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반여고등학교 | ▣ 부산기계공업고등학교 | ◈ 부산문화여자고등학교 | 부산센텀여자고등학교 | ◈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 |
부흥고등학교 | 센텀고등학교 | 신도고등학교 | 양운고등학교 | ◈ 영산고등학교 | |
해강고등학교 | ※ 해운대고등학교 | ◈ 해운대관광고등학교 | 해운대여자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 |||||
학교 틀 둘러보기 |
<colbgcolor=#0b58a6><colcolor=white>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BUSAN NAVAL SCIENCE TECHNICAL HIGH SCHOOL | |
| |
<nopad> | |
개교 | 1975년 2월 24일 |
유형 | 특성화 고등학교 |
성별 | 남자고등학교[1] |
형태 | 공립 |
교장 | 정인식 |
교감 | 이철규 |
교훈 | 성실 협력 창조 |
교화 | 국화 |
교목 | 은행나무 |
학생 수 | 371명[기준] |
교직원 수 | 52명[기준] |
관할교육청 | 부산광역시교육청 |
주소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469번길 96 (우동) |
홈페이지 | # |
1. 개요
<nopad> |
⇧ 2024년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홍보영상 |
해운대공업고등학교였으나 2025년에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로 전환 개교했다.
학교 홈페이지 링크: #
학교 유튜브 링크: #
학교 인스타 링크: #
2. 학교연혁
1979년 11월 27일 동부산고등기술학교 설립 인가1980년 3월 2일 동부산고등기술학교 개교
1982년 8월 18일 동부산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1993년 10월 22일 해운대공업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002년 9월 1일 공립전환
2007년 2월 16일 교육청 주제장학 표창
2007년 2월 28일 교육청 학교평가 우수표창
2007년 8월 27일 부산광역시교육청 특성화교등학교지정
2008년 3월 1일 조선기자재 특성화고등학교로 전환
2009년 1월 1일 노동부지원 2009년 특성화고 취업지원기능 확충사업 운영학교 선정
2009년 12월 31일 학교평가 최우수상 수상
2017년 12월 5일 자율학교 재지정
2024년 3월 29일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결정
2025년 3월 1일 부산해군과학기술고 개교
3. 학교 상징
3.1. 교표
|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로고 |
|
<rowcolor=#fff> 교표 |
3.2. 교훈
성실 • 협력 • 창조 誠實 • 協力 • 創造 |
교훈 |
3.3. 교목 및 교화
| |
<rowcolor=#fff> 교목 | 교화 |
4. 특징
학과는 해군전기전자과와 해군기계과 2개가 있고 각 3개 학급, 총 여섯학급으로 이루워져 있다.학생은 한학급당 16명, 학년당 96명이다.
남학교며 기숙사가 완공되고 나면 여학생도 일부 입학가능하다고 한다.
졸업과 동시에 해군부사관으로 임관을 하며 해군전기전자과를 졸업하면 전기, 전자 직별, 해군기계과를 졸업하면 추기, 보수 직별로 임관한다.
희망인원은 추가로 무장, 사통 직별을 선택이 가능하다.
5. 입학 시 혜택
5.1. 학교 지원 복지 및 혜택
5.1.1. 피복 지급
지급되는 정복은 얼핏 보기에 해군 정복과 유사하지만, 육군 정복과 유사하게 옷깃에 무궁화금장이 있으며, 동정복에서 수장이나 정근장 대신 견장을 사용하는 등 다소 차이가 있다.5.2. 해군 지원 복지 및 혜택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6.2. 지하철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장교 | |
<colbgcolor=#1e5099>생도 | 사관학교(육군/해군/공군/간호/육군3) | |
후보생 | 학군사관 | 학사사관 | 간부사관 | 전문사관(의무/수의/법무/군종/과학기술) | |
기타 |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기본병과장교 | 특별임관 | 현지임관 | |
폐지 | 갑종간부후보생 | 석사장교 | 군사학교(군사영어/육군종합/호국군/육군2/해군2/공군2/해병) | |
준사관 | ||
후보생 | 기술·행정준사관 | 항공운항준사관 | 항공요격통제준사관 | 항공무기통제준사관 | |
폐지 | 통번역준사관 | |
부사관 | ||
민간/현역 | 공군항공과학고등학교 | 민간부사관(육군/해군/해병/공군) | 학군부사관 | 부산해군과학기술고등학교 | 육군 특전부사관 | |
현역 | 현역부사관 | 임기제부사관 | |
기타 | 예비역의 현역 재임용 | 사관학교 퇴교자 | |
폐지 | 을종간부후보생 | 교육대학 병역특례 | 일반하사 | 단기하사 | 금오공고 301학군단 | |
둘러보기: 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공무원 공개경쟁채용시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