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5 21:27:12

안양공업고등학교



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특성화고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경기상업고등학교 경복비즈니스고등학교 고명외식고등학교
광신방송예술고등학교 광운인공지능고등학교 단국대학교부속소프트웨어고등학교 대경생활과학고등학교
대동세무고등학교 대일관광고등학교 대진디자인고등학교 덕일전자공업고등학교
동명생활경영고등학교 리라아트고등학교 미래산업과학고등학교 상일미디어고등학교
서서울생활과학고등학교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관광고등학교 서울금융고등학교
서울동구고등학교 서울동산고등학교 서울디자인고등학교 서울디지텍고등학교
서울디지털콘텐츠고등학교 서울매그넷고등학교 서울문화고등학교 서울반도체고등학교
서울방송고등학교 서울백영고등학교 서울신정고등학교 서울아이티고등학교
서울여자상업고등학교 서울영상고등학교 서울웹툰애니메이션고등학교 서울의료보건고등학교
서울인공지능고등학교 서울컨벤션고등학교 서일문화예술고등학교 선린인터넷고등학교
선일빅데이터고등학교 선정국제관광고등학교 성동공업고등학교 성동글로벌경영고등학교
성암국제무역고등학교 세그루패션디자인고등학교 세명컴퓨터고등학교 송곡관광고등학교
신진과학기술고등학교 영락의료과학고등학교 용산철도고등학교 유한공업고등학교
염광메디텍고등학교 예림디자인고등학교 영신간호비즈니스고등학교 예일디자인고등학교
영등포공업고등학교 은평메디텍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교병설미디어고등학교 인덕과학기술고등학교
일신여자상업고등학교 한강미디어고등학교 한세사이버보안고등학교 한양공업고등학교
해성국제컨벤션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화곡보건경영고등학교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경남공업고등학교 경성전자고등학교 계성여자고등학교 금샘고등학교
대광고등학교 대양고등학교 대진전자통신고등학교 동래원예고등학교
동명공업고등학교 동아공업고등학교 동의고등학교 배정미래고등학교
부산공업고등학교 부산관광고등학교 부산디지털고등학교 부산마케팅고등학교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부산보건고등학교 부산영상예술고등학교 부산전자공업고등학교
부산정보고등학교 부산정보관광고등학교 부산진여자상업고등학교 해연여자고등학교
부산컴퓨터과학고등학교 부일전자디자인고등학교 부산항공고등학교 세연고등학교
세정고등학교 영산고등학교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해운대관광고등학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경북공업고등학교 경북여자상업고등학교 경상공업고등학교 달구벌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대구공업고등학교 테크노폴리스 캠퍼스 대구관광고등학교 대구하이텍고등학교
대구보건고등학교 대구과학기술고등학교 대구여자상업고등학교 조일고등학교
대구제일여자상업고등학교 대중금속공업고등학교 상서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파일:인천광역시 휘장_White.svg 인천광역시
강남영상미디어고등학교 계산공업고등학교 산마을고등학교 인천소방고등학교
문학정보고등학교 부평공업고등학교 영종국제물류고등학교 영화국제관광고등학교
인천금융고등학교 인천기계공업고등학교 인천대중예술고등학교 인천디자인고등학교
인천미래생활고등학교 인천바이오과학고등학교 인천보건고등학교 인천뷰티예술고등학교
인천비즈니스고등학교 인천생활과학고등학교 문곡고등학교 인천반도체고등학교
인천여자상업고등학교 인천중앙여자고등학교 인천해양과학고등학교 인평자동차고등학교
재능고등학교 정석항공과학고등학교 한국글로벌셰프고등학교 한국주얼리고등학교
파일:대전광역시 휘장_White.svg 대전광역시
계룡디지텍고등학교 대전도시과학고등학교 대전국제통상고등학교 대전대성여자고등학교
대전생활과학고등학교 대전신일여자고등학교 대전여자상업고등학교 대전전자디자인고등학교
유성생명과학고등학교 충남기계공업고등학교
파일:광주광역시 휘장_White.svg 광주광역시
광주공업고등학교 광주여자상업고등학교 광주자연과학고등학교 광주전자공업고등학교
금파공업고등학교 동명고등학교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 서진여자고등학교
송원여자상업고등학교 전남공업고등학교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 전남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울산광역시 휘장_White.svg 울산광역시
울산공업고등학교 울산기술공업고등학교 울산미용예술고등학교 울산산업고등학교
울산상업고등학교 울산생활과학고등학교 울산애니원고등학교 울산여자상업고등학교
파일:세종특별자치시 휘장_White.svg 세종특별자치시
세종장영실고등학교 세종여자고등학교 세종미래고등학교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경기도
가온고등학교 경기경영고등학교 경기관광고등학교 경기국제통상고등학교
경기대명고등학교 경기모바일과학고등학교 경기물류고등학교 경기스마트고등학교
경기영상과학고등학교 경기자동차과학고등학교 경기폴리텍고등학교 경기항공고등학교
경민비즈니스고등학교 경민IT고등학교 경일관광경영고등학교 경화여자English Business고등학교
고양고등학교 곤지암고등학교 광주중앙고등학교 광탄고등학교
군자디지털과학고등학교 군포e비즈니스고등학교 근명고등학교 금곡고등학교
김포과학기술고등학교 남양고등학교 남양주고등학교 다산고등학교
덕영고등학교 동두천중앙고등학교 동일공업고등학교 두레자연고등학교
두원공업고등학교 마장고등학교 매향여자정보고등학교 문산수억고등학교
문산제일고등학교 발안바이오과학고등학교 백암고등학교 부원고등학교
부천공업고등학교 부천정보산업고등학교 분당경영고등학교 분당아람고등학교
비봉고등학교 삼일고등학교 삼일공업고등학교 성남테크노과학고등학교
성보경영고등학교 성일정보고등학교 세경고등학교 수원공업고등학교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수원정보과학고등학교 신성고등학교 신일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공업고등학교 안산국제비즈니스고등학교 안산디자인문화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안양문화고등학교 안중고등학교 양동고등학교 양서고등학교
양영디지털고등학교 양평고등학교 양평전자과학고등학교 여주자영농업고등학교
여주제일고등학교 연천고등학교 영북고등학교 오산정보고등학교
용인바이오고등학교 용문고등학교 의정부공업고등학교 이우고등학교
