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4 12:59:37

자이르 보우소나루

보우소나루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6a25, #009b3a 20%, #009b3a 80%, #006a25); color: #fedf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데오도루 다 폰세카 플로리아누 페이쇼투 프루덴치 지 모라이스 캄푸스 살리스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호드리기스 아우베스 아폰수 페나 닐루 페사냐 에르메스 다 폰세카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벤세슬라우 브라스 데우핑 모레이라 에피타시우 페소아 아르투르 베르나르지스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와싱톤 루이스 제툴리우 바르가스 조제 리냐리스 에우리쿠 가스파 두트라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툴리우 바르가스 카페 필류 카를루스 루스 네레우 하무스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주셀리누 쿠비체크 자니우 쿠아드루스 하니에리 마질리 주앙 굴라르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하니에리 마질리 카스텔루 브랑쿠 아르투르 다 코스타 이 시우바 에밀리우 가하스타주 메디시
제29대 제30대 제31대 제32대
에르네스투 가이제우 주앙 피게이레두 조제 사르네이 페르난두 콜로르
제33대 제34대 제35대 제36대
이타마르 프랑쿠 페르난두 카르도주 룰라 다 시우바 지우마 호세프
제37대 제38대 제39대
미셰우 테메르 자이르 보우소나루 룰라 다 시우바
}}}}}}}}}}}}
브라질 연방 공화국 제38대 대통령
자이르 메시아스 보우소나루
Jair Messias Bolsonaro
파일:자이르 보우소나루 대통령 공식 사진.jpg
<colbgcolor=#169947><colcolor=#ffd700> 출생 1955년 3월 21일 ([age(1955-03-21)]세)
브라질 합중국 상파울루주 글리세리우
재임기간 제38대 대통령
2019년 1월 1일 ~ 2022년 12월 31일
서명 파일:자이르 보우소나루 서명.svg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69947><colcolor=#ffd700> 부모 아버지 페르시 제라우두 보우소나루
어머니 올린다 본투리 보우소나루
형제자매 3남3녀 중 셋째
배우자 전처 호제리아 낭치스 (1978년 결혼 1997년 혼인무효)
전처 아나 크리스치나 발리 (1997년 결혼 2007년 혼인무효)
현처 미셸 보우소나루[1] (2007년 결혼)
자녀 장남 플라비우 낭치스 보우소나루[A]
차남 카를루스 낭치스 보우소나루[A]
삼남 에두아르두 낭치스 보우소나루[A]
사남 자이르 헤낭 보우소나루[5]
장녀 라우라 지파울라 보우소나루[6]
학력 아굴라스 네그라스 육군사관학교 (B.A.)
종교 기독교(교파 불명)[7]
신체 185cm, 73kg, O형(Rh-)
사상 보우소나루주의
소속 정당
군사경력
복무 브라질 육군
1977년 ~ 1988년
최종계급 대위 }}}}}}}}}

1. 개요2. 생애3. 사상4. 여담
4.1. 지지율4.2. 망언
5. 가족 관계6. 선거 이력7. 소속 정당8. 둘러보기

1. 개요

Vox가 제작한 영상 - '왜 보우소나루는 브라질 대통령에 당선되었을까?'

브라질의 제38대 대통령.

군인 출신 정치인으로 2018년 10월 28일 대통령 선거에서 노동자당 소속의 페르난두 아다지 후보를 꺾고 당선되어 2019년 1월 1일부로 대통령이 되었다. 정치적 성향은 우익대중주의[8]이자 강경 보수(극우)[9]이며, 열대의 트럼프, 남미의 트럼프라고 불린다.

