로 48%의 체력이 감소되는 셈이다. 또한 후술하겠지만, 티페레트는 그로기가 걸릴 때마다 받는 대미지가 증가하기 때문에 그로기 게이지를 채울 수 있는 수단 중 하나인 레이버 섬멸은 매우 중요하다.

게다가 코어 활성화 시간은 대략 20초로 결코 길지 않으며, 최대 10명의 학생을 편성하는 제약해제결전 특성상 그 사이에 레이버를 전부 잡기 위한 최적화된 타임라인과 코스트를 마련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은 일이다. 거기에 레이버가 평타로 가까운 학생들을 공격하면서 대미지를 누적시킨다. 따라서 코어에 대한 단일 공격을 포기하더라도 레이버는 무조건 빠르게, 전부 잡을 수 있도록 공략을 짤 필요가 있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EXSKILL01_Blue.webp<rowcolor=white> 청색 코어 : 고난의 비의 - EX 스킬
좌측 청색 코어가 자신 주변에 받는 대미지량이 50% 감소하는 보호장을 전개. 가장 사거리가 짧은 스트라이커 학생에게 점착 폭탄을 발사하여 8초 뒤 범위 내 모든 대상에게 공격력 600%의 대미지. (점착 폭탄에 맞은 대상이 보호장으로 들어오면 보호장이 해제되며, 점착 폭탄이 즉시 폭발합니다.)
좌측의 청색 코어의 스킬이다. 기본적으로는 이동기를 지닌 탱커를 청색 코어 쪽으로 이동시켜 보호장을 즉시 해제시키는 것을 유도하는 기믹이다.

하지만 보호장에 접근시키지 않아도 폭탄은 8초 후 폭발하며, 이 경우에도 코어를 포함한 범위 내 모든 대상에게 대미지를 주고 폭발과 동시에 청색 코어의 보호장이 해제된다. 때문에 가장 첫 코어 활성화 시기에 우측 황색 코어로 탱커를 이동시켜 황색 코어를 약점 노출 상태로 만드는 공략도 있다.

만약 가장 짧은 사거리의 학생이 2명 이상일 경우 폭탄은 그 중 랜덤한 대상에게 붙는다. 따라서 폭탄을 담당할 탱커와 같은 사거리의 다른 탱커를 같이 편성하면 안 된다. 또한 코어 활성화부터 폭탄 부착까지 시간이 약간 걸리므로, 탱커(특히 아오바)를 너무 빨리 이동시킬 경우 폭탄이 붙기 전에 청색 코어를 지나쳐서 폭탄이 바로 터지지 않을 수도 있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EXSKILL01_Red.png<rowcolor=white> 적색 코어 : 번제 - EX 스킬
정면 적색 코어가 가장 사거리가 짧은 스트라이커 학생을 8초간 조준. 이후, 분해 파동을 방출하여 적에게 보호막을 50% 무시하는 공격력 2800% 대미지, 아군에게는 1400% 대미지.
중앙의 적색 코어의 스킬이다. 범위 내에 지속 대미지를 주는데 대미지 합계 계수가 상당히 높은 데다 보호막도 절반 무시하고 대미지를 받을 때마다 매우 강한 넉백을 유발한다. 때문에 반드시 탱커를 이동시켜서 아군은 맞지 않고 다른 코어를 팀킬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이 스킬도 청색 코어 : 고난의 비의처럼 사거리가 가장 짧은 학생이 2명 이상일 경우 타깃팅이 랜덤으로 이뤄진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EXSKILL01_Yellow.webp<rowcolor=white> 황색 코어 : 비전의 조화 - EX 스킬
우측 황색 코어가 미사일을 발사하여 적 6인에게 각각 공격력 100%의 대미지. 대상이 보호막이 없는 경우, 폭발하여 공격력 300%의 추가 대미지. (대상이 보호막이 있는 경우 황색 코어에게 반사되어 대미지를 주고 그로기 게이지를 누적시킵니다.)
우측의 황색 코어의 스킬이다. 만약 스트라이커가 5명 이하일 경우 가까운 학생부터 미사일을 2발씩 맞는다.

보호막이 없을 경우 대미지가 4배로 늘어나기 때문에 황색 코어가 활성화되는 시기에는 반드시 아군 전체에 보호막을 둘러줘야 한다. 왜냐하면 미사일 대미지를 보호막 없이 버티더라도, 레이버나 본체의 공격으로 추가적인 대미지를 입기 때문이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EXSKILL02.webp<rowcolor=white> 희생의 치유자 - EX 스킬
티페레트가 활성화된 코어를 비활성화시키고, 소환한 레이버를 흡수. 흡수한 레이버마다, 티페레트가 최대 체력의 1%만큼 회복.
아름다움의 제물 스킬 사용 전까지 공격력 100% 증가
레이버를 반드시 처리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이다. 활성화된 코어를 비활성화시키면서 다시 받는 대미지를 감소시키는 주황색 보호막을 씌우고, 본체의 주황색 보호막을 제거한다. 이 때도 스트라이커 학생들을 다시 맵 중앙으로 강제 이동시키며, 약 20초 후 다시 아름다움의 제물을 발동해 코어를 활성화한다.

상술된 것처럼 티페레트의 체력은 레이버를 쓰러뜨렸을 때의 기믹으로 깎이는 것 때문에 다른 보스의 2배 가량으로 책정되어 있는데, 레이버를 제때 처리하지 못하면 오히려 체력을 회복해서 학생들의 공격으로 깎아야 하는 체력이 그만큼 늘어난다. 더해서 그만큼 그로기 게이지도 덜 누적되기 때문에, 한두 마리 놓치는 것조차 클리어 불가능으로 이어질 정도로 무시 못할 큰 차이를 불러올 수 있다.

본체의 주황색 보호막이 제거되지만, 이 코어 비활성화 시기도 20초 정도로 짧기 때문에 무리해서 본체를 공격하기보다는 다음 활성화에 대비해 코스트를 모으고 버프를 미리 돌려두는 정도의 밑준비만 하는 게 좋다. 덤으로 본체의 공격력이 2배(2페이즈에서는 3배)로 늘어나기 때문에 본체의 광역 공격으로부터 학생들을 살리기 위한 회복이나 보호막을 쓸 필요도 있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EXSKILL03.webp<rowcolor=white> 여섯 왕국의 힘 - EX 스킬
티페레트가 역장을 6개 생성해 적 6인에게 각각 공격력 200%의 대미지.
보호막이 없으면 받는 회복효과 강화율 50% 감소. (15초간)
1페이즈의 3번째 코어 활성화부터 평타 사이에 섞어 쓰는 스킬이다. 티페레트가 6개의 검붉은 구체를 소환하여 학생들에게 대미지를 준다. 이 스킬도 평타나 황색의 미사일처럼 5인 이하일 경우 가까운 순서대로 2번씩 맞는다. 2페이즈가 되면 200% 추가 대미지가 추가되기 때문에 실질 계수 400%인, ATG 스킬을 제외한 가장 강력한 스킬로 거듭난다.