이천세무고등학교 이천제일고등학교 이포고등학교 일동고등학교
일산고등학교 일산국제컨벤션고등학교 일죽고등학교 적성융합고등학교
전곡고등학교 조종고등학교 죽산고등학교 지평고등학교
진위고등학교 창의경영고등학교 청담고등학교 청평고등학교
통진고등학교 파주여자고등학교 평촌경영고등학교 평촌과학기술고등학교
평택여자고등학교 포천일고등학교 하남경영고등학교 하성고등학교
한겨레고등학교 한국관광고등학교 한국도예고등학교 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한국문화영상고등학교 한국애니메이션고등학교 한국외식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과학고등학교
한봄고등학교 홍익디자인고등학교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정보공업고등학교 강릉중앙고등학교 강원생명과학고등학교 강원애니고등학교
김화공업고등학교 거진고등학교 도계전산정보고등학교 동광산업과학고등학교
동해상업고등학교 석정여자고등학교 상지대관령고등학교 설악고등학교
영서고등학교 원주금융회계고등학교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주천고등학교
춘천기계공업고등학교 춘천한샘고등학교 한국항공고등학교 현천고등학교
화천정보산업고등학교 황지정보산업고등학교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충청북도
대성여자상업고등학교 양업고등학교 영동미래고등학교 영동산업과학고등학교
제천디지털전자고등학교 제천산업고등학교 제천상업고등학교 증평공업고등학교
진천상업고등학교 청주IT과학고등학교 청주공업고등학교 청주농업고등학교
충북상업정보고등학교 청주여자상업고등학교 청주하이텍고등학교 충북공업고등학교
충북산업과학고등학교 충북비즈니스고등학교 충북생명산업고등학교 충주공업고등학교
충주상업고등학교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한림디자인고등학교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충청남도
강경상업고등학교 공동체비전고등학교 공주생명과학고등학교 공주정보고등학교
국방항공고등학교 금산산업고등학교 금산하이텍고등학교 논산여자상업고등학교
당진정보고등학교 대천여자상업고등학교 병천고등학교 부여전자고등학교
부여정보고등학교 삽교고등학교 서산공업고등학교 서산중앙고등학교
서천여자정보고등학교 성환고등학교 예산예화여자고등학교 장항공업고등학교
주산산업고등학교 천안공업고등학교 천안상업고등학교 천안여자상업고등학교
천안제일고등학교 청양고등학교 충남드론항공고등학교 충남인터넷고등학교
충남해양과학고등학교 태안여자고등학교 한국K-POP고등학교 홍성공업고등학교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북특별자치도
강호항공고등학교 고산고등학교 군산상일고등학교 군산여자상업고등학교
글로벌학산고등학교 남원용성고등학교 남원제일고등학교 덕암정보고등학교
만경여자고등학교 전북베이커리고등학교 세인고등학교 전북인공지능고등학교
전북유니텍고등학교 수소에너지고등학교 전주공업고등학교 전주상업정보고등학교
전주생명과학고등학교 정읍제일고등학교 줄포자동차공업고등학교 지평선고등학교
칠보고등학교 푸른꿈고등학교 한국게임과학고등학교 한국기술부사관고등학교
한국마사고등학교 한국치즈과학고등학교 한국한방고등학교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전라남도
고흥도화고등학교 고흥산업과학고등학교 광양하이텍고등학교 구림공업고등학교
나주공업고등학교 나주상업고등학교 다향고등학교 담양공업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목포성신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목포중앙고등학교
벌교상업고등학교 법성고등학교 병영상업고등학교 삼계부사관고등학교
송지고등학교 순천공업고등학교 순천미래과학고등학교 순천청암고등학교
순천효산고등학교 신안해양과학고등학교 안좌고등학교 여수공업고등학교
여수정보과학고등학교 여수해양과학고등학교 영광공업고등학교 영광전자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 전남기술과학고등학교 전남미용고등학교 전남보건고등학교
전남에너지고등학교 전남자연과학고등학교 전남조리과학고등학교 전남미래자동차고등학교
진도실업고등학교 진성여자고등학교 한국말산업고등학교 한빛고등학교
함평골프고등학교 해남공업고등학교 호남원예고등학교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강구정보고등학교 경북골프경영고등학교 경북과학기술고등학교 경북관광비즈니스고등학교
경북기계금속고등학교 경북기계명장고등학교 경북드론고등학교 경북생활과학고등학교
경북세무고등학교 경북소프트웨어마이스터고등학교 경북자연과학고등학교 경북항공고등학교
경북휴먼테크고등학교 경산제일고등학교 경북조리과학고등학교 경북하이텍고등학교
경주공업고등학교 경주디자인고등학교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경주정보고등학교
구미정보고등학교 김천생명과학고등학교 명인고등학교 문경공업고등학교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상산전자고등학교 상주공업고등학교 상지미래경영고등학교
신라공업고등학교 안강전자고등학교 영천전자고등학교 예일메디텍고등학교
울릉고등학교 의성유니텍고등학교 포항과학기술고등학교 포항보건고등학교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포항흥해공업고등학교 효청보건고등학교 한국국제조리고등학교
한국미래농업고등학교 한국산림과학고등학교 한국미래산업고등학교 한국생명과학고등학교
한국조리명장고등학교 한국철도고등학교 한국펫고등학교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
간디고등학교 거제여자상업고등학교 거창승강기고등학교 경남간호고등학교
경남고성음악고등학교 경남관광고등학교 경남로봇고등학교 경남산업고등학교
경남자동차고등학교 경남전자고등학교 경남정보고등학교 경남항공고등학교
경진고등학교 김해건설공업고등학교 김해생명과학고등학교 김해한일여자고등학교
선명여자고등학교 경남자영고등학교 경남해양과학고등학교
남해정보산업고등학교 마산공업고등학교 밀성제일고등학교 사천여자고등학교
삼가고등학교 신반정보고등학교 진영제일고등학교 진주기계공업고등학교
창녕슈퍼텍고등학교 창녕여자고등학교 창원기계공업고등학교 창원공업고등학교
초계고등학교 한국과학기술고등학교 한일여자고등학교 함양제일고등학교
합천평화고등학교 양산인공지능고등학교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산업과학고등학교 성산고등학교 영주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제주중앙고등학교 중문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