실제로 트럼프와도 닮은 점이 많다. 둘 다 6피트 이상의 장신인데다가 거대한 영토를 가진 나라의 대통령이고(실제로 브라질의 별명이 남미의 미국이기도 하다), 결혼과 이혼을 자주 하며 젊은 아내와 재혼을 한 점, 자식 수가 5명이라는 것, 대안 우파적 성향을 띄고 과격한 행동을 자주 보이는 점, 코로나 방역을 대통령이 훼방을 놓은 수준으로 엉망으로 했다는 점[10], 재선 실패에 불복하여 부정선거 음모론으로 지지자들을 선동해 의회 점거 폭동을 유발한 점, 국정 수행 최고 지지율이 49%였다는 것, 후임의 취임식에 참석하지 않은 것 등이 닮았다.[11]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자이르 보우소나루/생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이르 보우소나루/생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자이르 보우소나루/생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사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보우소나루주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우소나루주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보우소나루주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여담

파일:Jair Bolsonaro 12.jpg
파일:Jair Bolsonaro 13.jpg
  • 쌍권총 포즈를 상당히 많이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윤석열어퍼컷 세레머니에 비견될 정도다.
  • 그의 이름 자이르는 브라질의 1940년대를 풍미했던 축구 선수 자이르 다호자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자이르 다호자와 보우소나루는 생일이 같고 34년의 나이차가 있다.
  • 소닉 더 헤지혹의 테마인 His WorldPR영상의 BGM으로 사용한 적이 있다. 일본어 내용은 별 얘기 없고 브라질 투자 홍보. 그래서 소닉 더 헤지혹과 합성된 사진이 많다. 브라질은 유독 세가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의 인기가 많은 나라라 브라질에서도 이 사실이 잘 알려져 있다.
  • 한국과의 인연이 있는데, 대선 후보 당시 대선 캠페인을 지원한 한인 변호사 이세균이 있다. 당선 이후 한인단체와 성사를 가지는 데 도움을 주었다. 또, 한-중남미 의회외교포럼에서 회담을 가지기도 했다.#
  • 2019, 2020년 타임지 영향력이 있는 100인으로 선정되었다.
  • 브라질 국적의 유명 운동선수들이 지지를 천명했다. 현재 보우소나루를 지지하는 것으로 알려진 축구 선수들은 다음과 같다.

  • 물론 베베투, 히샬리송 등 반대하는 인물들도 있다. 특히 히샬리송은 보우소나루의 환경 파괴와 반백신 정책을 비판했고, 첫 월드컵 골을 보우소나루에게 바치겠다고 약속하는 네이마르의 행적과 비교되어 큰 찬사를 받았다. #
  • 대표적인 지구 온난화 부정론자로,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아마존 복원을 위한 재단에 기부하자 자이르는 그를 비난했다.# 또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에 대해 이런 꼬맹이(Brat) 를 전 세계가 지원해주고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심지어 유명한 환경보호단체인 그린피스에는 쓰레기라는 발언까지 했다.#
  • 국회의원이었던 1998년에는 칠레의 군사 독재자 아우구스토 피노체트에 대해 "피노체트가 더 많은 사람을 죽였어야 했다"는 망언까지 했다.
  • 브라질 원주민들을 향해 점점 인간이 되어간다인종 차별 발언을 한 적이 있다.#
  • 천문학자 칼 세이건과 외모가 은근 닮았다. 그러나, 칼 세이건은 반전운동과 환경운동을 적극 지지한 진보주의자라서, 보우소나루와는 성향이 정반대다.
  • 연유를 아주 좋아해서 입에 달고 사는 수준이다. 그런데 연유 구입에 30억원 가량의 예산을 쓴 것으로 밝혀져 연유 구매를 핑계로 횡령을 한 거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됐다. 보우소나루가 아무리 연유를 많이 마셔도 30억을 쓰려면 하루에 7,200캔은 마셔야 한다. 보우소나루 측은 군납 연유가 포함된 예산이라고 해명했다.세계일보 기사 가디언 기사
  • 코로나 19 확진으로 인한 자가격리 기간 중 축구팀 CR 플라멩구의 팬임을 인증했다.
  • 북부 파도바 인근에 있는 인구 4,000명 규모의 작은 마을 안길인 라라 베네타로부터 명예시민증을 받았다.#
  • 그의 성씨인 보우소나루는 일본어로 폭주된다(暴走なる, 보-소나루)와 발음이 비슷하다.