1페이즈 기준으로 대미지는 다른 스킬들에 비해서 높은 편은 아니며, 보호막 없이 맞았을 때 걸리는 받는 회복효과 감소도 코어 활성화/비활성화가 전환될 쯤에는 사라지기 때문에 크게 문제는 없다. 다만 보호막 없이 맞은 직후 회복 스킬을 통해 체력을 관리하기 어려워지는 것은 분명하며, 특히 2페이즈에서는 이 패턴의 대미지가 상당히 높아지는 데다 다른 패턴들에 의한 대미지도 쉼없이 쏟아지므로 웬만해서는 보호막으로 막는 게 좋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EXSKILL04.png<rowcolor=white> 생명을 품은 의지 - EX 스킬
티페레트가 각성 상태에 돌입하여 공격력이 100% 증가.
아름다움의 제물 스킬이 모든 코어를 활성화하도록 변경.
여섯 왕국의 힘 스킬이 공격력 200%의 추가 피해를 주도록 강화.
티페레트 2페이즈 돌입을 알리는 스킬이다. 화면이 하얗게 빛난 뒤 보스 에리어 전체가 붉게 변하며, BGM이 바뀌게 된다.

티페레트에게 공격력 버프가 추가로 걸리면서 코어 활성화 시기 대비 2배(+0%→+100%), 비활성화 시기 대비 1.5배(+100%→+200%)로 패턴 하나하나가 살인적인 대미지를 낸다. 특히 힐밴을 거는 여섯 왕국의 힘 스킬은 대미지 계수가 2배가 되는 것이나 다름 없어서 그 자체만으로 상당히 위협적이며, 황색 코어의 미사일이나 후술할 50층부터의 의식의 새벽 패턴 등 다른 광역 대미지 패턴이 쉴 새 없이 쏟아지기 때문에 보호막도 한계가 있어서 생존이 매우 힘들어진다.

또한 코어가 한번에 3개가 전부 활성화되므로, 레이버를 전부 잡기 위해 써야 하는 범위 스킬 횟수도 2회에서 3회로 늘어난다. 그 와중에 청색 폭탄과 적색 마이크로웨이브에 대처하기 위한 이동기, 본체 공격과 황색 미사일을 막기 위한 보호막 등 챙겨야 할 모든 기믹을 챙겨야 하기 때문에 매우 빠르고 정확한 조작이 요구된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PassiveSKILL01_SubCore.webp<rowcolor=white> 위대함에 대한 헌신 - 강화 스킬
비활성화 상태인 코어의 받는 대미지량이 50% 감소.
상술된 스킬들에서 여러 번 언급된 주황색 보호막, 그 중에서도 코어에 걸리는 것에 대한 설명이다. 상술된 것처럼 코어 비활성화 시기에는 무리해서 코어나 본체를 공격하기보다는 다음 코어 활성화에 대비한 준비를 하는 게 좋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PassiveSKILL02_SubCore.png<rowcolor=white> 넘어선 긍지 - 강화 스킬
코어는 자신을 포함한 각 코어의 스킬에 공격받을 수 있으며, 이때 본체에 그로기 게이지를 누적. 코어가 받은 피해를 티페레트에게 전이. (이 피해는 티페레트의 받는 대미지량 증가, 받는 대미지량 감소 효과를 무시합니다.)
코어끼리의 팀킬을 유도해야 하는 첫 번째 이유이다. 티페레트의 그로기 게이지는 학생의 공격으로 인한 대미지로는 누적되지 않으며, 상술된 레이버 사망과 이 코어 팀킬에 의해서만 누적이 된다. 단순히 각 코어의 기믹을 회피만 하고 팀킬을 제대로 유도하지 않으면 그로기가 늦게 발생한다.

또한 활성화된 코어를 공격하면 주황색 보호막이 걸린 본체에도 손실없이 대미지가 전이된다는 점도 기억해 두어야 한다. 학생들의 공격은 물론, 코어끼리의 공격 역시 본체에게 대미지를 준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PassiveSKILL01.png<rowcolor=white> 명백히 드러난 자 - 강화 스킬
티페레트가 그로기 상태가 되면 받는 대미지량이 100% 증가하고, 스트라이커 학생의 코스트 회복력이 1000 증가. (20초간)
티페레트는 그로기 상태가 될 때마다, 전투 종료 시 까지 받는 대미지량이 50% 증가.
서포트 드론을 8개체 소환. (20초간)(전투 당 1회)
서포트 드론마다 티페레트의 받는 대미지량을 10% 감소.
그로기에 걸리면 주황색 보호막이 해제되고 받는 대미지 증가 디버프가 걸려 티페레트가 받는 대미지가 대폭 늘기 때문에 그로기 중에 최대한 극딜을 박아야 한다. 참고로 2페이즈 도중에 그로기 상태가 될 경우 그 즉시 모든 코어가 비활성화되며 주황색 보호막이 걸리고, 살아있던 레이버는 전부 죽어 붉은 구체로 전환된다.

75층부터는 2페이즈 그로기와 동시에 8체의 미니 드론을 소환하는데 해당 드론은 각각 받는 대미지 감소 버프를 10%씩 부여하기 때문에 우선 드론을 전부 처리하고 본체에 극딜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받는 대미지가 2.5배에서 1.7배로, 거의 2/3 수준으로 줄어들기 때문이다.

그로기는 3페이즈에서 빔 발사가 끝난 후 다시 1번 발생한다. 그로기마다 걸리는 50%짜리 받는 대미지 증가는 누적이 되므로, 이때는 받는 대미지가 3배가 된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PassiveSKILL99.png<rowcolor=white> 중심된 자리 - 강화 스킬
일반 공격이 적 최대 6인에게 번갈아 가며 각각 공격력 100%의 대미지를 주고, 보호막이 없는 대상은 공격력 100% 추가 대미지.
티페레트가 직접 가하는 모든 피해에 공격력 100%의 추가 대미지. (쿨타임 5초)
실질적 티페레트의 평타로 꾸준히 학생들에게 대미지를 준다. 보호막이 없으면 추가 대미지로 대미지가 2배가 되는데, 공략 중에 실드 없이 맞아야 하는 구간이 발생하므로 수나코 같은 중장갑 학생은 버틸 수 없다.

100층부터는 모든 공격에 100% 추가 대미지가 더해지는 강화 효과가 추가된다. 쿨타임이 5초라고 되어 있지만 본체의 모든 공격 패턴은 5초 이상의 텀을 두고 사용되기 때문에 상시 적용이나 다름없다. 다수의 적을 순차적으로 공격하는 평타도 대상마다 일일이 100% 추가 대미지가 적용되는 반면, 타수가 많은 의식의 새벽 같은 패턴도 100% 추가 대미지가 1회만 적용된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EXSKILL05.webp<rowcolor=white> 깨달은 왕들의 기도 - EX 스킬
티페레트가 ATG 게이지를 소모하여 에너지를 10초간 충전하고, 이후 강력한 빔을 발사하여 999999 대미지. (이 공격은 불사를 해제합니다.)
빔을 발사하는 동안, 티페레트가 방화벽을 가동시켜 탈출을 방해. 스트라이커 학생이 기본 스킬을 사용할 수 없는 대신 이동 속도가 30% 증가하고, 코스트 회복력 1000 증가. (스킬이 종료되면 티페레트가 그로기 상태가 됩니다.)
티페레트 3페이즈 돌입 시 한 번만 사용하는 필살기 스킬이다.

