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8:13:52

부산 버스 86

부산 버스 586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10px 0"<tablebordercolor=#39f>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버스 노선
}}}
[[틀:부산광역시의 좌석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3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5007F; font-size: 13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99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2 3 5-1 6 7 8
9 10 11 15 16 17
20 22 23 24 26 27
29 30 31 33 33-1 36[A]
37[A] 38[A] 39 40 41 42
43 44 46 49 50[A] 51
52 54 55[A]
55-1[C]
55-2 57
58[A] 58-2 59 61 62 63
67 68 70 71 73[B] 77
80 81 82 83
83-1[A]
85
86 87 88 88-1 90 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00~583번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00 100-1 101 103 105 106
107 108 109 110 110-1 111
111-1 113 115[A] 115-1 121 122[B]
123 124[A] 126 127 128-1 129-1
131 133 134 138 138-1 139
141 144 148 148-1 155 160
161 167 168 169 169-1 171
172 179 180[A] 181 182[A] 183[A]
184[A] 185[A] 186[A] 187[A] 188[A] 189
189-1 190 200 210 300[A] 301[A]
302[A] 307[A] 338 506 508 520[B]
583[A]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 ||
파일:bs86-ac.png

1. 개요2. 노선 정보3. 역사
3.1. 구.586번
4. 특징
4.1. 산복도로 노선4.2. 노선
5. 연계 철도역

1. 개요

삼성여객에서 운행하는 일반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39.7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2.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86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86 노선도.png
기점 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삼성여객종점) 종점 부산광역시 중구 남포동5가(자갈치역.비프광장)
종점
첫차 04:50 기점
첫차 05:55
막차 22:20 막차 23:25
평일배차 출퇴근 9분 / 평시 11분 주말배차 토요일 10분 / 공휴일 11분
운수사명 삼성여객 인가대수 18대[주말]
노선 삼성여객종점 - (→ 안락경동아파트 → 강변뜨란채입구 → 연산교[단독] →) - 연동시장 - 연산교차로 - 부산광역시청 - 양정역 - 송상현광장 - 부전시장 - 서면역.서면지하상가 - 범내골역 - 부산범천교회 - 성북고개 - 수정삼거리 - 수정아파트 - 부산컴퓨터과학고교 - 영주삼거리 - 부산디지털고 - 중구청·메리놀병원 - 국제시장 - 부산데파트 → 남포동 → 충무동해안시장 → 자갈치시장 → 부산데파트 → 이후 역순

3. 역사

  • 1964년 ~ 1969년 사이 영주동, 초량동, 수정동 고지대를 관통하는 영주로, 망양로, 증산로 산복도로가 개통된 직후 1969년에 개통되었으며, 당시 노선은 브니엘고 - 연산교차로 - 영남유지[3] - 송공삼거리 - 하야리야부대[4] - 부전시장입구 - 서면교차로 - 범곡교차로 - 성북고개 - 산복도로 - 영주아파트 - 메리놀병원 - 국제시장 - 시청 - 남포동 - 부평시장 - 보수동 / 삼익아파트 → 공설운동장[5]까지 운행을 하였으며 이후 1970년대 후반에 연산토곡으로 차고지 이전과 함께 연산토곡 - 연동시장 - 연산교차로로 노선으로 변경이 되었으며, 1980년대 초반 구덕운동장 - 동대신2동 - 대청공원입구까지 연장 운행되었다.[6]
  • 하지만 노선이 너무 길어 배차간격을 유지하기 힘들다는 이유로 충무동육교까지 단축 운행하였다. 그러나 대신동 주민들의 집단 민원으로 1986년에 과거 노선 그대로 86-1번 노선을 신설하게 되었으며 망미주공아파트를 경유하게 되었다.
  • 이 노선의 노선번호는 원래 86-1번이었다. 86번과 86-1번이 통폐합 되어 86번 노선은 폐지가 되고 86-1번 노선이 86번이라는 번호로 새롭게 운행하였다. 왕복 소요시간은 220분으로 당시 부산에서 운행시간이 가장 긴 노선들 중 하나였다.[7] 참고로 이런 긴 노선을 보유하고 있음에도 운행대수는 26대였기에 배차간격이 자주 벌어지곤 했다. 2000년대 중반 당시 운행 사진
  • 2007년 5월 15일 노선 굴곡이 지나친 데다가 비효율적이라는 지적을 차례 받은 끝에 충무동으로 단축되었다.[8] 준공영제 이전에 이 노선의 구간이었던 보수동 - 민주공원은 135번에 넘겨주고 범전동 구간은 103번에 넘겨주었다. 그리고 노선이 줄어든 만큼 인가대수도 함께 줄어들었다. 그래서 배차간격은 준공영제 전이나 지금이나 별 차이가 없다.
  • 2009년 8월 25일 망미주공 종점 구간을 87번에 넘기고 토곡사거리로 단축되었으며, 이와 동시에 기점행 지오플레이스 경유가 폐지되었다.
  • 2017년 1월 7일 충무동행 운행 시 안락경동아파트, 강변뜨란채아파트입구, 연산교 경유로 변경되었다.[9] 신설 이래 최초로 동래구로 진출하게 되었다. 하지만 이 영향 때문인지 대당 운송수입금이 약 61만원대에서 약 57~58만원대로 떨어진 상태다.