4.1. 지지율

참고로 정부의 국정 수행에 대한 평가을 보면 최고치가 집권 직후 기록한 49%였고,[12] 집권 1개월 만에 30%대로 떨어졌으며, 2차 투표 당시 득표율(55.1%)의 2/3(약 36.7%) 미만 지지율을 처음 기록한 게 취임 2개월 후[13]인 데다가, 집권 반년차부터 20%~30% 초중반의 전형적인 레임덕 지지율로 접어들었다.[14] 2021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는 거의 다 20%대였으며, 2021년 12월 중에는 무려 19%[15]까지 기록한 적도 있다.[16] 전반적으로 23%에 육박하는 고정 지지층을 두고 있는 셈이며, 임기 후반에는 33% 안팎의 지지율을 기록했고, 퇴임 전인 2022년 12월 19~20일 기록한 최종 지지율은 39%다.

최초의 데드크로스는 취임 5개월도 채 안 된 2019년 5월 20~21일[17]이고, 2021년 3월~2022년 1월에는 부정평가가 긍정평가의 2배 이상이었다. 그리고 부정평가 최고치는 61%[18] 평균 지지율은 긍정평가 31%, 부정평가 40%인 셈이다.[19][20]

덤으로 대통령 개인에 대한 지지율을 놓고 보면 집권 직후에는 67%를 기록한 적도 있다.[21] 물론 3개월 만에 50% 밑으로 내려갔지만 임기 말에도 33% 안팎의 콘크리트 지지층을 자랑하고 임기 후반에는 42%를 기록했다. 대통령 개인 지지율을 보자면 보우소나루 지지층 중 최대 1/4이 국정평가와는 상관없이 보우소나루를 지지하는 샤이 지지층인 셈이다.

4.2. 망언

이 인물이 유명한 이유는 다름아닌 그의 행적 때문인데, 그를 정계의 스타이자 매우 유력한 대권주자로 만든 것이 있으니 바로 그의 막말이다. 이 때문에 남미의 트럼프라고도 불리는데, 사실 정책이나 발언의 강경함은 트럼프보다 더 심한 편이다. 트럼프는 2016년 대선 이전까지 극단주의 발언으로 악명을 얻었으나 정작 대통령 부임 이후로는 악명에 걸맞지 않는 정도로 발언이나 정책의 수위가 낮아졌다.

개인적으로도 미국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좋아하며 훌륭한 지도자라며 칭찬하기도 했다. 애초에 친미 성향이 강한 것도 있지만 그와 별개로 트럼프의 정치적 입장과 성격이 호감을 보인다. 2018년 10월 28일 트럼프 대통령 또한 보우소나루 대통령 당선을 보고 축하 전화를 하기도 했고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때는 보우소나루가 선거 결과는 사기라며 트럼프를 옹호하기도 했다. 다만, 보우소나루의 과격한 언행은 트럼프로부터 배운 것이 아니라 그의 타고난 천성이다. 이미 1990년대 지방의회 의원직을 지냈을 때부터 정말 강경한 모습을 보여왔고 국회의원 재직 시에도 좌파든 우파든 가릴 거 없이 거칠고 폭력적인 발언을 하는 것으로 유명했다. 그의 발언 수위가 트럼프 대통령보다도 훨씬 더 극단적이고 난폭한 것은 이렇게 그가 천성적인 독설가이기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트럼프의 과격한 언행도 어렸을 때부터 시작되었음을 감안하면 트럼프와는 그냥 우연히 닮았다고 보는 게 나을 것이다.