맵이 횡스크롤 형태로 전환된 후, 티페레트가 에너지를 끌어모은 다음 학생들을 느리게 추적하는 거대한 레이저 빔을 발사한다. 빔에 맞으면 즉사당하므로, 빔에 휘말리기 전에 우측에 솟아오른 방화벽들을 재빨리 부수고 티페레트의 본체까지 도달해야 한다. 이때 동안 이동을 방해하는 기본 스킬은 강제 봉인되고 이동속도 증가와 코스트 회복 증가 버프를 얻는다.

처음 보면 당황할 수 있지만, 레이저에 닿기 전에 스킬들을 가능한 빨리 순환시켜서 방화벽을 빨리 부수면 되는 간단한 패턴이다. 방화벽을 빨리 부술수록 티페레트를 공격할 수 있는 딜 타임이 늘어나므로 빨리 부수고 본체를 공격하러 가야 한다. 다만 맨 앞에 생성되는 파란 방화벽은 체력이 매우 높기 때문에 스킬 1번만으로는 파괴되지 않을 수도 있다.

2번째 방화벽까지 전부 파괴하면 본체에 도달하기 전까지 스트라이커 학생들의 EX 스킬 사용이 막힌다. 가만히 있으면 코스트가 가득 차서 낭비되므로 가는 도중 스페셜 학생들의 EX 스킬을 쓰면서 패 순서를 맞추고 버프도 미리 걸어두는 게 좋다.

방화벽을 전부 부수고 본체에게 다가가면 티페레트는 과부하되어 2번째 그로기 상태가 된다. 이후 맵 좌우에서 레이버가 각각 3마리씩 총 6마리가 나오는데, 이 레이버들도 코어 레이버처럼 쓰러뜨리면 본체의 체력을 1% 감소시키는 붉은 구체가 생성되기 때문에 그로기 종료 후에는 이쪽 처리도 우선해 주는 게 좋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PassiveSKILL03_SubCore.png<rowcolor=white> 찰나를 꺼트리는 빛 - 강화 스킬
코어가 코어의 스킬에 피격당한 뒤, 20초 내에 다른 코어의 스킬에 피격당한 경우, 약점 노출 상태가 된다. (20초간)
약점 노출 상태인 코어가 스트라이커 학생의 EX스킬에 피격당하면 그로기 상태로 전환.(20초간)
추가로 받는 대미지량이 100% 증가. (10초간)
티페레트의 두 번째 최중요 기믹이다. 본체에 그로기가 걸리기 전에도 단일 딜러로 높은 대미지를 줄 수 있는 귀중한 기믹이다.

이동기나 보호막으로 코어끼리의 팀킬을 유도해야 하는 또 하나의 이유가 바로 한 코어에 코어 스킬 2개를 맞추는 것으로 약점 노출(주황색[◎]이펙트)과 코어 그로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다른 코어의 레이버를 먼저 잡으면서 목표 코어를 약점 노출 상태로 만든 뒤, 해당 코어의 레이버를 범위기로 정리하면 코어도 자연스레 그로기가 되므로 이때를 노려 단일 대상 스킬로 극딜을 박으면 된다.

물론 그로기 전까지는 이렇게 직접 극딜을 박는 것보다 레이버를 처리하는 게 급하므로 매번 노리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가장 첫 코어 활성화 시기는 초반이라 코스트가 부족한 데다 청색&황색 활성화라 폭탄이 터지는 8초를 기다려야 하기 때문에 시간도 부족해서 코어 그로기를 노리지 않고 레이버만 빠르게 잡는 경우가 많다. 코어 3개가 전부 활성화되어 매우 바빠지는 2페이즈도 레이버 정리와 그로기를 대비한 코스트 저축을 위해 넘기기도 한다. 물론 층수가 높아질수록 본체 체력이 기하급수적으로 높아지므로, 100층을 넘는 초고층에서 코어 그로기 극딜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다.
<nopad>파일:SKILLICON_EN0011_EXSKILL06.webp<rowcolor=white> 의식의 새벽 - EX 스킬
티페레트가 적 중앙을 향하여 폭발형 빔을 발사하여 적의 보호막을 제거하고, 공격력 300%의 피해.
50층부터 추가되는 패턴이다. 2페이즈에서 사용하며, 코어 비활성화 때 티페레트가 충전을 개시한 후 폭발 빔을 발사한다. 코어 비활성화와 2페이즈의 공격력 버프(+200%) 때문에 꽤나 살벌한 대미지를 주는 것도 모자라 보호막을 해제하기 때문에 고층에서 학생 생존 난이도를 비약적으로 끌어올리는 패턴이다.

빔이 지면에 착탄될 때 보호막이 해제되고, 그 후 소용돌이가 일어나면서 대미지가 발생하기 때문에 보호막 해제와 대미지 사이에 빈틈이 존재한다. 때문에 이 사이에 보호막 스킬을 사용하면 아군을 보호막으로 보호할 수 있지만, 막대한 대미지 때문에 직후 코어 활성화 시기에 황색 미사일을 반사할 보호막이 남지 않는 게 문제이다. 따라서 보호막 없이 회복 스킬만으로 어떻게든 버틸 수 있는 스펙을 맞추거나, 보호막으로 이 패턴을 막은 뒤 패 순환이나 스킬 복제 등으로 재빠르게 보호막을 다시 사용할 수 있는 타임라인을 짤 필요가 있다.

4. 공략

티페레트는 정해진 기믹을 차례대로 완수해야만 극딜 타이밍이 오는 기믹형 보스이다. 기믹의 랜덤 요소가 전혀 없고, 심지어 체력 조건으로 발동하는 패턴도 없이 2페이즈 그로기를 제외하면 오로지 정해진 시간에 따라서만 패턴이 진행된다. 따라서 운이 나빠서 리트라이할 요소는 딜러의 치명타나 안정 수치에 관한 것을 빼면 거의 없다.

