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독일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바이에른]]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바이에른#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바이에른#|]]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독일의 행정구역: }}}[[바이에른]]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바이에른#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바이에른#|]]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faed7d,#514f36><colcolor=#000,#e5e5e5> 역사 | 역사 · 프랑크 왕국(중프랑크 · 동프랑크) · 부르군트 왕국 · 랑고바르드 왕국 ·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합스부르크 제국 · 오스트리아 제국 | |
현대 국가 | 독일 · 이탈리아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벨기에 ·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리히텐슈타인 · 이탈리아 · 모나코 · 산마리노 · 바티칸 · 체코 · 슬로베니아 · 크로아티아 · 프랑스 · 폴란드 | ||
주요 가문 | 카롤루스 가문 · 오토 가문 · 잘리어 가문 · 호엔슈타우펜 가문 · 벨프 가문 · 룩셈부르크 가문 · 비텔스바흐 가문 · 합스부르크 가문 (합스부르크-로트링겐 가문) | ||
왕국 | 독일 왕국 · 이탈리아 왕국 · 부르군트 왕국 · 보헤미아 왕국 | ||
선제후국 | <colcolor=#000,#e5e5e5><colbgcolor=#fff8b4,#514f36> 초기 부족 공국 | 프랑켄 공국 · 슈바벤 공국 · 바이에른 공국 · 로렌 공국 · 초기 작센 공국 | |
1356년~1623년 | 마인츠 선제후국 · 쾰른 선제후국 · 트리어 선제후국 · 작센 선제후국 · 팔츠 선제후국 ·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 보헤미아 왕국 | ||
16세기 추가 | 바이에른 선제후국 · 하노버 선제후국 | ||
1803년 이후 추가 | 레겐스부르크 선제후국 · 잘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츠부르크 선제후국 · 뷔르템베르크 선제후국 · 바덴 선제후국 · 헤센 선제후국 | ||
정치 | 역대 황제 · 로마왕(독일왕) · 황제선거 · 선제후 · 금인 칙서(1356년판) · 제국의회 · 제국대법원 · 제국궁정원 · 제국관구 · 제국추방령 · 저지대 국가 · 변경백 · 방백 · 팔츠 · 궁정백 · 주교후 · 제국백 · 자유도시 · 부족 공국 · 영방국가 · 구엘프 · 기벨린 | ||
주요 종교 | 가톨릭(국교) · 발도파 · 후스파 · 개신교(루터교회 · 개혁교회) | ||
관련 유물 | 레갈리아/신성 로마 제국 · 롬바르디아 철관 · 신성 로마 제국 황제관 · 금인 칙서 · 오스트리아 제국 황제관 | ||
군사 | 제국군 · 황제군 · 란츠크네히트 · 도펠죌트너 · 슈바르체라이터 | ||
주요 사건 | 카노사의 굴욕 · 십자군 전쟁 · 대공위시대 · 이탈리아 전쟁 · 후스 전쟁 · 제국개혁 · 종교 개혁 · 독일 농민전쟁 · 슈말칼덴 전쟁 · 30년 전쟁(베스트팔렌 조약) · 7년 전쟁 · 나폴레옹 전쟁(제국의 해체) | ||
오해 | 오해와 반박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서부 | 남부 · 중부 | 북부 · 동부 | 프로이센 | |||||||||||||
선사 시대 | 네안데르탈인 | ||||||||||||||||
호모 사피엔스의 이주와 확산 | |||||||||||||||||
초기 유럽 농경민 | |||||||||||||||||
마그달레니아 문화 | |||||||||||||||||
아렌스부르크 문화 | {{{#!wiki style="margin:-35px -10px -1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원시 인류 공동체 | }}}}}} | ||||||||||||||
다뉴브 문화 선형 토기 문화 · 뢰셴 문화 · 미켈스베르크 문화 · 누두형 비커 문화 | |||||||||||||||||
매듭무늬토기 문화 구상 암포라 문화 · 쇤펠데르 문화 · 바덴 문화 | |||||||||||||||||
종형 비커 문화 | |||||||||||||||||
투물루스 문화 | 우네티체 문화 | ||||||||||||||||
언필드 문화 | |||||||||||||||||
할슈타트 문화 | 루사티아 문화 | ||||||||||||||||
루 테네 문화 | 포메란 문화 | ||||||||||||||||
고대 | 켈트 켈트인의 이주와 확산 | ||||||||||||||||
로마 공화국 | |||||||||||||||||
로마 제국 [[상게르마니아 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wiki style="margin: -25px -10px -1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게르마니아 [[게르마니아 전쟁|{{{#!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게르만족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주트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프리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튜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프랑크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랑고바르드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마르코만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수에비|{{{#!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알레만니|{{{#!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게피드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고트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반달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부르군트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훈족|{{{#!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 }}}}}} | ||||||||||||||