3.1. 구.586번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2005년 이전 노선 안내도
  • 특이하게 에어로타운 2대 전부 마을버스 도색이었다. 다만 면허는 정상적으로 시내버스 면허였다.[10] 이만 한 막장도 없었다. 폐선 직전에는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중고 차량인 BM090이 투입되기도 했다.
  • 86번 지선번호의 뜻으로 586번으로 신설되었는데 상당히 파란만장했던 삶을 보낸 노선으로 노선조정이 수시로 이루어질 정도로 레고노선 급이었다. 1998년도에는 망미주공에서 연산교차로까지 운행하면서, 86번/87번의 하프코스로 다녔다. 2000년도에 이 노선의 기점을 망미주공아파트에서 연산9동선경아파트까지 소폭연장해서 다니게 하였고 고분로쌍미천로를 경유하여 시청까지 연장하였다. 2대로 꾸준히 다녔으면 적어도 30분의 배차간격으로 운행이 가능했을 터인데 당시 운행업체인 삼성여객이 절대 정상적으로 운행시키지 않았을 터.
  • 그러던 2005년에 망미주공 일대 미경유 및 교통이 불편한 안락2동, 연산터널로 노선이 조정된 이후에는 그나마 정상적으로 운행을 하긴 했다. 신설 이례 최초 동래구를 진출하는 셈이며 인가대수는 2대였지만 2006년 이후로는 사실상 1대로 굴러다니는 실정이었고, 그러나 이 1대마저도 정상적으로 운행된 적이 거의 없었다. 그러나 준공영제 대개편 때 예상 밖으로 생존하게 되지만, 42번[11], 54번[12]87번샌드위치를 당하면서 2007년 8월 24일에 정식 폐선되었다.
  • 최초로 안락동으로 진출했을 시절에 한 버스 동호인 1명이 안락동 구간을 체험하고 싶어서 이 노선을 시승하였는데 문제는 당시 586번 승무원이 그 버스 동호인 승객을 토곡사거리에서 강제하차시킨 사실이 있어 상당히 논란이 되기도 했다. 그야말로 막장운행.[13]

