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단양고등학교 | ◈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
학교 전경 |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Hotel Tourism High School | |
| |
<colcolor=white> 개교 | <colbgcolor=#f5f5f5,#2e2f34> 1945년 5월 1일 |
유형 | 특성화고등학교 |
성별 | 남녀 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김진수 |
교화 | 철쭉 |
교목 | 은행나무 |
학생 수 | 162명 (2025학년도 기준) |
교직원 수 | 27명 (2025학년도 기준) |
관할청 | 충청북도교육청 |
주소 | 충청북도 단양군 북상하리길 69 |
홈페이지 | http://www.hoteltourism.hs.kr |
1. 개요
충청 · 강원권 유일 전국 단위 모집, 공립 기숙형 관광 · 조리 특성화 고등학교
충청북도 단양군 북상하리길에 있는 공립고등학교로 1945년 개교하여 2013년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로 교명을 변경하였다.2. 학교 연혁
<colcolor=white> 날짜 | <colbgcolor=#f5f5f5,#2e2f34> 연혁 |
1945년 5월 1일 | 단양공업중학교 설립인가 |
1952년 5월 22일 | 단양공업고등학교 인가(광산과 1학급) |
1959년 4월 1일 | 여자 인문계 설치(가정과) |
1968년 11월 30일 | 가정과 폐과, 화공과 신설 |
1972년 12월 1일 | 보통과 설치 |
1974년 6월 12일 | 교사 이전(하방리에서 북하리) |
1978년 10월 31일 | 광산과 폐과, 토목과 신설 |
1984년 3월 1일 | 보통과 폐과 |
1986년 10월 6일 | 화공과 남1, 여1학급 증설(토목6, 화공12) |
1987년 12월 18일 | 기숙사 준공 |
2005년 3월 1일 | 토목과 3학급, 화공과 6학급 |
2013년 3월 1일 | 한국호텔관광고등학교 교명 변경(호텔외식조리과 1학급, 관광비즈니스과 1학급) |
2017년 9월 1일 | 제31대 장경환 교장 취임 |
2019년 1월 11일 | 제65회 졸업(졸업생 63명, 졸업생 누계 10,052명) |
2019년 3월 1일 | 관광비즈니스과 1학급 증설 |
2019년 3월 4일 | 2019년 신입생 입학(67명) (호텔외식조리과 22명, 관광비즈니스과 45명) |
2022년 3월 2일 | 2022년 신입생 입학(63명) (호텔외식조리과 22명, 관광비즈니스과 41명) |
2024년 3월 4일 | 2024년 신입생 입학(59명) (호텔외식조리과 20명, 관광비즈니스과 39명) |
2024년 9월 1일 | 제34대 김진수 교장 부임 |
3. 학교 상징
3.1. 교훈
자율(自律) · 책임(責任) · 최선(最善)Learn & Run, 나의 꿈이 미래가 되는 학교
3.2. 교화
철쭉 「다섯개의 철쭉 꽃잎은 교육을 위한 학교구성요소의 조화로운 발전을 의미」3.3. 교목
은행나무 「은행나무의 근면성과 적응력은 어려운 여건에서도 꿋꿋하게 성장하는 교육 정신을 의미」4. 학과
- 관광비즈니스과
- 호텔외식조리과
5. 학교 특징
학교 앞에는 죽령천이 흐르고 뒤로는 두악산(732m)이 있는 전형적인 배산임수 지역에 위치하고 있다.6. 학교 시설
- 본관
- 관광실습동
- 조리실습동
- 탁오관(강당)
- 남자기숙사
- 여자기숙사
7. 출신인물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8.1. 버스
북하리와 북상리에서 연계되며, 대강쪽에서 오는차량은 북상리, 단성쪽에서 오는차량은 북하리에서 타는게 효율적이다.제천,충주,청주와 달리 노선번호가 기재되지 않는다.
대강 방면에서 오는 버스노선 음지마을,죽령,당동-단양[A] 사동,남조,올산-단양[A] 방곡-단양 |
단성 방면에서 오는 버스노선 양당-단양 벌천,모여티-단양[A] 방곡-단양[5] 단성-단양 하진-단양 |
북하리 단양방면에서 탑승시 대강방면으로 가는차량도 대부분 경유하므로, 행선지판과 전광판을 확인하고 타야된다.[6]
단. 이건 북하교 건너기전 정류장을 말하며, 다리건너 큰도로쪽에 정류장이 하나 더 있으며, 거기서부터 단양가는버스는 전부 같은경로로 운행하기에 오는거 아무거나 타면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