반대로 수행해야 하는 기믹이 매우 많기 때문에 순발력, 전술적 판단력, 암기력 등 다양한 능력을 활용하는 바쁜 플레이가 요구된다. 그래도 기믹들 자체는 난해하지 않고 직관적이어서 기믹 수행 가능 캐릭과 간단한 공략법만 숙지하면 3페이즈까지 가는 것은 쉽다.
  • 1페이즈
    코어 2개 활성화가 3회 진행된다. 공략법 없이도 여유롭게 대처할 수 있는 단계로, 티페레트가 처음이라면 이 단계에서 각 코어의 패턴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익혀두는 게 좋다. 극초반이라 코스트가 부족한 가장 첫 활성화만 제외하면, 되도록이면 코어 그로기를 유도해 단일 스킬 극딜도 박는 것이 좋다.
  • 2페이즈
    본체의 공격력이 대폭 강화되며, 코어 3개 활성화가 2회 진행된다. 활성화 유지 시간은 1페이즈와 동일한데 처리해야 할 기믹은 늘어났기 때문에 한치의 오차도 없는 매우 빠른 조작이 요구된다. 모든 기믹을 100% 수행하였다면 2번째 코어 활성화 시점에서 코어끼리의 팀킬만으로 그로기가 발생하게 된다.
    그로기가 발생하면 이번에는 최대한 빠르게 본체에게 단일 대상 스킬로 극딜을 박는 게 요구된다. 이후의 딜 타임이 상당히 짧기 때문에, 2페이즈 그로기가 끝나는 시점에서 본체 체력이 25% 전후, 낮은 난이도여도 대략 30%까지는 깎여 있어야 클리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인다.
  • 3페이즈
    즉사 공격을 피해 방화벽을 뚫고 본체로 접근해야 한다. 이 이동하는 과정이 시간을 은근히 낭비하며, 방호벽 처리가 늦어지는 만큼 본체에 딜을 박을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기 때문에 최대한 빠르게, 최적화된 스킬 순서로 길을 뚫으며 패 순서를 맞춰놔야 한다.
    도착 후에는 본체에 다시 그로기가 걸리지만, 아무리 빨라도 도착 시점에서 남는 시간은 40초 남짓이다. 때문에 코스트 회복 증가가 걸린 그로기 동안 최대한 딜을 욱여넣어야 하며, 그로기가 끝난 후에는 레이버를 통한 체력 감소까지 최대한 활용해야 시간을 맞출 수 있다.
특이 사항으로는 특정 상황에서 편성 스트라이커 수를 줄인, 9인 이하 파티로 공략하는 것이 더 쉽고 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레이버 처리를 위해 빠른 패 순환이 요구된다는 점, 아군 전체에 보호막을 줘야 하는 패턴이 있다는 점 때문이다. 학생을 덜 편성하면 코스트 회복이 그만큼 느려지지만 대신 스킬을 덜 써도 같은 스킬을 다시 쓸 수 있게 되며, 체육복 유우카처럼 보호막을 줄 수 있는 인원이 제한된 보호막 요원으로도 아군 '전체'에 보호막을 줄 수 있게 된다.

4.1. 보스 스펙

  • 사이즈는 본체와 코어가 초대형, 코어 레이버가 중형이다. 3페이즈 레이버는 포신이 달린 키 작은 레이버가 중형, 직육면체 형태의 레이버가 대형이며 방호벽들은 전부 대형이다.
  • 모든 난이도에서 본체와 코어는 내부적으로 받는 대미지 감소 50%의 스탯을 지니고 있다. 티페레트의 스킬 설명에 쓰여 있는 대미지 증가 비율은 이 50% 감소 상태를 기준으로 작성된 수치로, 실제 내부적인 계산 수치는 다르다. 이는 헤세드, 호드, 예로니무스, 호버크래프트 등 기본적인 받댐감 스탯을 지닌 보스들 모두 공통적으로 해당하는 사항이다. 이렇게 설정해놓는 이유는 시스템적으로 모든 스탯의 % 증감치 하한이 -80%으로 정해져 있으며, 이를 받는 대미지 증감에 적용하면 받는 대미지 증가는 최대 1.8배까지만 적용되기 때문이다. 그 이상으로 대미지가 증폭되는 기믹을 설계하려면, 먼저 받는 대미지가 감소하는 버프를 내부적으로 설정해야 하는 셈이다. 레이버와 방호벽은 받는 대미지 증감이 없다.
  • 방어력은 모든 적 공통으로 100으로 낮다. 치명 저항 수치도 20, 치명 대미지 저항 수치도 10%로 상당히 낮은 편이다. 하지만 레이버 기믹 때문에 50층부터는 체력이 같은 난이도의 제약해제결전 보스와 비교시 거의 2배 수준이며, 상술한 받는 대미지 감소 스탯 때문에 대미지가 늘어나는 기믹을 활용하지 않으면 체력을 깎기가 쉽지 않다.
  • 그로기 게이지 수치는 모든 난이도 공통 780,000,000으로, 이는 124층 본체 체력의 1.7배 이상이다. 사실 기믹에 의해서만 그로기 게이지가 증가하기 때문에 큰 의미는 없다.
  • 25층 단위의 한 구간을 넘어갈 때마다 공격력과 체력이 매우 크게 증가한다. 공격력은 다른 제약해제결전 보스에 비해 낮지만, 공격력을 2~3배로 늘리는 버프를 걸기 때문에 실제로 그렇게 낮지도 않다. 때문에 저층을 쉽게 깼다고 고층을 대충 도전하다가 체력을 전부 깎지 못해 시간 초과를 당하거나, 본체 광역기의 대미지를 감당하지 못하고 파티가 터질 수 있다.

4.1.1. 탄력장갑

<rowcolor=white> 층수 레벨 체력 공격력
1층 25 1,024,357 (x??) 92
24층 50 2,963,475 (x30) 317
25층 50 9,775,729 (x??) 322
49층 70 31,038,268 (x207) 499
50층 70 77,850,232 (x520) 2,405
74층 85 111,611,926 (x745) 3,146
75층 85 112,471,403 (x???) 6,805
99층 90 176,104,183 (x881) 7,358
100층 95 225,739,299 (x1129) 8,559
105층 100 273,311,671 (x1094) 9,588
110층 105 320,884,043 (x1284) 10,616
124층 105 454,086,685 (x???) 13,497

4.1.2. 중장갑

<rowcolor=white> 층수 레벨 체력 공격력
1층 25 1,024,357 (x26) 92
24층 50 2,963,475 (x30) 317
25층 50 10,035,763 (x101) 322
49층 70 31,863,886 (x213) 499
50층 70 80,863,040 (x540) 2,405
74층 85 119,011,792 (x794) 3,146
75층 85 120,389,392 (x602) 6,805
99층 90 186,717,056 (x934) 7,358
100층 95 193,173,728 (x966) 8,559
105층 100 243,557,616 (x975) 9,588
110층 105 293,941,504 (x1176) 10,616
124층 105 435,016,416 (x1741) 13,497

5. 역대 시즌

5.1. 일본 서비스

<rowcolor=white> 시즌 지형 방어/공격타입[1] 비고 기간
#14 파일:블아 실내.png
파일:BA_방어.png 탄력장갑
파일:BA_공격.png 관통
25.04.23. ~ 25.05.21.
#17 파일:블아 실내.png
파일:BA_방어.png 중장갑
파일:BA_공격.png 관통
25.07.23. ~ 25.08.20.

5.2. 한국&글로벌 서비스

<rowcolor=white> 시즌 지형 방어/공격타입[2] 비고 기간
#14 파일:블아 실내.png
파일:BA_방어.png 탄력장갑
파일:BA_공격.png 관통
25.09.24. ~ 25.10.21.
  • SEASON #14 (25.09.24. ~ 25.10.21.)
    한국&글로벌 서버 14시즌 초기의 티페레트는 EX 스킬 코스트를 추가로 소모 가능한 학생 하스미(체육복), 미노리, 사츠키, 노조미를 편성할 시 받는 대미지 증가 디버프가 적용되지 않는 버그가 있다. 이에 더하여 모든 콘텐츠에서 이 학생들의 EX 스킬 대미지가 코스트 소모량이 적을수록 더 센 버그도 있다.[3] 클리어에 핵심이 되는 노조미가 버그의 대상자라서 제 성능을 낼 수 없는 상황이라 현재 100층을 클리어한 인원도 매우 적은 편이다. 결국 9월 29일 버그를 수정하기 위해 임시점검이 진행되었다.