서로마 제국 [[상게르마니아 속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중세 | 게르만족의 대이동 | ||||||||||||||||
{{{#!wiki style="margin: 0px -10px -65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 | ← 게르만족들의 이주와 정착 ← 슬라브족의 이주 | |||||||||||||||
프랑크 왕국 [[오보트리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벨레티|{{{#!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소르브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동프랑크 왕국 | 프루스족 | ||||||||||||||||
신성 로마 제국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독일 왕국 부족 공국 [[작센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바이에른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슈바벤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로트링겐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프랑켄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튜튼 기사단국 | ||||||||||||||||
프로이센 공국 | |||||||||||||||||
프로이센 공국-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동군연합 | |||||||||||||||||
프로이센 왕국 | |||||||||||||||||
근대 | 프랑스령 라인란트 | {{{#!wiki style="margin: -24px -10px 0px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100%" | }}}}}} | ||||||||||||||
프랑스 제1제국 [[라인 동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900; font-size: .8em" [[프로이센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독일 연방 [[오스트리아 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프로이센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기타 구성국들 [[바이에른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99d5; font-size: .8em" [[작센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하노버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뷔르템베르크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d1220; font-size: .8em" [[바덴 대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헤센 선제후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E10000; font-size: .8em" [[헤센 대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슐레스비히홀슈타인 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올덴부르크 대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00978; font-size: .8em" | |||||||||||||||||
오스트리아 축출 | 바이에른 왕국 [[뷔르템베르크 왕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d1220; font-size: .8em" [[바덴 대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헤센 대공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북독일 연방 | |||||||||||||||
독일 제국 [[독일 식민제국|{{{#!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현대 | 자르 분지 | 라인란트 비무장지대 | 바이마르 공화국 [[프로이센 자유주|{{{#!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8em" | ||||||||||||||
나치 독일 플렌스부르크 정부 | |||||||||||||||||
연합군 군정기 | |||||||||||||||||
독일연방공화국 (서독) [[자르 보호령|{{{#!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209f; font-size: .8em" | 독일민주공화국 (동독) | 폴란드 인민공화국 | 소비에트 연방 | ||||||||||||||
→ 서독, 동방정책의 일환으로 영유권 포기 (기술 X)[동방정책] | |||||||||||||||||
{{{#121212 ※ 서부는 자를란트, 라인란트팔츠,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바이에른 공국 Herzogtum Boarn바이에른어 Herzogtum Bayern독일어 | ||
| | |
국기 | 국장 | |
위치 | ||
| ||
약 555년~1623년/1806년(바이에른 선제후국 포함시) | ||
성립 이전 | 선제후국 성립 | |
동프랑크 왕국 | 바이에른 선제후국 | |
지리 | ||
위치 | 바이에른, 라인란트팔츠 | |
수도 | 레겐스부르크(~1255) 뮌헨(1505~) | |
인문환경 | ||
언어 | 바이에른어, 라틴어 | |
종교 | 가톨릭 | |
민족 | 바이에른인 | |
정치 | ||
정치체제 | 봉건제 | |
국가원수 | 공작 | |
주요 군주 | 가리발드 1세 하인리히 사자공 루트비히 4세 알브레히트 4세 막시밀리안 1세 |
1. 개요
바이에른 공국(Herzogtum Bayern)은 초기 5대 부족 공국[1] 중 하나로, 동프랑크 왕국 시절부터 신성 로마 제국의 중요한 구성원이었다. 기원은 6세기 중반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1806년 바이에른 왕국으로 승격되기 전까지 존속했다.[2]초창기 영토는 현재 독일 바이에른 주의 중남부, 현재 오스트리아의 전 지역과 이탈리아의 쥐트티롤, 슬로베니아 등을 포함한 광대한 지역을 지배하였으나 다른 지역들이 점차 떨어져나가 현재의 오버바이에른현과 니더바이에른현 정도로 영토가 줄어들었다.