파일:안양시 CI_White.svg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근명고등학교 성문고등학교 신성고등학교1 안양고등학교
안양공업고등학교 안양문화고등학교 안양여자고등학교 안양예술고등학교
안양외국어고등학교 양명고등학교 양명여자고등학교 충훈고등학교
윗첨자 1: 특성화 학급 한정 남녀공학. 일반계 학급은 남자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안양공업고등학교
Anyang Technical High School
安養工業高等學校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 교표.jpg
<nopad>
교명 안양공업고등학교
개교 1948년 3월 15일[1]
유형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성별 남녀 공학
운영 형태 공립
교장 홍순강
교감 김주연
학생 수 352명
(2023.3)
교직원 수 77명
(2023.3)
소재지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양화로28번길 69[2]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교가4. 연혁5. 시설
5.1. 본관5.2. 새롬관5.3. 가온관5.4. 종합복지관(체육관)
6. 학과
6.1. 패션소재디자인과6.2. 화학공업과6.3. 전기제어시스템과6.4. 전자기계과6.5. 3D건축디자인과6.6. 건설기술행정과6.7. XR융합응용학과6.8. 반도체CS엔지니어과6.9. 드론부사관과
7. 축구부8. 출신 인물9. 교복10. 진로11.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11.1. 지하철11.2. 버스
12. 여담