6. 추천 학생

6.1. 스트라이커

6.1.1. 딜러(진동)

파일:노조미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경장갑)
메인 딜러이다. 본인의 확정 치명과 언니 히카리의 서포팅을 활용해 코어나 본체를 상대로 폭딜을 뽑아낸다. 깨달은 왕도의 기도 상태에서 나오는 방화벽과 뒤로 이어져 있는 방화벽까지 일직선으로 파괴하는 역할도 겸한다.
노조미
파일:드오리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경장갑)
잡몹 클리어용 딜러이다. 활성화된 코어와 같이 등장하는 레이버와 그로기 상태에서 등장하는 잡몹과 지원 드론을 파괴해서 본체에 대미지를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3회 한정으로 중간중간 소소한 코스트 펌핑을 한다. 3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100단계 이상에서 안정적인 버프 순환을 위해서는 전2 이상의 고육성이 요구된다.
사오리(드레스)
파일:레이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경장갑)
잡몹 클리어용 딜러이다. 드오리만으로 코어 2개(폭주 상태에서는 3개)와 같이 생성된 레이버를 처치하기 곤란하기 때문에 GL 고유의 높은 공격력을 바탕으로 보다 빠른 속도로 레이버를 처치하기 위해 기용된다. 단독으로 쓰기에는 드오리에 비해 낮은 대미지와 너무 긴 1스 딜레이, 다른 코스트 감소 버퍼와의 역시너지 등 단점이 너무 커서 쓰기 쉽지 않다. 역시 드오리와 마찬가지로 방화벽 부수기 요원으로도 사용되며 100단계 이상에서는 고육성이 요구된다.
레이
파일:수나코프로필.png(실내: D / 장갑: 중장갑)
대다수 총력전과 대결전을 휩쓸고 다닐 정도로 사기인 캐릭터라 이를 저격하기 위해 50단계 이상 공격 타입으로 관통 속성을 부여했지만, 어떻게든 힐과 보호막을 활용해서 끝가지 살려내는 택틱으로 99단계까지는 어거지로나마 굴러간다. 100단계부터는 티페레트가 가하는 공격에 공격력 100%의 추가 대미지가 들어가므로 살아남을 수 없고, 그냥 노조미를 빌려서라도 쓰는 것이 정신건강에 이롭다.
하나코(수영복)

6.1.2. 딜러(관통)

파일:미카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경장갑)
메인 딜러이다. 최상의 지형 적성과 유리한 방어 상성의 조합으로 그 성능을 다시 한 번 증명해냈다. 노조미와 달리 EX 스킬이 1인 대상이므로 깨달은 왕도의 기도 상태에서 나오는 방화벽을 처리할 수 없고, 사거리가 짧아서 코어에 EX 스킬 사거리가 닿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기에 세심한 컨트롤이 필요하다.
미카
파일:수카리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경장갑)
광역 딜러이다. 코어의 레이버와 깨달은 왕도의 기도 상태에서 나오는 방화벽을 돌파하는 데 쓰인다. 노조미만큼의 접대를 받지는 못해서 방화벽을 한방에 돌파할 수는 없으며 코스트 소모량이 6코스트로 높아 우이, 정월 후우카 등의 코스트 감소 서포터와 반드시 같이 사용해야 한다.
유카리(수영복)
파일:수스미프로필.png(실내: B / 장갑: 경장갑)
두 번째 광역 딜러이다. 다만 티페레트에서는 지형 적성 때문에 수영복 유카리보다 고육성이 필요하다. 유카리는 EX 스킬 2번이 필요하지만 수영복 하스미는 EX 스킬 범위가 좌우로 넓어서 '명백히 드러난 자' 패턴의 서포트 드론을 한 방에 처리할 수 있다. 다만 수카리와 달리 코스트 회복이 더 느리기 때문에 메인 딜러의 사이클이 더 밀린다.
하스미(수영복)

6.1.3. 탱커 및 서포터(공통)

파일:아오바프로필.png(실내: A / 장갑: 경장갑)
티페레트 최적화 탱커이다. 짧은 사거리로 청색 코어의 폭탄이나 적색 코어의 어그로 등을 전담하면서, 매우 긴 거리를 직선으로 이동하면서 빠른 기믹 수행이 가능하다. 이벤트 배포 캐릭터라 입수도 쉽고, 대미지만 적당히 잘 버티면 되기 때문에 육성 요구도도 상당히 낮은 게 장점이다. 즉사 레이저를 피해 최대한 딜을 욱여넣어야 하는 3페이즈에서는 원활한 패순환을 위해 탱커인 아오바를 일부러 즉사 레이저 쪽으로 던져서 빠른 퇴근을 시키는 택틱도 나왔다.[4][5]
아오바
파일:체유카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특수장갑)
아군에게 보호막을 주기 위해 채용한다. 단 적용 대상이 4인뿐이므로 가장 튼튼한 탱커 둘은 보호막 없이 운용하는 식의 복잡한 활용이 필요하다. 그렇기 때문에 99층 이하에서는 아예 스트라이커 1~2명을 빼고 활용하기도 한다. 일단은 탱커이므로 본인의 생존력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유우카(체육복)
파일:수시노프로필.png(실내: D / 장갑: 특수장갑)
설명이 필요없는 최고의 범용성을 가진 서포터이다. 리오 혹은 캠하레의 EX와 공격력 버프가 중첩되지 않는 데다 코스트 회복 속도까지 빨라지게 한다. 특수장갑이지만 자체 내구력으로 꽤 잘 버텨준다.
호시노(수영복)
파일:미네프로필.png(실내: D / 장갑: 경장갑)
아오바의 대체재이다. 하지만 이동 가능 거리가 짧기 때문에 기믹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코어를 약점파악 상태로 만들어 딜 타임을 만드는 기믹은 사실상 포기해야 한다. 무시노 등 다른 이동 가능 탱커가 방어 타입 문제로 50층 이상에서 채용이 되지 못하거나, 다른 아군까지 이동시키는 문제 때문에 그나마 대체재 역할을 할 수 있는 게 미네밖에 없기 때문이다.
미네

6.1.4. 탱커 및 서포터(진동)

파일:히카리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경장갑)
진동 특효 버퍼이다. 추가 코스트를 감소 시켜주는 부가 효과 덕분에 추가 코스트를 소모하는 노조미의 효율을 극대화시켜 준다. 물론 2코스트라는 가벼움과 긴 지속시간을 내세워 드오리나 레이 등 범위 딜러에게도 버프를 나누어 준다.
히카리
파일:캠하레프로필.png(실내: B / 장갑: 경장갑)
2중 공증 서포터이다. 2코스트라는 저렴한 코스트로 긴 시간 동안 대량의 공격력 버프를 걸어주기 때문에 진동 파티에서 애용된다. 방어상성까지 유리하기에 잘 사용된다. 다만 관통 파티에서는 우이에 의해 버프가 덮어씌워지기 십상이기에 채용률이 낮아진다.
하레(캠핑)

