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울릉고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colbgcolor=#404a9e><colcolor=white> 울릉고등학교 鬱陵高等學校 Ulleung High School | |
| | |
| <nopad> | |
| 개교 | 1954년 5월 18일 |
| 유형 | 단설 종합고등학교 |
| 성별 | 남녀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김상현 |
| 교훈 | 자주인 창조인 덕성인 |
| 교화 | 동백꽃 |
| 교목 | 후박나무 |
| 학생 수 | 80명[1] |
| 교직원 수 | 23명[2] |
| 관할청 | 경상북도교육청 |
| 주소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울릉순환로 236[3] |
| 홈페이지 | |
1. 개요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에 있는 공립 종합고등학교.울릉군 내의 유일한 고등학교이자 대한민국에서 가장 동쪽에 위치한 고등학교다.
2. 학교 연혁
- 1954년 5월 18일 울릉수산고등학교 설립 인가(어로과 3학급)
- 1955년 12월 16일 울릉중학교와 병합
- 1970년 1월 31일 울릉종합고등학교로 개편 인가(어로,보통,가정 각 3학급)
- 1970년 12월 30일 구관 교사 신축(9교실)
- 1971년 2월 25일 본관 교사 증축(9교실)
- 1971년 3월 14일 현 위치로 학교 이전
- 1973년 12월 1일 학칙 변경(가정과 폐지, 어로, 보통과 각 3학급)
- 1975년 3월 1일 울릉중학교와 분리
- 1981년 5월 15일 실습선 403호(83톤) 신조
- 1981년 10월 6일 학칙 변경(어로과 3학급, 보통과 남녀 각 6학급)
- 1983년 4월 1일 실습선 403호 포항수산고등학교로 이전
- 1983년 10월 22일 신관교사 증축(6교실)
- 1985년 12월 7일 실습용 레이더 및 LORAN 설치
- 1997년 2월 24일 급식학교 지정(지정번호 16-892, 벽지형)
- 1998년 4월 6일 급식 실시(울릉중, 우산중과 공동 급식)
- 1998년 9월 15일 학과 개편(해양생산과, 정보처리과, 보통과)
- 2001년 1월 17일 동백관 준공(식당, 기숙사, 사택)
- 2003년 9월 4일 봉래도서관 개관(장서8,800권, 컴퓨터 7대, CD 188종)
- 2007년 8월 13일 자율학교 지정(2008.03.01 ~ 2013.02.28, 5년)
- 2010년 3월 1일 울릉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 2012년 8월 22일 자율학교 지정(2013.03.01 ~ 2016.02.29, 3년간)
- 2014년 3월 3일 비즈쿨 도전학교 선정
- 2021년 1월 6일 제67회 졸업식(졸업생 21명, 누계:5,601명)
- 2021년 3월 1일 제35대 권오진 교장 취임
- 2021년 3월 2일 제70회 입학식(31명)
3. 학과
- 보통과
- 경영회계과
- 해양레저과
4. 학교 상징
4.1. 교훈
- 자주인 창조인 덕성인
4.2. 교화
4.3. 교목
4.4. 교가
| 비 구름 피어나는 성인봉 기슭 동해의 파도 소리 한결 맑은 곳 드높이 솟아있는 늠름한 탑은 대한을 길이 빛낼 우리의 모교 우산의 정기 모은 아침 햇살에 씩씩히 걸어가는 울릉고등학교 최서홍 작사 / 홍필열 작곡 |
5. 학교 특징
- 울릉군 유일의 고등학교. 일단 울릉도에 살게 되면, 중/고등학교는 어디에 다닐 지 정해진다. 그 이유는 울릉도에는 중고등학교가 각각 한 곳밖에 없기 때문. 그래서 6년제 울릉중고등학교라는 별명이 있다. 실제로 울릉고등학교 진학 내역을 보면 거의 대부분이 포항 등에서 이사온 게 아니면 울릉중학교에서 온다.
- 수능은 여기서 치르지 않아서 이 학교에 다니는 학생들은 모두 배를 타고 포항 등의 외지로 나가서 수능을 치러야 하는데, 이를 위해 수능 전날에는 등교를 하지 않는다.
- 지역민들 사이에선 종합고등학교의 준말인 '종고'로 자주 불린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