여성흑인은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흑인이 조종하는 헬기는 위험하다,[22][23] 군인들이 원주민 사회를 말살하지 않은 것이 슬프다와 같은 극단적인 성차별/인종 차별적인 망언은 물론, 동성애 또한 반대한다.[24]

가난한 학생과 유색인종을 위한 대학 할당제에 반대하는 사람이며, 아프리카계 브라질인들에게 빚진 것이 없다는 등의 발언으로 일각에서 빈축을 샀다.[25]

2011년 '만약 나에게 게이인 아들이 있다면 나는 그런 아들은 사랑할 수 없다. 차라리 사고로 죽는 게 낫다, 게이는 주먹으로 맞아야 정신을 차린다, 게이가 되느니 차라리 히틀러가 되겠다'란 발언을 했다. 이처럼 발언의 수위가 높아지자 현지 법원에서 벌금형을 선고받기도 하였다. 외국인 이민 또한 반대하며, 흉악 범죄자의 즉각 사살[26]을 주장한다.

5. 가족 관계

1978년 23세 때 사관학교를 졸업한 뒤 첫 결혼을 하고 1980년대에 아들 셋을 낳았다. 둘째아들 카를루스가 2001년, 큰아들 플라비우가 2003년, 셋째아들 에두아르두가 2015년에 직업 정치인이 되었다.

1997년 42세때 환승이혼을 하고 1998년에 넷째아들 헤낭이 태어났다. 인스타 인플루언서이며 키 190cm의 장신이다.

2007년 52세 때 다시 이혼하였다. 그 직후에 정당 활동을 하면서 만난 미셸리 헤이나우두와 삼혼을 했다. 미셸리는 약학대학을 졸업했으며 결혼 당시 25세여서 27세 차이 , 첫 결혼에 낳은 보우소나루의 둘째아들 카를루스 보우소나루가 미셸리보다 단 8개월 어리다. 둘 사이에서는 2010년 딸 라우라가 태어났다.

대통령 당선 후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과 서로 설전을 했다. # 마크롱은 모친뻘 늙은 아내[27]를 두고 있는데, 보우소나루는 딸만한 젊은 아내를 두고 있는 걸로 비교하며 조롱한 것이다.

6. 선거 이력

<rowcolor=#ffc224>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1차 득표수 (득표율) 2차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1989 브라질 지방 선거 리우데자네이루 시의원 ? - 당선 (1위) 초선
1990 브라질 대의원 선거 리우데자네이루 1,205,506 (2.98%) 초선
1994 리우데자네이루 3 4,307,878 (9.43%) 재선
1998 리우데자네이루 10 7,553,167 (11.34%) 3선
2002 리우데자네이루 21 6,828,375 (7.81%) 4선
2006 리우데자네이루 14 6,662,309 (7.15%) 5선
2010 리우데자네이루 11 6,330,062 (6.55%) 6선
2014 리우데자네이루 1 6,429,791 (6.61%) 7선
2018 브라질 대통령 선거 브라질 49,277,010 (46.03%) 57,797,847 (55.13%) 초선
2022 브라질 대통령 선거
51,072,345 (43.20%) 58,206,322 (49.10%) 낙선 (2위) [28]

7. 소속 정당

한국의 이인제만큼이나 당적을 자주 바꿨다. 무려 10번이나 당적을 바꿨는데 진보당의 경우 1993년과 2003년 정당이 둘 다 있으나, 후자의 경우 확대개편이므로 2005년에는 약 12년 만에 복당했다고 볼 수는 있다. 대통령 당선 당시에는 사회자유당 소속이었다. 정당 이름은 진보당, 사회자유당을 내걸지만 모두 우파 ~ 극우 정당들이었다. 그나마 온건했던 당은 자유보수주의 성향의 진보당이었다.
소속 기간 비고
기독교민주당 1989 - 1993 -
진보당 1993 -
개혁진보당 1993 - 1995 -
브라질 진보당 1995 - 2003 -
브라질 노동당 2003 - 2005 -
자유전선당 2005 -
[[진보당(브라질)|
진보당
]]
2005 - 2016 -
[[사회기독당|
사회기독당
]]
2016 - 2018 -
[[사회자유당(브라질)|
사회자유당
]]
2018 - 2019 탈당
[[브라질을 위한 동맹|
브라질을 위한 동맹
]]
2019 ~ 2021 창당