6.1.5. 탱커 및 서포터(관통)

파일:우이프로필.png (실내: D / 장갑: 경장갑)
코스트 반감 서포터이다. 진동에서는 없어도 괜찮지만 전체적으로 코스트가 무거워진 관통 파티에서는 필수품이다. 상위호환으로 예상되었던 세이아는 방어 상성 이슈로 고층에서는 쓰이지 못한다.
우이

6.2. 스페셜

파일:키사키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탄력장갑)
EX 딜러용 서포터이다. 메인 딜러인 노조미뿐만 아니라 저육성(3성) 상태의 드오리가 주는 대미지를 강화시켜 본체 딜링뿐만 아니라 잡몹 정리를 더 용이하게 한다. 중간마다 발동되는 보호막과 코스트 펌핑도 장점이다.
키사키
파일:온구레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특수장갑)
다수의 아군에게 지속힐을 주어 파티의 유지력을 올려주며, 특히 반감인 경장갑도 아프게 맞는 100단계 이상에서 폭주 상태의 본체의 공격 속에서 생존을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거기에 붉은겨울 학생이라 스트라이커에 체리노가 있는 경우 코스트 증가 속도가 더 빨라지는 것도 소소한 장점이다.
시구레(온천)
파일:리오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탄력장갑)
스트라이커 EX 복사기이다. 주로 드오리나 수카리로 활성화된 코어의 잡몹들을 정리하거나 노조미나 미카로 딜을 넣을 때, 3페이즈(깨달은 왕들의 기도)에서 길을 막고 있는 방화벽을 빨리 밀 때 사용된다.
리오
파일:카에데프로필.png(실내: B / 장갑: 특수장갑)
기믹 파훼용 보호막 서포터이다. 중간마다 발동되는 애용품 강화 1스를 통해 최대 3번까지 기존 4코보다 낮은 코스트로 스킬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코스트 관리가 용이해진다. 주로 황색 코어에서 발사되는 미사일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하며 여섯 왕국의 힘 공격으로부터 힐량 감소 디버프가 붙지 않도록 한다. 최소 전1 이상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대결전 상점에서 엘레프 수급이 가능하므로 육성이 쉽다.
카에데
파일:아코프로필.png(실내: S~SS / 장갑: 중장갑)
2중 치댐증 버퍼이다. 안정성보다 딜링을 중시할 때 쓰이며, 대부분 카에데를 체유카로 대체하고 남은 스페셜 자리에 들어간다. 특히 관통은 우이 때문에 공격력 버프를 쓰기 난해하므로 더욱 자주 쓰인다.
아코
파일:수기사프로필.png(실내: D / 장갑: 탄력장갑)
2중 치댐증 버퍼이다. 아코와 마찬가지로 딜링을 중시할 때 주로 사용되며, 아코보다 높은 치댐증 수치에 지속 시간 역시 길어 고점이 더 높다. 그리고 코스트 대출 효과를 활용하여 코어 페이즈 때 대미지를 더 넣으면서 사이클을 깔끔하게 해주는 것은 덤이다.
나기사(수영복)
파일:수이미프로필.png(실내: B / 장갑: 특수장갑)
카에데처럼 아군들에게 보호막을 걸어주는 서포터이다. 카에데보다 보호막 지속 시간이 2배 가까이 길고 범위도 넓은 데다 공격력·공격속도 버프도 지니고 있다.

99층까지는 3성으로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가장 중요한 보호막의 내구력이 카에데보다 약해 100층 이상에서는 전2 이상의 육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대결전 상점으로 육성이 가능한 카에데보다 육성 난이도가 월등히 높은 데다, 원형 범위에 바로 보호막을 걸어주는 카에데와는 달리 아군을 특정 지점으로 끌어모으기 때문에 기본 스킬이 캔슬되어 딜 로스를 유발할 수 있다.
에이미(수영복)
파일:가바키프로필.png(실내: B / 장갑: 중장갑)
장판형으로 공격력 버프를 주는 서포터이다. 주로 100단계 이상 고층에서 드오리와 레이가 코어 주변에 형성된 레이버들을 신속하게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츠바키(가이드)

7. 추천 편성

8. 작중 행적

8.1. Ex. 데카그라마톤 편

8.1.1. 2장 불타는 검

블루 아카이브
메인 스토리 분기별 주요 적대 세력 및 메인 빌런들
(스포일러 주의)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메인 스토리 1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Vol.1 대책위원회 편
<colbgcolor=#D3D3D3><colcolor=#000> 1장 <colbgcolor=#fff,#1f2023> 카이저 PMC
흥신소 68
(아루무츠키카요코하루카)
2장 선도부(일시적)
(아코이오리치나츠)
카이저 PMC
검은 양복
Vol.2 태엽감는 꽃의 파반느 편
1장 세미나
(하야세 유우카)
C&C
(네루아스나카린아카네)
2장 세미나
(츠카츠키 리오)
C&C
(토키)
무명사제
(Divi:SIONKEY)
Vol.3 에덴조약 편
1장 키리후지 나기사
2장 티파티
(나기사미카)
아리우스 분교
3장 아리우스 분교(아리우스 스쿼드)
(사오리아츠코미사키히요리)
마에스트로
(예로니무스)
베아트리체
유스티나 성도회
4장 미소노 미카(초중반부)
베아트리체
아리우스 분교
유스티나 성도회
Vol.4 카르바노그의 토끼 편
1장 발키리 경찰학교
(칸나키리노후부키)
Ex. 데카그라마톤 편
1장 데카그라마톤
(비나헤세드케테르게부라)
(아인 & 소프 & 오르)
Final. 그리고 모든 기적이 시작되는 곳 편
1장 카이저 코퍼레이션
시라누이 카야
2장 색채
(비나헤세드시로 & 쿠로
예로니무스호드페로로지라)
3장 색채
(아트라하시스의 방주시로코*테러)
4장 색채
(프레나파테스시로코*테러A.R.O.N.A)
}}}}}}}}} ||
{{{#!wiki style="margin:0 -10px -0px"
{{{#!folding [ 메인 스토리 2부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Vol.4 카르바노그의 토끼 편
<colbgcolor=#D3D3D3><colcolor=#000> 2장 <colbgcolor=#fff,#1f2023> 시라누이 카야
FOX 소대
(유키노니코쿠루미오토기)
카이저 코퍼레이션
Vol.5 백화요란 편
1장 길거리 망량즈(초반부)
(아라타)
화조풍월부
(코쿠리코슈로)
환량백물어
(묘귀 쿠로카게)
2장 화조풍월부
(코쿠리코슈로아자미)
환량백물어
나나카도 아야메
Vol.1 대책위원회 편
3장 하이랜더 철도학원 CCC (전반부)
(히카리노조미)
사막횡단철도 채권 보유자
세인트 네프티스
카이저 코퍼레이션
아사기리 스오우
지하생활자
(세트의 분노)
[ 스포일러 ]
타카나시 호시노(무장 • 테러화)
Vol.6 흘러간 시간들의 오라토리오 편
1장 아리우스 잔당
(스바루마이아)
Ex. 데카그라마톤 편
2장 데카그라마톤
(게부라호크마티페레트네차흐아인 & 소프 & 오르말쿠트)
}}}}}}}}} ||
파일:BA_티페레트1.webp
<rowcolor=white>
EX. 데카그라마톤 편 2장 불타는 검 파트2에서 언급된다. 다차원 배리어 속에서 네차흐와 함께 완성되었다고 언급된다. 현 데카그라마톤의 전략병기 '강철대륙' 네차흐에 도달하는 길을 지키는 수문장 역할이며, 아인이 절대 뚫리지 않을 거라고 장담하는 것으로 보아 상당히 강력한 전력으로 추정된다.