2. 역사
바이에른 공국은 메로베우스 왕조 시대에 프랑크 왕국의 속령으로 시작되었으며, 8세기 초 카롤링거 왕조에 의해 정복되었다.이후 독일 왕국과 신성 로마 제국 초기에 제위를 차지한 작센 공국 출신의 오토 왕조의 황제들과 치열하게 권력 다툼을 벌였다. 그러나 황제와의 경쟁에서 대체로 패배하고 말았고, 때문에 오토 왕조 출신 황제들에 의해 오스트리아 변경백국, 케른텐 공국, 티롤 백국 등이 차례로 분리당하면서 바이에른은 남쪽 영토의 상당 부분을 상실했다. 이후 오토 왕조는 바이에른 공국 자체를 접수했다. 바이에른 공작 출신의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하인리히 2세가 후사없이 죽으면서 오토 왕조는 단절되었고, 바이에른도 다른 가문에게로 떨어졌다. 그러다가 마침내 벨프 가문이 이 바이에른 공국을 차지하였다. 벨프 가문의 하인리히 사자공은 남부의 바이에른과 북부의 작센을 동시에 차지하면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프리드리히 1세 바르바로사보다도 넓은 영토를 자랑했으나 황제와 치열한 권력 다툼을 벌인 끝에 1180년 제국추방령을 당해 최종적으로 황제에게 패하면서 작센의 조그마한 브라운슈바이크 일대를 제외하고 거의 모든 영토를 상실하였다. 바르바로사 황제는 사자공에게서 빼앗은 영토를 자신의 측근들에게 재분배했는데, 바이에른 공국은 비텔스바흐 가문의 오토 1세(Otto I. der Rotkopf 1117~1183)에게 떨어졌고, 이때부터 유서 깊은 비텔스바흐 가문의 바이에른 통치가 시작되었다. 그러나 1180년 바르바로사 황제가 사자공의 영지를 조각내어 재분배한 것으로 인해 신성 로마 제국의 부족 공국 체제 자체가 해체되고 말았다. 이때 작센 공국, 프랑켄 공국 등은 아예 공중 분해되었지만 그래도 바이에른 공국은 비교적 온전히 비텔스바흐 가문에게로 넘어갔다.
오토 1세의 아들 루트비히 1세(Ludwig I. der Kelheimer 1173~1231)는 벨프 가문의 오토 4세로부터 라인 궁정백국의 상속을 보장받아 이 때부터 비텔스바흐 가문은 바이에른과 라인 궁정백국을 지배하였다. 루트비히 1세의 아들 오토 2세(Otto II. der Erlauchte 1206~1253)는 맏아들 루트비히 2세(Ludwig II. der Strenge 1229~1294)에게는 오버바이에른과 라인팔츠를, 둘째 하인리히 13세(Heinrich XIII. Herzog von Niederbayern 1235~1290)에게는 니더바이에른을 나누어주었다. 갈라진 바이에른 공국은 루트비히 2세의 막내아들 루트비히 4세에 의하여 통합되었으나 1347년 루트비히 4세가 죽고 그의 여섯 아들들에게 분할되었고, 1356년 금인 칙서에서 바이에른의 황제 선거권은 박탈[3]당해 정치적으로 힘을 잃었다. 분열된 바이에른 공국은 1503년이 되어서야 바이에른뮌헨 공작 알브레히트 4세에 의해 재차 통합되었다. 알브레히트 4세의 아들 빌헬름 4세와 루트비히 10세 형제는 종교 개혁에 동참하려 했으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스페인 국왕 카를 5세의 회유로 일단 가톨릭으로 남았고, 알브레히트 5세와 빌헬름 5세를 거쳐 바이에른은 엄격한 가톨릭 국가로 남았다.
