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경주고등학교 | ◈ 경주공업고등학교 | ◈ 경주디자인고등학교 | 경주여자고등학교 | ◈ 경주여자정보고등학교 | |
경주예일고등학교 | ◈ 경주정보고등학교 | 경주화랑고등학교 | 계림고등학교 | 근화여자고등학교 | |
무산고등학교 | 문화고등학교 | ◈ 삼성생활예술고등학교 | 선덕여자고등학교 | 신라고등학교 | |
◈ 신라공업고등학교 | ◈ 안강전자고등학교 | ▣ 한국국제통상 마이스터고등학교 | ◈ 효청보건고등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운영기관 Industry-academia-integrated apprenticeship school |
|
경주공업고등학교[1] 慶州工業高等學校 Gyeongju Technical High School | |
| |
<colcolor=#ffffff><colbgcolor=#000000> 교훈 | <colcolor=#000><colbgcolor=#fff> 생각하자, 알아내자, 만들어내자 |
개교 | 1932년 11월 1일 |
유형 | 특성화고등학교 |
계열 | 공업 |
교장 | 배용수 |
성별 | 남녀 공학 |
운영형태 | 공립 |
교화 | 영산홍 |
교목 | 낙우송 |
관할교육청 | 경상북도교육청 |
주소 | 경상북도 경주시 금성로 209 (사정동) |
홈페이지 | |
학교알리미 | |
웹사이트 | |
1. 개요
경주공업고등학교 공식동영상 |
학과는 스마트융합기계과, 전기에너지과, 스마트전자과 총 3개로 구성되어 있다.
1932년 11월 1일에 개교하여 현재 [age(1932-11-01)]년의 역사를 지닌 학교이다.
2. 연혁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날짜 | 연혁 |
1932년 11월 1일 | 경주공예실수학교로서 황오동에서 개교 |
1945년 9월 1일 | 경주 공립초급중학교로 개칭 |
1947년 8월 8일 | 경주공업중학교로 개칭 |
1949년 8월 30일 | 사정동 현 위치로 이전 |
1951년 9월 25일 | 3년제 4학급(토목,화학공업,요업,건축) |
1951년 9월 25일 | 경주공업고등학교로 개칭 |
1994년 9월 15일 | 공동실습소 실습장 및 기숙사 착공 |
1996년 1월 11일 | 강당 준공 |
2003년 12월 18일 | 석등관(학생 생활관) 개관 |
2011년 7월 12일 | 학칙변경 (건설환경2, 기계자동차2, 전기에너지2, 전자제어2,) |
2012년 6월 14일 | 다목적관 준공 |
2016년 1월 6일 | 체육관(청람관)리모델링 |
2016년 03월 1일 | 2016학년도 경상북도 교육청 자체 지정연구학교(산학일체 도제형 직업교육 2016.3.1~2018.2.28) |
2019년 2월 25일 | 제68회 졸업식(졸업생 199명)) |
2019년 3월 1일 | 학칙변경(드론측량토목 1, 폴리메카닉스 2, 전기에너지 2, 전자제어 2) |
2019년 3월 1일 | 제28대 이국필 교장 부임 |
2020년 3월 1일 | 학칙변경(드론측량토목1, 폴리메카닉스2, 전기에너지2, 스마트전자2) |
2022년 2월 4일 | 제 71회 졸업식(졸업생 80명) 졸업생 누계 : 24,882명 |
2022년 3월 1일 | 학과 변경(폴리메카닉스→스마트융합기계과) |
2022년 3월 2일 | 제74회 입학식(입학생 114명) |
3. 학교 상징
3.1. 교훈
생각하자, 알아내자, 만들어내자 |
3.2. 학교 상징
교표 | 교기 | 교목 | 교화 |
| | | |
낙우송 | 영산홍 |
3.3. 교가
경주공업고등학교 교가 | ||
김용호 작사 | 신원식 작곡 | |
아득한 동해 위에 먼 동이 트면 옛 서울 신라의 땅 그리운 모습 참란한 문화의 꽃 길이 빛나듯 싹 돋는 새 역사를 넓게 펼치자 오오 빛나라 우리 학교 길이길이 빛나라 길이 빛나라 |
4. 학과
경주공업고등학교 학과 | |||
스마트융합기계과 | 전기에너지과 | 스마트전자과 |
4.1. 스마트융합기계과
스마트융합기계과 | |
| |
교육 과정 | <colbgcolor=#ffffff,#191919>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학생중심 교육활동과 스마트팩토리 및 4차혁명시대에 부응하는 자동화 로봇 기술교육을 중점으로 미래형 로봇설계 기술인을 양성 |
취득가능 자격증 | 컴퓨터응용선반기능사 | 컴퓨터응용밀링기능사 | 전산응용기계제도기능사 생산자동화기능사 | 피복아크용접기능사 | 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기능사 기계가공조립기능사 | 공유압기능사 | 컴퓨터응용가공산업기사(과정평가형 자격증) |
4.2. 전기에너지과
전기에너지과 | |
| |
교육 과정 | <colbgcolor=#ffffff,#191919> 전기를 제어하고 에너지관련을 교육과정에 운영함으로써 미래산업를 지향하고 있다. |
취득가능 자격증 | 전기기능사 | 승강기기능사 | 공유압기능사 | 생산자동화기능사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 정보처리기능사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지게차운전기능사 | ITQ |
4.3. 스마트전자과
스마트전자과 | |
| |
교육 과정 | <colbgcolor=#ffffff,#191919> 4차 산업혁명 분야 창의적 융합기술에 부합하는 전기 전자시스템 설치, 제어, 운용, 유지관리 및 정보통신 네트워크 기술분야의 전문기술 인재 양성. |
취득가능 자격증 | 전자기기기능사 | 전자캐드기능사 | 전자계산기기능사 | 정보처리기능사 | 정보기기운용기능사 | 3D프린터운용기능사 컴퓨터활용능력 | MOS |
- 학과에 대한 선택은 취업과 학습의 난이도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적성이 가장 중요하다. 실제로 실습을 해 보거나 실습운영형태를 살펴보고 결정하는 것이 현명하다
실습시설이 매우 좋아 기능사의 필기를 합격해 오면 실기지도를 해 주시나 마이너 또는 합격율이 떨어지는 자격증이라면 선생님도 자격증이 없어 독학해야 한다.