1. 개요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에 있는 공립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이다.

2. 상징

  • 교훈: 튼튼한 몸, 슬기로운 마음, 앞서가는 기능·기술인
  • 교목: 은행나무
    파일:교목 은행나무1.gif
  • 교화: 개나리
    파일:교화 개나리.gif

3. 교가

파일:txt_sub01_02_05.gif

안양중학교와 가락은 똑같고, 가사도 거의 비슷하다.

4. 연혁

  • 2022년 3월 학과개편(패션소재디자인과, 화학공업과, 전기제어시스템과, 스마트팩토리기계과, 3D건축디자인과, 건설기술행정과, XR융합응용학과, 반도체CS엔지니어과, 드론부사관과)
  • 2022년 1월 5일 2022 신입생 127명 입학
  • 2021년 3월 2일 151명 신입생 입학
  • 2021년 1월 13일 제69회 졸업식 192명 졸업 (누계33,351명)
  • 2020년 학과 개편 (패션소재디자인과,화학공업과,전기제어시스템과,전자기계과,3D건축디자인과,건설기술행정과,XR융합응용학과,반도체CS엔지니어과)
  • 2020년 3월 2일 제71회 입학식(130명)
  • 2020년 1월 10일 제68회 졸업식 289명 졸업 (누계: 33,159명)
  • 2019년 3월 4일 179명 신입생 입학
  • 2019년 2월 11일 제67회 졸업식 334명 졸업 (누계: 32,870명)
  • 2018년 3월 1일 제23대 김용욱 교장 취임
  • 2018년 2월 9일 제66회 졸업식 347명 졸업 (누계: 32,536명)
  • 2017년 3월 2일 379명 입학
  • 2017년 2월 8일 제65회 졸업생 406명 (누계: 32,191명)
  • 2015년 3월 2일 제22대 김용욱 교장 취임
  • 2014년 학과 개편 (신소재화학공업과, 전기제어시스템과, 건축토목과, 전자기계과)
  • 2010년 학과 개편 (섬유소재디자인과, 전기제어시스템과, 건축디자인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전자기계과, 바이오화장품과학과, 지형공간시스템과)
  • 2003년 8월 7일 학과 개편 (섬유디자인과, 전기제어시스템과, 건축디자인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생명환경화공과, 건설정보과, 전자기계과)
  • 1998년 3월 1일 기계과 2학급 축소, 전자기계과 신설
  • 1990년 3월 1일 공고 부설 직업 과정 위탁 교육 설치 운영
  • 1986년 3월 1일 방직과를 섬유과로 과명 변경
  • 1978년 3월 1일 토목과 및 산업체 특별학급 신설
  • 1969년 3월 1일 화공과 신설
  • 1964년 3월 1일 기계과 신설
  • 1962년 3월 1일 건축과 신설
  • 1951년 8월 31일 학제 변경으로 3 년제 공업 고등학교로 개편(염직과, 전기과)
  • 1948년 3월 15일 시흥학원 안양중학교 염색과 6년제 6학급 개교

5. 시설

정문 앞 학교사진
파일:main_bg_1.jpg

5.1. 본관

파일:main_bg_2.jpg
[3]
[4]

5.2. 새롬관

파일:main_bg_3.jpg
[5][6]

5.3. 가온관

파일:main_bg_4.jpg
[7]

5.4. 종합복지관(체육관)

파일:main_bg_5.jpg

그 밖에도 학교 부지의 절반 가랑을 차지하는 축구장, 그리고 그 옆에 부설된 농구장과 역사관, 승리관[8], 헬스장 등이 있다.