이후 파트 3에서 선생 일행이 호크마가 채굴한 자원의 루트를 추적하면서 티페레트가 있는 종자저장소에 도착한다. 리오의 말로는 밀레니엄의 건축 양식이 쓰였지만 밀레니엄에서 보유한 건물은 아니라고 하며, 후술할 내용대로 붉은겨울의 것으로 밝혀진다. 티페레트는 이에 대해 "예언자로서의 책무"로 아인 & 소프 & 오르에게 적을 배제하겠다고 보고한다.

아인 & 소프 & 오르와 말쿠트의 대화로 밝혀진 바로는 티페레트는 이례적으로 "종자의 보관"이라는, 데카그라마톤에게 감화되기 이전의 저장소 관리 AI로서의 사명을 현재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진다. 본래 데카그라마톤 소속 입장에서 감화되기 전의 AI로서의 사용 목적은 인간에 의해 주어진 거짓 사명일 뿐이지만, 소프가 티페레트의 자유의지를 존중하여 종자 관리를 계속할 수 있게 허락한 것이다. 말쿠트 역시 자유의지를 존중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티페레트의 의향을 지지한다.

정보 탐색을 위한 전초전을 치룬 이후 선생 일행이 제3저장고까지 들어오자, 티페레트는 작전대로 수면 가스를 살포해 기계 몸을 가진 텐도 아리스케이를 제외한 인물들을 순식간에 무력화 시킨다. 그러나 선생아로나의 보호 덕분에 의식을 차리게 되었고, 컨트롤 패널에 저장된 붉은겨울 담당자의 음성 메시지를 통해 "종자의 7할이 보관된 제2저장고에 침입한다면 다른 모든 시설을 포기해서라도 물리칠 것"이라는 설계가 된 것을 알게 된다. 해당 음성메시지는 붉은겨울 학생이 남긴 것답게 상당히 나사빠진 내용들로 점철되어 있다. 저장소를 짓기 위해 푸딩에 물을 탔다거나, 방위 시스템을 항상 최신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테스트 운용조차 하지 않은 미사용 상태로 방치했다거나, 세계 멸망의 위기가 닥쳤을 때를 위한 건축물이면서도 제2저장소는 무조건 붉은겨울 사무국의 허가가 있어야 한다는 내용이다. 때문에 이를 듣던 선생은 물론 아리스, 케이도 혼란스러워서 정신을 차리지 못한다.

저장소의 종자들이 여전히 티페레트에게 관리 받고 있다는 것과, 제2저장소가 최우선 보호 대상인 것을 알게 된 선생은 케이를 시켜 제2저장고 입구를 공격하라고 지시한다. 선생의 의중을 깨달은 케이가 문을 두드리며 종자를 훔쳐가겠다고 위협을 하자, 이에 반응한 티페레트가 모든 리소스를 제2저장고 쪽으로 돌리면서 수면 가스 살포도 정지해 버린다. 아인이 케이의 위협은 블러프에 불과하니 걱정 말고 선생 일행을 내쫓으면 된다고 말하자 본격적인 전투 태세로 들어가지만, 결국 선생이 지휘하는 학생들에게 밀려 패배한다. 그래도 "다른 모든 시설을 포기해서라도"라는 말이 과언은 아니었는지, 전투 후 에이미와 히마리는 종자를 태워먹을 기세의 화력이라며 본말전도라고 질색하는 반응을 보인다.

만에 하나에 대비하고 있던 아인 & 소프 & 오르가 다급히 자원 운송용 컨테이너 런처[6]를 써서 티페레트의 본체를 강철대륙으로 대피시킨다. 하지만 강철대륙에 도착한 컨테이너에는 티페레트 대신 티페레트가 지키던 저장소의 종자들이 들어있었고, 3명은 티페레트가 자신만의 사명을 위해 희생을 선택했다는 것을 깨닫고 망연자실한다. 그러나 그런 티페레트의 의지를 존중하여, 그들 입장에서는 불확실성 덩어리에 불과한 생명체의 종자들을 보관하기로 결정한다.

티페레트의 최후에 대해서는 직접적으로 언급되진 않지만, 패배 직후 종자저장소가 폐쇄된다는 안내 음성이 나온 것이나, 이후 아인 & 소프 & 오르가 나중에 강철대륙에서 티페레트를 다시 만들어내자고 대화하는 것으로 보아 현 시점에서는 완파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새로 만들어지면 종자저장소 관리 AI로서의 기억은 사라지기 때문에, 그들이 알고 있는 티페레트와는 달라지게 될 것이라고 한다.