17세기 30년 전쟁으로 바이에른 선제후국이 되었으나 전쟁이 진행되며 큰 타격을 받았다. 18세기에 막시밀리안 2세 에마누엘을 필두로 합스부르크 가문에 저항하며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정치적 위상을 강화하려 했으나 실패로 끝났고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가 후사 없이 사망하며 다른 비텔스바흐 가문의 친척이 통치하는 팔츠 선제후국과 통합되었다.[4]
3. 군사
바이에른 공국은 강력한 기병과 용병 부대를 운용했으며, 성주들의 성채와 요새 방어 체계를 발전시켰다. 30년 전쟁에서는 가톨릭 측의 주요 세력으로 참전하여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가문을 지원했다.4. 사회
중세 바이에른은 봉건 사회였으며, 귀족, 기사, 성직자, 농민 계층으로 구성되었다. 농업이 경제의 근간을 이루었으며, 마을과 수도원 중심의 공동체가 발전했다.5. 종교
가톨릭 신앙을 강하게 유지한 영방국가 중 하나였다. 종교 개혁 이후에도 가톨릭 세력을 지지하며 개신교 국가들과 갈등을 빚었다. 예수회와 수도원들이 교육과 문화 발전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6. 경제
농업과 목축업이 주된 산업이었으며, 중세 후반부터는 무역과 광업(특히 소금 채굴)이 활발했다. 뮌헨은 경제 중심지로 발전하며 교역의 거점이 되었다.7. 문화
중세 바이에른은 예술과 건축이 발달한 지역이었다. 로마네스크 및 고딕 양식의 성당과 수도원이 많이 세워졌으며,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대에도 건축과 미술이 크게 발전했다.8. 정치
바이에른 공작은 신성 로마 제국의 주요 영방국가였으며 루트비히 4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로까지 선출되었다. 그러나 루트비히 4세의 대립왕으로 선출되어 황제로 즉위한 보헤미아 왕국의 국왕 카를 4세는 자신의 룩셈부르크 가문의 제위 계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1356년 금인 칙서를 발표하여 보헤미아 왕국을 선제후로 만드는 대신 바이에른 공국의 황제선거권을 박탈하였다. 게다가 바이에른 공국은 루트비히 4세가 죽은 후 아들들에게 분할상속되었기 때문에 정치적으로 심각하게 약화되었고, 1503년 바이에른뮌헨 공작 알브레히트 4세 대에 들어서야 재통합되었다. 이후 바이에른 비텔스바흐 가문은 팔츠 선제후국의 비텔스바흐 가문과 적대하며 정치적 연합과 혼인 동맹을 통해 세력을 확장했다.9. 학문
바이에른의 수도원과 대학들은 중세 학문의 중심지였다. 1472년 뮌헨 인근 잉골슈타트에 바이에른 최초의 대학(현 뮌헨 대학교)이 설립되었다.10. 역대 통치 가문
- 아길로피드 왕조(6세기~8세기)- 카롤링거 왕조 (788~911)
- 리우돌핑 왕조 (911~947)
- 바벤베르크 가문 (947~982)
- 벨프 가문 (1070~1180)
- 비텔스바흐 가문 (1180~1806)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74a2, #0099d5 20%, #0099d5 80%, #0074a2); color: #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비텔스바흐 왕조 | 오토 1세 | 루트비히 1세 | 오토 2세 | 루트비히 2세, 하인리히 13세 | |
오버바이에른 공작 | 니더바이에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2세(1253년~1294년) | 하인리히 13세(1253년~1290년) | ||||
루돌프 1세(1294년~1317년), 루트비히 4세(1294년~1340년) | 오토 3세(1290년~1312년), 루트비히 3세(1290년~1296년), 슈테판 1세(1290년~1310년) | |||||
하인리히 14세(1310년~1339년) , 오토 4세(1310년~1334년) | ||||||
하인리히 15세(1312년~1333년) | ||||||
요한 1세(1339년~1340년) | ||||||