2021 ~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250088><tablebgcolor=#250088> 파일:보우소나루 투명.svg자이르 보우소나루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250088> 생애 생애
선거 2018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 2022년 브라질 대통령 선거
사건 · 사고 2023년 1월 브라질리아 폭동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국가별 대응/아메리카/브라질
사상 보우소나루주의
기타 파벨라 · 블루 타이드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9C3B 15%,transparent 15%), linear-gradient(45deg, #009C3B 15%,transparent 15%), linear-gradient(45deg, transparent 85%, #009C3B 85%, #009C3B 10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135deg, transparent 85%, #009C3B 85%, #009C3B 100%, transparent 100%), radial-gradient(circle, #002776 55%, transparent 55%), linear-gradient(to right, #ffdf00 50%,#ffdf00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2776> 상징 국기 · 국장 ·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브라질 식민지 · 브라질 독립 전쟁 · 브라질 제국
정치 정치 전반 · 브라질 헌법 · 브라질 대통령 · 브라질 부통령 · 브라질 국가의회(브라질 연방상원 · 브라질 대의원)
선거 브라질 대통령 선거 · 브라질 국가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브라질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BRICS · G4 · G20 · TIAR
사회 파벨라 · ENEM
경제 경제 전반 · 브라질 헤알
국방 브라질군 · 브라질 육군 · 브라질 해군 · 브라질 공군
치안·사법 브라질 경찰
교통 LATAM 브라질 항공 · 골 항공 · 철도 환경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 요리 · 카샤사 · 리우 카니발 · 삼바 · 보사노바 · MPB · 브라질 축구 연맹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 상파울루 그랑프리 · 브라질 영화 · 브라질 포르투갈어
인물 펠레 · 아일톤 세나 · 룰라 다 실바 · 자이르 보우소나루 · 가린샤 · 호나우지뉴 · 히바우두 · 호나우두 · 호마리우 · 네이마르 주니오르 · 지쿠 · 카카 · 소크라치스 · 카푸 · 베베투 · 호베르투 카를루스 · 둥가
지리 아마존강 · 팜파스 · 행정구역
민족 브라질인(브라질 백인/파르도/브라질 흑인) · 포르투갈계 브라질인 · 브라질계 미국인 · 독일계 브라질인 · 이탈리아계 브라질인 · 스페인계 브라질인 · 프랑스계 브라질인 · 네덜란드계 브라질인 · 미국계 브라질인· 아르메니아계 브라질인 · 레바논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브라질인 · 폴란드계 브라질인 · 리투아니아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그리스계 브라질인 · 한국계 브라질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중국계 브라질인 · 크로아티아계 브라질인 · 튀르키예계 브라질인 · 브라질 유대인 · 러시아계 브라질인 · 헝가리계 브라질인
}}}}}}}}} ||