교실 또한 리모델링으로 산뜻하고 깨끗한 환경이다.
사물함은 2021년에 모두 교체되었고 교실 문과 칠판도 전부 교체를 하였다.
기능사나 기사 시험등을 월 2~3회씩 하고 있는 점도 접근성이 좋고 시설이 좋기 때문이다.
실습실 구경도 언제나 가능하다. 학과 사무실이나 교무부에 사전에 연락을 하면 주말에도 개방하여 볼 수가 있다.
(교무실 : 054-778-7810)
5. 학교 생활
- 경주공고는 남여 공학이다. 2022학년도 6월 현재 전체 300여명중에 여학생의 비율은 약 15%이다.
- 2021학년도에는 학교를 리모델링을 실시하여 최신화되어 있다.
- 실습을 많이 하는 학교이기에 앉아서 공부만 하는 학생은 힘들수도 있다. 하지만 움직임을 좋아하는 학생들에게는 기술을 배울 수 있는 학교이다.
6. 학교 시설
6.1. 석등관(기숙사)
경주공고 기숙사는 2021년 리모델링하였다.석등관은 3층으로 이루어져 있고 1층에는 사감실과 빈 방이 있다. 2층에는 1학년이 주로 있고 3층엔 2학년이 있다. 3학년은 공동실습소 생활관에서 생활한다. 즉, 석등관이라는 기숙사는 현재 1학년과 2학년만 생활하고 있다. 석등관에는 공용샤워실, 공용화장실, 자습실, 휴게실 등이 있는데 하도 더럽게 써서 상태가 좋지 않다. 2025년 기준 석등관은 하나의 방을 3,4명이서 같이 사용한다. 기숙사 각 방마다 천장형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고 보일러도 있다. 통금시간은 8시 30분까지며 사유가 있다면 조금 늦게 들어와도 괜찮다.
6.2. 공동실습소 생활관(기숙사)
3학년이 현재 생활중이며 방마다 화장실이 있다.석등관과 비슷하다.
7. 출신인물
- 고영훈: 제7대 인천광역시 계양구의회 의원
- 구홍일: 제9대 경찰청 차장, 대통령비서실 치안비서관, 경북지방경찰청장, 경기지방경찰청, 제7대 도로교통안전관리공단 이사장
- 김상도(1970)
- 손경익
- 이상두: 제14대 국회의원
- 이상효: 제9대 경상북도의회 의장
- 이진구: 제4, 5대 경주시의회 의장, 제2, 3, 4, 5대 경지수의회 의원
- 최병준: 제10, 11, 12대 경상북도의회 의원, 제3, 4, 5대 경주시의회 의원
8. 이용 가능한 교통편
8.1. 버스
고속버스.시외버스터미널 (01044·01045) |
시외버스터미널에서 5분정도 걸어야 학교가 있다.
경주공고는 시외버스터미널을 이용하여 포항, 양산, 울산에서 올 수 있으며, 부산, 대구, 경산 등지에서도 통학이 가능하다.[2] 경주시내에서는 대부분의 버스가 터미널을 경유하기 때문에 접근성이 매우 좋다.
8.2. 고속국도
고속도로로 들어올 경우에는 경주 톨게이트에서 5분여 거리이다.8.3. 기차
경주역에서 학교까지 30분정도 소요된다.9. 여담
- 모든 예산은 2022혁신사업으로 진행되고 있다.
- 경주공고는 옛날에 흥륜사라는 절터였다. 현재도 "석등"이 있어서 석등제, 석등관, 석등회 등을 사용하고 있다.
- 옛날 서라벌때 가장 좋은 터에 절을 세웠다.
- 남쪽으로 경주남산이 보이고 근처에 형산강이 흐르고 있어 풍수지리로 볼때 이만한 좋은 터가 없다.
- 본관은 남향으로 햇빛과 바람이 매우 좋은 형상에 위치해 있다.
- 경주 현지사람도 경주공고의 존재를 잘 모른다. 보통 경주공고라고 말하면 신라공고로 알아듣는다.
- 도제학교를 운영하지만 막상 신청하는 학생들이 없다.[3][4]
- 이륜차에 굉장히 엄격하다.[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