바이에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4세 | 루트비히 5세, 슈테판 2세, 루트비히 6세, 빌헬름 1세, 알브레히트 1세, 오토 5세 | ||||
오버바이에른 공작 | 니더바이에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5세, 루트비히 6세, 오토 5세 | 슈테판 2세, 빌헬름 1세, 알브레히트 1세 | ||||
오버바이에른 공작 | 바이에른-란츠후트 공작 | 슈트라우빙-홀란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루트비히 5세(1349년~1361년) | 슈테판 2세(1373년~1375년) | 빌헬름 1세(1349년~1389년) | |||
루트비히 6세(1349년~1351년) | 오토 5세(1373년~1379년) | 알브레히트 1세(1349년~1404년) | 알브레히트 2세(1387년~1397) | |||
오토 5세(1349년~1351년) | 요한 2세, 슈테판 3세, 프리드리히(1375년~1392년 ) | 빌헬름 2세(1404년~1417년) | ||||
마인하르트 3세(1361년~1363년) | 요한 3세(1404년~1425년) | |||||
바이에른-잉골슈타트 공작 | 바이에른-란츠후트 공작 | 바이에른-뮌헨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슈테판 3세(1392년~1413년) | 프리드리히(1392년~1393년) | 요한 2세(1392년~1397년) | |||
루트비히 7세(1413년~1443년) | 하인리히 16세(1393년~1450년) | 에른스트(1397년~1438년) | 빌헬름 3세(1397년~1435년) | |||
루트비히 8세(1443년~1445년) | 루트비히 9세(1450년~1479년) | 아돌프(1435년~1441년) | ||||
게오르크(1479년~1503년) | 알브레히트 3세(1438년~1460년) | |||||
요한 4세(1460년~1463년) | 지기스문트(1460년~1467년) | |||||
알브레히트 4세(1465년~1508년) | ||||||
바이에른 공작 | ||||||
비텔스바흐 왕조 | 알브레히트 4세 | 빌헬름 4세 | 알브레히트 5세 | 빌헬름 5세 | ||
루트비히 10세 | ||||||
막시밀리안 | ||||||
바이에른 선제후 · 바이에른 국왕 | }}}}}}}}} |
11. 대외관계
바이에른은 신성 로마 제국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합스부르크 가문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또한 프랑스 왕국, 이탈리아반도 여러 국가와도 외교적으로 얽혀 있었으며, 종교 전쟁과 동맹을 통해 유럽 정치에 개입했다.[1] 다른 4개의 공국들은 작센, 프랑켄, 슈바벤, 로트링겐.[2] 바이에른 선제후국도 구조상으로는 바이에른 공국이었다.[3] 본래 비텔스바흐 가문의 영토를 조정한 1329년 파비아 조약(Hausvertrag von Pavia)에 따르면 비텔스바흐 가문의 황제 선거권은 라인 궁정백과 바이에른 공작이 번갈아가며 행사하기로 되어있었고, 1338년 프랑크푸르트 조약으로 바이에른 공작 중 오버바이에른 공작이 갖는 것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보헤미아 국왕인 카를 4세는 비텔스바흐 가문을 견제하기 위해 경제적으로는 부유하지만 월경지 형태로 영토가 쪼개져 군사력이 약한 라인 궁정백이 황제 선거권을 갖도록 고정하였고, 바이에른계는 장자 계열이 브란덴부르크 변경백국을 보유하고 있으니 한 가문에서 3개의 투표권을 행사하는 것은 부당하다는 논리로 바이에른의 황제 선거권을 없애고 브란덴부르크 변경백으로서만 행사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1371년 바이에른 공작 오토 5세를 협박하여 브란덴부르크를 빼앗아 룩셈부르크 가문의 영토로 만들어버렸고 바이에른계 비텔스바흐 가문은 황제선거에 참여할 수 없게 되었다.[4] 다만 카를 테오도어가 팔츠 선제후국의 수도 만하임에서 바이에른 선제후국의 수도 뮌헨으로 옮겼기 때문에 정치적인 중심지는 바이에른으로 남았다.