4. 특징

  • 87번과 함께 토곡에서 연산교차로를 빠르게 이어주므로 연산역으로 가는 환승수요가 많으며 산복도로를 중심으로 해서 남포동과 서면을 직접적으로 연결해주는 노선이어서 수요가 많지만 산복도로 지역의 인구감소[14] 때문에 86번 뿐만 아니라 22번, 38번, 52번, 186번, 190번 등도 곤혹을 치르고 있으나, 86번의 경우 대당 운송수입금 또한 2016년 기준으로 부산시내 전체에서 상급 수준이며 적자를 기록하긴 했지만 대당 60만원 이상을 벌고있는 몇 안되는 노선이다.[15]
  • 단점이 있다면 출퇴근시간에 배차가 많이 벌어진다.[16] 이 덕분에 하위호환노선인 186번의 수요가 꽤 늘어났으나, 186번 역시 86번과는 다르게 최대 수요지를 애매하게 비껴가는 노선이라서 수요가 반감되었고, 추가적으로 세진여객의 영도영업소 철수 및 정관영업소 차량이동으로 인한 감차와 태종대까지 연장되는 바람에 배차간격이 엉망이 되어버리면서 186번은 다시 86번의 보조역할로 연명중이다.
  • 보통 범내골, 서면 일대와 송상현광장 일대를 잇는 노선들은 송상현광장 방면에 한해 동천로를 경유하지만 이 노선은 52번, 99번과 더불어 몇 안되는 송상현광장 방면으로도 동천로를 경유하지 않고 양방향 중앙대로를 경유하는 노선이다.[17] 게다가 2020년 5월 30일 이전에는[18] 이 노선이 유일했다. BRT 개통 전까지는 중앙대로가 상습정체 구간이라 연산동 방향은 이 곳에서 배차가 많이 벌어지곤 했는데, BRT 개통 이후 그런 문제 역시 해소되어 이 노선의 메리트가 대폭 상승했다. 따라서 다른 노선들과 어느 정도 차별성을 두어 서면 구간에서 토곡으로 가려는 승객들의 승차가 매우 많다.
  • 2017년 1월 7일 개편으로 온천천 연산교를 유일하게 통과하는 노선이 되었다.
  • 국제시장 상인들의 대중교통 노선 확충 민원으로 86번이 국제시장을 경유하는 것으로 검토되었으나 기존 승객들의 불편예상, 주차된 차량들로 인한 국제시장 일대 잦은 차량정체, 많은 유동인구로 인한 운행의 어려움, 국제시장 내 중구로가 협소한 이유로 대형버스가 운행하기에 매우 부적합하여 무산된 바 있다. 과거 해당 구간은 중구2번 마을버스가 편도로 운행하였던 구간인데 수요저조와 운행의 어려움으로 폐선된 이후 경유하는 노선이 하나도 없다. 현대 카운티로 운행하였던 노선도 중구로 운행이 어려웠는데 대형버스가 들어갈 수가 없는 구간이다.

4.1. 산복도로 노선

연산동 방향 기준으로 국제시장 앞 대청사거리부터 슬슬 경사가 있는 도로를 올라가기 시작하더니 중구청에서 잠시 숨을 고르다가 메리놀병원에서 범내골역까지 본격적으로 산길과 산복도로를 달린다. 대표적인 산복도로인 망양로의 남쪽을 190번이 이어준다면, 망양로의 북쪽은 이 노선이 이어준다. 이 덕분에 산복도로 부근에 사는 주민들에게는 그야말로 효자노선이자 생명줄이다.

190번 다음으로 산복도로를 거의 완주하는 노선 중 하나이며, 부산으로 여행을 온 사람들이 산복도로 위에서 서면에서 자갈치까지의 부산시내 전경을 둘러볼 수 있는 노선이라 경치가 좋은 편이라 외지인들에게는 산복도로 관광노선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부산 전체를 관망하고 싶다면 추천해 줄 만하다. 특히 맑은 날에 산복도로에서 보는 부산역과 부산항만, 영도는 산복도로에 올라온 보람을 느끼게 해 줄 정도로 장관이다.
물론 그 만큼 운행 난이도는 손에 꼽힐 정도로 높은 노선으로 초량동영주동 금호/동아아파트 사이 구간은 급경사 커브길이라 굉장히 위험한 구간이기도 하다.[21][22] 2022년 3월 16일 생활의 달인에 해당 노선을 운행하는 기사가 출연하기도 했다.

그래서, 중앙동/남포동 등지에서 서면으로 빠르게 갈 사람들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을 이용하거나 5-1번[23], 17번, 81번, 85번[24], 88번, 103번[25]등을 이용하자.

4.2.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86번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자갈치로
▲ 충무동 해안시장
구덕로
수산물품질관리부산지원 ▼▲ 남포동
중앙대로
제일은행앞 ▼▲ 부산데파트
대청로
새들맨션 ▼▲ 국제시장
중구로
중구청.메리놀병원 ▼▲ 중구청.메리놀병원
동영로
부산디지털고 ▼▲ 거북맨션
영주로
영주삼거리 ▼▲ 동아아파트
망양로
범내골역 ▼▲ 부산범천교회
중앙대로
연산교차로 ▼▲ 연산역.연제초교
반송로
경동아파트 ▼▲ 경찰전직지원센터
과정로
삼성여객(종점) ▼▲ 파크시티아파트입구
좌수영로안연로
▲ 안진초등학교
안남로
▲ 안락경동아파트
연안로
▲ 토곡한양아파트
좌수영로
}}}}}}}}} ||