[1] 풀네임 미셸 지파울라 피르무 헤이나우두 보우소나루, 혼전명 미셸 지파울라 피르무 헤이나우두[A] 전처 호제리아 낭치스 소생.[A] [A] [5] 1998년생. 전처 아나 크리스치나 발리 소생.[6] 2010년생. 현처 미셸 보우소나루 소생[7] 공식적으로는 가톨릭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10년 넘게 침례교 교회에 출석했고 2016년에는 요르단 강에서 자식들과 함께 세례(감리회 방식 세례)를 받았다.[8] 설명문 다만 이 기사는 사회자유주의적 관점에서 작성되었으므로 개인마다 견해가 다를 수 있다.[9] 자이르 보우소나루의 정치적 정체성을 설명하는 기사[10] 때문에 미국과 브라질은 코로나 사망자 수 세계 1위/2위를 기록했다.[11] 다만 대통령 당선이 정계 입문이었던 트럼프와 정반대로 보우소나루는 대통령이 되기 전에도 7선 의원에 하원의장 선거에 3번 출마하기도 했던 베테랑 정치인이었다.[12] 하지만 최고 지지율 54%도 매우 낮은 게, 윤석열의 최고 지지율이 53%였고, (2021년 미국 국회의사당 점거 폭동 버프를 입어야만 했던) 조 바이든의 최고 지지율이 57%였다. 또 도널드 트럼프의 최고 지지율도 49%였다. 부패 혐의로 대통령이 탄핵, 수감된 정당을 압도적으로 이기며 당선된 대통령의 최고 지지율이라 하기엔 몹시 저조한 지지율이었다.[13] 2019년 3월 16~19일, 34%[14] 다만 2020년 8월~2021년 1월에는 지지율 37%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때는 2019년 6월 이후 보우소나루 지지율이 부정평가보다 우세한 몇 안 되는 기간이었다. 최고치는 2020년 10월 중 기록한 41%.[15] 보우소나루의 데드덕 지지율격인 18.4%(2차 투표 당시 득표율의 1/3 가량 된다)를 아슬아슬하게 넘겼으며, 부정평가도 55%로 긍정평가의 3배 미만이다.[16] 다만 20% 이하를 기록한 적은 이것과 2021년 8월 중 기록한 20% 이렇게 2회가 전부다.[17] 지지율 34%, 부정평가 36%[18] 2021년 8월 30일~9월 4일, 당시 지지율은 24%였다.[19] 비교하자면 한국의 이명박의 분기별 평균 지지율이 긍정평가 35%, 부정평가 53%였다.[20] 전임자 미셰우 테메르와 비교하면 매우 높지만 객관적으로 보면 민주화 이후 대통령 중에서는 평균 지지율이 높은 편에 속하지 않는 데다가 임기 내내 국정 수행에 대한 지지도는 낮았다고 봐도 무리는 없다. 애초에 테메르는 지지율 1% 까지 기록했을 정도로 세계 정치사에서도 가장 인기가 없던 대통령이다.[21] 룰라가 임기 말 지지율 87%를 찍었다는 게 바로 대통령 개인에 대한 지지율이다. 물론 당시 국정 긍정평가는 83.4%에 달했다.[22] 그런데 정작 흑인인 축구선수 호나우지뉴는 그를 지지하고 있다. 그리고 2019년 취임하고 처음 임명한 합참의장은 헬기 조종사 출신의 흑인이었던 걸로 보면 그리 생각하고 말하는 건 아니었다. 해당 인물은 1957년 라울 보텔료이다.[23] 이 외에도 가브리에우 제주스네이마르 주니오르같은 유명 흑인축구선수들도 보우소나루를 지지한다. 사람들은 정체성보다 개인적인 신념과 이익, 호감도 등으로 후보를 고르는 사람이 많다는 것을 자주 간과한다.[24] 다만 원래 가톨릭의 세가 강한 남미 지역에서의 동성애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매우 안 좋은 편이다. 브라질동성결혼이 합법화된 나라이지만, 그렇다고 동성애에 대한 시선이 서유럽에 비해 아주 긍정적이지는 않다.[25] 브라질은 아프리카를 노예로 만든 적이 없고, 포르투갈 사람들은 아프리카에 발도 들이지 않았으며, 아프리카 흑인들이 자발적으로 노예를 넘겨준 것이라는 상식 밖의 발언들을 아무렇지 않게 한다.[26] 사형이 아니라 사살이다. 그 자리에서 즉시 총을 쏴서 죽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다만 이는 브라질의 치안이 워낙 막장인 점도 고려해야 한다.[27] 놀랍게도 마크롱의 고등학교 교사이자 학교 친구의 어머니였다.[28] 9번의 선거 중 첫 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