9. 기타

  • 몸체가 천장에 메달려 있고 녹색, 적색, 황색으로 빛나는 코어가 달려있는 점이 포탈GLaDOS를 연상케 한다는 반응이 있다. 본편 스토리에서도 수면 가스를 살포하는 등 비슷한 점을 보여준다. 다만 코어들을 영구적으로 파괴하는 것이 공략법인 GLaDOS와 달리, 티페레트의 코어는 본체가 ATG 패턴을 발동하는 3페이즈가 되면 케테르처럼 와이어를 발사해 도망친다.
  • 형태는 계속해서 고동치는 듯 움찔거리는 모습이나, 혈관처럼 본체의 상하부에 케이블로 고정되어 있는 형태를 보아 심장의 요소를 따온 것으로 보인다. 또한 티페레트를 상대할 때 재생되는 BGM도 심장이 박동하는 듯한 킥이 깔려있다. 하지만 심장 같은 실루엣의 외형은 사실 갑옷을 두른 모습으로, 쓰러질 때의 모습을 보면 실제로는 헤세드 같은 구체에 더 가까운 형태이다.
  • 데카그라마톤 최초로 탄력장갑을 사용하는 예언자이다.
  • 기믹들 다수가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하이랜더 철도학원의 학생들을 요구하며, 1~2달 이전 출시된 노마사 레이, 조마에 사오리/드레스 등도 기믹 파훼요원 겸 딜러로서 활용된다. 아오바는 대놓고 코어 기믹 최적화이며, 히카리와 노조미는 그다지 특화는 아니지만 각각 서포트와 딜 성능이 높기에 기용된다. 수나코도 사용은 가능하나 실내전 상성이 좋지 않고, EX 사정거리와 중장갑 때문에 집중적인 케어를 요해 저층이 아니면 사용하기 어렵다.
  • KAITEN FX Mk.0 이후 오랜만에 등장한 1 / 2페이즈의 BGM이 다른 보스이다. 단, 완전히 다른 곡을 사용했던 카이텐과 달리 이쪽은 1페이즈의 멜로디를 차용하여 조금 더 드럼비트가 가미된 어레인지를 한 BGM을 사용한다는 것에 차이가 있다. 한편 2페이즈 BGM은 빠르고 위압적인 비트에다 모스 부호로 DESTROY EVERYTHING이라는 메시지가 숨겨진 이스터 에그까지 있어서 아머드 코어 시리즈를 떠올리게 한다는 반응이 많다.
  • 데카그라마톤 2부 스토리 개시 이후에 등장한 예언자 중 유일하게 이명에 원본 세피라의 뜻(아름다움)이 들어가 있다. 호크마는 원본 세피라의 뜻인 지혜가 스킬명에만 사용되고 이명에는 포함되어 있지 않았고, 게부라는 아예 원본 세피라의 뜻인 힘에 관한 단어를 어디서도 찾아볼 수 없다.
  • 데카그라마톤 보스들 중 최초로 마키와 별 연관점이 없는 보스이다. 그간 데카그라마톤 보스들 중 대부분이 마키가 1티어로 들어가거나 차선책으로도 쓸 수 있었던 점을 감안하면 티페레트가 특이 사례이다. 이후 중장갑 티페레트가 추가되면서 마키로 화력 지원을 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 종자 보관소라는 설정, 붉은겨울과 관련이 있으나 붉은겨울은 자신들과의 연관성을 모른다는 설정은 파블롭스크 실험국을 모티브로 한 것으로 추정된다. 해당 시설은 세계 최초의 종자은행이었으나, 시설의 모기관 바빌로프 연구소의 소장 니콜라이 바빌로프이오시프 스탈린 재임 시절 용불용설의 창시자인 트로핌 리센코와 대립하다 숙청되었고, 그와 관련된 시설들은 스탈린 사후 니키타 흐루쇼프 시절에야 재평가가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티페레트가 사실상 죽음이나 다름없는 희생을 감수하면서까지 종자를 지키려 한 점 역시 파블롭스크 실험국을 지킨 과학자들의 일화를 떠올리게 한다. 마침 세피로트의 나무 원전 티페리트의 상징 중에서는 스스로 희생한 신(혹은 신의 아들 야훼)이 있다. 스스로를 희생하여 종자를 지킨 일화에서 캐릭터성을 따온 것으로 재해석한 듯하다.
  • 글로벌 서버에서 최초로 나왔을 때 온갖 버그가 난무했다. 그로기 때 받댐증이 씹힌다거나 코스트를 더 주고 쓰는데 대미지가 더 낮아지는 등 난이도가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했다. 정작 일본 서버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는데, 고유무기 4성 조기 도입 문제로 코딩이 꼬였을 가능성이 높다.

[1] 공격타입은 50층(3단계)부터 부여[2] 공격타입은 50층(3단계)부터 부여[3] 블루 아카이브, 2025년 9월 24일 작성[4]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티페레트 택틱 아오바 ㅅㅂㅋㅋㅋㅋ[5] 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아랫것들은 장기말인게 당연하다이! 뭐가 나쁘냐이!!"[6] 컨테이너를 로켓추진으로 공중에 날려 고속으로 운송하는 방식이다.

10. 둘러보기

파일:blue-archive-alt-ko.svg
[[블루 아카이브/등장인물|
상세보기
]]
{{{#!wiki style="word-break:keep-all"
{{{#!wiki style="min-width:90px; margin:5px 0 0; display:inline-block"
{{{#!wiki style="margin: 0 -10px -5px"
파일:School_Icon_ABYDOS.png
{{{#!folding [ 아비도스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아비도스 고등학교
<colbgcolor=#2c4c72,#414141> 대책위원회 호시노 · 시로코 · 노노미 · 세리카 · 아야네
아비도스 학생회 유메
[ Vol.1 대책위원회 편 3장 이후 ]
시로코*테러

}}}}}}}}}}}}
파일:School_Icon_GEHENNA.png
[ 게헨나 ]
파일:School_Icon_MILLENNIUM.png
[ 밀레니엄 ]
파일:School_Icon_TRINITY.png
[ 트리니티 ]
파일:School_Icon_HYAKKIYAKO.png
[ 백귀야행 ]
파일:School_Icon_SHANHAIJING.png
[ 산해경 ]
파일:Red_Winter_Icon.webp
[ 붉은겨울 ]
파일:Valkyrie_Icon.webp
[ 발키리 ]
##발키리 시작
발키리 경찰학교
<colbgcolor=#2c4c72,#414141> 공안국 칸나 · 코노카
생활안전국 키리노 · 후부키
파일:SRT 학원 로고.png
[ SRT ]
##SRT 시작
SRT 특수학원
<colbgcolor=#2c4c72,#414141> RABBIT 소대 미야코 (깡총이) · 사키 · 모에 · 미유
FOX 소대 유키노 · 니코 · 쿠루미 · 오토기
파일:아리우스로고.png
[ 아리우스 ]
##아리우스 시작
아리우스 분교
<colbgcolor=#2c4c72,#414141> 스쿼드 사오리 · 미사키 · 히요리 · 아츠코
잔당(가칭) 스바루 · 마이아
파일:하이랜더 학원 로고.png
[ 하이랜더 ]
파일:와일드헌트 학원 로고.png
[ 와일드헌트 ]
파일:School_Icon_ETC.png
[ 기타 ]
##기타 시작
총학생회
<colbgcolor=#2c4c72,#414141> 연방수사부 샬레 선생 (흥신소 68 업무일지 · 게임개발부 대모험! · 블루 아카이브 The Animation) · 아로나
[ 1부 최종편 이후 ]
프라나
총학생회 총학생회장 · · 모모카 · 아유무 · 카야 · 아오이 · 스모모 · 하이네
기타 학생(ETC)
크로노스 마이 · 시논
헬멧단 라브
일곱 죄수 와카모 · 아키라 · 카이 · 아케미
소속 불명 히죽히죽 교수
콜라보레이션 하츠네 미쿠 · 미사카 미코토 · 쇼쿠호 미사키 · 사텐 루이코
NPC
편의점 엔젤24 소라
시바세키 라멘 마스터 시바
적대 세력
게마트리아 검은 양복 · 마에스트로 · 골콩트 & 데칼코마니 · 베아트리체 · 지하생활자
데카그라마톤 케테르 · 호크마 · 비나 · 헤세드 · 게부라 · 티페레트 · 네차흐 · 호드 · 예소드 · 말쿠트 · 아인 & 소프 & 오르
무명사제
[ 스포일러 ]
AL-1S · Key
색채
[ 스포일러 ]
프레나파테스 · 시로코*테러 · A.R.O.N.A
기타 카이텐져 · 불량배 · 헬멧단 · 용역 · 블랙마켓 · 폭주족 · 카이저 코퍼레이션 · 데카르트 · 바르바라 · 세인트 네프티스
코믹스
부동산 관리 중개부 후도 안
}}} ||
기울임
: 플레이어블로 출시되지 않은 학생 (총학생회 제외)
취소선
: 더미데이터로 존재하는 캐릭터
: 틀:인게임 학생명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