5. 연계 철도역


[주말] 토요일 16대 / 공휴일 15대 운행[단독] 이 노선의 단독구간이다.[3] 현 시청[4] 현 부산시민공원[5] 현 구덕운동장[6] 연산동 방향은 서여고 → 화랑초 편도 운행[7] 이 외에 구.48번, 103번, 110-1번도 있었다.[8] 같은날에 운행소요시간 220분을 넘겼던 노선들 중 이 노선 외에 103번과 110-1번도 대거 단축되었고 거의 있으나 마나했던 48번은 아예 폐선되었다.[9] 연산9동 차고지행은 좌회전이 금지되어 어쩔 수 없이 충무동행 편도 노선만 변경되었다.[10] 그 반대로 계열사인 대진여객 구 503번의 경우에는 도색은 시내버스 도색이였지만 면허가 마을버스 면허였다. 그나마 태진여객으로 이관되고 나서는 정상적으로 시내버스 면허로 운행하게 되었다.[11] 안남초등학교 구간[12] 망미주공아파트 입구~고분로~연산역[13] 당시는 민영제였기 때문에 흐지부지되었지만, 2007년 5월 15일 준 공영제 시행 이후에 이랬다면 당연히 신고사유와 귀책사유가 된다.[14] 아무래도 산간지역이다보니 타 지역으로의 이동이 불편한 등 여러가지로 열악한 부분들이 많다. 특히 악천시에는 교통이 마비되어 발이 꽁꽁 묶이게 되는 것이 인구감소의 주 원인.[15] 대당 약 61만원을 벌고 적자노선들 중에서는 적자폭이 가장 적다. 참고로 수익순위로 15위를 기록했다. 바로 앞순위는 흑자노선 133번이며, 바로 뒷순위는 6번이다. 오히려 노선을 정리한게 신의 한수가 된 격.[16] 그래서인지 기사 성향에 따라 산복도로 구간을 서행하는 기사가 있는가하면, 엄청난 속도로 질주하는 기사들도 있다. 물론, 서면에 가까워 질 수록 교통체증에 의해 가끔가다, 기차놀이를 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17] 중앙대로를 통해 송상현광장 방면으로 가는 노선은 이 노선 말고 20번도 있지만 서면이 회차 지점이라 서면 방면은 동천로를 따라 중앙대로로 편도 순환 회차한다.[18] 52번99번은 이전에는 동천로를 경유하였다.[19] 굳이 버스만으로 간다면 42번, 57번을 타고 진시장까지 가서 26번, 27번, 41번, 134번으로 환승해서 가면 된다. 단 26번과 41번은 진시장을 양방향 경유하지 않는다.[20] 비슷한 이유로 영도나 송도에서 시청, 연산교차로 등 연산1동 ~ 연산6동 방면은 가까운 도시철도역에서 도시철도를 이용한 뒤 연산역에서 하차하여 다른 노선으로 환승하고, 연산9동 방면은 1006번이나 1011번을 이용한 뒤 올림픽교차로에서 100번 혹은 100-1번으로, 혹은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에서 하차한 뒤 벡스코 (09334) 정류장에서 307번으로 환승하여 이동할 것을 권장한다. 연산8동은 어디냐에 따라 다르며, 연산1동과 가까우면 도시철도를, 연산9동과 가까우면 1006번 혹은 1011번을 타고 가서 환승하면 된다.[21] 영주동에 속해있는 산복도로 구간들은 대체로 길이 좁아 상당히 아슬아슬하게 교행하는 편이다.[22] 일반차는 브레이크 과열만 조심하면 되지만 대형차는 공압식 브레이크를 쓰기 때문에 에어 압력의 적정 여부까지도 신경을 써줘야 한다.[23] 중앙대로가 아닌 충장대로를 완주하기 때문에, RH시간을 제외하면 서면까지 소요시간이 오래걸리지는 않는다.[24] 다른 버스와는 다르게, 범천동쪽으로 하여, 서면을 경유하므로 소요시간이 긴 편이다.[25] 초량안동네를 경유하기에, 타 버스에 비해 소요시간이 길다. 추가적으로, 2020년 5월 30일자로, BRT에 의해, 새싹로 방면 좌회전이 금지되어, 초읍방면으로 들어가는 방법이, 동천로 대중교통 지구쪽으로 변경되었기에, 탑승시 주의해야 한다.[충무동] 방향 한정. 연산9동 방향은 무정차 통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