6. 학과

  • 2020년 학과 개편 (XR융합응용학과, 건축토목과)
  • 2014년 학과 개편 (신소재화학공업과, 전기제어시스템과, 건축토목과, 전자기계과)
  • 2010년 학과 개편 (섬유소재디자인과, 전기제어시스템과, 건축디자인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전자기계과, 바이오화장품과학과, 지형공간시스템과)
  • 2003년 8월 7일 학과 개편 (섬유디자인과, 전기제어시스템과, 건축디자인과, 컴퓨터응용기계과, 생명환경화공과, 건설정보과, 전자기계과)

6.1. 패션소재디자인과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_패션소재디자인과.jpg

6.2. 화학공업과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_화학공업과.jpg
현재 2학년이 없다

6.3. 전기제어시스템과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_전기제어시스템과.jpg
보통 승강기기능사,전기기능사를 취득한다. 승강기 기능사는 90%의 학생들이 취득한다. 전기기능사는 30%정도의 학생만 취득한다. 실력 차이

기능반을 운영하고 있다 [9]

3학년 2학기 부터는 취업해서 학교에는 시험날에만 오고 그 외는 일하러 간다.

남녀 성비는 보통 10:0이다. 가끔 한두명의 여자가 들어오기도 한다.-사실상 남초

6.4. 전자기계과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_전자기계과.jpg

6.5. 3D건축디자인과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_3D건축디자인과.jpg

6.6. 건설기술행정과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_건설기술행정과.png

6.7. XR융합응용학과

파일:XR.jpg
[10]

6.8. 반도체CS엔지니어과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_드론부사관과.jpg

6.9. 드론부사관과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_반도체CS엔지니어과.jpg

7. 축구부

안양공고에서 가장 유명한 것은 다름 아닌 축구이다.

1970년에 안양공고 축구부가 창단되었다. 이보다 앞선 1967년에 국가적으로 유소년 축구를 키우기 위해서 안양중학교에 축구부를 만들었는데 이들이 좋은 성적을 내며 활약하였다. 그런데, 이들이 중학교 졸업 후 딱히 갈 곳이 없게 되어 버린 문제가 발생하면서, 이 졸업생들을 받아들이기 위해서 안양공고에 축구부를 설립하였다. 그리고, 안양고 축구부가 창단된지 3년만에 전국고교축구선수권과 전국추계고교축구연맹전 우승을 차지했고, 이후에도 계속 좋은 성적을 내며 고등학교 축구 명가로써 이름을 날렸다. 안양시 내에서도 매우 큰 인기를 얻어 안양공고 경기날에 만명의 관중이 입장하기도하고 지금의 원정버스처럼 원정경기날 버스를 통으로 빌려 재학생,시민들이 원정을 떠나는 등 안양시 내에서도 인기 있었던 축구부였다. 그 이후 안양 내에서 프로구단이 생기고 안양공고 축구부의 인기가 안양LG의 인기로 이어졌다. 현재도 다수의 축구선수들이 K리그에서 활약하고 있다.

1996년 안양 LG 치타스가 안양으로 연고지를 옮기며 후원 관계를 맺고 적극적인 투자를 받았다. 이 시기 안양 LG 치타스와 호의적인 관계를 맺으며 졸업생의 대부분의 선수들이 안양 LG에서 프로 데뷔를 했다. 이 시기를 대표했던 선수들 중 이영표, 김동진, 이지남 등은 국가대표팀에도 선발될 만큼 뛰어난 기량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구단이 2004년 서울로 연고지를 옮기며 후원이 끊겼고, 그렇게 침체기를 겪었다. 그러다 2013년 12월 26일에 지역 시민 구단인 FC 안양과 후원을 맺으며 프로 팀과 10년 만에 계약을 맺었다. 2014년부터 K리그 주니어로 편입해 프로 산하 유스팀으로서 혜택을 받고 있다.

2021년 창녕에서 열린 제 54회 대통령금배 전국 고교 축구대회에서 공동 3위를 달성했다. 2024시즌부터는 FC 안양의 자체 클럽팀이 되었다.

8. 출신 인물

9. 교복

파일:1232132131256566.jpg[12]

동복-마이와 바지 혹은 치마의 색이 검은색으로 같다. 그리고 넥타이를 착용하지않는다. 간혹가다 넥타이를 끼는 학생의 모습이 보인다 조끼가 아닌 가디건을 입는다.하지만 가끔 가디건이 아닌 조끼를 착용하는 학생들도 종종 보인다.

하복-셔츠와 티셔츠 둘중에 하나를 착용하며, 남성의 경우 바지나 반바지를 입는다. 여성의 경우에는 치마를 입거나 바지를 입기도 한다.

체육복은 원래 착용했었으나 현재는 사복을 계속 착용한다.

현재 학생부가 강화되어 등교시 교복을 안입으면 처벌을 쎄게 받는다.

10. 진로

  1. 취업

    1. 대부분이 3학년 7월 즈음에 취업을 하게 된다.대부분이 중소기업에 취업하고 드물게 대기업 공무원(특별전형)시험 으로 성공한 사람도 있다.
  2. 대학진학

    1. 보통 2년제 대학에 입학하게 된다. 드물게 4년제도 들어간다.

11.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파일:안양공업고등학교_찾아오시는길.jpg

11.1. 지하철

11.2. 버스

12. 여담

  • 안양에서 가장 오래된 학교이다.
  • 학교 크기가 상당히 크다. 작은 대학교 수준이다.
  • 학교 전 구역에 있는 정수기들이 하나같이 나사가 빠져있다. 수압이 극단적으로 약한 곳부터 수압이 너무 쎄서 문제가 있는 곳이라던가 물에서 쓴 맛이 난다거나 툭하면 얼고 배수구가 막혀있다거나...
  • 신관에 있는 일부 화장실은 잠겨서 사용하지 못 한다. 이유는...
  • 학교에서 자격증 시험이나 큰 시험같은 걸 자주 치른다. 아마도 학교가 크고 시설을 잘 해놔서 자격증 시험을 치르기에 적합하기 때문인 듯
  • 학교에서 조금 걸어오다보면 안양역이 있고 버스정류장도 있어 대중교통으로 등하교하는 학생들에게는 편리하다.
  • 학교 근처 안양일번가에서 놀 수 있다.
  • 2022년에 매점 운영 사정으로 인하여 매점이 사라졌다.
  • 간혹 주택가 방향 쪽 창문이 폐쇄되어있는데 이는 학생들의 고성 때문에 폐쇄됐다고 전해진다.
  • 2012년까지 모래운동장 이었다가 2012년 공사 시작 후 2013년에 잔디구장으로 변경 되었다. 이전에는 운동장에 철창이 없어서 이동하기 편리했으나 철창설치 이후 빙 돌아가는 일이 많아졌다.
  • 수업은 30분정도 수업하고 20분정도 쉬는시간 주는편,

[1] 1948년에 6년제 중학교로 개교하였다가, 1951년에 3년제 공업고등학교로 개편되었다.[2] 안양3동 881-3[3] 전자기계과(스마트팩토리기계과) 교무실, XR융합응용학과 교무실과 붙어있다.[4] 복도가 굉장히 길다.100미터 달리기 해도 충분 할듯 하다[5] 사진으로 보이는 건물에서 뒤로 이어지는 건물로 이동할 수 있다. 계단 바로 옆에 갈 수 있는 통로가 있어서 3층에서 전기제어시스템과, 2층에서 패션소재디자인과로 이동할 수 있다.[6] 뒤에 길게 이어진 건물에는 패션소재디자인과와 화학공업과, 전기제어시스템과가 있다. 매점 또한 이 건물에 붙어있다.[7] 가온관은 제2교무실과 학교시설관리실이 위치하고 있다. 가온관과 연결되어 있는 라온관에는 학교식당, 과학실, 미술실, 멀티미디어실 등의 특별실이 있다.[8] 축구부 기숙사[9] 기능반생은 주로 수업에 참여하지 않고 과사무실 뒷편에 실습실에서 생활한다.[10] 2020년 신설되었다.[11] 전기과 졸업[12] 남자 동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